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018Y1 - 옹벽격자블록 - Google Patents

옹벽격자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018Y1
KR200398018Y1 KR20-2005-0019663U KR20050019663U KR200398018Y1 KR 200398018 Y1 KR200398018 Y1 KR 200398018Y1 KR 20050019663 U KR20050019663 U KR 20050019663U KR 200398018 Y1 KR200398018 Y1 KR 2003980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grid block
block body
wall grid
lattic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6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영웅
Original Assignee
허영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영웅 filed Critical 허영웅
Priority to KR20-2005-00196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0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0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0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옹벽격자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옹벽격자블록은, 노출사면 보호용 옹벽격자블록에 있어서, 옹벽격자블록몸체; 상기 관통공 내에 위치하고, 상기 옹벽격자블록몸체 내부에 테두리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옹벽격자블록몸체를 상부와 하부로 양분시키는 바둑판 형상의 메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메쉬부의 설치로 인하여 토사등이 비바람으로 인해 쉽게 유출되는 것을 줄이고, 결착력을 증대시키며, 설치작업이 간편하여 공사기간의 단축을 도모 할 수 있다.

Description

옹벽격자블록 {Lattice block for retaining wall}
본 고안은 옹벽격자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옹벽격자블록에 메쉬부를 형성하여 흙이 유출되는 것을 줄이고, 옹벽격자블록간의 결착력을 증대시키는 옹벽격자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격자블록은, 빗물등으로 인해 비탈면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 또는 제방등의 비탈면에 설치된다. 종래의 옹벽격자블록의 구조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관통공이 형성된 몸체는 각 면이 평평한 형상으로 제작되어 비탈면에 설치된다. 옹벽격자블록과 옹벽격자블록 사이에 몰탈을 주입하여 결합하거나, 마찰력 및 중력의 가압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관통공에 토사를 충전하여 녹화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방법에서 옹벽격자블록에 채워진 흙이 비바람에 의해 쉽게 유출되고, 옹벽격자블록과 옹벽격자블록을 결합시키는 수단이 마땅치가 않아서 외부의 충격이나 자연재해로 인하여 쉽게 뒤틀리거나 붕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도로 또는 제방등의 비탈면에 옹벽격자블록을 간편하게 조립하여 고정시키고, 흙이 유출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옹벽격자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옹벽격자블록은, 노출사면 보호용 옹벽격자블록에 있어서, 옹벽격자블록몸체; 상기 옹벽격자블록몸체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 내에 위치하고, 상기 옹벽격자블록몸체 내부에 테두리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옹벽격자블록몸체를 상부와 하부로 양분시키는 바둑판 형상의 메쉬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옹벽격자블록몸체와 인접하는 다른 옹벽격자블록과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옹벽격자블록몸체의 측부에 결합부재가 끼워지는 결합공을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옹벽격자블록몸체의 일면에 돌기가 형성되고 타면에 홈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돌기가 인접하는 다른 옹벽격자블록의 홈에 형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옹벽격자블록몸체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돌기와 홈이 대향되게 형성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옹벽격자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옹벽격자블록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옹벽격자블록은 옹벽격자블록몸체(10),상기 옹벽격자블록몸체(10)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공(20), 상기 관통공(20) 내에 설치되며 상기 옹벽격자블록몸체(10) 내부에 테두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메쉬부(30)를 구비한다.
상기 옹벽격자블록몸체(10)에는 관통공(20)이 형성되어 있다. 옹벽격자블록몸체(10)의 일면에는 돌기(50)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홈(60)이 형성된다. 상기 돌기(50)는 옹벽격자블록몸체(10)와 인접하는 옹벽격자블록(100)에 형성된 홈(60)에 형합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옹벽격자블록몸체(10)의 양측면에는 결합공(40)이 형성되어 있다. 옹벽격자블록몸체(10)와 인접하는 옹벽격자블록(100)의 결합공(40)에 체결부재(미도시)가 끼워져서 상기 옹벽격자블록몸체(10)와 인접하는 옹벽격자블록(100)을 결합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부재는 볼트와 너트 또는 리벳을 사용한다.
여기서,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옹벽격자블록몸체(10)의 측부에 결합공(4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각 면에 결합공(40)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공(40)은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옹벽격자블록몸체(10)는 서로 마주보는 면의 외측면끼리 즉, 일면과 타면, 좌측면과 우측면에 돌기(50) 및 홈(60)이 서로 대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공통된 특징은 옹벽격자블록(100)간의 결합을 전·후·좌·우로 연속하여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아울러, 옹벽격자블록몸체(10)의 일측면에는 돌기(50)가 형성되고 그 좌·우측으로 결합공(40)이 형성된다. 즉, 옹벽겨자블록몸체(10)의 하나의 측면에 돌기(50)와 결합공(40) 또는 홈(60)과 결합공(40)이 형성된 형상이 된다. 상기 일측면에 형성된 돌기(50)가 인접하는 옹벽격자블록(100)의 홈(60)에 형합되고 결합공(40)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옹벽격자블록(100)간의 결착력을 향상시킨다.
상기 관통공(20)에 객토를 충전하거나 자갈 및 토사가 채워진다. 관통공(20)은 식생이 자랄 수 있는 면적을 최대한으로 하기 위하여 사각형상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조경미를 주기위하여 원형이나 다각형의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메쉬부(30)는 상기 옹벽격자블록몸체(10)를 타설하여 제작시 거푸집을 이용하여 옹벽격자블록몸체(10) 내부에 메쉬부(30) 테두리가 삽입되도록 제작되어 일체를 이룬다. 메쉬부(30)는 옹벽격자블록몸체(10)를 상부와 하부로 양분시키는 역활을 한다.
상기 메쉬부(30)의 재질은 섬유보강재가 사용된다. 섬유보강재는 주로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이 사용된다. 폴리에틸렌은 사후 원료의 재활용이 가능함으로 폐기할 필요성이 없어 환경 오염방지 및 국가적으로 원자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러나, 메쉬부(30)의 재질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한정되어서는 않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부(30)의 형상은 바둑판 형상을 하고 있지만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아울러, 옹벽격자블록(100)의 재질은 친환경무기소재가 사용됨으로써 생물의 다양성을 보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옹벽격자블록몸체(10) 내에 메쉬부(30)가 삽입되는 구조 이외에 메쉬부(30)가 옹벽격자블록몸체(10) 내에 결착되는 수많은 체결방식이 포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관통공(20)에 즉, 메쉬부(30)에는 식생이 가능하도록 객토가 충전된다. 상기 객토는 메쉬부(30)의 형성으로 결착력이 높아지므로 비바람으로 인해 객토가 유출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자갈 및 토사가 관통공(20)에 채워져 시간이 지나면 고착되어 단단히 고정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옹벽격자블록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옹벽격자블록몸체(10)의 일단에 형성된 돌기(50)는 인접한 옹벽격자블록(100)의 타단에 형성된 홈(60)에 형합된다. 상기 형합된 옹벽격자블록(100)은 돌기(50)와 홈(60)의 크기가 다르므로 양쪽으로 슬라이딩되어 어긋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돌기(50)와 홈(60)의 마찰력으로 인해 손쉽게 이동되지 않으며, 설치후 몰탈을 주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음을 감안해야 한다. 또한, 옹벽격자블록몸체(10)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공(40)에 의해서 인접한 옹벽격자블록(100)을 상기 옹벽격자블록몸체(10)와 결합시킬 수도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옹벽격자블록이 비탈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옹벽격자블록은, 빗물등 자연적인 재해로 비탈면이 침전, 풍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 또는 제방등의 비탈면에 설치된다.
상기 비탈면의 하단과 상단에 타설된 콘크리트에 의해 옹벽격자블록(100)이 지지된다. 비탈면에 옹벽격자블록(100)을 결합하여 설치하고, 관통된 공간에 자갈 및 토사가 채워진다. 이때, 옹벽격자블록(100)을 비탈면에 설치시 결합공(40)과 인접한 결합공(40)에 결합부재를 삽입하여 결합한 뒤에 자갈 및 토사가 채워져야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옹벽격자블록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메쉬부의 설치로 인하여 토사등이 빗물,바람으로 인해 쉽게 유출되는 것을 줄이고, 결착력을 증대시킨다.
둘째, 중기시공(重機施工)에 의해 작업이 간편하고, 공사기간의 단축을 도모 할 수 있다.
셋째, 침식이나 풍화에 우려가 있어, 식생만으로 불충분한 경우에 사용된다.
넷째, 객토를 충전하여 녹화를 도모하는 등, 환경에 따른 시공방법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옹벽격자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옹벽격자블록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옹벽격자블록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옹벽격자블록이 비탈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옹벽격자블록몸체 20 : 관통공
30 : 메쉬부 40 : 결합공
50 : 돌기 60 : 홈
100 : 옹벽격자블록

Claims (4)

  1. 노출사면 보호용 옹벽격자블록에 있어서,
    옹벽격자블록몸체;
    상기 옹벽격자블록몸체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 내에 위치하고, 상기 옹벽격자블록몸체 내부에 테두리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옹벽격자블록몸체를 상부와 하부로 양분시키는 바둑판 형상의 메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격자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격자블록몸체와 인접하는 다른 옹벽격자블록과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옹벽격자블록몸체의 측부에 결합부재가 끼워지는 결합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격자블록.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격자블록몸체의 일면에 돌기가 형성되고 타면에 홈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돌기가 인접하는 다른 옹벽격자블록의 홈에 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격자블록.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격자블록몸체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돌기와 홈이 대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격자블록.
KR20-2005-0019663U 2005-07-06 2005-07-06 옹벽격자블록 KR2003980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663U KR200398018Y1 (ko) 2005-07-06 2005-07-06 옹벽격자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663U KR200398018Y1 (ko) 2005-07-06 2005-07-06 옹벽격자블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0775A Division KR100723646B1 (ko) 2005-07-06 2005-07-06 옹벽격자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018Y1 true KR200398018Y1 (ko) 2005-10-11

Family

ID=43699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663U KR200398018Y1 (ko) 2005-07-06 2005-07-06 옹벽격자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01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927B1 (ko) 2006-03-07 2006-10-18 (주)공간에이엔앰건축사사무소 건축물 경사면 보강 공법
KR100955195B1 (ko) * 2009-07-24 2010-04-29 윤세균 황토 코아를 구비한 호안 블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927B1 (ko) 2006-03-07 2006-10-18 (주)공간에이엔앰건축사사무소 건축물 경사면 보강 공법
KR100955195B1 (ko) * 2009-07-24 2010-04-29 윤세균 황토 코아를 구비한 호안 블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23350A (zh) 一种混凝土框式生态护坡模块、护坡及其安装方法
KR100723646B1 (ko) 옹벽격자블록
KR100704408B1 (ko) 식생용 블럭
KR102344810B1 (ko) 갤러리 블록 교체가 가능한 보강토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구조
KR200398018Y1 (ko) 옹벽격자블록
CN105256811B (zh) 具有止水功能的板桩支护结构进行基坑支护的施工方法
KR100689761B1 (ko) 식생블럭 조립체
KR102095581B1 (ko) 조립식 빗물 저류용 블록과 그 블록을 이용한 빗물 저류 구조물 및 시공방법
KR100899680B1 (ko) 일체형 구조를 갖는 배수블럭
KR200437790Y1 (ko) 식생옹벽블럭
KR200422445Y1 (ko) 사면보호용 식생블록 구조체
KR101173505B1 (ko) 경관블록 사방댐
KR100855150B1 (ko) 토목용 다용도 생태블럭
KR101068857B1 (ko) 원추형 기초용기
KR101976073B1 (ko) 배수 및 저류 성능이 우수한 블록 및 블록 세트
CN211256717U (zh) 快速拼接装配式涵洞
KR102437778B1 (ko) 게비온 옹벽블록
CN202509521U (zh) 路基边坡挡护结构
CN204282200U (zh) 端墙式桥台
KR200398019Y1 (ko) 옹벽격자블록
KR200361724Y1 (ko) 식생블럭
CN202347526U (zh) 一次性模具及采用该模具的植被护坡结构
CN204343122U (zh) 电网建设自锚式预应力钢筋混凝土滑板结构
CN202380469U (zh) 一次性模具及采用该模具的植被护坡结构
KR200358608Y1 (ko) 현장타설식 자연형 플라스틱 포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