KR101421228B1 - 진동방지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펌프 일체형 수문 - Google Patents

진동방지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펌프 일체형 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228B1
KR101421228B1 KR1020140036363A KR20140036363A KR101421228B1 KR 101421228 B1 KR101421228 B1 KR 101421228B1 KR 1020140036363 A KR1020140036363 A KR 1020140036363A KR 20140036363 A KR20140036363 A KR 20140036363A KR 101421228 B1 KR101421228 B1 KR 101421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gate body
vibration
gat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6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우테크
Priority to KR1020140036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2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28Vertical-lift gates with slid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2Equipment preventing vibration of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이트 본체의 상하 개폐와 펌프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문틀에 게이트 본체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진동방지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펌프 일체형 수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진동방지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펌프 일체형 수문는 수로의 양 측벽 제 1 가이드 레일과 제 2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지지 구조물; 가이드 홈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게이트 본체; 상기 게이트 본체의 양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홈의 제 1 가이드 레일과 접촉하며 회전하는 메인 롤러; 상기 게이트 본체의 양 측면에 설치되어 메인 롤러에 연결되는 제 1 진동흡수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진동 흡수 장치는 진동단과 고정단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단과 고정단 사이에 상기 메인롤러가 위치하는 것을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동방지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펌프 일체형 수문{THE WATER GATE WITH A BUILT IN PUMP HAVING VIBRATION RESISTANT AND SHOCK-ABSORBING FUNCTION}
본 발명은 진동방지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펌프 일체형 수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펌프 일체형 게이트 본체의 상하 개폐와 펌프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 및 완충을 하여 문틀에 게이트 본체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진동방지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펌프 일체형 수문에 관한 것이다.
수문은 일반적으로 댐, 하천 제방, 저수지 등의 담수 설비 또는 수로에 설치되어 배수량을 조절하고, 홍수 등으로 인한 역류를 방지하여 설비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설비이다.
수문은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하단 방류 방식의 인양식 수문조립체와, 수로의 바닥에서 좌우 방향으로 전도되는 상단 월류 방식의 전도식 수문 조립체로 구분된다.
인양식 수문 조립체는 양 측면부에 롤러를 구비하여, 권양 장치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수문의 승강이 이뤄진다. 또한, 수문에는 가이드 레일면과의 틈새로 물이 새지 않도록 하는 실링 수단으로서 지수 부재가 수문의 일면의 상하부 가장 자리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지수 부재는 수문의 승강시 레일면과의 마찰로 인해 마모 및 변형이 발생하여, 결국 지수 부재의 수명을 단축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 제1129042호의 수문 구조체는 도1에 표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본체(20)의 완전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사이드 롤러(30)에 대응하여 게이트 본체(20)의 일면측에 설치한 웨지 부재(51, 52, wedge member), 웨지 부재(51, 52)에 대응하여 일면측 레일 면에 메인 롤러(30)의 외주부를 수용하는 수용홈(12), 게이트 본체(20)의 상단면에 설치되는 브라켓 양단부 측에서 게이트 본체(20)의 일면측 레일면에 접촉하며 수로의 길이 방향으로 회전하는 어퍼 롤러(upper roller, 60)를 포함하여, 지수 부재(41, 42)와 레일면 (13) 사이에 여유 갭을 형성할 수 있어 마찰을 피할 수 있고, 게이트 본체(20)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웨지 부재(51, 52)에 의해 상하측 메인 롤러(30)의 외주부가 일면측 레일면의 수용홈(12)에 수용되고 이에 따라 지수부재(41, 42)가 레일면(13)과 게이트 본체(20) 사이에서 압축됨으로써 게이트 본체(20)와 레일면(13) 사이의 완전한 실링(sealing)을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게이트 본체를 개방시키면 메인 롤러가 웨지에서 벗어나게 되어 웨지 부재 높이 만큼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어 유격이 발생하며, 따라서 게이트 본체의 상승 하강시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펌프가 일체형으로 부착된 펌프 일체형 수문의 경우, 배수를 위해 펌프를 구동할 때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여 메인 롤러를 고정하는 축의 변형이 일어나게 되고, 결국 수문 조립체, 지지 구조물의 변형이 발생하고 토목 구조물이 깨지는 등의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펌프의 구동 또는 게이트 본체의 상승 하강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진동방지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펌프 일체형 수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진동방지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펌프 일체형 수문은 수로의 양측벽에 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된 지지 구조물의 가이드 홈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진동방지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펌프 일체형 수문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물의 가이드 홈 내에서 양측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게이트 본체; 상기 게이트 본체의 양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홈의 제 1 가이드 레일과 접촉하며 회전하는 메인 롤러; 상기 게이트 본체의 양 측면에 설치되어 메인 롤러에 연결되는 제 1 진동흡수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진동 흡수 장치는 진동단, 고정단 및 축 연결용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단, 고정단 및 메인롤러를 축연결용 플레이트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단은 게이트 본체의 외수측 내부에 고정되는 제 1 브라켓과, 상기 제 1 브라켓에 수직으로 마주보게 일단이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제 1 보조 샤프트 지지용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브라켓 상에 일단이 수직으로 고정되는 축봉과, 상기 축봉에 끼워지는 스프링과, 상기 축봉의 타단에 결합되는 너트와 상기 축봉 및 한 쌍의 제 1 보조 샤프트 지지용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제 1 보조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단은 상기 진동단과 이격되어 상기 게이트 본체의 외수측 내부에 고정되는 제 2 브라켓과, 상기 제 2 브라켓에 수직으로 마주 보게 일단이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제 2 보조 샤프트 지지용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제 2 샤프트 지지용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제 2 보조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축 연결용 플레이트는 일측에 제1 보조샤프가 관통되고 타측에 제2 보조샤프트가 관통되어 있고, 중앙에 메인롤러를 관통하는 메인 샤프트가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단은 상기 고정단에 비해 높이가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게이트 본체의 양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홈의 제 2 가이드 레일과 접촉하며 회전하는 보조 롤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 롤러는 제 2 진동 흡수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진동 흡수 장치는 게이트 본체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수직 방향으로 일단이 고정되는 축봉; 상기 축봉에 끼워지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을 압박하도록 상기 축봉의 타단에서 상기 보조 롤러의 홀더 하부면에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진동방지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펌프 일체형 수문은 펌프의 구동 및 게이트 본체의 상승 하강시 메인 롤러가 웨지 부재를 만날 경우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수문 조립체의 내구성을 개선하고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수문 조립체가 개방된 상태(a) 및 완전히 닫힌 상태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라 진동방지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펌프 일체형 수문의 상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라 진동방지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펌프 일체형 수문의 정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라 진동방지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펌프 일체형 수문의 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수문 조립체의 전면에서 본 진동 흡수 장치를 구비한 우측 메인 롤러의 도면이다.
도6은 도2의 "A"의 확대도로, 본 발명에 따르는 수문 조립체의 상면에서 본 진동 흡수 장치를 구비한 우측 메인 롤러의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르는 수문 조립체의 진동 흡수 장치와 메인 롤러의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라 진동방지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펌프 일체형 수문의 상면에서 본 우측 보조 롤러의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라 진동방지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펌프 일체형 수문의 정면에서 본 우측 보조 롤러의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진동방지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펌프 일체형 수문의 상면도이고, 도3은 진동방지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펌프 일체형 수문의 정면도이고, 도4는 진동방지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펌프 일체형 수문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진동방지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펌프 일체형 수문(100)은 수로의 양 측벽 제 1 가이드 레일(113)과 제 2 가이드 레일(116)을 포함하는 가이드 홈(111)이 형성된 지지 구조물(110); 가이드 홈(11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게이트 본체(120); 상기 게이트 본체(120)의 양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홈(111)의 제 1 가이드 레일(113)과 접촉하며 회전하는 메인 롤러(130); 상기 게이트 본체(120)의 양 측면에 설치되어 메인 롤러(130)에 연결되는 제 1 진동흡수 장치(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진동 흡수 장치(300)는 진동단(350), 고정단(360) 및 축 연결용 플레이트(340)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단(350), 고정단(360) 및 메인롤러(130)를 상기 축 연결용 플레이트(340) 연결하는 것을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지지 구조물(110)은 수로 바닥에 게이트 본체(120)의 양측을 지지하여 게이트 본체(120)가 개폐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수로의 양측 바닥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직립하는 벽체를 구비한다. 이때, 벽체의 상측에는 게이트 본체(120)의 상하 개폐 작동을 위한 권양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권양장치는 주로 와이어 로프를 감아 게이트 본체(120)를 승강시키거나 유압식 또는 래크바의 기어 구동에 의해 게이트 본체(120)를 승강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지 구조물(110)에는 게이트 본체(120)의 양측을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 홈(111)이 지지 구조물의 마주보는 벽면에 수로 바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우측 및 좌측 가이드 홈(111)의 앞쪽 벽에는 한 쌍의 제 1 가이드 레일면(113)이 형성되어, 게이트 본체(120)의 측면에 게이트 본체(120)의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부착된 메인 롤러(130)가 회전함에 따라 게이트 본체(120)가 제 1 가이드 레일(113)을 따라 접촉된 상태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가이드 홈(111)의 양 측벽에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 2 가이드 레일(116)이 형성되어, 보조 롤러(140)가 회전함에 따라 게이트 본체(120)가 제 2 가이드 레일(116)을 따라 접촉된 상태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유도한다.
게이트 본체(120)는 양 측면부가 지지 구조물(110)의 가이드 홈(111) 내에 배치된 상태로 메인 롤러(130) 및 보조 롤러(140)를 통해 제 1 가이드 레일(113) 및 제 2 가이드 가이드 레일(116)에 가이드 되면서 권양 장치에 의해 수로 바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승강된다.
게이트 본체(120)에는 게이트 본체(120)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내수측 수위가 외수측 수위보다 높은 경우에 내수를 펌핑하여 외수측으로 강제 배수시키기 위해 수중용 펌프를 포함하는 펌프장치(126)가 연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로 방향으로 전후면을 관통하는 개구부(122)가 하나 이상 형성된다. 개구부(122)의 토출부 전면에는 일반적으로 수압에 의해 열리고 닫히는 플랩 밸브(124, flap valve)가 설치되어 내수를 외수측으로 배출하게 된다.
메인 롤러(130)는 권양 장치에 의한 게이트 본체(120)의 상하 이동시 양측 지지 구조물(110) 내측의 우측 및 좌측 가이드 홈(111)의 뒤쪽 벽에 각각 설치된 제 1 가이드 레일(113)에 접촉하여 게이트 본체(120)의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게이트 본체(120)의 상하 이동을 지지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본체(120)의 양 측면에 각각 한 쌍씩 설치되며, 게이트 본체(120) 양 측면에 수로 바닥에 대해 수직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보조 롤러(140)는 게이트 본체(120)의 승강 동작을 보조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조 롤러(140)는 메인 롤러(130)와 수로 바닥에 대해 수직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게이트 본체(120)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바, 양측 지지 구조물(110) 내측의 가이드 홈(111)의 마주보는 양 측벽에 설치된 제 2 가이드 레일(116)에 접촉하면서 수로의 폭 방향, 즉 게이트 본체(120)의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수문 조립체는 게이트 본체(120)가 완전 닫힘 상태가 될 때, 메인 롤러(130)와 접촉되어 게이트 본체(120)를 메인 롤러(130)와 제 1 가이드 레일(113) 사이의 유격 거리 만큼 유동시키는 웨지 부재(150)를 포함하는데, 웨지 부재는 게이트 본체(120)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메인 롤러(130)와 대응하여 제 1 가이드 레일(113)을 따라 이격되게 메인 롤러 당 하나씩 설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게이트 본체(120) 측면의 상부 및 하부 메인 롤러에 대응하여 상부 및 하부 웨지 부재가 제 1 가이드 레일(113) 상에 구성된다. 이러한 웨지부재(150)는 용접 등의 접합가공으로 고정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수문 조립체는 게이트 본체(120)와 지지 구조물(110) 사이의 틈새를 밀폐시켜 물이 통과되지 않도록 하는 수밀 수단으로 일반적인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지수 부재(160)를 포함한다. 지수 부재는 게이트 본체(120) 전면의 상하측과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게이트 본체(120)와 지지 구조물(110)의 상측부 또는 게이트 본체(120)와 수로의 바닥면 사이의 틈새와, 게이트 본체(120)와 지지 구조물(110)의 프레임 즉, 제 2 가이드 레일(116) 사이의 틈새를 밀폐시킨다. 이러한 지수부재(160)는 게이트 본체(120)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고정 설치된다.
또한, 게이트 본체(120)에는 내수측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펌프장치(126)로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수위 감지 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는 게이트 본체(120)에는 내수측의 물을 외수측으로 펌핑하는 펌프장치(126)가 일체식으로 설치되어 있는바, 펌프장치(126) 작동시 게이트 본체(120)가 지속적으로 진동하고, 메인 롤러(130)가 웨지 부재(150)를 만날 경우 메인 롤러(130)가 제 1 가이드 레일(113)의 반대 방향으로 밀리면서 게이트 본체(120)가 진동하는 현상에 의해 게이트 본체(120)의 내구성이 감소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진동 흡수 장치(300, 400)가 설치되는데, 제 1 진동 흡수 장치(300)는 게이트 본체(120) 양 측면에 설치되는 메인 롤러(130)와 결합되고, 제 2 진동 흡수 장치(400)는 게이트 본체(120)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보조 롤러(140)에 각각 결합되어 설치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수문 조립체의 전면에서 본 제 1 진동 흡수 장치를 구비한 우측 메인 롤러의 도면이고, 도6은 도2의 "A"의 확대도로, 본 발명에 따르는 수문 조립체의 상면에서 본 제 1 진동 흡수 장치를 구비한 우측 메인 롤러의 도면이며, 도7은 본 발명에 따르는 수문 조립체의 제 1 진동 흡수 장치와 메인 롤러의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메인 롤러(130)에는 두 개의 제 1 진동 흡수 장치(300)가 각각 연결된다. 하나의 제 1 진동 흡수 장치(300)는 각각 진동단(350), 고정단(360) 및 이들을 연결하는 축 연결용 플레이트(340)로 구성된다.
진동단(350)은 펌프의 작동 및 웨지부재와의 접촉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함은 물론 게이트 부재의 승하강시 제1 가이드레일(113)에서 구름접촉하는 메인롤러(130)의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진동단은,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게이트 본체(120)의 외수측 내부에 고정되는 제 1 브라켓(351)과, 제 1 브라켓(351) 상에 일단이 수직으로 고정되는 축봉(352)과, 축봉에 끼워지는 스프링(353)과, 축봉의 타단에 결합되는 너트(354)와, 제 1 브라켓(351)에 수직으로 마주보게 일단이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제 1 보조 샤프트 지지용 플레이트(355)와 상기 축봉(352) 및 한 쌍의 제 1 보조 샤프트 지지용 플레이트(355)를 관통하는 제1보조샤프트(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때 축봉(352)의 타단에 체결되는 너트(354)의 체결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스프링의 압박력을 조정할 수 있다.
고정단(360)은 메인롤러의 진동이 상기 진동단에 전달될 수 있도록 힌지역할을 한다. 즉 메인롤러에 전달되는 진동을 하기에 상술할 축 연결용 플레이트(340)를 통해 진동단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340)의 타측에 힌지작용을 한다.
이러한 고정단은,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게이트 본체(120)의 외수측 내부 고정되는 제 2 브라켓(361)과, 제 2 브라켓(361)에 수직으로 마주 보게 일단이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제 2 샤프트 지지용 플레이트(365) 및 상기 한 쌍의 제 2 샤프트 지지용 플레이트(365)를 관통하는 제2보조샤프트(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축 연결용 플레이트(340)는 메인롤러의 진동을 상기 진동단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일측은 제1 보조샤프트(320)가 관통되고 타측은 제2 보조샤프트(330)가 관통되어 있고, 그 중앙에 메인롤러를 관통하는 메인 샤프트(310)가 관통되어 있다.
이러한 제 1 진동 흡수 장치(300)의 진동흡수 작동은 상기 메인롤러에 전달되는 직선방향의 진동이 상기 축 연결용 플레이트에 전달되고 상기 축 연결용 플레이트는 상기 고정단의 제2 보조샤프트에 연결된 부분에서 힌지작용에 의해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진동단의 제1 보조샤프트를 회전운동 시킨다. 그런데 여기서 상기 진동단의 제1 보조샤프트는 직선형상의 축봉(352)를 관통하고 있으므로 진동에 따른 미세한 회전운동은 직선형상의 축봉(352)을 따라 진행된다. 따라서 상기 축봉을 관통하도록 제1 보조샤프트에 형성된 관통구멍의 크기 및 형상은 회전범위 등을 고려한 유격범위의 관점에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 1 진동 흡수 장치(300)는 게이트 본체의 진동 등을 고려하여 하나 이상을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웨지부재와 접촉하는 부분을 진동단으로 할 수도 있고 고정단으로 할 수도 있으나 진동단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게이트 본체가 폐쇄를 위해 하강하면서 웨지부재와 접촉시 접촉에 따른 진동흡수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통상의 웨지부재의 형상은 메인롤러가 최초 접촉하는 부분을 메인롤러가 쉽게 타고 올라갈 수 있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웨지부재와 접촉하는 부분을 진동단으로 함으로서 최초진동을 곧바로 흡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 1 보조 샤프트 지지용 플레이트(355) 및 제 2 보조 샤프트 지지용 플레이트(365)의 높이를 달리할 수 있다. 즉, 진동단의 높이를 고정단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게이트 본체가 완전히 폐쇄된 경우, 즉 메인롤러가 웨지부재를 완전히 올라 탄 경우, 진동단을 웨지부재에 의해 메인롤러가 누르고 있으므로 축 연결용 플레이트(340)가 수평형태를 이루게 되어 진동 흡수를 보다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고정단(360)의 제 2 보조 샤프트(330)를 기준으로 하는 축 연결용 플레이트(340)의 회전 각도는 10°정도이다.
이처럼 제 1 진동 흡수 장치(300)의 진동단(350) 및 고정단(360)은 축 연결용 플레이트(340)에 의해 메인 롤러(130)에 연결되어 있어 게이트 본체(120)의 전후면으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라 진동방지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펌프 일체형 수문의 상면에서 본 우측 보조 롤러의 도면이고, 도9는 본 발명에 따라 진동방지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펌프 일체형 수문의 정면에서 본 우측 보조 롤러의 도면이다.
보조 롤러(140)에 구성되는 제 2 진동 흡수 장치(400)는 게이트 본체(120)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브라켓(410)과. 브라켓(410)에 수직 방향으로 일단이 고정되는 축봉(420)과, 축봉에 끼워지는 스프링(430)과, 스프링(430)을 압박하도록 상기 축봉의 타단에서 상기 보조 롤러의 홀더 하부면에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420)은 게이트 본체(120)의 측면에 볼트로 고정된다. 축봉(420)은 브라켓(410)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고, 축봉(42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스프링(430)을 축봉에 끼운다. 축봉(420)의 끝단에는 스프링이 축봉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보조 롤러의 홀더를 끼우고 너트(440)를 체결하여, 진동 흡수 장치(400) 상에 보조 롤러(140)가 결합되도독 하며, 너트(440)의 체결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스프링의 압박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제 2 진동 흡수 장치(400)에는 보조 롤러(140)가 제 2 가이드 레일(116)을 향하도록 롤러 홀더(141)의 하단에 의해 고정되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본체(120)가 가이드 홈(111)을 따라 상승 하강 동작할 때, 또는 펌프장치(126)가 작동되는 경우에 게이트 본체의 좌우 방향으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것은 아니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 예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하는 것이다.
10 : 지지 구조물 11, 111 : 가이드 홈
12 : 수용홈 13 : 레일면
20, 120 : 게이트 본체 30 : 사이드 롤러
41, 42, 160 : 지수 부재 51, 52, 150 : 웨지 부재
60 : 어퍼 롤러 100 : 수문 조립체
122 : 개구부 126 : 펌프 장치
130 : 메인 롤러 140 : 보조 롤러
300 : 제 1 진동 흡수 장치 350 : 진동단
360 : 고정단 400 : 제 2 진동 흡수 장치

Claims (6)

  1. 수로의 양측벽에 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된 지지 구조물의 가이드 홈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진동방지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펌프 일체형 수문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물의 가이드 홈 내에서 양측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게이트 본체;
    상기 게이트 본체의 양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홈의 제 1 가이드 레일과 접촉하며 회전하는 메인 롤러;
    상기 게이트 본체의 양 측면에 설치되어 메인 롤러에 연결되는 제 1 진동흡수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진동 흡수 장치는 진동단, 고정단 및 축 연결용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단, 고정단 및 메인롤러를 축연결용 플레이트가 연결하되,
    상기 진동단은 게이트 본체의 외수측 내부에 고정되는 제 1 브라켓과,
    상기 제 1 브라켓에 수직으로 마주보게 일단이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제 1 보조 샤프트 지지용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브라켓 상에 일단이 수직으로 고정되는 축봉과,
    상기 축봉에 끼워지는 스프링과,
    상기 축봉의 타단에 결합되는 너트와
    상기 축봉 및 한 쌍의 제 1 보조 샤프트 지지용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제 1 보조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단은 상기 진동단과 이격되어 상기 게이트 본체의 외수측 내부에 고정되는 제 2 브라켓과,
    상기 제 2 브라켓에 수직으로 마주 보게 일단이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제 2 보조 샤프트 지지용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제 2 샤프트 지지용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제 2 보조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방지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펌프 일체형 수문.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 연결용 플레이트는 일측에 제1 보조샤프가 관통되고 타측에 제2 보조샤프트가 관통되어 있고, 중앙에 메인롤러를 관통하는 메인 샤프트가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방지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펌프 일체형 수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단은 상기 고정단에 비해 높이가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방지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펌프 일체형 수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본체의 양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홈의 제 2 가이드 레일과 접촉하며 회전하는 보조 롤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 롤러는 제 2 진동 흡수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진동 흡수 장치는
    게이트 본체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수직 방향으로 일단이 고정되는 축봉;
    상기 축봉에 끼워지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을 압박하도록 상기 축봉의 타단에서 상기 보조 롤러의 홀더 하부면에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방지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펌프 일체형 수문.
KR1020140036363A 2014-03-27 2014-03-27 진동방지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펌프 일체형 수문 KR101421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363A KR101421228B1 (ko) 2014-03-27 2014-03-27 진동방지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펌프 일체형 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363A KR101421228B1 (ko) 2014-03-27 2014-03-27 진동방지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펌프 일체형 수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1228B1 true KR101421228B1 (ko) 2014-07-22

Family

ID=51742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6363A KR101421228B1 (ko) 2014-03-27 2014-03-27 진동방지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펌프 일체형 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2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93216A (zh) * 2019-10-12 2019-12-20 中国电建集团中南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闸门减振装置及闸门
KR102247558B1 (ko) * 2021-02-22 2021-05-04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게이트 펌프 수문
KR102269603B1 (ko) 2021-02-09 2021-06-25 주식회사 우승산업 펌프게이트의 진동저감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186B1 (ko) * 2006-10-24 2007-06-20 장태영 유압식 랙크 게이트
KR101049099B1 (ko) 2011-03-25 2011-07-15 김상국 펌프일체형수문
KR101129042B1 (ko) 2011-07-14 2012-03-23 주식회사 광희 수문 구조체
KR101202469B1 (ko) * 2011-07-05 2012-11-16 이종호 수문의 진동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186B1 (ko) * 2006-10-24 2007-06-20 장태영 유압식 랙크 게이트
KR101049099B1 (ko) 2011-03-25 2011-07-15 김상국 펌프일체형수문
KR101202469B1 (ko) * 2011-07-05 2012-11-16 이종호 수문의 진동방지장치
KR101129042B1 (ko) 2011-07-14 2012-03-23 주식회사 광희 수문 구조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93216A (zh) * 2019-10-12 2019-12-20 中国电建集团中南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闸门减振装置及闸门
KR102269603B1 (ko) 2021-02-09 2021-06-25 주식회사 우승산업 펌프게이트의 진동저감장치
KR102247558B1 (ko) * 2021-02-22 2021-05-04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게이트 펌프 수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1228B1 (ko) 진동방지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펌프 일체형 수문
KR20140127058A (ko) 일체식 수문 시스템
KR20100077514A (ko)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 개폐장치
KR20130107816A (ko) 3단 완충 밀폐구조를 갖는 펌프 게이트
KR101577977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토목구조물용 유압식 승하강 수문장치
KR20160013364A (ko) 인양식 수문장치
KR101421226B1 (ko) 수밀부재 보호기능을 구비한 수문
KR101350139B1 (ko)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펌프 게이트
KR101129042B1 (ko) 수문 구조체
KR100719495B1 (ko) 하수도용 수문장치
KR101673320B1 (ko) 탄성지지력 및 감지 중량 조절 기술이 적용된 평면 스크린 장치
KR20110024815A (ko) 와이어 로프의 장력 조절장치와 장력조절 방법
KR101341892B1 (ko) 도로설치용 슬라이딩 게이트장치
KR101184643B1 (ko) 펌프 일체형 수문
KR102269603B1 (ko) 펌프게이트의 진동저감장치
KR100994564B1 (ko) 언주높이를 낮추고 와류가 발생하지 않는 수문장치와 이의 설치방법
CN208965700U (zh) 一种用于排口流量控制的调流器
KR101926810B1 (ko) 상향 밀폐식 비금속 수문
KR200355906Y1 (ko) 수문의 구조
KR200413658Y1 (ko) 상하수도용 수문장치
CN109437365A (zh) 一种调节水位的堰门装置及其调节水位的方法
US20200406192A1 (en) Ro atmospheric storage tank without need of pressure tank or electric pump
KR102008815B1 (ko) 하수관과 연결되는 맨홀의 역류방지장치
KR100987368B1 (ko) 지하수 배수 장치
KR101587203B1 (ko) 인양식 수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