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3147B1 - 차수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식 차수벽 - Google Patents

차수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식 차수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3147B1
KR100923147B1 KR1020090033576A KR20090033576A KR100923147B1 KR 100923147 B1 KR100923147 B1 KR 100923147B1 KR 1020090033576 A KR1020090033576 A KR 1020090033576A KR 20090033576 A KR20090033576 A KR 20090033576A KR 100923147 B1 KR100923147 B1 KR 100923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water sealing
concrete structure
sealing member
buoy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진
Original Assignee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김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김명진 filed Critical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Priority to KR1020090033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1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02B3/102Permanently installed raisable dyk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1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using active mechanical means, e.g. fluidizing or pu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수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식 차수벽에 관한 것으로,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의해 상, 하측으로 이동하며 하측에 부력체가 더 구비되어 있는 제방부재;로 이루어진 차수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식 차수벽에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형성된 수납부와; 상기 제방부재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하천의 수위가 낮을 때 콘크리트 구조물에 형성된 수납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수납부 보호판과; 하천의 수위가 낮을 때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며 제방부재 및 수납부에 결합하는 제1, 2 결합부를 형성한 정면 차수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정면 차수부재의 양 측면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측벽콘크리트 구조물에 결합하는 제3 결합부를 형성하는 측면 차수부재로 이루어진 차수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여, 수위의 변화에 따라 승, 하강하는 제방부재와 콘크리트 구조물 및 가이드부재 사이에서 유입하는 물을 차단할 수 있으며, 수납부와 수납부 보호판을 형성하여 평 수위일 때 차수부재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차수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차수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식 차수벽을 제공한다.
차수, 부력, 범람

Description

차수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식 차수벽{Buoyancy type cut-off wall}
본 발명은 하천 등에 설치하는 차수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식 차수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위의 변화에 따라 승, 하강하는 제방부재와 콘크리트 구조물 및 가이드부재 사이에서 유입하는 물을 차단할 수 있으며, 수납부와 수납부 보호판을 형성하여 평 수위일 때 차수부재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차수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차수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식 차수벽에 관한 것이다.
도심하천의 경우 제방은 홍수 피해방지 목적 이외에 친수공간조성으로 인근 주민의 휴식 및 산책로 등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하천 공간을 주민들의 휴식공간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늘어나는 추세이며, 도심하천 들이 자연형 하천으로 복원됨에 따라 하천의 고유 기능 회복은 물론 경관적인 측면도 중요시되고 있다.
통상 하류에 위치하는 도심하천의 경우에는 장기간에 걸친 토사 및 유하물의 퇴적으로 인해 장마철에 홍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하천수가 범람하여 장마철마다 이재민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홍수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일환으로 하천 주변의 토지를 매수하여 제방을 축조하여야 하나, 현실적으로 제방축조부지를 마련하기 위해 도심지의 밀집된 가옥과 토지를 매수하거나 수용한다는 것은 천문학적인 보상비와 민원발생이 예상되어 사실상 추진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심하천에서는 제방축조가 불가능한 실정임을 감안해 도심하천 경계에 콘크리트 홍수벽을 설치하고 있으나, 이는 인근 주면과 하천의 접근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고, 경관성을 해치는 흉물로 인식되고 있으며 근래의 자연형 하천을 선호하는 시류에는 맞지 않아 큰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기술 특허등록 제0865370호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부력식 차수벽(100)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부력실(114)과 걸림턱(115)을 형성하고, 하천 방향으로는 유입구(111)를 형성하며, 상부의 일측으로는 가이드홀(113)이 형성된 가이드(112) 구조물로 이루어진 기초구조물(110)과; 상기 기초구조물(110)의 부력실(114)에 결합되며, 하천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유입구(111)로 유입된 수위에 의해 상측으로 승강되도록 수평부재(120)와 수직부재(130)가 결합된 제방부제(15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부력식 차수벽(100)은 도 2에서와 같이, 하천 등의 범람으로 인해 수위가 높아지게 되면, 기초구조물(110)의 유입구(111)를 통해 물이 부력실(114)로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물에 의해 비중이 낮은 합성수지 계열로 제작된 수직부재(130)가 기초구조물(110)에 형성된 걸림턱(115)과 제방부재(150)의 수평부재(130)에 의해 일정높이까지 상승하도록 작용하여 제방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부력식 차수벽(100)은 홍수위 시 전면으로의 물의 유입은 막을 수 있으나, 도 1에서 바와 같이 기초구조물(110)의 측면(A) 및 하측(B)으로 유입된 물이 제방 또는 콘크리트 부재(c)가 있는 부분으로 유입되는데, 이때, 상기 기초구조물(110)의 측면(A) 및 하측(B)에 지수재 등을 형성하고는 있으나, 수위에 의해 제방부재(150)가 흔들리기 때문에, 지수재의 작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부력식 차수벽(100)으로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수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식 차수벽은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의해 상, 하측으로 이동하며 하측에 부력체가 더 구비되어 있는 제방부재;로 이루어진 차수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식 차수벽에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형성된 수납부와; 상기 제방부재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하천의 수위가 낮을 때 콘크리트 구조물에 형성된 수납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수납부 보호판과; 하천의 수위가 낮을 때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며 제방부재 및 수납부에 결합하는 제1, 2 결합부를 형성한 정면 차수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정면 차수부재 양 측면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측벽콘크리트 구조물에 결합하는 제3 결합부를 형성하는 측면 차수부재로 이루어진 차수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수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식 차수벽에 형성된 제방부재의 하측에는 부력체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수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식 차수벽의 제1, 2, 3 결합부는 제방부재와 수납부 및 측벽 콘크리트 구조물에 형성된 앵커볼트와, 상기 앵커볼트와 대응하는 위치에 차수부재의 정면 차수부재와 측면 차수부재에 형성된 결합홀과, 상기 앵커볼트와 대응하는 위치에 홀을 형성한 평철판과, 상기 앵커볼트에 결합하는 와셔 및 너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수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식 차수벽은 수위의 변화에 따라 승, 하강하는 제방부재와 콘크리트 구조물 및 가이드부재 사이에서 유입하는 물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수납부와 수납부 보호판을 형성하여 평 수위일 때 차수부재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차수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C)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부재(1)와 평상시에는 하측에 위치하다가 수위가 상승하였을 때에는 가 이드부재(1)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는 제방부재(2)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는 제방부재(2)를 상승시킬 때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도 무방하다.
즉, 도 5의 (a)와 같이 가이드턱(1a)과 가이드홈(1b) 형태로 형성하거나, 도 5의 (b)와 같이 가이드봉(1c)과 가이드홈(1d) 형태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방부재(2)는 일정 높이로 수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였을 때 제방부재(2)도 같이 상승할 수 있도록 부력체(2a)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납부(10)는 상기 제방부재(2)를 기준으로 하천의 반대편에 형성되어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C) 바닥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수납부 보호판(20)은 제방부제(2)의 상측에 통상의 결합방법인 용접, 볼트/너트, 리벳 등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특히, 하천의 수위가 낮아 제방부재(2)가 하측에 형성되었을 때, 상기 수납부(10)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수납부 보호판(20)은 후술할 수납부(10)에 삽입되는 차수부재(70)의 정면 차수부재(50)를 덮을 수 있을 정도로 형성하면 족하다.
또한, 차수부재(70)는 정면 차수부재(50)와 측면 차수부재(60)로 구성된다.
상기 정면 차수부재(50)는 상측으로 제방부재(2)와 결합하는 제1 결합부(31)를 형성하고, 하측으로 수납부(10) 내에 결합하는 제2 결합부(41)로 구성된다.
아울러, 측면 차수부재(60)는 상기 정면 차수부재(50)의 양 측면에 일체로 연결되어 구성되되 측벽 콘크리트 구조물(C1)과 결합하는 제3 결합부(6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차수부재(70)의 정면 차수부재(50) 및 측면 차수부재(6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2, 3 결합부(31, 41, 61)는 차수부재(70)의 파 손율 줄일 수 있도록 수납부(10) 및 측벽 콘크리트 구조물(C1)에 결합되어 있는 앵커볼트(B)와 상기 앵커볼트(B)와 대응하는 위치에 차수부재(70)의 정면 차수부재(50) 및 측면 차수부재(6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홀(h)과, 상기 결합홀(h)과 대응하는 위치에 홀(h1)이 타공되어 있는 평철판(31a, 41a, 61a)과, 상기 앵커볼트(B)에 결합하는 와셔(W) 및 너트(N)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차수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식 차수벽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하천의 수위가 낮은 평상시에는 제방부재(2)가 하강한 상태로 있어, 도 6에서와 같이 제방부재(2), 수납부(10) 및 측벽 콘크리트 구조물(C1)에 제1, 2, 3 결합부(31, 41, 61)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차수부재(70)가 수납부(10)에 수납되고, 상기 수납부(10)의 상측을 제방부재(2)에 결합되어 있는 수납부 보호판(20)이 덮어서 차수부재(70)를 보호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그러던 중, 홍수와 같은 자연현상에 의해 하천의 수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되어 일정한 높이 이상으로 수위가 상승하게 되면, 제방부재(2)에 형성된 부력체(2a)에 의해 제방부재(2)가 상승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방부재(2), 수납부(10) 및 측벽 콘크리트 구조물(C1)에 제1, 2, 3 결합부(31, 41, 61)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차수부재(70)도 동시에 상승하여 도 3에서와 같이 제방부재(2)와 더불어 차수부재(70)가 하천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동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차수부재(70)의 결합이 견고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 물(C), 측벽 콘크리트 구조물(C1)과 제방부재(2) 사이로 유입되는 물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인 지수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함은 본 발명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들이게 있어서는 명백한 것임을 명시한다.
도 1은 종래의 차수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식 차수벽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수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식 차수벽의 수위가 낮을 때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수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식 차수벽의 수위가 높을 때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재의 실시 예를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위가 낮을 때의 측면을 단면 하여 도시한 측면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2, 3 결합부를 도시한 상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 : 앵커볼트 C : 콘크리트 구조물
h : 결합홀 h1 : 홀
N : 너트 W : 와셔
1 : 가이드부재 2 : 제방부재
10 : 수납부 20 : 수납부 보호판
31 : 제1 결합부 31a : 평철판
41 : 제2 결합부 41a : 평철판
50 : 정면 차수부재 60 : 측면 차수부재
61 : 제3 결합부 61a : 평철판
70 : 차수부재 80 : 차수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식 차수벽

Claims (3)

  1. 가이드부재(1)와; 상기 가이드부재(1)에 의해 상, 하측으로 이동하며 하측에 부력체(2a)가 더 구비되어 있는 제방부재(2);로 이루어진 차수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식 차수벽에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물(C)에 형성된 수납부(10);
    상기 제방부재(2)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하천의 수위가 낮을 때 콘크리트 구조물(C)에 형성된 수납부(10)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수납부 보호판(20);
    하천의 수위가 낮을 때 상기 수납부(10)에 수납되며 제방부재(2) 및 수납부(10)에 결합하는 제1, 2 결합부(31, 41)를 형성한 정면 차수부재(50)를 형성하고, 상기 정면 차수부재(50)의 양 측면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측벽 콘크리트 구조물(C1)에 결합하는 제3 결합부(61)를 형성하는 측면 차수부재(60)로 이루어진 차수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차수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식 차수벽.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3 결합부(31, 41, 61)는 제방부재(2)와 수납부(10) 및 측벽 콘크리트 구조물(C1)에 형성된 앵커볼트(B)와, 상기 앵커볼트(B)와 대응하는 위치에 차수부재(70)의 정면 차수부재(50)와 측면 차수부재(60)에 형성된 결합홀(h)과, 상기 앵커볼트(B)와 대응하는 위치에 홀(h1)을 형성한 평철판(31a, 41a, 61a)과, 상기 앵커볼트(B)에 결합하는 와셔(W) 및 너트(N)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차수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식 차수벽.
KR1020090033576A 2009-04-17 2009-04-17 차수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식 차수벽 KR100923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576A KR100923147B1 (ko) 2009-04-17 2009-04-17 차수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식 차수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576A KR100923147B1 (ko) 2009-04-17 2009-04-17 차수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식 차수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3147B1 true KR100923147B1 (ko) 2009-10-23

Family

ID=41562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576A KR100923147B1 (ko) 2009-04-17 2009-04-17 차수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식 차수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314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531B1 (ko) * 2010-05-17 2011-01-04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부력체를 이용한 홍수범람 방지장치
KR101026253B1 (ko) * 2010-10-14 2011-03-31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플로팅월
KR101505014B1 (ko) * 2013-06-27 2015-03-2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부력을 이용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
KR20160028807A (ko) 2014-09-04 2016-03-14 일성보산업(주) 무부하 홍수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4139A (ja) * 1995-04-10 1996-10-29 Nippon Steel Corp 自動昇降式堤体
JP2000345537A (ja) 1999-06-04 2000-12-12 Tsutomu Odawara 浮力式床面止水装置
JP2006070536A (ja) 2004-09-01 2006-03-16 Penta Ocean Constr Co Ltd 津波・高潮対策用可動式防波堤
KR100865370B1 (ko) 2008-06-11 2008-10-24 오상화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4139A (ja) * 1995-04-10 1996-10-29 Nippon Steel Corp 自動昇降式堤体
JP2000345537A (ja) 1999-06-04 2000-12-12 Tsutomu Odawara 浮力式床面止水装置
JP2006070536A (ja) 2004-09-01 2006-03-16 Penta Ocean Constr Co Ltd 津波・高潮対策用可動式防波堤
KR100865370B1 (ko) 2008-06-11 2008-10-24 오상화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531B1 (ko) * 2010-05-17 2011-01-04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부력체를 이용한 홍수범람 방지장치
KR101026253B1 (ko) * 2010-10-14 2011-03-31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플로팅월
KR101505014B1 (ko) * 2013-06-27 2015-03-2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부력을 이용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
KR20160028807A (ko) 2014-09-04 2016-03-14 일성보산업(주) 무부하 홍수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0152B1 (ko) 하천의 범람 및 월파를 방지하는 부력식 물막이 블록의 차수 장치
KR100865370B1 (ko)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KR100923147B1 (ko) 차수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식 차수벽
KR101005531B1 (ko) 부력체를 이용한 홍수범람 방지장치
JP4210312B2 (ja) 建築物
KR100865369B1 (ko)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KR101010661B1 (ko) 도심지 저지대 홍수범람 방지를 위한 가동 파라펫
KR200437790Y1 (ko) 식생옹벽블럭
EP3144452A1 (en) Building system
KR101257798B1 (ko) 화단형 홍수벽
KR100461664B1 (ko) 식생 호안블록의 설치구조 및 시공방법.
KR20120062578A (ko) 연안지역의 범람 방지용 풍력 및 태양광 발전장치
KR100541841B1 (ko) 하천제방블록의 체결구조
KR100674354B1 (ko) 하천 범람 방지를 위한 제방 구조물
KR200259043Y1 (ko) 우수침수용 수로
JP2004003238A (ja) 高潮防止用水門
KR100627628B1 (ko) 케이슨을 이용한 심해 항만의 연속구조물 시공법
KR200410820Y1 (ko) 하천 옹벽기초 세굴방지구조
KR100576181B1 (ko) 생태계 보호를 위한 하천용 제방블록
KR100523317B1 (ko) 하천 생태계 보호를 위한 원통형 물고기 집 블록을 이용한제방축대 설치구조
CN212375800U (zh) 一种水利工程生态支护结构
KR20110005277U (ko) 식생옹벽블록
KR200262731Y1 (ko) 생태계 보호를 위한 수중보 구조물
KR200235686Y1 (ko) 도로하천 제방 물고기 보호용 호안블럭
KR102244753B1 (ko) 친환경 목재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