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790Y1 - 식생옹벽블럭 - Google Patents

식생옹벽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790Y1
KR200437790Y1 KR2020060028288U KR20060028288U KR200437790Y1 KR 200437790 Y1 KR200437790 Y1 KR 200437790Y1 KR 2020060028288 U KR2020060028288 U KR 2020060028288U KR 20060028288 U KR20060028288 U KR 20060028288U KR 200437790 Y1 KR200437790 Y1 KR 2004377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hole
block
block body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82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자
Original Assignee
박희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자 filed Critical 박희자
Priority to KR20200600282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7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7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7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 호안축조, 아파트, 도로 절토구간 조경 등에 사용되는 친환경적인 식생옹벽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경사면을 갖는 법면, 성토지등의 경사면이 자연현상으로 인하여 변형됨에 따라 유동적으로 구배를 조절하며 축조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토사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통공이 형성되어 식생이 용이한 식생옹벽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식생옹벽블록은, 하천 호안축조, 아파트, 도로 절토구간 등에 시공되는 식생옹벽블럭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 블럭체로서, 전면의 중앙부분은 파형의 형태이고, 그 양측 방향으로 소정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이 끝나는 부분에서부터 연장되는 소정 수평면이 형성된 전면조형부와, 상기 블럭체의 전방부분에서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 전방관통공과, 상기 블럭체의 후방부분에서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 후방관통공과, 상기 전방관통공과 상기 후방관통공의 경계가 되도록 중앙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벽과, 상기 후방관통공이 형성된 부분의 양측 상부에서 수직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턱과, 상기 블럭체의 후방의 양측 모서리부분에서 후방과 측방으로 각각 소정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모서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옹벽, 블럭, 축조

Description

식생옹벽블럭{VEGETATION REVETMENT BLOCK}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옹벽블럭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옹벽블럭을 도시한 평면도.
도 3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옹벽블럭을 수직하게 축조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3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옹벽블럭을 경사지게 축조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옹벽블럭의 고정핀이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옹벽블럭이 축조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식생옹벽블럭
10 전면조형부
11 파형곡선
12 경사면
13 수평연장면
20 전방관통공
30 후방관통공
40 걸림벽
41 전방벽
42 후방벽
50 돌출턱
51 전면턱
52 후면턱
60 돌출모서리부
70 삽입공
80 요홈
2 고정핀
본 고안은 하천 호안축조, 아파트, 도로 절토구간 조경 등에 사용되는 친환경적인 식생옹벽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경사면을 갖는 법면, 성토지등의 경사면이 자연현상으로 인하여 변형됨에 따라 유동적으로 구배를 조절하며 축조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토사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통공이 형성되어 식생이 용이한 식생옹벽블럭에 관한 것이다.
자연환경을 구성하는 강이나 하천은 급격한 산업화와 마구잡이식 개발정책으로 인하여 점차 그 주변 환경이 훼손되어 지면서 자연의 생태계가 크게 파괴되는 등 점점 악화되어 가는 하천 환경에 대한 심각성을 인지하고, 그에 관한 개선사업 등의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이에 최근에는 하천이나 법면, 성토지 등의 현장여건에 맞도록 옹벽을 시공하여 경사의 변화에 따라 구배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친환경적인 옹벽블럭이 많이 제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옹벽블럭은 주로 대형공사로 진행되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막대한 공사비가 소요될 뿐만 아니라, 견고한 시공이 어렵게 되어 경사의 변형으로 인하여 토사가 유실되거나 주로 사각형태의 콘크리트 구조로 형성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시공된 옹벽블럭의 모서리부분이 쉽게 파괴되어 옹벽이 붕괴되는 일이 발생되었다. 또한, 시공형태가 단순하여 조형미가 단조롭게 되거나 식재공간이 부족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양한 자연현상으로 인하여 경사의 기울기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적당한 구배를 조정함으로써 블럭의 배열을 일정하고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토사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로 형성하여 다양한 식물의 식재가 용이한 식생옹벽블럭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식생옹벽블럭은, 하천 호안축조, 아파트, 도로 절토구간 등에 시공되는 식생옹벽블럭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 블럭체로서, 전면의 중앙부분은 파형의 형태이고, 그 양측 방향으로 소정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이 끝나는 부분에서부터 연장되는 소정 수평면이 형성된 전면조형부와, 상기 블럭체의 전방부분에서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 전방관통공과, 상기 블럭체의 후방부분에서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 후방관통공과, 상기 전방관통공과 상기 후방관통공의 경계가 되도록 중앙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벽과, 상기 후방관통공이 형성된 부분의 양측 상부에서 수직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턱과, 상기 블럭체의 후방의 양측 모서리부분에서 후방과 측방으로 각각 소정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모서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식생옹벽블럭은, 상기 돌출턱은 수직 돌출되게 형성되어 전면턱과 후면턱이 형성되되, 상기 블럭체의 축조시 상부에 안착된 블럭체의 상기 걸림벽의 전방벽 또는 후방벽에 하방의 블럭체의 상기 돌출턱의 전면턱 또는 후면턱이 걸려 서로 지지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식생옹벽블럭은, 상기 블럭체의 상기 돌출턱이 형성된 전방의 양측 상면에는 상기 블럭체의 외측으로 개방된 요홈이 형성되고, 그 요홈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천공된 삽입공이 형성되되, 상기 블럭체가 나란하게 배열되어 "┌┐"자 형태의 고정핀이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고, 삽입된 고정핀은 상기 요홈에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식생옹벽블럭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옹벽블럭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옹벽블럭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옹벽블럭이 축조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옹벽블럭(1)은,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 블럭체로서, 전면조형부(10), 전방관통공(20), 후방관통공(30), 걸림벽(40), 돌출턱(50), 돌출모서리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면조형부(10)는 본 고안 식생옹벽블럭(1)이 다단으로 축조되어 전면방향의 조형미를 돋보이게 한다. 상기 전면조형부(10)는 파형곡선(11), 경사면(12), 수평연장면(13)으로 구성된다.
상기 파형곡선(11)은 전면의 중앙부분에 파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바람이나 수분이 자연스럽게 유동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12)은 상기 파형곡선(11)의 끝나는 지점 양측방향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넓어지게 형성된다. 상기 수평연장면(13)은 상기 경사면(12)이 끝나는 지점 양측방향에서 각각 외측방향의 말단 부분까지 소정 수평면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전방관통공(20)은 상기 식생옹벽블럭(1)의 전방부분에서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방관통공(20)은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전방관통공(20)은 상기 식생옹벽블럭(1)이 축조될 때 식재가 가능한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환경친화적인 자연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후방관통공(30)은 상기 식생옹벽블럭(1)의 후방부분에서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후방관통공(30)은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협소해지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후방관통공(30)은 상기 식생옹벽블럭(1)이 축조될 때 주변의 수압이나 토압에 의하여 옹벽이 붕괴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보강토가 채워져 견고히 버틸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방관통공(20)과 후방관통공(30)은 그 내부가 사방이 밀폐된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방관통공(20)과 후방관통공(30)의 내부에 채워진 토사의 유출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걸림벽(40)은 상기 전방관통공(20)과 상기 후방관통공(30)의 경계가 되도록 중앙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벽(40)은 상기 전방관통공(20) 방향의 전방벽(41)과 상기 후방관통공(30) 방향의 후방벽(42)으로 구성된다.
상기 돌출턱(50)은 상기 후방관통공(30)이 형성된 부분의 양측 상부에서 수직 돌출되게 형성되어 그 전방부분의 전면턱(51)과 후방부분의 후면턱(52)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모서리부(60)는 상기 식생옹벽블럭(1)의 후방의 양측 모서리 부분에서 각각 후방과 측방으로 소정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돌출모서리부(60)는 후방의 양측에서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각각 후방돌출부(61)와 외측돌출부(62)가 형성되어 상기 식생옹벽블럭(1)의 운반 또는 시공시 용이하게 파지가 가능하고, 상기 돌출모서리부(60)가 형성된 부분의 충격시 상기 식생옹벽블럭(1)이 크게 파손되는 취약점을 보완한다. 또한, 상기 돌출모서리부(60)는 상기 식생옹벽블럭(1)의 축조시 주변에 토사를 채워 매립되게 함으로써 상기 식생옹벽블럭(1)의 상기 돌출모서 리부(60)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상기 후방돌출부(61)와 외측돌출부(62)가 토압에 의해 단단히 지지되어 상기 식생옹벽블럭(1)이 자연현상으로 인하여 쉽게 이동되는 것을 예방한다.
한편, 도 3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옹벽블럭을 수직하게 축조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옹벽블럭을 경사지게 축조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식생옹벽블럭(1)은 시공현장의 상황에 따라 용이하게 축조 가능하게 형성된 것으로, 수직한 옹벽을 구축하고자 할 때 상부에 안착된 식생옹벽블럭(1')의 상기 걸림벽(40')의 후방벽(42')이 하방의 식생옹벽블럭(1)의 상기 돌출턱(50)의 전면턱(51)에 걸려 서로 지지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경사진 방향으로 옹벽을 구축하고자 할 때 상부에 안착된 식생옹벽블럭(1')의 상기 걸림벽(40')의 전방벽(41')이 하방의 식생옹벽블럭(1)의 상기 돌출턱(50)의 후면턱(52)에 걸려 서로 지지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옹벽블럭의 고정핀이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식생옹벽블럭(1)의 상기 돌출턱(50)이 형성된 전방의 양측 상면에는 옹벽 축조시 나란하게 배열된 식생옹벽블럭(1)이 서로 단단히 고정되도록 "┌┐"자 형태의 고정핀(2)이 삽입 가능한 삽입공(70)이 형성되되, 상하방향으로 천공된 상기 삽입공(70)의 상부에서 연직방향으로 상기 고정핀(2)이 삽입되며, 삽입된 고정핀(2)이 상기 식생옹벽블럭(1)의 상면에서 하부방향으로 내설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방된 요홈(80)이 움푹하 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 식생옹벽블럭(1)은 동일한 블럭체로 수직과 경사구조의 동시 축조가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옹벽구조체의 시공방법에 따라 그 현장의 여건에 적정하도록 기초작업으로 뒷채움부(L)를 형성하고, 그 전방부분의 하부에 기초콘크리트(C)를 타설 후 그 상부에 상기 식생옹벽블럭(1)이 일정높이만큼 수직구조로 적층된 후 연속하여 경사구조로 적층된다. 이때 상기 경사구조로 적층된 상기 식생옹벽블럭(1)은 상기의 구성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관통공(30)에 보강토를 채워 수압이나 토압으로 인하여 변위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전방관통공(20)에 초식류(T)를 식재함으로써 보다 환경친화적인 옹벽구조체의 구축이 가능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식생옹벽블럭은 다양한 자연현상으로 인하여 경사의 기울기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적당한 구배를 조정함으로써 블럭의 배열을 일정하고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토사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로 형성하여 다양한 식물의 식재가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식생옹벽블럭은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하천 호안축조, 아파트, 도로 절토구간 등에 시공되는 식생옹벽블럭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 블럭체로서, 전면의 중앙부분은 파형의 형태이고, 그 양측 방향으로 소정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이 끝나는 부분에서부터 연장되는 소정 수평면이 형성된 전면조형부와, 상기 블럭체의 전방부분에서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 전방관통공과, 상기 블럭체의 후방부분에서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 후방관통공과, 상기 전방관통공과 상기 후방관통공의 경계가 되도록 중앙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벽과, 상기 후방관통공이 형성된 부분의 양측 상부에서 수직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턱과, 상기 블럭체의 후방의 양측 모서리부분에서 후방과 측방으로 각각 소정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모서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턱은 수직 돌출되게 형성되어 전면턱과 후면턱이 형성되되, 상기 블럭체의 축조시 상부에 안착된 블럭체의 상기 걸림벽의 전방벽 또는 후방벽에 하방의 블럭체의 상기 돌출턱의 전면턱 또는 후면턱이 걸려 서로 지지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블럭체의 상기 돌출턱이 형성된 전방의 양측 상면에는 상기 블럭체의 외측으로 개방된 요홈이 형성되고, 그 요홈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천공된 삽입공이 형성되되,
    상기 블럭체가 나란하게 배열되어 "┌┐"자 형태의 고정핀이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고, 삽입된 고정핀은 상기 요홈에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옹벽블럭.
KR2020060028288U 2006-10-23 2006-10-23 식생옹벽블럭 KR2004377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288U KR200437790Y1 (ko) 2006-10-23 2006-10-23 식생옹벽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288U KR200437790Y1 (ko) 2006-10-23 2006-10-23 식생옹벽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790Y1 true KR200437790Y1 (ko) 2008-01-02

Family

ID=41343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8288U KR200437790Y1 (ko) 2006-10-23 2006-10-23 식생옹벽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79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881B1 (ko) * 2008-12-23 2011-08-23 코단콘크리트 주식회사 옹벽블럭
KR20220067778A (ko) * 2020-11-18 2022-05-25 태화건설(주) 인발저항체와 압력저항체와 조립식 옹벽 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2554314B1 (ko) * 2022-09-19 2023-07-11 박광일 자립형 보강토 옹벽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588637B1 (ko) * 2023-08-25 2023-10-12 베스트플랜에이 주식회사 교량 점검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881B1 (ko) * 2008-12-23 2011-08-23 코단콘크리트 주식회사 옹벽블럭
KR20220067778A (ko) * 2020-11-18 2022-05-25 태화건설(주) 인발저항체와 압력저항체와 조립식 옹벽 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2473132B1 (ko) 2020-11-18 2022-12-02 태화건설(주) 인발저항체와 압력저항체와 조립식 옹벽 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2554314B1 (ko) * 2022-09-19 2023-07-11 박광일 자립형 보강토 옹벽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588637B1 (ko) * 2023-08-25 2023-10-12 베스트플랜에이 주식회사 교량 점검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7790Y1 (ko) 식생옹벽블럭
KR200397518Y1 (ko) 생태 식생옹벽블럭
CN107299646B (zh) 生态挡墙结构及其建造方法
KR100923147B1 (ko) 차수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식 차수벽
KR100566667B1 (ko) 하천 제방의 친환경 매트 블록
KR100461664B1 (ko) 식생 호안블록의 설치구조 및 시공방법.
KR100694874B1 (ko) 사면안정용 방틀형 조립블록
JP2013249705A (ja) 津波防潮堤の施工方法
KR101294664B1 (ko) 투수성 호안블록
KR20010069020A (ko) 호안용 블록 및 그를 이용한 자연형 호안시공법
KR100607235B1 (ko) 하천 제방의 친환경 조립식 매트 블록
KR100478158B1 (ko) 에코투인박스
KR100709103B1 (ko) 메가그린블럭
KR200398018Y1 (ko) 옹벽격자블록
KR200361724Y1 (ko) 식생블럭
CN212223781U (zh) 一种可兼做沿河建筑物基础的框架式挡墙结构
CN216664082U (zh) 一种航道护岸用联锁组合板桩结构
ES2919335B2 (es) Pieza para la ejecucion de diques para el control de la erosion en carcavas
KR102231712B1 (ko) 목재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KR200402406Y1 (ko) 다공성콘크리트를 이용한 사면 보강용 친환경 옹벽블록
KR200410820Y1 (ko) 하천 옹벽기초 세굴방지구조
KR102244753B1 (ko) 친환경 목재 옹벽
JP4116019B2 (ja) 護岸ブロック
KR102152973B1 (ko) 월류방지벽의 설치구조
KR200386587Y1 (ko) 환경식생 호안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