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3865Y1 - 월류 방지용 호안부재 - Google Patents

월류 방지용 호안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3865Y1
KR200263865Y1 KR2020010035809U KR20010035809U KR200263865Y1 KR 200263865 Y1 KR200263865 Y1 KR 200263865Y1 KR 2020010035809 U KR2020010035809 U KR 2020010035809U KR 20010035809 U KR20010035809 U KR 20010035809U KR 200263865 Y1 KR200263865 Y1 KR 2002638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bankment
river
right angles
overflow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58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호
Original Assignee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100358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38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38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3865Y1/ko

Links

Landscapes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이 위치한 방향의 제방 측에 제방의 일측 경사부가 되도록 연결 설치되어 하천수가 급상승하는 비상사태가 발생시에는 부력에 의해 신속하게 상향조정되어 하천수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하천 수위가 일정수위 이하로 되돌아 갈 경우에는 자중에 의해 신속하게 하향 조정되어 제방의 일측 경사부 형태를 취할 수 있어 관리가 비교적 편리하고, 주변경관에 아무런 장애를 주지 않도록 하는 월류 방지용 호안부재에 관한 것이다.
특히, 하천 측으로 향하는 면이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되, 이 직각으로 형성된 면에는 등간격을 취하는 설치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방과; 상기 제방의 설치홈 상에 삽입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부재와; 후방에는 상기 직각으로 형성된 제방의 일측 면에 삽입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부재에 연결을 취해 승,하강을 취할 수 있는 롤연결구가 설치되어 있고, 전면은 계단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에는 상반된 형태의 가이드돌기와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은 상,하로 분할되어 있되, 분할된 상부에는 밀폐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수개의 부구가 설치되어 있는 설치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전방 하단에는 상기 설치공간부와 외부를 연통할 수 있는 유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승,하강부재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월류 방지용 호안부재{MEMBER OF EMBANKMENT FOR PREVENTING OVERFLOWS}
본 고안은 수압에 의해 수위를 자동 조절할 수 있는 수중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이 위치한 방향의 제방 측에 제방의 일측 경사부가 되도록 연결 설치되어 하천수가 급상승하는 비상사태가 발생시에는 부력에 의해 신속하게 상향조정되어 하천수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하천 수위가 일정수위 이하로 되돌아 갈 경우에는 자중에 의해 신속하게 하향 조정되어 제방의 일측 경사부 형태를 취할 수 있어 관리가 비교적 편리하고, 주변경관에 아무런 장애를 주지 않도록 하는 월류 방지용 호안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변과 강가 그리고 하천 등에 인접되게 시공되어 있는 제방은 태풍 및 악천후와 같은 천재지변에 의해 갑자기 불어난 해수 또는 강물 및 하천수에 의해 직간접적으로 여러 가지의 수해를 자주 입게 된다.
특히, 지형적으로 강의 지류를 형성하고 있는 하천은 그 양측의 호안이 낮게 형성된데 반해, 그 주변의 논밭이나 주거지는 하천 바닥보다 더 낮게 위치하는 천정천이 대부분이므로 우기에 하천수의 범람이 자주 발생되는 곳이다.
이와 같은 천정천은 하천 바닥이 세월이 갈수록 퇴적물로 인하여 높아지는데 반해, 양측 경계로 한 육상지역은 농사 목적이나 주거지 개량 등으로 차츰 표고 높이가 낮게 인위적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천정천의 주변에 형성된 제방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주기적으로 제방의 높이를 하천 바닥 높이의 상승에 맞춰 복돋워 나가는 방법이 통상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즉, 하천 정비 사업 중에 제방(D)의 일정부위에 0.6 ~ 1m 높이의 제방 여유고(E)로 축조하여 홍수 파랑과 하천수의 범람에 대응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범람이 일상적으로 나타나는 것도 아닌 장소에 필요 이상의 비용을 들여 제방을 축조하기 때문에 사실상 매우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시간이 지날수록 높게 축조되는 제방 여유고에 의해 주변 경관의 조망권이 크게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태풍 및 악천후와 같은 천재지변에 의해 갑자기 하천수가 급상승 할 경우에는 이에 대응을 취하지 못하여 월류 현상에 의한 제방 붕괴 및 유실을 초래하여 해마다 막대한 수해 복구 예산을 낭비하는 문제점은 물론이고, 심지어는 인명 재해 사고를 발생시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하천수의 급상승 시기에만 부력에 의한 대응 동작을 취해 월류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일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 등록번호 20 - 0215949 '부력을 이용한 제방 월류 방지장치'는 하단부에 플로우트(4)를 갖추고 양측변에는 가이드 돌기(6)가 일체로 형성된 월류방지판(2)과, 상기 가이드 돌기(6)를 안내하기 위한 슬라이드 홈(10)이 내부에 형성된 채널부재(8)로 이루어져서 통상의 제방(D) 상부에 미리 마련된 설치 공간(12)으로 배치 구성된 것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부력을 이용한 제방 월류 방지장치는 실사용하는데 있어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순서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나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방의 외측에 노출 설치되어 있으므로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사실상 수직 승,하강 작동을 원활히 취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월류방지판을 가이드하여 주는 채널부재가 표면에 노출 설치되어 있어 이 채널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 홈에 다량의 이물질이 퇴적되기 때문이다.
둘째, 월류를 긴밀하게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류방지판이 상호간에 소정의 간극을 띠고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월류현상이 발생시 월류되는 하천수를 긴밀하게 방지하기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셋째, 관리 및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장치를 이용하여 월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선 상술한 첫번째 문제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관리를 취해주어야 함은 물론이고, 노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적인 여러 요인에 의해 파손이 자주 발생되기 때문이였다.
넷째, 월류방지판이 횡수압의 하중 전가를 다소 강하게 전달받도록 제방의 경사면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나 비견고한 구성을 취하고 있어 횡수압에 의해 월류방지판이 채널부재를 파손시키고 이탈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하천이 위치한 방향의 제방측에 제방의 일측 경사부가 되도록 연결 설치되어하천수가 급상승하는 비상사태가 발생시에는 부력에 의해 신속하게 상향조정되어 하천수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하천 수위가 일정수위 이하로 되돌아 갈 경우에는 자중에 의해 신속하게 하향 조정되어 제방의 일측 경사부 형태를 취할 수 있어 관리가 비교적 편리하고, 주변경관에 아무런 장애를 주지 않도록 하는 월류방지용 호안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하천 측으로 향하는 면이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되, 이 직각으로 형성된 면에는 등간격을 취하는 설치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방과;
상기 제방의 설치홈 상에 삽입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부재와;
후방에는 상기 직각으로 형성된 제방의 일측 면에 삽입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부재에 연결을 취해 승,하강을 취할 수 있는 롤연결구가 설치되어 있고, 전면은 계단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에는 상반된 형태의 가이드돌기와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은 상,하로 분할되어 있되, 분할된 상부에는 밀폐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수개의 부구가 설치되어 있는 설치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전방 하단에는 상기 설치공간부와 외부를 연통할 수 있는 유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승,하강부재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제시된다.
도 1은 본 고안인 월류 방지용 호안부재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월류 방지용 호안부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월류 방지용 호안부재의 연결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월류 방지용 호안부재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종래의 하천 제방에 적용된 부력을 이용한 월류 방지장치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제방 12 : 하천
14 : 설치홈 16 : 가이드레일부재
18 : 롤 연결구 20 : 계단부
22 : 가이드 돌기 24 : 가이드 홈
26 : 밀폐공간부 28 : 부구
30 : 설치공간부 32 : 유입공
34 : 승,하강부재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월류 방지용 호안부재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월류 방지용 호안부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인 월류 방지용 호안부재의 연결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12) 측으로 향하는 면이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되, 이 직각으로 형성된 면에는 등간격을 취하는 설치홈(14)이 형성되어 있는 제방(1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방(10)의 설치홈(14) 상에는 가이드 레일부재(16)가 삽입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부재(16)가 위치되어 있는 제방(12)의 전방에는 이 가이드 레일부재(16)에 연결을 취해 승,하강을 취할 수 있는 롤연결구(18)가 후방에 구비되어 있고, 전면은 계단부(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에는 상반된 형태의 가이드돌기(22)와 가이드홈(24)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은 상,하로 분할되어 있되, 분할된 상부에는 밀폐공간부(26)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수개의 부구(28)가설치되어 있는 설치공간부(30)가 형성되어 있고, 전방 하단에는 상기 설치공간부(30)와 외부를 연통할 수 있는 유입공(32)이 형성되어 있는 승,하강부재(34)가 위치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동작과 그에 따라 발생되는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인 월류 방지용 호안부재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자중에 의해 제방(10)의 일부분으로서 위치를 견고히 취하고 있게 된다.
그러다 태풍 및 악천후와 같은 천재지변에 의해 갑자기 하천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불어날 경우에는 이 불어나는 하천수의 수면보다 일정 높이까지 높게 신속히 수직 상승하여 제방(12) 외부로 하천수가 월류하게 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즉, 불어나는 하천(12)의 수위 증가에 부구(28) 또는 밀폐공간부(26)가 부력작용을 하여 승,하강부재(34) 전체를 수직 승강시키기게 되어 제방(12)의 높이를 상향조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수직 승강을 취하게 되는 승,하강부재(34)는 제방(10)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부재(16)에 가이드 되도록 연결을 취하고 있는 롤연결구(18)에 의해 원활하게 수직으로 승강을 취하는 동작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동작을 취하는 승,하강부재(34)는 제방(10)의 길이방향으로연결 시공을 취할 수 있도록 채널화 되어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지만 시공시 상호간에 긴밀하게 연결 접지를 취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 월류현상을 긴밀하게 방지할 수 있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즉, 승,하강부재(34) 상호간에 수밀을 긴밀하게 취할 수 있도록 이 승,하강부재(34)의 양측에 상반된 형태의 가이드돌기(22)와 가이드홈(24)을 형성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파손의 우려가 전혀 없는 견고한 형태를 취하고 있음은 물론이고, 계단부(20)가 형성되어 있어 관리 및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하천으로 통행을 용이하게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부가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승,하강부재(34)가 수직으로 승,하강을 취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고, 전면 하부에는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설치공간부(30)와 연통을 취할 수 있는 유입공(32)이 형성되어 있어, 하천수가 불어날시 승,하강부재(34)의 하부로 하천수의 유입을 신속하게 취할 수 있고, 비교적 횡수압의 하중 전가를 적게 받을 수 있는 구조적 형태와 횡수압의 하중 전가에 대응을 취할 수 있는 견고한 구조를 취하고 있게 됨에 따라 신속한 승,하강 동작에 의한 신속한 월류 방지 동작을 취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횡수압에 의한 대응을 효과적으로 취해 승,하강부재(34)가 이탈 파손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수 있으나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천이 위치한 방향의 제방 측에 제방의 일측 경사부가 되도록 연결 설치되어 하천수가 급상승하는 비상사태가 발생시에는 부력에 의해 신속하게 상향조정되어 하천수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하천 수위가 일정수위 이하로 되돌아 갈 경우에는 자중에 의해 신속하게 하향 조정되어 제방의 일측 경사부 형태를 취할 수 있어 관리가 비교적 편리하고, 주변경관에 아무런 장애를 주지 않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하천수의 급상승 시기에만 부력에 의한 대응 동작을 취해 월류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하천(12) 측으로 향하는 면이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되, 이 직각으로 형성된 면에는 등간격을 취하는 설치홈(14)이 형성되어 있는 제방(10)과;
    상기 제방(10)의 설치홈(14) 상에 삽입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부재(16)와;
    후방에는 상기 직각으로 형성된 제방(10)의 일측 면에 삽입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부재(16)에 연결을 취해 승,하강을 취할 수 있는 롤연결구(18)가 설치되어 있고, 전면은 계단부(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에는 상반된 형태의 가이드돌기(22)와 가이드홈(24)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은 상,하로 분할되어 있되, 분할된 상부에는 밀폐공간부(26)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수개의 부구(28)가 설치되어 있는 설치공간부(30)가 형성되어 있고, 전방 하단에는 상기 설치공간부(30)와 외부를 연통할 수 있는 유입공(32)이 형성되어 있는 승,하강부재(34)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월류 방지용 호안부재.
KR2020010035809U 2001-11-21 2001-11-21 월류 방지용 호안부재 KR2002638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809U KR200263865Y1 (ko) 2001-11-21 2001-11-21 월류 방지용 호안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809U KR200263865Y1 (ko) 2001-11-21 2001-11-21 월류 방지용 호안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3865Y1 true KR200263865Y1 (ko) 2002-02-19

Family

ID=73071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809U KR200263865Y1 (ko) 2001-11-21 2001-11-21 월류 방지용 호안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3865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292B1 (ko) 2006-09-12 2006-12-20 주식회사 혜인이엔씨 연안지역의 소파시설물
KR100865369B1 (ko) 2008-06-13 2008-10-24 오상화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KR100865370B1 (ko) 2008-06-11 2008-10-24 오상화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KR100879268B1 (ko) 2008-11-14 2009-01-19 (주)보원엔지니어링 하천 제방에 설치되는 하천수 월류 방지대
KR100895898B1 (ko) 2008-12-27 2009-05-04 주식회사 이산 부력식 차수판
KR101026253B1 (ko) * 2010-10-14 2011-03-31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플로팅월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292B1 (ko) 2006-09-12 2006-12-20 주식회사 혜인이엔씨 연안지역의 소파시설물
KR100865370B1 (ko) 2008-06-11 2008-10-24 오상화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KR100865369B1 (ko) 2008-06-13 2008-10-24 오상화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KR100879268B1 (ko) 2008-11-14 2009-01-19 (주)보원엔지니어링 하천 제방에 설치되는 하천수 월류 방지대
KR100895898B1 (ko) 2008-12-27 2009-05-04 주식회사 이산 부력식 차수판
KR101026253B1 (ko) * 2010-10-14 2011-03-31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플로팅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8879B1 (ko) 댐과 보와 유사한 구조물을 위한 범람여수로
KR101051983B1 (ko) 승하강식 홍수방지용 벽체 구조물
KR100865370B1 (ko)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US20200032471A1 (en) Integrated Drain Gate Seawall System
JP2006070536A (ja) 津波・高潮対策用可動式防波堤
KR200263865Y1 (ko) 월류 방지용 호안부재
CN111088780A (zh) 一种浮箱式横移挡潮闸闸门结构
JP4134242B2 (ja) 防潮壁
KR100865369B1 (ko)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CN214939820U (zh) 一种水利工程用堤坝
JP6166370B2 (ja) 防波壁機能を有する組立式高さ可変型遮断構造物
KR100923147B1 (ko) 차수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식 차수벽
KR100669228B1 (ko) 우수범람방지를 위한 건축단지내 배수로 구조물
JP2007120012A (ja) 浸水防止用人工地盤
KR20170062658A (ko) 도르래를 이용한 홍수 방지장치
KR20060113615A (ko) 조립식 자동보 수문
KR100497818B1 (ko) 댐식 우수조정지용 월류 방지 제방 구조물
KR100513752B1 (ko) 친환경적인 하천의 월류방지용 옹벽 시설물
CN211571644U (zh) 一种浮箱式横移挡潮闸闸门结构
KR20150001389A (ko) 부력을 이용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
KR100629725B1 (ko) 하천 제방용 월류 방지장치
KR101373030B1 (ko) 부력식 수류저감벽체를 구비한 호안 블록
KR200297691Y1 (ko) 댐식 우수조정지용 월류 방지 제방 구조물
KR200380455Y1 (ko) 하천 제방용 월류 방지장치
KR200341022Y1 (ko) 하천 범람 방지를 위한 제방의 배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