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389A - 부력을 이용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 - Google Patents

부력을 이용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389A
KR20150001389A KR20130074540A KR20130074540A KR20150001389A KR 20150001389 A KR20150001389 A KR 20150001389A KR 20130074540 A KR20130074540 A KR 20130074540A KR 20130074540 A KR20130074540 A KR 20130074540A KR 20150001389 A KR20150001389 A KR 20150001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iver
storage chamber
water storage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4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5014B1 (ko
Inventor
박재현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74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014B1/ko
Publication of KR20150001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02B3/106Temporary dyk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1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using active mechanical means, e.g. fluidizing or pu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력을 이용한 가변식 차수벽에 관한 것으로, 제방의 축조가 곤란한 도심하천 경계에서 하천수의 수위가 높아지는 경우에만 상승하여 하천수의 범람을 차단하지만 하천수의 수위가 낮은 경우에는 하강하여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심하천 경계에 시공되고,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저수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저수챔버의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저수챔버로 하천수가 유입되도록 해주는 유입구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베이스와; 상기 저수챔버에 삽입되며 물보다 낮은 비중으로 이루어져 상기 저수챔버에 유입되는 물의 부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하천수의 범람을 차단하는 차수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부력을 이용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VARIABLE WATERPROOF WALL STRUCTURE USING BUOYANCY}
본 발명은 차수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방의 축조가 곤란한 도심하천 경계에서 하천수의 수위가 높아지는 경우에만 상승하여 하천수의 범람을 차단하지만 하천수의 수위가 낮은 경우에는 하강하여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한 부력을 이용한 가변식 차수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심하천의 경우 제방은 홍수 피해방지 목적 이외에 친수공간조성으로 인근 주민의 휴식 및 산책로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하천 공간을 주민들의 휴식공간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늘어나는 추세이며, 도심하천 들이 자연형 하천으로 복원됨에 따라 하천의 고유 기능 회복은 물론 경관적인 측면도 중요시되고 있다.
통상 하류에 위치하는 도심하천의 경우에는 장기간에 걸친 토사 및 유하물의 퇴적으로 인해 장마철에 홍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하천수가 범람하여 장마철마다 이재민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홍수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일환으로 하천 주변의 토지를 매수하여 제방을 축조하여야 하나, 현실적으로 제방축조 부지를 마련하기 위해 도심지의 밀집된 가옥과 토지를 매수하거나 수용한다는 것은 천문학적인 보상비와 민원발생이 예상되어 사실상 추진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처럼 도심하천에서는 제방의 축조가 불가능한 실정임을 감안해 도 1과 같이 도심하천 경계에 콘크리트 차수벽을 설치하고 있으나, 이는 인근 주면과 하천의 접근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고 경관성을 해치는 흉물로 인식되고 있으며 근래의 자연형 하천을 선호하는 경향과도 맞지 않아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방의 축조가 곤란한 도심하천 경계에서 하천수의 수위가 높아지는 경우에만 상승하여 하천수의 범람을 차단하지만 하천수의 수위가 낮은 경우에는 하강하여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한 부력을 이용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부력을 이용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은, 도심하천 경계에 시공되어 하천수의 범람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차수벽 구조물에 있어서, 도심하천 경계에 시공되고,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저수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저수챔버의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저수챔버로 하천수가 유입되도록 해주는 유입구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베이스와; 상기 저수챔버에 삽입되며 물보다 낮은 비중으로 이루어져 상기 저수챔버에 유입되는 물의 부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하천수의 범람을 차단하는 차수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에는 상기 저수챔버의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형성되되 상기 유입구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에는 각각 개폐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수문의 하단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걸림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수챔버의 상단부에는 상기 차수문의 상승시 상기 차수문의 걸림돌부를 걸어주어 저수챔버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수문은 다수개가 좌우로 인접하여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서로 간의 인접 부위에서 하천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차수문의 좌측면은 < 형태로 돌출된 돌부가 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차수문의 우측면은 인접하는 차수문의 돌부가 대응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 형태로 요입된 요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수문의 요부 안쪽에는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차수문의 돌부 꼭지에 의해 수밀하게 압착되는 패킹이 설치되고, 상기 차수문의 돌부 꼭지는 상기 패킹과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테프론으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수문에서 돌부의 꼭지각에 비해 요부의 사잇각이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수문에는 수직한 복수의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의 저수챔버에는 상기 차수문의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기 차수문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봉이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수문에는 투영 가능한 윈도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윈도우는 이중벽으로 이루어지고 이중벽 사이에 물을 채워 수족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부력을 이용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은, 제방의 축조가 곤란한 도심하천 경계에서 하천수의 수위가 높아지는 경우에만 상승하여 하천수의 범람을 차단하지만 하천수의 수위가 낮은 경우에는 하강하여 미관을 해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봉에 의하여 차수문의 승강을 안정적으로 안내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수문에 형성된 여부와 돌부에 의해 차수문 간에 어긋나지 않고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 차수문 간의 접속부위에서 하천수가 침투하는 현상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요부 안쪽에 수직방향을 따라 돌부의 꼭지에 의해 수밀하게 압착되는 패킹이 설치되고 돌부의 꼭지는 패킹과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테프론으로 코팅되도록 한 구성에 의해 차수문 간의 접속부위에서 하천수가 침투하는 문제를 더욱 철저히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족관으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이중벽 구조로 설치된 윈도우에 의해 차수문을 하천의 범람을 막기 위한 전통적인 개념에서 탈피하여 그 자체만으로도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콘크리트 차수벽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에서 차수문 및 가이드봉 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차수문의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에서 차수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차수문의 사시도
도 7a 내지 도7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에에 의한 가변식 차수벽 주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부력을 이용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에서 차수문 및 가이드봉 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차수문의 횡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에서 차수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차수문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은, 도심하천 경계에서 고수위시 하천수의 일부가 유입되도록 하는 저수챔버(111)를 구비한 콘크리트 베이스(110)와,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110)의 저수챔버(111)에서 고수위시 유입되는 하천수의 부력에 의해 상승하도록 설치된 차수문(120)으로 이루어진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면 하천의 저수위시에는 차수문(120)이 하강한 상태에서 시민들이 하천의 경관을 감상하는데 방해받지 않도록 하지만 하천의 범람이 우려되는 고수위시에는 별도의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고서도 하천수에 대한 부력만으로 차수문(120)이 상승하여 시가지로 하천의 범람을 안전하게 차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110)는 도심하천 경계에 설치되고, 차수문(120)을 부력에 의해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천수의 유입을 위한 공간의 제공과 상기 차수문(120)을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110)는 전술된 것처럼 내부에 상부가 개방되어 차수문(1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저수챔버(111)가 형성되고, 상기 저수챔버(111)의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저수챔버(111)로 하천수가 유입되도록 해주는 유입구(112)를 구비한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면 하천의 고수위시 유입구(112)를 통해 하천수가 저수챔버(111)로 유입되어 부력에 의해 차수문(120)을 상승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110)의 저수챔버(111)에는 복수의 가이드봉(115)이 수직하게 설치되어 차수문(120)의 가이드홀(125)에 삽입된다. 이로써 차수문(120)이 불필요하게 옆쪽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유지된 상태로 승강동작만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저수챔버(111)의 상단부에는 안쪽으로 걸림턱(111a)이 형성되어 도 4와 같이 상기 차수문(120)의 상승시 상기 차수문(120)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돌부(121)를 걸어주면서 상기 차수문(120)이 저수챔버(111)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방지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110)에는 저수챔버(111)의 청소를 위하여 배출구(113)가 더 구비된다. 상기 배출구(113)는 상기 저수챔버(111)의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형성되되 상기 유입구(112)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배출구(113)가 구비되면 저수챔버(111)에 하천수가 유입되었다가 배출되었을 때 하천수와 함께 유입되었던 쓰레기 잔류물들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하천의 저수위시 상기 유입구(112)를 통해 고압으로 물(WP)을 분사해주면 저수챔버(111) 내부에 유입된 쓰레기 잔류물들이 배출구(113)를 통해 쉽게 배출된다.
상기 차수문(120)은 상기 저수챔버(111)에 유입되는 물의 부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하천수의 범람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차수문(120)은 저수챔버(111)에 승강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전체 비중은 물보다 낮은 정도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상기 저수챔버(111)에 유입되는 하천수의 부력에 의해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차수문(120)은 좌우로 연속하여 배치되며 스티로폼과 같이 물보다 비중이 낮은 소재로 내부가 충전되고 그 외부는 부식에 강한 스테인리스 스틸로 감싸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수문(120)에는 그 하단부에 후방으로 돌출된 걸림돌부(121)가 형성되어 상승시 상기 저수챔버(111)에 형성된 걸림턱(111a)에 걸리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차수문(120)이 저수챔버(111)로부터 이탈되어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수문(120)에는 콘크리트 베이스(110)에 설치된 가이드봉(115)이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가이드홀(125)이 형성된다. 이로써 하천수의 저수챔버(111)에 유입되어 부력에 의해 상승할 때 가이드봉(115)에 의해 안정적으로 안내된다.
또한, 상기 차수문(120)은 서로 간의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간의 접속부위에서 하천수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차수문(120)의 좌측면은 < 형태로 돌출된 돌부(123)가 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차수문(120)의 우측면은 인접하는 차수문(120)의 돌부(123)가 대응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 형태로 요입된 요부(124)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서로 인접하는 차수문(120) 간에 어긋나지 않고 접속이 이루어지며 접속부위에서 틈새가 발생하면서 하천수가 침투하는 현상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수문(120)에는 도 6에 볼 수 있는 것처럼 투영 가능한 윈도우(120a)가 설치된다. 더욱이 주목할 점은 상기 윈도우(120a)는 이중벽으로 이루어지고 이중벽 사이에 물을 채워 수족관을 형성한다는 점이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면 차수문(120)이 상승된 상태에서도 단순히 차수벽을 대체하는 것만이 아니라 그 자체만으로도 독특하고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도 7a 내지 도7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단면도이다.
먼저, 도 7a는 하천의 저수위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하천의 저수위시에는 하천수가 상기 저수챔버(111)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차수문(120)이 하강한 상태에 있다.
이후 하천의 수위가 유입구(112) 높이까지 도달하여 저수챔버(111)로 하천수가 유입되기 시작하면 하천수로 인한 부력으로 차수문(120)이 점차 상승하기 시작한다. 이때 개폐밸브(130)에 의해 유입구(112) 및 배출구(113)의 개방시기를 조절하여 하천수가 유입되기 시작하는 시점을 조절할 수 있는데, 초기부터 상기 유입구(112) 및 배출구(113)를 개방하면 상기 저수챔버(111)에 하천수가 초기부터 유입되면서 차수문(120)이 초기에 상승하기 시작한다. 하지만, 초기에는 개폐밸브(130)에 의해 유입구(112) 및 배출구(113)를 차단하고 있다가 하천의 수위가 콘크리트 베이스(110)의 중간이나 상부까지 도달하였을 때 개방하여 주면 그때까지는 차수문(120)이 상승하지 않고 있다가 저수챔버(111)에 급격히 유입되는 하천수에 의해 빠르게 상승하게 된다.
도 7b는 하천이 범람할 정도로 고수위가 되었을 때에 차수문(120)이 최대한 상승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 경우 하천의 수위가 콘크리트 베이스(110)를 초과하여 범람이 우려되는 상황이지만 차수문(120)이 저수챔버(111)에 유입된 하천수에 의해 최대치로 상승하여 콘크리트 베이스(110)를 초과하여 범람의 우려가 있는 하천수를 안정적으로 차단한다. 다만, 이처럼 차수문(120)이 최대치로 상승한 상태에서는 차수문(120)의 걸림돌부(121)가 저수챔버(111)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턱(111a)에 걸리면서 이탈되지 않는다.
한편, 도 7b와 같이 저수챔버(111)에 하천수가 유입되었다가 빠지게 되면 하천수에 포함되어 있던 쓰레기들이 빠지지 못하고 잔류하게 된다. 이때 개폐밸브(130)에 의해 유입구(112)와 배출구(113)를 모두 개방한 상태에서 유입구(112)를 통해 고압으로 물(WP)을 분사해주면 저수챔버(111) 내부에 유입된 쓰레기 잔류물들이 배출구(113)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가변식 차수벽 주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는 차수문(120)에서 돌부(123)의 꼭지각(αβ)과 요부(124)의 사잇각(β)이 동일하게 형성되지 않고 돌부(123)의 꼭지각(α)에 비해 요부(124)의 사잇각(β)이 더 크게 형성되는 대신, 요부(124) 안쪽에는 수직방향을 따라 돌부(123)의 꼭지에 의해 수밀하게 압착되는 봉 형태의 패킹(125)이 설치되고 돌부(123)의 꼭지는 상기 패킹(125)과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테프론으로 코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면 좌우로 나란히 배치되는 차수문(120) 간에 어긋나지 않게 정확히 접속되도록 하는 것에 더하여 패킹(125)과 돌부(123)의 꼭지의 수밀한 압박으로 접속부위를 통하여 하천수가 침투하는 것을 보다 안전하게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한편, 돌부(123)의 꼭지에 테프론 코팅된 구성은 특히 차수문의 승강시 상기 패킹(125)과의 마찰을 줄여주어 패킹(125)의 손상을 억제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콘크리트 베이스 111 : 저수챔버
111a : 걸림턱 112 : 유입구
113 : 배출구 115 : 가이드봉
120 : 차수문 120a : 윈도우
121 : 걸림돌부 123 : 돌부
124 : 요부 130 : 개폐밸브

Claims (10)

  1. 도심하천 경계에 시공되어 하천수의 범람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차수벽 구조물에 있어서,
    도심하천 경계에 시공되고,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저수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저수챔버의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저수챔버로 하천수가 유입되도록 해주는 유입구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베이스와;
    상기 저수챔버에 삽입되며 물보다 낮은 비중으로 이루어져 상기 저수챔버에 유입되는 물의 부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하천수의 범람을 차단하는 차수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력을 이용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에는 상기 저수챔버의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형성되되 상기 유입구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에는 각각 개폐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문의 하단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걸림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수챔버의 상단부에는 상기 차수문의 상승시 상기 차수문의 걸림돌부를 걸어주어 저수챔버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문은 다수개가 좌우로 인접하여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서로 간의 인접 부위에서 하천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차수문의 좌측면은 < 형태로 돌출된 돌부가 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차수문의 우측면은 인접하는 차수문의 돌부가 대응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 형태로 요입된 요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문의 요부 안쪽에는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차수문의 돌부 꼭지에 의해 수밀하게 압착되는 패킹이 설치되고,
    상기 차수문의 돌부 꼭지는 상기 패킹과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테프론으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문에서 돌부의 꼭지각에 비해 요부의 사잇각이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문에는 수직한 복수의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의 저수챔버에는 상기 차수문의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기 차수문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봉이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문에는 투영 가능한 윈도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이중벽으로 이루어지고 이중벽 사이에 물을 채워 수족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
  10. 도심하천 경계에 시공되어 하천수의 범람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차수벽 구조물에 있어서,
    도심하천 경계에 시공되고,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저수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저수챔버의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저수챔버로 하천수가 유입되도록 해주는 유입구와, 상기 저수챔버의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형성되되 상기 유입구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에 각각 설치된 개폐밸브와, 상기 저수챔버에 수직하게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봉을 구비하는 콘크리트 베이스와;
    상기 저수챔버에 삽입되며 물보다 낮은 비중으로 이루어져 상기 저수챔버에 유입되는 물의 부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하천수의 범람을 차단하며, 다수개가 좌우로 인접하여 배치되되 서로 간의 인접 부위에서 하천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좌측면은 < 형태로 돌출된 돌부가 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우측면은 상기 돌부가 대응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 형태로 요입된 요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요부 안쪽에는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돌부 꼭지에 의해 수밀하게 압착되는 패킹이 설치되고, 상기 돌부 꼭지는 상기 패킹과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테프론으로 코팅되며,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의 가이드봉이 삽입되어 승강을 안내받을 수 있도록 수직하게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투영 가능한 이중벽 윈도우가 설치되고 그 사이에는 물이 채워져 수족관이 형성된 차수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력을 이용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
KR1020130074540A 2013-06-27 2013-06-27 부력을 이용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 KR101505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4540A KR101505014B1 (ko) 2013-06-27 2013-06-27 부력을 이용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4540A KR101505014B1 (ko) 2013-06-27 2013-06-27 부력을 이용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389A true KR20150001389A (ko) 2015-01-06
KR101505014B1 KR101505014B1 (ko) 2015-03-25

Family

ID=52475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4540A KR101505014B1 (ko) 2013-06-27 2013-06-27 부력을 이용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50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0579A1 (en) * 2020-08-20 2022-02-24 The Texas A&M University System Systems and methods for blocking a surge of water
CN116122218A (zh) * 2022-10-18 2023-05-16 江苏华昇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材料制成的河堤防汛自动升降机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6945A (ja) * 2005-11-07 2007-05-24 Kobe Steel Ltd 可動壁式堤体
KR100865370B1 (ko) * 2008-06-11 2008-10-24 오상화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KR100923147B1 (ko) * 2009-04-17 2009-10-23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차수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식 차수벽
KR101240152B1 (ko) * 2012-03-12 2013-03-19 주식회사 청수환경 하천의 범람 및 월파를 방지하는 부력식 물막이 블록의 차수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0579A1 (en) * 2020-08-20 2022-02-24 The Texas A&M University System Systems and methods for blocking a surge of water
CN116122218A (zh) * 2022-10-18 2023-05-16 江苏华昇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材料制成的河堤防汛自动升降机构
CN116122218B (zh) * 2022-10-18 2024-01-26 江苏华昇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材料制成的河堤防汛自动升降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5014B1 (ko) 2015-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20499A (zh) 调节水深进行选择性取水的取水装置
KR100865370B1 (ko)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KR100592975B1 (ko) 어도블록
KR101505014B1 (ko) 부력을 이용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
KR101005531B1 (ko) 부력체를 이용한 홍수범람 방지장치
KR101074864B1 (ko) 퇴적물 방류기능을 갖는 친환경 하천 수중보
KR101028841B1 (ko) 홍수조절지 부력식 수문
KR101075941B1 (ko) 수문조절장치
KR101922524B1 (ko) 저수조용 수문
KR100542739B1 (ko) 하천의 과대한 유량을 수용할 수 있는 하천옹벽
KR100923147B1 (ko) 차수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식 차수벽
KR20140099027A (ko) 다목적 높이가변형 차단구조물
KR101199119B1 (ko) 하천수를 이용하여 승강 작동되게 한 수중보
KR200263865Y1 (ko) 월류 방지용 호안부재
KR101613117B1 (ko) 부력 개폐형 차등차수보를 갖는 다기능 생태 하천
KR100607455B1 (ko) 하천수의 원활한 이용을 위한 수중보
Erpicum et al. A Piano Key Weir to improve the discharge capacity of the Oule Dam spillway (France)
KR101514949B1 (ko) 플로팅 월
RU2274701C1 (ru) Водоналивная наращиваемая дамба от наводнений
KR100890029B1 (ko) 수문 수납형 조력발전 방조제용 수로
KR100579485B1 (ko) 하천수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보조블럭을 갖는 수중보
KR101355078B1 (ko) 수로 개폐장치
CN218508480U (zh) 一种兼具蓄水功能的挡土墙
KR200259043Y1 (ko) 우수침수용 수로
KR100513752B1 (ko) 친환경적인 하천의 월류방지용 옹벽 시설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