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505B1 - 경관블록 사방댐 - Google Patents

경관블록 사방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3505B1
KR101173505B1 KR1020100070817A KR20100070817A KR101173505B1 KR 101173505 B1 KR101173505 B1 KR 101173505B1 KR 1020100070817 A KR1020100070817 A KR 1020100070817A KR 20100070817 A KR20100070817 A KR 20100070817A KR 101173505 B1 KR101173505 B1 KR 101173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dy portion
landscape
vegetation
landscap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9077A (ko
Inventor
임철식
Original Assignee
임철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철식 filed Critical 임철식
Priority to KR1020100070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3505B1/ko
Publication of KR20120009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02B7/04Dams across valleys
    • E02B7/08Wall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경관블록 사방댐이 개시되어 있다.
토석차단벽(10)을 갖는 경관블록 사방댐에 있어서,
상기 토석차단벽(10)의 최상층(11)은 다수의 제1 경관블록(110)을 수평 연결부재(140)에 의해 수평 연결하여 구성되며, 상기 토석차단벽(10)의 중간층(12) 및 하층은 다수의 제1 경관블록(110)과 제2 경관블록(120)을 수평 연결부재(140) 및 연직 연결부재(150)에 의해 수평 및 연직으로 연결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 경관블록(110)은 상?하면(112,113) 및 4개의 측면(114)을 갖는 육면체 형상의 제1 몸체부(111)가 구성되며, 상기 제1 몸체부(111)의 상면 각 모서리 측에 제1 체결홈(115)이 구성되고, 상기 제1 몸체부(111)의 마주하는 양측면에 식생토 또는 식생마대(160)가 충진되는 제1 식생홈(116)이 구성되며, 상기 제1 몸체부(111)의 상?하면(112,113)을 관통하는 수직상의 제1 통공(117)이 구성되어지며,
상기 제2 경관블록(120)은 상?하면(122,123) 및 4개의 측면(124)을 갖는 육면체 형상의 제2 몸체부(121)가 구성되며, 상기 제2 몸체부(121)의 상면 각 모서리측에 제2 체결홈(125)이 구성되고, 상기 제2 몸체부(121)의 마주하는 양 측면에 상기 제1 경관블록(110)의 식생홈(116)에 삽입되는 제1 결합돌기(126)가 각각 구성되며, 상기 제2 몸체부(121)의 상?하면(122,123)을 관통하는 수직상의 제2 통공(128)이 구성되어지고,
상기 수평 연결부재(140)는 상기 제1 몸체부(111)중 선택된 2개 또는 4개의 몸체부나 제2 몸체부(121)중 선택된 2개 또는 4개의 몸체부를 수평으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밀착된 몸체부의 제1, 2 체결홈(115,125)에 공통으로 안착되는 연결판(141)이 구성되며, 상기 연결판(141)과 각 체결홈(115,125)을 체결하는 체결볼트(142)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연직 연결부재(150)는 상기 각 통공(117,128)에 내장되는 연결너트(151)가 구성되며, 상기 연결너트(151)에 일단이 체결되고 다른 일단은 연직상으로 적층되는 다른 연결너트와 체결되는 전산볼트(152)로 구성되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경관블록 사방댐{Debris barrier}
본 발명은 경관블록 사방댐에 관한 것이다.
사방댐(debris barrier)이란 유역의 상류지역 또는 단지개발에 따른 토사유입 예상지에 시설하여 유송된 모래 및 자갈 등을 저류 또는 조절하는 댐의 한 종류로서, 특히 사방댐은 모래 및 자갈의 유동이 심한 곳에 시설되어, 상류쪽에 자갈을 퇴적시켜서 하상을 완만한 구배로 안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사방댐은 산사태 및 상습 수해지역에 홍수로 인한 산림재해를 예방하여 하류의 주민 생활 보호와 농경지의 침식을 방지하며, 국지성 집중호우 대비와 자연재해를 예방하며, 산림유역의 수원함양, 수질정화 및 환경기능 강화, 산림자원의 증식을 꾀할 수 있다.
통상의 사방댐은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시공된다. 주지하듯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작업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기초공사에 해당되는 거푸집 설치작업을 해야 하고, 설치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해야 하며, 타설이 완료된 이후에는 양생과정을 거쳐야 하고,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을 해체해야 하는 등 번거로운 다단의 작업과정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아울러, 여름에 발생된 수해의 복구를 위해 사방댐을 시공할 경우, 해당 지역의 예산 절차상 늦가을에 발주되어 동절기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양생해야 하기 때문에 통상 다음해로 시공예산이 이월되어 봄철에 시급하게 댐공사를 해야 했으므로 시공불량의 우려가 있으며, 아울러 도로와 제방 등 여러 분야의 수해복구 공사가 한꺼번에 몰릴 경우 레미콘의 즉시 조달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댐 시공이 지연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콘크리트(철근 또는 무근 콘크리트)로 사방댐을 시공할 경우, 사방댐에 식물을 조성할 수 없어서 친환경적이지 않고, 경관을 해치게 되므로 혐오시설로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러 형태의 블록을 수평 및 연직방향으로 결합함으로써 간단하게 사방댐을 만들수 있고, 상층 및 하류측 벽면에는 다른 형태의 블록을 조립함으로써 방수로 및 식생공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한 경관블록 사방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관블록 사방댐은, 토석차단벽(10)을 갖는 경관블록 사방댐에 있어서,
상기 토석차단벽(10)의 최상층(11)은 다수의 제1 경관블록(110)을 수평 연결부재(140)에 의해 수평 연결하여 구성되며, 상기 토석차단벽(10)의 중간층(12) 및 하층은 다수의 제1 경관블록(110)과 제2 경관블록(120)을 수평 연결부재(140) 및 연직 연결부재(150)에 의해 수평 및 연직으로 연결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 경관블록(110)은 상?하면(112,113) 및 4개의 측면(114)을 갖는 육면체 형상의 제1 몸체부(111)가 구성되며, 상기 제1 몸체부(111)의 상면 각 모서리 측에 제1 체결홈(115)이 구성되고, 상기 제1 몸체부(111)의 마주하는 양측면에 식생토 또는 식생마대(160)가 충진되는 제1 식생홈(116)이 구성되며, 상기 제1 몸체부(111)의 상?하면(112,113)을 관통하는 수직상의 제1 통공(117)이 구성되어지며,
상기 제2 경관블록(120)은 상?하면(122,123) 및 4개의 측면(124)을 갖는 육면체 형상의 제2 몸체부(121)가 구성되며, 상기 제2 몸체부(121)의 상면 각 모서리측에 제2 체결홈(125)이 구성되고, 상기 제2 몸체부(121)의 마주하는 양 측면에 상기 제1 경관블록(110)의 식생홈(116)에 삽입되는 제1 결합돌기(126)가 각각 구성되며, 상기 제2 몸체부(121)의 상?하면(122,123)을 관통하는 수직상의 제2 통공(128)이 구성되어지고,
상기 수평 연결부재(140)는 상기 제1 몸체부(111)중 선택된 2개 또는 4개의 몸체부나 제2 몸체부(121)중 선택된 2개 또는 4개의 몸체부를 수평으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밀착된 몸체부의 제1, 2 체결홈(115,125)에 공통으로 안착되는 연결판(141)이 구성되며, 상기 연결판(141)과 각 체결홈(115,125)을 체결하는 체결볼트(142)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연직 연결부재(150)는 상기 각 통공(117,128)에 내장되는 연결너트(151)가 구성되며, 상기 연결너트(151)에 일단이 체결되고 다른 일단은 연직상으로 적층되는 다른 연결너트와 체결되는 전산볼트(152)로 구성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경관블록(110) 및 제2 경관블록(120)의 측면(114,124)중 하류를 향하는 일측면에 식생토 또는 식생마대(160)가 충진되는 제2 식생홈(118,129)이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 식생홈(118,129)은 원형, 타원형, 반원형, 반타원형, 각형, 반각형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식생홈(118), 제1 결합홈(127), 제1 결합돌기(126)의 각 모서리가 모따기(C)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토석차단벽(10)의 상부 중앙부에, 양쪽으로 다수의 경사블록(130)이 배치되는 방수로(13)가 구성되되, 상기 경사블록(130)은 상기 방수로(13)의 측벽을 이루는 경사진 상면(132) 및 하면(133), 3개의 측면(134)을 갖는 5면체 형상의 제3 몸체부(131)가 구성되며, 상기 제3 몸체부(131)의 상면 각 모서리 측에 제3 체결홈(134)이 구성되고, 상기 제3 몸체부(131)의 마주하는 양측면에 제3 식생홈(135)이 구성되며, 상기 제3 몸체부(131)의 상?하면(132,133)을 관통하는 제3 통공(136)이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경사블록(130)은 상기 수평 연결부재(140)에 의해 수평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직 연결부재(150)에 의해 상기 제2 경관블록(120)과 연직으로 연결되게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관블록을 횡 및 종방향으로 끼워맞춤 및 체결하여 사방댐을 구성함으로써, 사방댐을 간편 및 신속하고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고 나아가 사방댐의 신뢰성 및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아울러, 시공의 간편성 및 단축성으로 인해 수해복구용 사방댐이나 시급을 요하는 사방댐의 시공에 유용하며, 토석차단벽에 식물을 조성할 수 있어서 경관이 미려하고 자연친화적이며 생태적인 사방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관블록 사방댐 및 토석차단벽의 개괄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을 B방향에서 바라본 토석차단벽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관블록 사방댐의 제1 경관블록의 구성도로서, 도 1의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관블록의 식생홈에 식생마대를 충진하는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관블록 사방댐의 제2 경관블록의 구성도로서, 도 1의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경관블록 사방댐의 경사블록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경관블록 사방댐에 있어서 하류측에 배치되는 제1 경관블록의 구성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경관블록 사방댐에 있어서 하류측에 배치되는 제1 경관블록의 다른 구성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경관블록 사방댐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관블록 사방댐 및 토석차단벽의 개괄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경관블록 사방댐(D)은 하천의 양측으로 댐어깨(1)가 시공되고, 상기 댐어깨(1) 사이에는 댐어깨(1)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토석차단벽(10)이 시공되어 상류에서 물과 같이 흘러 내려오는 토석이 하류로 흘러 내려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경관블록 사방댐(D)의 하류측 양쪽에는 상기 댐어깨(1)로 부터 연이어지는 측벽(2)이 구성되며, 상기 측벽(2)의 사이에는 상류에서 하류로 흐르는 물에 의해 하류측 바닥의 흙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받이부(3)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물받이부(3)의 선단에는, 물받이부에 일정량의 물이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물막이 벽(4)이 설치되며, 상기 물막이 벽(4)에는 배수홀(4a)이 형성되어 물의 흐름을 유지하게 된다.
도 2는 도 1을 B방향에서 바라본 토석차단벽의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토석차단벽(10)은 일정크기의 단위블록(110,120,130)들을 길이 및 폭방향으로 수평 연결부재(140)에 의해 결속하여 만들어지는 수평상의 블록조립판들을 다수개 마련하고 이들을 연직으로 조적하여 시공되며, 각 블록조립판들은 연직 연결부재(150)에 의해 결속되어 일체화됨으로써 상기의 토속차단벽(10)이 만들어지게 된다. 이러한 토석차단벽(10)의 상단 중앙부에는 방수로(放水路, tailrace)(11)가 필수적으로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관블록 사방댐의 제1 경관블록의 구성도로서, 도 1의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D-D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관블록의 식생홈에 식생마대를 충진하는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관블록 사방댐의 제2 경관블록의 구성도로서, 도 1의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E-E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경관블록 사방댐의 경사블록의 구성도이다.
위 도면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경관블록 사방댐(D)의 토석차단벽(10)(도 1, 2참조)은 그 상면을 형성하는 제1 경관블록(110), 상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를 형성하는 제2 경관블록(120), 상기 방수로(13)의 양측 구배면을 형성하는 경사블록(130)들을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조합하여 이루어진다.
제1 경관블록(110)은 도 3 및 도 4에서 보듯이, 상면(112), 하면(113) 및 4개의 측면(114)들을 갖는 육면체 형상의 제1 몸체부(111)가 구성된다.
제1 경관블록(110)은 상기 제1 몸체부(111)의 상면(112) 각 모서리 측에 제1 체결홈(115)이 구성된다.
제1 경관블록(110)은 상기 제1 몸체부(111)의 마주하는 양측면에 제1 식생홈(116)이 구성된다. 제1 식생홈(116)은 제1 경관블록(110)의 평면에서 볼 때 예컨대 "ㄷ"자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제1 경관블록(110)을 평면에서 볼 때 알파벳 H자 형태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제1 경관블록(110)을 수평상으로 밀착 배치하게 되면 2개의 "ㄷ"자형 제1 식생홈(116)이 조합되어 "ㅁ"자 형상의 밀폐형 식생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식생홈(116)의 각 모서리는 블록들의 결합시 모서리가 파손됨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모따기(C)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경관블록(110)은 상기 제1 몸체부(111)의 상,하면(112,113)을 관통하는 수직상의 제1 통공(117)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통공(117)의 상단 및 하단에는 와셔 및 너트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117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경관블록(120)은 도 6 및 도 7에서 보듯이, 상,하면(122,123) 및 4개의 측면(124)들을 갖는 육면체 형상의 제2 몸체부(121)가 구성된다.
제2 경관블록(120)은 상기 제2 몸체부(121)의 상면(122) 각 모서리 측에 제2 체결홈(125)이 구성된다.
제2 경관블록(120)은 상기 제2 몸체부(121)의 마주하는 양 측면에는 제1 결합돌기(126)가 각각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결합돌기(126)의 각 모서리는 블록들의 결합시 모서리가 파손됨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모따기(C)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경관블록(120)은 상기 제2 몸체부(121)의 상,하면(122,123)을 관통하는 수직상의 제2 통공(128)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통공(128)의 상단 및 하단에는 와셔 및 너트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128a)이 형성될 수 있다.
수평 연결부재(140)는 도 3, 6 및 도 7에서 나타나 있듯이, 블록들을 수평상으로 연결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결판(141) 및 체결볼트(142)로 구성된다.
연결판(141)은 상기 제1 몸체부(111)나 제2 몸체부(121) 2개 또는 4개를 수평으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밀착된 몸체부들의 제1 체결홈(115) 또는 제2 체결홈(125)에 공통으로 안착된다.
상기 체결볼트(142)는 상기 연결판(141)과 각 체결홈(115,125)를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제2 경관블록(120)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경우, 제2 경관블록(120)들을 상호 밀착시킨 상태에서 밀착된 제2 경관블록(120)들을 4개 단위로 구획하고, 구획된 4개 단위의 제2 경관블록(120)들의 제2 체결홈(125)에 연결판(141)을 공통으로 안착하며, 연결판(141)과 제2 체결홈(125)을 체결볼트(142)로 체결함으로써 4개의 제2 경관블록(120)들이 일체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과정을 수회 반복하게 되면 원하는 크기의 블록조립체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연직 연결부재(150)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 블록들을 연직으로 연결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2 통공(117,128)에 내장되는 연결너트(151)가 구성되며, 상기 연결너트(151)에 일단이 체결되고 다른 일단은 연직상으로 적층되는 다른 연결너트와 체결되는 전산볼트(152)로 구성된다. 상기 전잔볼트(152)의 상측은 와셔(153) 및 조임너트(154)로 마감된다.
여기서, 상기 전산볼트(152) 및 연결너트(151)는 도 4 및 도 7에서와 같이 하단에 후크부(156)를 갖는 후크볼트(155)로 대체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설명된 제1 경관블록(110) 및 제2 경관블록(120)을 이용하는 토석차단벽(10)의 최상층(11)은 다수의 제1 경관블록(110)을 수평 연결부재(140)에 의해 수평 연결하여 구성하며, 토석차단벽(10)의 그 외층(12)은 다수의 제1 경관블록(110)과 제2 경관블록(120)을 수평 연결부재(140) 및 연직 연결부재(150)에 의해 수평 및 연직으로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토석차단벽(10)의 상부 중앙에는 측벽이 경사진 방수로(13)가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방수로의 측벽은 경사진 것을 감안하여 앞서 설명된 평판형의 제1 경관블록(110) 및 제2 경관블록(120)과는 달리 상면이 구배진 경사블록(130)이 적용된다.
상기 경사블록(130)은 도 9에서와 같이, 방수로(13)의 측벽을 이루는 경사진 상면(132), 평활한 하면(133) 및 3개의 측면(134)을 갖는 5면체 형상의 제3 몸체부(131)가 구성된다.
경사블록(130)은 상기 제3 몸체부(131)의 상면 각 모서리 측에 제3 체결홈(135)이 구성된다. 상기 제3 체결홈(135)은 다른 경사블록의 제3 체결홈과 수평 연결부재(140)에 의해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제1 경관블록(110)의 제1 체결홈(115)와 수평 연결부재(14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경사블록(130)은 상기 제3 몸체부(131)의 마주하는 양측면에 제3 식생홈(136)이 구성된다. 제3 식생홈(136)은 경사블록(130)의 평면에서 볼 때 예컨대 "ㄷ"자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경사블록(130)을 평면에서 볼 때 알파벳 H자 형태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한 쌍의 경사블록(130)을 수평상으로 밀착 배치하게 되면 2개의 "ㄷ"자형 제3 식생홈(136)이 조합되어 "ㅁ"자 형상의 밀폐형 식생홈이 형성된다.
경사블록(130)은 상기 제3 몸체부(131)의 상,하면(132,133)을 관통하는 제3 통공(137)이 구성된다. 이 제3 통공(137)은 연직 연결부재(150)에 의해 경사블록(13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경관블록(120)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3 통공(137)의 상단 및 하단에는 와셔 및 너트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137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경관블록 사방댐에 있어서 하류측에 배치되는 제1 경관블록의 구성예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경관블록 사방댐에 있어서 하류측에 배치되는 제1 경관블록의 다른 구성예이다.
위 도면에서 보듯이, 상기 제1 경관블록(110) 및 제2 경관블록(120)중 토석차단벽(10)의 하류측 벽면을 구성하는 제1 경관블록(110) 및 제2 경관블록(120)의 일측면에는 제2 식생홈(118,129(미도시))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식생홈(118,129(미도시))은 원형, 타원형, 반원형(도 9에 명시됨), 반타원형, 각형, 반각형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제1,2,3 식생홈(116,118,129,135)에는 흙을 주입하고, 주입된 흙에 식물을 식재함으로써 토석차단벽(10)의 상면 및 하류측 벽면을 자연친화적인 형태로 조성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 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토석차단벽 11 : 최상층
12 : 그 외층 110 : 제1 경관블록
111 : 제1 몸체부 115 : 제1 체결홈
116 : 제1 식생홈 117 : 제1 통공
120 : 제2 경관블록 121 : 제2 몸체부
125 : 제2 체결홈 126 : 제1 결합돌기
128 : 제2 통공 130 : 경사블록
131 : 제3 몸체부 135 : 제3 체결홈
136 : 제3 식생홈 137 : 제3 통공
140 : 수평 연결부재 150 : 연직 연결부재

Claims (6)

  1. 토석차단벽(10)을 갖는 경관블록 사방댐에 있어서,
    상기 토석차단벽(10)의 최상층(11)은 다수의 제1 경관블록(110)을 수평 연결부재(140)에 의해 수평 연결하여 구성되며, 상기 토석차단벽(10)의 중간층(12) 및 하층은 다수의 제1 경관블록(110)과 제2 경관블록(120)을 수평 연결부재(140) 및 연직 연결부재(150)에 의해 수평 및 연직으로 연결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 경관블록(110)은 상?하면(112,113) 및 4개의 측면(114)을 갖는 육면체 형상의 제1 몸체부(111)가 구성되며, 상기 제1 몸체부(111)의 상면 각 모서리 측에 제1 체결홈(115)이 구성되고, 상기 제1 몸체부(111)의 마주하는 양측면에 식생토 또는 식생마대(160)가 충진되는 제1 식생홈(116)이 구성되며, 상기 제1 몸체부(111)의 상?하면(112,113)을 관통하는 수직상의 제1 통공(117)이 구성되어지며,
    상기 제2 경관블록(120)은 상?하면(122,123) 및 4개의 측면(124)을 갖는 육면체 형상의 제2 몸체부(121)가 구성되며, 상기 제2 몸체부(121)의 상면 각 모서리측에 제2 체결홈(125)이 구성되고, 상기 제2 몸체부(121)의 마주하는 양 측면에 상기 제1 경관블록(110)의 식생홈(116)에 삽입되는 제1 결합돌기(126)가 각각 구성되며, 상기 제2 몸체부(121)의 상?하면(122,123)을 관통하는 수직상의 제2 통공(128)이 구성되어지고,
    상기 수평 연결부재(140)는 상기 제1 몸체부(111)중 선택된 2개 또는 4개의 몸체부나 제2 몸체부(121)중 선택된 2개 또는 4개의 몸체부를 수평으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밀착된 몸체부의 제1, 2 체결홈(115,125)에 공통으로 안착되는 연결판(141)이 구성되며, 상기 연결판(141)과 각 체결홈(115,125)을 체결하는 체결볼트(142)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연직 연결부재(150)는 상기 각 통공(117,128)에 내장되는 연결너트(151)가 구성되며, 상기 연결너트(151)에 일단이 체결되고 다른 일단은 연직상으로 적층되는 다른 연결너트와 체결되는 전산볼트(152)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관블록 사방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관블록(110) 및 제2 경관블록(120)의 측면(114,124)중 하류를 향하는 일측면에 식생토 또는 식생마대(160)가 충진되는 제2 식생홈(118,129)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관블록 사방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생홈(118,129)은 원형, 타원형, 반원형, 반타원형, 각형, 반각형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관블록 사방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생홈(118), 제1 결합돌기(126)의 각 모서리가 모따기(C)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관블록 사방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석차단벽(10)의 상부 중앙부에, 양쪽으로 다수의 경사블록(130)이 배치되는 방수로(13)가 구성되되, 상기 경사블록(130)은 상기 방수로(13)의 측벽을 이루는 경사진 상면(132) 및 하면(133), 3개의 측면(134)을 갖는 5면체 형상의 제3 몸체부(131)가 구성되며, 상기 제3 몸체부(131)의 상면 각 모서리 측에 제3 체결홈(134)이 구성되고, 상기 제3 몸체부(131)의 마주하는 양측면에 제3 식생홈(135)이 구성되며, 상기 제3 몸체부(131)의 상?하면(132,133)을 관통하는 제3 통공(136)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관블록 사방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블록(130)은 상기 수평 연결부재(140)에 의해 수평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직 연결부재(150)에 의해 상기 제2 경관블록(120)과 연직으로 연결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관블록 사방댐.
KR1020100070817A 2010-07-22 2010-07-22 경관블록 사방댐 KR101173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817A KR101173505B1 (ko) 2010-07-22 2010-07-22 경관블록 사방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817A KR101173505B1 (ko) 2010-07-22 2010-07-22 경관블록 사방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077A KR20120009077A (ko) 2012-02-01
KR101173505B1 true KR101173505B1 (ko) 2012-08-14

Family

ID=45834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817A KR101173505B1 (ko) 2010-07-22 2010-07-22 경관블록 사방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35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35408B (zh) * 2012-02-10 2014-02-26 中国科学院水利部成都山地灾害与环境研究所 一种半组装式生态型泥石流拦砂坝及其施工方法
KR102311879B1 (ko) * 2019-11-11 2021-10-13 주식회사 자안 사방댐 구축용 블럭 조립체
KR102468582B1 (ko) * 2022-06-16 2022-11-17 이주환 고층천정의 소화배관 연결용 달대볼트 시공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pc슬래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53840U (ko) 1976-10-09 1978-05-09
KR100923428B1 (ko) 2009-02-25 2009-10-27 주식회사 에스티씨 폐사탕수수를 이용한 친환경 식생 호안 블록
KR100925886B1 (ko) 2009-04-29 2009-11-11 대한민국 생태블록 사방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53840U (ko) 1976-10-09 1978-05-09
KR100923428B1 (ko) 2009-02-25 2009-10-27 주식회사 에스티씨 폐사탕수수를 이용한 친환경 식생 호안 블록
KR100925886B1 (ko) 2009-04-29 2009-11-11 대한민국 생태블록 사방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077A (ko) 201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35408B (zh) 一种半组装式生态型泥石流拦砂坝及其施工方法
KR100925886B1 (ko) 생태블록 사방댐.
KR101173505B1 (ko) 경관블록 사방댐
CN209277098U (zh) 一种破损山体的边坡生态修复结构
CN105625269A (zh) 双沟三墙截流拦砂护渠船形横沟
JP2018204391A (ja) ふとん篭及びこれを用いた傾斜地補強構造
KR100843330B1 (ko) 계단식 식생호안블록
KR101173503B1 (ko) 경관블록 사방댐
KR101097055B1 (ko) 주철 판넬로 축조된 사방댐과 골막이 및 그 축조방법
KR100723646B1 (ko) 옹벽격자블록
KR100925887B1 (ko) 블록크린 사방댐.
KR100662876B1 (ko) 하천 생태보호용 식생블록 설치구조
CN213682159U (zh) 一种生态复合型护坡
KR100855150B1 (ko) 토목용 다용도 생태블럭
CN204982913U (zh) 一种生态护坡砌块
KR200408078Y1 (ko) 연결식 식생호안블록
KR100461664B1 (ko) 식생 호안블록의 설치구조 및 시공방법.
KR100908676B1 (ko) 조립식블록 사방댐
KR100607235B1 (ko) 하천 제방의 친환경 조립식 매트 블록
KR100994426B1 (ko) 사면보강형 조경블럭
RU151365U1 (ru) Конструкция берегозащитного сооружения с применением полимерных вяжущих
KR100743550B1 (ko) 세굴방지블럭
KR200327410Y1 (ko) 호안블록의 체결장치
CN220977885U (zh) 一种防止水土流失的河道护岸结构
KR102437778B1 (ko) 게비온 옹벽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