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5370B1 -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5370B1
KR100865370B1 KR1020080054833A KR20080054833A KR100865370B1 KR 100865370 B1 KR100865370 B1 KR 100865370B1 KR 1020080054833 A KR1020080054833 A KR 1020080054833A KR 20080054833 A KR20080054833 A KR 20080054833A KR 100865370 B1 KR100865370 B1 KR 100865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r
buoyant body
hole
vertical
preven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4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화
김명진
Original Assignee
오상화
김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화, 김명진 filed Critical 오상화
Priority to KR1020080054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53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5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5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02B3/102Permanently installed raisable dykes
    • E02B3/104Permanently installed raisable dykes with self-activa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1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using active mechanical means, e.g. fluidizing or pu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의 제방에 설치되는 범람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은, 내부에는 빈공간의 부력실(14)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하천수가 유입되도록 유입구(11)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가이드홀(13)이 형성된 가이드(12) 구조물이 형성된 기초구조물(10)이 제방에 설치되고,
상기 부력실(14)에는 상부에 난간(41)이 설치된 수직부체(20)와 수평부체(30)가 안치되되, 수직부체(20)의 하부 삽입공(23)에는 분할부(45)가 형성된 소켓(44)이 매립되고, 수평부체(30)의 상부에는 돌출부(43)가 형성된 결합구(42)가 장착되어 부력실(14)내에서 수직부체(20)의 소켓(44)과 수평부체(30)의 돌출부(43)가 조립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직부체(20)의 상부에는 투시창(40)이 장착되는 설치공(22)이 형성되고, 수직부체(20)의 측면에는 상기 설치공(22)의 위치와 대응되는 투시공(21)이 형성되게 한다.
제방, 홍수, 경관, 난간

Description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Overflowing prevention device for better view of river}
본 발명은 하천의 제방에 설치되는 범람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천의 기능은 치수(治水), 이수(利水), 경관(景觀) 그리고 환경기능 등이 있다.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치수기능을 담당하는 제방이라 할 수 있는데, 홍수범람으로 인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제방을 쌓는 것이다. 현재는 각 하천의 홍수위를 감안하여 홍수량 규모별로 0.6~2m 높이의 여유고를 두고 제방을 축조하여 유사시 홍수의 범람을 예방하고 있다.
도심하천의 경우 제방은 홍수 피해방지 목적 이외에 친수공간조성으로 인근 주민의 휴식 및 산책로 등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하천 공간을 주민들의 휴식공간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늘어나는 추세이며, 도심하천 들이 자연형 하천으로 복원됨에 따라 하천의 고유 기능 회복은 물론 경관적인 측면도 중요시 되고 있다.
통상 하류에 위치하는 도심하천의 경우에는 장기간에 걸친 토사 및 유하물의 퇴적으로 인해 장마철에 홍수위가 상승됨에 따라 하천수가 범람하여 장마철마다 이재민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홍수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일환으로 하천 주변의 토지를 매수하여 제방을 축조하여야 하나, 현실적으로 제방축조부지를 마련하기 위해 도심지의 밀집된 가옥과 토지를 매수하거나 수용 한다는 것은 천문학적인 보상비와 민원발생이 예상되어 사실상 추진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심하천에서는 제방축조가 불가능한 실정임을 감안해 도심하천 경계에 콘크리트 홍수벽을 설치하고 있으나, 이는 인근 주민과 하천으로의 접근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고, 경관성을 해치는 흉물로 인식되고 있으며 근래의 자연형 하천을 선호하는 시류에는 맞지 않아 큰 호응을 얻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방 증축 또는 콘크리트 홍수벽과 같은 경관불량에 따른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하천수의 수위가 상승하는 장마철에 난간이 설치된 부체가 홍수의 부력으로 인해 상승하고 장마철이 끝난 이후에는 부체의 자중으로 인해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한 하천주변의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로써, 토지보상 등의 복잡한 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될 뿐 아니라, 콘크리트 홍수벽의 설치로 인한 하천 경관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데다, 홍수의 범람을 막을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하천으로의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난간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과제 해결 수단으로는, 내부에는 빈공간의 부력실(14)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하천수가 유입되도록 유입구(11)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가이드홀(13)이 형성된 가이드(12) 구조물이 형성된 기초구조물(10)이 제방에 설치되고,
상기 부력실(14)에는 상부에 난간(41)이 설치된 수직부체(20)와 수평부체(30)가 안치되되, 수직부체(20)의 하부 삽입공(23)에는 분할부(45)가 형성된 소켓(44)이 매립되고, 수평부체(30)의 상부에는 돌출부(43)가 형성된 결합구(42)가 장착되어 부력실(14)내에서 수직부체(20)의 소켓(44)과 수평부체(30) 의 돌출부(43)가 조립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직부체(20)의 상부에는 투시창(40)이 장착되는 설치공(22)이 형성되고, 수직부체(20)의 측면에는 상기 설치공(22)의 위치와 대응되는 투시공(21)이 형성되게 한다.
본 발명을 제방에 설치함으로써, 기존 제방의 한쪽 면에 홍수 방지라는 명목으로 흉물스러운 회색의 콘크리트 벽(홍수벽)을 만드는 것을 대체할 수 있어서, 하천의 경관성을 회복할 수 있으며, 접근성 또한 양호해질 뿐만 아니라, 갑자기 불어난 하천수의 제방 범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구성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홍수의 특징은 집중호우에 의해 발생되고, 호우의 대부분이 여름철에 발생 된다. 이를 감안할 때, 하천수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한 제방시설은 필요 이상으로 높은 것보다는 하천의 경관 등을 감안하고, 접근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홍수위의 변화에 따라 탄력적으로 가동되면서 홍수범람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특히, 최근 홍수시 하천수의 범람으로 인해 국민의 생명과 재산피해가 발생 된 기존 제방구간에서는 콘크리트 홍수벽을 설치함으로써, 하천수의 범람을 대처하기는 하였으나, 제방구간의 한쪽 면을 콘크리트로 설치함에 따라, 주변 경관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장치를 개발하였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의 저수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초구조물(10)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의 도면에서와 같이 하천쪽의 제방 일부를 절개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구조물(10)을 형성하되, 기초구조물(10)의 내부에는 수직부체(20)와 수평부체(30)가 설치되는 빈공간의 부력실(14)을 만든다.
기초구조물(10)의 측면에는 하천수가 유입되도록 유입구(11)를 형성하여, 홍수시 하천수가 유입구(11)를 통해 부력실(14)로 유입된다. 또한, 기초구조물(10)의 상부에는 부체(20, 30)가 승강될때에 안정되게 승강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홀(13)이 형성된 가이드(12) 구조물이 형성된다.
위에서는 기초구조물(10) 및 가이드(12)의 설치와 관련하여 현장에서 콘크리트로 직접 타설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현장여건상 콘크리트 타설이 어려울 경우에는 합성수지 재질로 사전에 미리 제작한 기초구조물(10)과 가이드(12)를 현장에 알맞게 설치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체(20, 30) 및 투시창(40)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에서와 같이 수직부체(20)가 구비되되, 비중이 낮은 합성수지 계열을 사 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부체(20)의 상부에는 투시창(40)이 조립 설치되는 설치공(22)이 형성된다. 또한, 수직부체(20)의 측면에는 설치공(22)의 위치와 대응되는 투시공(21)이 천공됨으로써, 투시창(40) 설치 이후 수직부체(20)를 사이에 두고 반대편의 하천 상황을 투시창(40)을 통해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수직부체(20)와 수평부체(30)의 조립은 소켓(44) 및 결합구(42)를 통해 이루어진다. 즉, 수평부체(30)의 상부에는 다수의 결합구(42)가 장착되되, 결합구(42)는 도 3의 원내확대도와 같이 돌출부(43)를 갖는 형태이고, 수직부체(20)의 삽입공(23)에 매립되는 소켓(44)은 선단이 절개된 분할부(45)를 갖는 구성이다. 따라서, 부력실(14) 안으로 수평부체(30)를 안치시키고, 수평부체(30)의 결합구(42)와 동일한 결합위치를 갖는 수직부체(20)의 소켓(44)이 결합되도록 하방으로 수직부체(20)를 내리면서 힘을 가하면, 수평부체(30)의 결합구(42)에 수직부체(20)의 소켓(44)이 끼움방식으로 간단하게 결합되면서 부체(20, 30)의 연결이 완성되는 것이다. 한편, 수직부체(20)의 상부에는 난간(41)이 설치된다.
도 4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의 저수위와 고수위 상태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작동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의 (a)에서와 같이 저수위 상태에서는 기초구조물(10)의 유입구(11)보다 수면이 아래에 있음으로써, 부력실(14) 안으로 하천수가 유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수직부체(20)와 수평부체(30)는 공히 부력실(14)내에 초기의 안치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홍수시에는 수면이 유입구(11)보다 높은 관계로 하천 수가 유입구(11)로 유입되면서 수평부체(30)의 하부를 부력으로 지지하게 되고, 부력의 힘에 의해 수직부체(20)와 수평부체(30)는 기초구조물(10)의 가이드홀(13)을 따라 도 4의 (b)와 같이 상부로 이동된다.
도 4의 (b)에서 보듯이 하천수의 부력에 의해 상승되는 부체(20, 30)는 수평부체(30)가 기초구조물(10)의 걸림턱(15)에 걸리면서 멈추게 된다. 이후, 하천수의 수위가 다시 저수위가 되면, 부체(20, 30)의 자중으로 인해 도 4의 (a)와 같이 원위치로 자연스럽게 복귀된다. 한편, 하천수가 부력실(14)내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유하물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유입구(11) 입구에 스크린망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의 고수위 상태의 사시도로서, 부체(20, 30)가 상승하게 되면 부력실(14)에 매립되어 있던 투시창(40)이 나타남으로써, 투시창(40)을 통해 하천쪽의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의 저수위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초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체 및 투시창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의 저수위와 고수위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의 고수위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초구조물
11 : 유입구
12 : 가이드
13 : 가이드홀
14 : 부력실
15 : 걸림턱
20 : 수직부체
21 : 투시공
22 : 설치공
23 : 삽입공
30 : 수평부체
40 : 투시창
41 : 난간
42 : 결합구
43 : 돌출부
44 : 소켓
45 : 분할부

Claims (2)

  1. 내부에는 빈공간의 부력실(14)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하천수가 유입되도록 유입구(11)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가이드홀(13)이 형성된 가이드(12) 구조물이 형성된 기초구조물(10)이 제방에 설치되고,
    상기 부력실(14)에는 상부에 난간(41)이 설치된 수직부체(20)와 수평부체(30)가 안치되되, 수직부체(20)의 하부 삽입공(23)에는 분할부(45)가 형성된 소켓(44)이 매립되고, 수평부체(30)의 상부에는 돌출부(43)가 형성된 결합구(42)가 장착되어 부력실(14)내에서 수직부체(20)의 소켓(44)과 수평부체(30)의 돌출부(43)가 조립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체(20)의 상부에는 투시창(40)이 장착되는 설치공(22)이 형성되고, 수직부체(20)의 측면에는 상기 설치공(22)의 위치와 대응되는 투시공(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KR1020080054833A 2008-06-11 2008-06-11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KR100865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833A KR100865370B1 (ko) 2008-06-11 2008-06-11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833A KR100865370B1 (ko) 2008-06-11 2008-06-11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5370B1 true KR100865370B1 (ko) 2008-10-24

Family

ID=40177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4833A KR100865370B1 (ko) 2008-06-11 2008-06-11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537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898B1 (ko) 2008-12-27 2009-05-04 주식회사 이산 부력식 차수판
KR100923147B1 (ko) 2009-04-17 2009-10-23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차수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식 차수벽
KR101005531B1 (ko) * 2010-05-17 2011-01-04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부력체를 이용한 홍수범람 방지장치
KR101010661B1 (ko) * 2010-07-09 2011-01-24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도심지 저지대 홍수범람 방지를 위한 가동 파라펫
KR200462592Y1 (ko) 2012-06-04 2012-09-20 강미옥 승강식 객석 난간
KR101240152B1 (ko) * 2012-03-12 2013-03-19 주식회사 청수환경 하천의 범람 및 월파를 방지하는 부력식 물막이 블록의 차수 장치
KR101505014B1 (ko) * 2013-06-27 2015-03-2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부력을 이용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
KR101514949B1 (ko) * 2014-05-19 2015-04-28 (주)에스엔비 플로팅 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069U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트림 체결수단
KR200263865Y1 (ko) 2001-11-21 2002-02-19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월류 방지용 호안부재
KR20040012314A (ko) * 2002-08-02 2004-02-11 주식회사 경기기술단 댐식 우수조정지용 월류 방지 제방 구조물
JP2006070536A (ja) 2004-09-01 2006-03-16 Penta Ocean Constr Co Ltd 津波・高潮対策用可動式防波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069U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트림 체결수단
KR200263865Y1 (ko) 2001-11-21 2002-02-19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월류 방지용 호안부재
KR20040012314A (ko) * 2002-08-02 2004-02-11 주식회사 경기기술단 댐식 우수조정지용 월류 방지 제방 구조물
JP2006070536A (ja) 2004-09-01 2006-03-16 Penta Ocean Constr Co Ltd 津波・高潮対策用可動式防波堤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898B1 (ko) 2008-12-27 2009-05-04 주식회사 이산 부력식 차수판
KR100923147B1 (ko) 2009-04-17 2009-10-23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차수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식 차수벽
KR101005531B1 (ko) * 2010-05-17 2011-01-04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부력체를 이용한 홍수범람 방지장치
KR101010661B1 (ko) * 2010-07-09 2011-01-24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도심지 저지대 홍수범람 방지를 위한 가동 파라펫
KR101240152B1 (ko) * 2012-03-12 2013-03-19 주식회사 청수환경 하천의 범람 및 월파를 방지하는 부력식 물막이 블록의 차수 장치
KR200462592Y1 (ko) 2012-06-04 2012-09-20 강미옥 승강식 객석 난간
KR101505014B1 (ko) * 2013-06-27 2015-03-2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부력을 이용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
KR101514949B1 (ko) * 2014-05-19 2015-04-28 (주)에스엔비 플로팅 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5370B1 (ko)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JP4472749B2 (ja) 防潮装置および防潮構造
JP6506906B2 (ja) 自動作動洪水ガード
KR101240152B1 (ko) 하천의 범람 및 월파를 방지하는 부력식 물막이 블록의 차수 장치
KR101051983B1 (ko) 승하강식 홍수방지용 벽체 구조물
KR101809686B1 (ko) 승강식 수차단 벽체형 호안 구조물
KR101709274B1 (ko) 부력식 보강판을 구비하는 복합 차수벽
US20200032471A1 (en) Integrated Drain Gate Seawall System
KR100865369B1 (ko)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KR101005531B1 (ko) 부력체를 이용한 홍수범람 방지장치
JP2012120510A (ja) 水田用貯水量調整装置
JP5291611B2 (ja) 高浸水を防止する設備
JP3958170B2 (ja) 堤体及び構造物の保護設備
JP2006257841A (ja) 津波水門
KR100923147B1 (ko) 차수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식 차수벽
KR20140099027A (ko) 다목적 높이가변형 차단구조물
KR101010661B1 (ko) 도심지 저지대 홍수범람 방지를 위한 가동 파라펫
KR20170062658A (ko) 도르래를 이용한 홍수 방지장치
JP4973898B1 (ja) 浸水防止構造
KR100957070B1 (ko)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
KR200263865Y1 (ko) 월류 방지용 호안부재
KR101262093B1 (ko) 정부도로 및 중개수로를 이용한 월류 파괴 방지형 필댐
JP5669189B2 (ja) 透過式海域制御構造物の構築方法
GB2456878A (en) Automatic flood barrier system
KR100497818B1 (ko) 댐식 우수조정지용 월류 방지 제방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