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7818B1 - 댐식 우수조정지용 월류 방지 제방 구조물 - Google Patents

댐식 우수조정지용 월류 방지 제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7818B1
KR100497818B1 KR10-2002-0045842A KR20020045842A KR100497818B1 KR 100497818 B1 KR100497818 B1 KR 100497818B1 KR 20020045842 A KR20020045842 A KR 20020045842A KR 100497818 B1 KR100497818 B1 KR 100497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dam
embankment
rainwat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2314A (ko
Inventor
최한순
Original Assignee
(주)케이지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지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케이지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2-0045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7818B1/ko
Publication of KR20040012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2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7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78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 연결이 가능한 조립식 구조로 제작되어 있음은 물론이고, 유입되는 우수의 부력에 의해 자동 출몰을 이룰 수 있는 제방 구조물을 제작하여 주어, 견고한 시공을 신속 용이하고도 경제적을 이룰 수 있고, 유입되는 우수가 급상승하거나 외수가 급유입되는 비상사태가 발생시에는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을 취해 범람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댐식 우수조정지용 월류 방지 제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면은 개구되어 있고 이 개구된 내측에는 우수유입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 외측면에는 암,수연결구가 형성되어 있고, 전,후방 경사면 하부에는 내,외측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 경사면 상,하부에는 메쉬망관으로 막음처리되어 있는 유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 최상부에는 이탈부재가 연결되어있으며, 하부에는 매설고정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방본체부와; 내측에는 외부로 부터 차단된 부력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상기 제방 본체부의 우수유입공간부에 삽입연결을 취하고 있되, 걸림턱을 일체로 구비한 부력연결구가 형성되어 있는 부력 제방부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댐식 우수조정지용 월류 방지 제방 구조물{OVERFLOW PREVENTION DAM CONSTRUCTION FOR RAINWATER STORAGE DAM}
본 발명은 댐식 우수 조정지용 월류 방지 제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층 연결이 가능한 구조로 제작되어 있음은 물론이고, 유입되는 우수의 부력에 의해 순차적인 자동 출몰을 이룰 수 있는 제방 구조물을 제작하여 주어, 견고한 시공을 신속 용이하고도 경제적을 이룰 수 있고, 유입되는 우수가 급상승하거나 외수가 급유입되는 비상사태가 발생시에는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을 취해 범람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댐식 우수조정지용 월류 방지 제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수조정지는 주택개발지에서 유입되는 우수유출량의 증가에 따른 내배수량을 제어하여 외수로 배제할때 우수 펌프의 양수 능력을 조절하기 위해 우수를 저류하는 시설이다.
이와 같은 우수조정지는 외수의 침입에 의한 범람의 우려가 있으므로 이에 대처할 수 있도록 시공해야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조정지는 장기 지속기간의 강우 자료를 기초로 하여 구한 수문곡선과 방류 허용용량에 의해 필요 용량을 결정하여 계획한다.
참고로 우수조정지는 하수관거의 유하능력이 부족한 곳, 하류지역의 펌프장 능력이 부족한 곳, 방류수역의 유하능력이 부족한 곳, 오염 부하량이 높은곳, 일시적으로 방대한 양의 유량을 저장하기에 유리한 곳, 입구와 출구가 자연유하식으로 경제적인곳, 펌프 압송식은 펌프장의 침수 우려가 적은 곳에 위치된다.
또한, 구조 형식은 침사와 침전물의 제거와 유지 관리가 쉬운 구조로 하고, 합류식의 우수조정지는 환경대책을 고려해서 정하고, 구조형식은 댐식(제방높이는 15m 미만) 굴착식, 지하식으로 한다.
여기서, 댐식 우수조정지는 통상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흙댐(earth dam) 또는 콘크리트댐에 의해서 하수를 저류하였다가 방류관거를 통해 자연방류하는 형식을 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형태와 형식을 취하고 있는 댐식 우수조정지는 실사용시 여러가지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순서에 의거하여 나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태풍 및 악천우와 같은 천재지변에 의해 우수의 유입량이 급작스럽게 증대될 경우 이에 효과적인 대응을 취하지 못해 인접한 육상지역으로 범람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이러한 범람을 방지하고자 주기적으로 제방의 높이를 높혀 주어야 하는 불편하고도 한계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이에 따라 해마다 막대한 수해 복구 예산을 편성해야 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우수의 급상승 시기에만 부력에 의한 대응 동작을 취해 월류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일 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 실용신안출원등록번호 20 - 0215949 "부력을 이용한 제방 월류방지 장치"는 하단부에 플로우트(4)를 갖추고, 양측변에는 가이드돌기(6)가 일체로 형성된 월류방지판(2)과, 상기 가이드 돌기(6)를 안내하기 위한 슬라이드홈(10)이 내부에 형성된 채널부재(8)로 이루어져서 통상의 제방(D) 상부에 미리 마련된 설치 공간(12)으로 배치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부력을 이용한 제방 월류 방지장치는 실사용하는데 있어 여러가지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순서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나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방의 외측에 노출 설치되어 있으므로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사실상 수직 승,하강 작동을 원활히 취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월류방지판을 가이드하여 주는 채널부재가 표면에 노출 설치되어 있어 이 채널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 홈에 다량의 이물질이 퇴적되기 때문이다.
둘째, 월류를 긴밀하게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류방지판이 상호간에 소정의 간극을 띠고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월류현상이 발생시 월류되는 하천수를 긴밀하게 방지하기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셋째, 관리 및 유지 보수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장치를 이용하여 월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선 상술한 첫번째 문제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관리를 취해주어야 함은 물론이고, 노출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적인 여러 요인에 의해 파손이 자주 발생되기 때문이였다.
넷째, 월류방지판이 횡수압의 하중 전가를 다소 강하게 전달받도록 제방의 경사면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나 비견고한 구성을 취하고 있어 횡수압에 의해 월류방지판이 채널부재를 파손시키고 이탈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다섯째,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방에 별도로 연결 설치되는 구조를 취하므로 설치에 있어서의 불편과, 콘크리트 댐과 같은 제방에만 한정적으로 설치가 가능한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즉, 견고한 연결 설치를 취하기 위해선 채널부재를 제방 표면에 견고히 고정 설치해 주어야 하는 작업이 뒤따라야 함은 물론이고, 견고한 설치가 불가능한 흙댐과 같은 제방에는 적용이 불가능한 구조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적층 연결이 가능한 조립식 구조로 제작되어 있음은 물론이고, 유입되는 우수의 부력에 의해 자동 출몰을 이룰 수 있는 제방 구조물을 제작하여 주어, 견고한 시공을 신속 용이하고도 경제적을 이룰 수 있고, 유입되는 우수가 급상승하거나 외수가 급유입되는 비상사태가 발생시에는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을 취해 범람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댐식 우수조정지용 월류 방지 제방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상면은 개구되어 있고 이 개구된 내측에는 우수유입공간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 외측면에는 암,수연결구(12a),(12b)가 형성되어 있고, 전,후방 경사면(13),(14) 하부에는 내,외측을 관통하는 관통공(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 경사면(13) 상,하부에는 메쉬망관(16)으로 막음처리되어 있는 유입공(17)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 최상부에는 이탈부재(18)가 연결되어있으며, 하부에는 매설고정구(19)가 형성되어 있는 제방본체부(10)와;
내측에는 외부로 부터 차단된 부력공간부(21)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상기 제방본체부(10)의 우수유입공간부(11)에 삽입연결을 취하고 있되, 걸림턱(22)을 일체로 구비한 부력연결구(23)가 형성되어 있는 부력 제방부(20)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댐식 우수조정지용 월류 방지 제방 구조물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댐식 우수조정지용 월류 방지 제방 구조물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댐식 우수조정지용 월류 방지 제방 구조물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댐식 우수조정지용 월류 방지 제방 구조물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와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는 상면은 개구되어 있고 이 개구된 내측에는 우수유입공간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 외측면에는 암,수연결구(12a),(12b)가 형성되어 있고, 전,후방 경사면(13),(14) 하부에는 내,외측을 관통하는 관통공(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 경사면(13) 상,하부에는 메쉬망관(16)으로 막음처리되어 있는 유입공(17)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 최상부에는 이탈부재(18)가 연결되어있으며, 하부에는 매설고정구(19)가 형성되어 있는 제방본체부(10)가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에는 내측에는 외부로 부터 차단된 부력공간부(21)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상기 제방본체부(10)의 우수유입공간부(11)에 삽입연결을 취하고 있되, 걸림턱(22)을 일체로 구비한 부력연결구(23)가 형성되어 있는 부력 제방부(20)가 일체로 위치 구성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댐식 우수조정지용 월류 방지 제방 구조물의 가변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먼저, 설치는 우수조정지를 시공하고자 하는 위치 및 거리만큼 길이방향으로 터파기를 실시하고, 이 터파기된 곳에 부력 제방부(20)가 상부에 연결 설치된 제방본체부(10)를 암,수 연결구(12a),(12b)를 통해 연결 위치 시킨 후 되메움하면 된다.
이때, 되메움은 제방 본체부(10)의 하부에 형성된 매설 고정구(19)만을 되메움하면 시공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부력 제방부(20)가 상부에 연결 설치된 제방 본체부(10)를 통해 시공이 완료되는 우수조정지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자중에 의해 통상적인 형태의 제방 형상을 취하고 있게 된다.
그러나, 태풍 및 악천후와 같은 천재지변에 의해 갑자기 우수와 외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유입되어 불어날 경우에는 이 불어나는 수위에 상응하는 수직 상승 동작을 신속하게 취하여 우수조정지의 외부로 하천수가 월류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즉, 유입후 불어나는 우수 및 외수는 제방 본체부(10)의 전방 경사면(13) 상,하부에 위치된 메쉬망관(16)을 통해 제방 본체부(10)의 우수유입공간부(11) 내측으로 여과 유입되게 된다.
이때 이렇게 여과 유입된 우수는 우수유입공간부(11) 내에 위치한 부력 제방부(20)의 부력 연결구(23)에 부력에 의한 상승을 도모하여 일정 길이만큼 부력 제방부(20)를 상향 이동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평상시 저수되는 우수와 가장 많이 접하게 되는 제방 본체부(10)의 좌,우측면에는 상호간을 연결 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연결 시공시 상호간의 긴밀한 수밀을 취할 수 있는 암,수 연결구(12a),(12b)를 일체화한 채널 구조를 취하고 있어 연결 시공을 신속 용이하게 취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우수한 수밀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비용과 공기가 많이 소요됨은 물론이고 비견고한 우수조정지를 경제적인 시공비를 들여 신속 용이하고도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는 작용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입되는 우수가 급상승하거나 외수가 급유입되는 비상사태가 발생시에는 이에 효과적인 대응 작동을 취해 범람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월류에 의한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적층 연결이 가능한 구조로 제작되어 있음은 물론이고, 유입되는 우수의 부력에 의해 자동 출몰을 이룰 수 있는 제방 구조물을 제작하여 주어, 견고한 시공을 신속 용이하고도 경제적을 이룰 수 있고, 유입되는 우수가 급상승하거나 외수가 급유입되는 비상사태가 발생시에는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을 취해 범람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월류에 의한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댐식 우수조정지용 월류 방지 제방 구조물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댐식 우수조정지용 월류 방지 제방 구조물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댐식 우수조정지용 월류 방지 제방 구조물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댐식 우수조정지용 월류 방지 제방 구조물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댐식 우수조정지용 월류 방지 제방 구조물의 가변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일반적인 댐식 우수조정지의 형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종래의 부력을 이용한 제방 월류 방지장치의 구성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방 본체부 11 : 우수유입공간부
12a,12b : 암,수 연결구 13 : 전방 경사면
14 : 후방 경사면 15 : 관통공
16 : 메쉬망관 17 : 유입공
18 : 이탈부재 19 : 매설 고정구
20 : 부력 제방부 21 : 부력 공간부
22 : 걸림턱 23 : 부력 연결구

Claims (1)

  1. 상면은 개구되어 있고 이 개구된 내측에는 우수유입공간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 외측면에는 암,수연결구(12a),(12b)가 형성되어 있고, 전,후방 경사면(13),(14) 하부에는 내,외측을 관통하는 관통공(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 경사면(13) 상,하부에는 메쉬망관(16)으로 막음처리되어 있는 유입공(17)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 최상부에는 이탈부재(18)가 연결되어있으며, 하부에는 매설 고정구(19)가 형성되어 있는 제방 본체부(10)와;
    내측에는 외부로 부터 차단된 부력 공간부(21)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상기 제방 본체부(10)의 우수유입공간부(11)에 삽입연결을 취하고 있되, 걸림턱(22)을 일체로 구비한 부력 연결구(23)가 형성되어 있는 부력 제방부(20)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댐식 우수조정지용 월류 방지 제방 구조물.
KR10-2002-0045842A 2002-08-02 2002-08-02 댐식 우수조정지용 월류 방지 제방 구조물 KR100497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842A KR100497818B1 (ko) 2002-08-02 2002-08-02 댐식 우수조정지용 월류 방지 제방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842A KR100497818B1 (ko) 2002-08-02 2002-08-02 댐식 우수조정지용 월류 방지 제방 구조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184U Division KR200297691Y1 (ko) 2002-08-02 2002-08-02 댐식 우수조정지용 월류 방지 제방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314A KR20040012314A (ko) 2004-02-11
KR100497818B1 true KR100497818B1 (ko) 2005-07-01

Family

ID=37320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842A KR100497818B1 (ko) 2002-08-02 2002-08-02 댐식 우수조정지용 월류 방지 제방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78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981B1 (ko) * 2006-10-17 2007-01-25 (주)평화엔지니어링 수위조절이 가능한 하천의 수중보
KR100865370B1 (ko) * 2008-06-11 2008-10-24 오상화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KR100865369B1 (ko) * 2008-06-13 2008-10-24 오상화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9013A (ja) * 1984-08-14 1986-03-10 Nishida Tekko Kk 浮函式防潮水門
EP0726364A1 (en) * 1995-02-09 1996-08-14 Van den Noort, Johann Heinrich Reindert Movable da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9013A (ja) * 1984-08-14 1986-03-10 Nishida Tekko Kk 浮函式防潮水門
EP0726364A1 (en) * 1995-02-09 1996-08-14 Van den Noort, Johann Heinrich Reindert Movable d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314A (ko)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7646A (en) Impoundment and diversion systems for preventing or mitigating flooding
US20200032471A1 (en) Integrated Drain Gate Seawall System
US8602687B2 (en) Water/fluids surge/backflow protection systems and management
CN112030871A (zh) 移动组合式自动垂直升降防洪装置及防洪墙
KR100865370B1 (ko)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KR101797469B1 (ko) 역류방지 수문 구조물
KR100973158B1 (ko) 조립식 우수 저장시설
WO2020044355A1 (en) Integration of multipurpose box tunnels with empty lakes and mini dam for effective flood control
CN111691525B (zh) 一种下沉式广场的排水结构及其施工方法
CN213390485U (zh) 一体化截流井
CN212477597U (zh) 移动组合式自动垂直升降防洪装置及防洪墙
KR100497818B1 (ko) 댐식 우수조정지용 월류 방지 제방 구조물
CN212956360U (zh) 一种潜浮式防浪墙
KR100669228B1 (ko) 우수범람방지를 위한 건축단지내 배수로 구조물
CN209761279U (zh) 出入口气囊式防水装置
KR200297691Y1 (ko) 댐식 우수조정지용 월류 방지 제방 구조물
CN113700122B (zh) 市政工程环保排水系统
KR200263865Y1 (ko) 월류 방지용 호안부재
KR101060991B1 (ko) 우수 범람 방지를 위한 배수로
US20210131078A1 (en) Integrated utility distribution system
CN209761280U (zh) 出入口翻板式防水装置
CN104878823A (zh) 一种合流管道初期雨水截流蓄排系统及蓄排方法
KR20130012544A (ko) 저류조를 이용한 계곡수용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JP3550000B2 (ja) 洪水調整装置
KR101553913B1 (ko) 하수관거의 유지관리 방법이 적용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