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3798B1 - 다목적 이중 수문 - Google Patents

다목적 이중 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3798B1
KR101023798B1 KR1020100054990A KR20100054990A KR101023798B1 KR 101023798 B1 KR101023798 B1 KR 101023798B1 KR 1020100054990 A KR1020100054990 A KR 1020100054990A KR 20100054990 A KR20100054990 A KR 20100054990A KR 101023798 B1 KR101023798 B1 KR 101023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ice
downstream
upstream
pulley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4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종인
Original Assignee
비엠씨(주)
비에이치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엠씨(주), 비에이치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엠씨(주)
Priority to KR1020100054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37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4Sealings for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로의 양측면에 구비된 지지구조체에 지지되는 수문틀; 수문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한 하류 수문; 하류 수문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접촉하도록 구비되고, 수문틀의 중심영역에 구비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한 상류 수문; 하류 수문의 상단면에 구비되는 제 1 수문용 활차; 상류 수문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제 2 수문용 활차; 수문틀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 1 수문용 활차 및 제 2 수문용 활차와 와이어로 연결되는 인양용 풀리블록; 및 인양용 풀리블록과 축으로 연결되어 상류 수문 및 하류 수문을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이중 수문을 구현한바, 상류 수문과 하류 수문을 용도에 따라 하나의 수문을 이용하여 발전용, 농업용 및 어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류 수문을 이용하여 태양의 복사열을 받고 있는 저수지 표층수를 농업용수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동시에 하류 수문을 이용하여 저수지 바닥의 퇴적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저수지 바닥의 토적물로 인한 생물학적 녹조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녹조현상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많은 양의 물을 방류하여도, 농업용 토양 및 습지를 오염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목적 이중 수문{Multi-Purpose Double Floodgate}
본 발명은 다목적 이중 수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전 수위 자동유지가 가능하고, 농업용으로 표층수를 배수할 수 있고, 2단식 수문으로서 권양기 시스템의 비용절감과 터빈입구측에 해수와류를 작게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다목적 이중 수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문은 낙차가 있는 하천 및 운하의 중간과 말단에 설치되어 유체를 가두어서 보관 및 배수하며 유체의 수위를 조절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문은 나무 혹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홈을 통해 기계적으로 열리고 닫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수문을 개방시에는 물이 수문 밑부분으로 흐르게 되고, 폐쇄시 물이 수문벽을 타고 수위가 생기게 된다. 수문이 닫혔을 때는 둑(Weir)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수문은 하천의 홍수조절 용도뿐 아니라 국내 대형화력발전소의 해양 소수력에도 활용되며, 기기냉각을 위하여 해수를 취수하여 기기냉각수로 활용한 후 바다로 방류처리하고 있다. 소수력발전소에서 수문은 바다로부터 끌어 올려진 해수가 복수기에서 증기를 응축하고, 바다로 유입되기 전 끝단에서 가둬지게 하여 적정수위를 이루게 하며 추가로 배수 말단에 콘크리트 고정보 또는 배수문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주로 월류형식의 고정보를 적용한 강, 하천에서는 수문이 강우량에 따라 자동으로 월류 수위를 임의 조절할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바닥층에 이물질 및 부유물이 있어 수질악화와 농업용 습지 및 토양환경에 피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강, 하천에서 수문에 의해 하류에 있는 어류가 상류로 올라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어도문비 기능을 갖는 수문의 적용이 필요하다.
수문의 구조적인 방식으로는 대부분이 1련 1문이다. 그 가운데 일부는 현재 댐 취수탑에서 표층수 취수 방식으로 2단식 수문개폐형식을 갖는 구조물이 설치 운영 중이다. 그래서 강, 하천과 발전소에 발생하는 상기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경제성이 있는 2단식 수문의 개량형 기술로 현장 적용화가 요구된다.
기존의 강, 하천 및 소수력 발전소의 수문은 고정보형식으로 수문 상단에서 발생하는 사류와 권양기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로프와 활차에 의해서 해수표류가 수문턱에서 원활하지 못하기 때문에 수문 자체의 진동감쇠기능에도 불구하고 터빈계통에 와류 및 기포가 발생하여 소수력 발전계통에 문제를 일으킬 여지가 있다.
또한, 기존 소수력발전에서 사용되는 권양시스템은 2단 형식의 유압식, 드럼타입, 핀잭 타입이 주로 사용되나, 인양 민감도가 낮고, 가격이 비싼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발전 수위 자동유지가 가능하고, 농업용으로 표층수를 배수할 수 있고, 2단식 수문으로서 권양기 시스템의 비용절감과 터빈입구측에 해수와류를 작게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다목적 이중 수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수로의 양측면에 구비된 지지구조체에 지지되는 수문틀; 수문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한 하류 수문; 하류 수문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접촉하도록 구비되고, 수문틀의 중심영역에 구비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한 상류 수문; 하류 수문의 상단면에 구비되는 제 1 수문용 활차; 상류 수문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제 2 수문용 활차; 수문틀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 1 수문용 활차 및 제 2 수문용 활차와 와이어로 연결되는 인양용 풀리블록; 및 인양용 풀리블록과 축으로 연결되어 상류 수문 및 하류 수문을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이중 수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인양용 풀리블록의 일측에는 제 1 수문용 활차 및 제 2 수문용 활차와 연결된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인양용 풀리블록과 연결된 각각의 와이어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 1 장력 조절기 및 제 2 장력 조절기가 더 구비된다.
또한, 제 1 장력 조절기 및 제 2 장력 조절기는 와이어의 길이 변화를 측정하는 변위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류 수문과 하류 수문이 접촉하는 상류 수문의 하단부 또는 하류 수문의 상단부에는 상류 수문 및 하류 수문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기 위해 상류 수밀고무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류 수문 및 하류 수문의 양측면에는 상류 수문 및 하류 수문과 수문틀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측면 수밀고무가 더 구비된다.
또한, 하류 수문의 저면에는 수로의 바닥면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하류 수밀고무가 더 구비된다.
또한, 하류 수문의 하부 일측에는 상류 수문의 하단과 접촉하여 상류 수문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 1 스토퍼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류 수문의 상부 일측에는 하류 수문의 상단과 접촉하여 하류 수문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 2 스토퍼가 더 구비된다.
또한, 제 1 수문용 활차 및 제 2 수문용 활차는, 와이어가 감기는 주 롤러; 및 와이어가 주 롤러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류 수문과 하류 수문을 용도에 따라 하나의 수문을 이용하여 발전용, 농업용 및 어도용 등과 같이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류 수문을 이용하여 태양의 복사열을 받고 있는 저수지 표층수를 농업용수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동시에 하류 수문을 이용하여 저수지 바닥의 퇴적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저수지 바닥의 퇴적물로 인한 생물학적 녹조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녹조현상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많은 양의 물을 방류하여도, 농업용 토양 및 습지를 오염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류 수문을 이용하여 퇴적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하고, 하류 수문을 소정 높이 상승시켜 하류에서 물고기가 상류로 올라갈 수 있는 어도문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2단식 수문을 이용하여 권양기 시스템의 비용절감과 터빈 입구측에 해수와류를 작게 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비용을 현저히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공비 면에서도 수압면적당 비용은 비슷하지만, 사용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이중 수문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이중 수문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이중 수문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수문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이중 수문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이중 수문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이중 수문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이중 수문은 크게 수문틀(100), 하류 수문(200), 상류 수문(300) 및 하류 수문(200)과 상류 수문(300)을 구동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구동수단은 하류 수문(200) 및 상류 수문(300)에 각각 구비된 제 1 수문용 활차(210) 및 제 2 수문용 활차(310), 인양용 풀리블록(400), 구동장치(410), 제 1 장력 조절기(240) 및 제 2 장력 조절기(34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수문틀(100)은 하류 수문(200) 및 상류 수문(300)이 그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 수압하중 등을 지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등과 같은 지지구조체에 지지된다. 이때, 지지구조체는 수로의 양측면에 구비되고, 수문틀(100)은 지지구조체의 일측에 수문이 설치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이러한 지지구조체 및 지지틀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류 수문(200)은 수로의 바닥 저층수의 흐름을 하류로 필요에 따라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문틀(100)의 하부 일측, 바람직하게는 수로의 바닥면과 접촉하도록 구비되어 후술하는 구동수단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며 수로의 하부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하류 수문(200)은 수로의 바닥면에서부터 수로의 중간영역까지의 높이로 이루어지고, 평면은 수로의 전면을 막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하류 수문(200)의 좌우 측면에는 하류 수문(200)과 수문틀(100)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측면 수밀고무(510)가 구비된다. 또한, 하류 수문(200)의 저면에는 수로의 바닥면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하류 수밀고무(530)가 구비되어 하류 수문(200)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수로를 흐르는 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하류 수문(200)이 상류 수문(300)과 대면하는 일측면의 하부 일측에는 상류 수문(300)의 이동거리를 제한하고, 상류 수문(300)이 수로의 바닥면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저점으로 하강 이동한 상류수문(300)의 저면과 접촉하도록 돌출된 제 1 스톱퍼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류 수문(200)의 상단면의 일측에는 하류 수문(200)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와이어(600)가 감기는 제 1 수문용 활차(210)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 1 수문용 활차(210)는 하류 수문(200)의 상하 이동시 하류 수문(200)의 균형을 위해 하류 수문(200)의 상단면 좌우 양측 종단부에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때, 제 1 수문용 활차(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600)가 감기는 주 롤러(211)와 주 롤러(211)에 감긴 와이어(600)가 주 롤러(21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와이어(600)를 주 롤러(211)로 밀어주는 보조롤러(212)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류 수문(300)은 표층수가 월류 하도록 하여 발전 시에는 발전수위를 유지하고, 물의 흐름을 항상 일정하게 하여 수문의 운영목적을 항상 정상조건으로 운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류 수문(300)은 수문틀(100)의 상부 일측, 바람직하게는 하류 수문(200)의 상부면과 소정 간격 접촉하도록 구비되어 상하로 이동하며 수로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류 수문(300)은 전체적으로 하류 수문(200)과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류 수문(300)의 양측면에는 하류 수문(200)과 동일하게 측면 수밀고무(520)가 구비되고, 상류 수문(300)과 하류 수문(200)이 접촉하는 상류 수문(300)의 하부 일측에는 상류 수밀고무(510)가 구비되어 상류 수문(300)과 하류 수문(200) 사이에서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류 수밀고무(500)는 하류 수문(20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도 무관하다. 이와 같은 수밀고무(500, 510, 520)의 구성을 통해 상류 수문(300)은 하부, 양측면의 3중 수밀구조로 이루어지고, 하류 수문(200)은 상부, 하부 및 양측면의 4중 수밀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류 수문(300)이 하류 수문(200)과 대면하는 일측면의 상부 일측에는 하류 수문(200)의 이동거리를 제한하고, 하류 수문(200)이 일정간격 이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상점으로 상승 이동한 하류 수문(200)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돌출된 제 2 스톱퍼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류 수문(300)의 상단면의 일측에는 상류 수문(300)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와이어(600)가 감기는 제 2 수문용 활차(310)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 2 수문용 활차(310)는 상류 수문(300)의 상하 이동시 상류 수문의 균형을 위해 상류 수문(300)의 상단면 좌우 양측 종단부에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때, 제 2 수문용 활차(310)는 제 1 수문용 활차(21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인양용 풀리블록(400)은 수문틀(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 1 수문용 활차(210) 및 제 2 수문용 활차(310)와 와이어(600)를 통해 연결된다. 이때, 와이어(600)는 제 1 수문용 활차(210)와 제 2 수문용 활차(310)에 각각 별도의 와이어(600)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고. 하나의 와이어(600)를 통해 양측 종단이 제 1 수문용 활차(210)와 제 2 수문용 활차(310)에 연결되고, 와이어(600)의 중간 부분이 인양용 풀리블록(400)에 권취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410)는 하류 수문(200) 및 상류 수문(300)을 구동하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인양용 풀리블록(400)과 회전축을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구동장치(410)는 인양용 풀리블록(400)을 회전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장력 조절기(240) 및 제 2 장력 조절기(340)는 각각 제 1 수문용 활차(210) 및 제 2 수문용 활차(310)에 감긴 와이어(600)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제 1 장력조절기(240) 및 제 2 장력조절기(340)는 하류 수문(200) 및 상류 수문(300)이 하나의 구동장치(410)를 통해 구동되며 느슨해지는 와이어(600)를 팽팽하게 당겨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일예로써, 상류 수문(300)을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제 2 수문용 활차(310) 방향으로 구동장치(410)를 회전시켜주게 되고, 이때, 구동장치(410), 제 2 수문용 활차(310) 및 제 2 장력 조절기(340)를 연결하는 와이어(600)는 장력이 느슨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제 2 장력 조절기(340)를 통해 와이어(600)를 감아줌으로써, 와이어(600)의 장력을 팽팽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동시에 제 1 장력 조절기(240)에서는 상류 수문(300)을 하강시키기 위해 당겨지는 와이어(600)를 풀어주게 되어 하류 수문(200)이 동시에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제 1 장력 조절기(240) 및 제 2 장력 조절기(340)에는 변위센서를 구비하여 와이어(600)의 길이변화에 자동적으로 반응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양태>
구동장치(410)를 상류 수문(300)과 연결된 제 2 수문용 활차(310) 방향으로 회전 시키면, 구동장치(410)와 축으로 회전축으로 연결된 인양용 풀리블록(400)이 상류 수문(300)과 연결된 와이어(600)를 풀어주게 된다. 이때, 제 1 장력 조절기(240)는 인양용 풀리블록(400)의 회전속도에 대응하도록 와이어(600)를 풀어주어 하류 수문(200)이 함께 이동하지 않도록 장력을 조절한다. 이와 같이, 상류 수문(300)을 하강하게 되면 수로를 흐르는 물의 상부로 물이 흐르게 되어 발전시설 등을 원활하게 돌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류 수문(300)을 상승 시키기 위해서는 구동장치(410)를 하강 때와 역순으로 돌리면서 제 1 장력 조절기(240)는 와이어(600)를 감아줌으로써 항상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며 상류 수문(300)을 상승시켜 수로 상류의 흐름을 제한할 수 있다.
구동장치(410)를 상류 수문(300)과 연결된 제 2 수문용 활차(310)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제 2 장력 조절기(340)의 와이어(600)를 동시에 감아주게 되면 하류 수문(200)이 상승한다. 이와 같이, 하류 수문(200)을 상승시키게 되면 수문에 쌓인 퇴적물 등을 하류로 흘려보내거나, 강 또는 하천의 물고기들이 상류로 올라갈 수 있도록 하는 어도문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하류 수문(200)을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구동장치(410)를 상승 방향과 반대로 회전시키면서 제 2 장력 조절기(340)에 감겨 있던 와이어(600)를 풀어주면 하류 수문(200)이 하강하며 수로 하류의 흐름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류 수문(300)과 하류 수문(200)을 동시에 조작하는 경우에는 한쪽 수문이 상승하면 다른 수문의 자중에 의하여 힘을 더 얻게 되어 개폐 작동을 정숙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수문틀
200 : 하류 수문
210 : 제 1 수문용 활차
211 : 주 롤러
212 : 보조롤러
240 : 제 1 장력 조절기
250 : 제 1 스토퍼
300 : 상류 수문
310 : 제 2 수문용 활차
340 : 제 2 장력 조절기
350 : 제 2 스토퍼
400 : 인양용 풀리블록
410 : 구동장치
500 : 상류 수밀고무
510 : 측면 수밀고무
520 : 하류 수밀고무
600 : 와이어

Claims (9)

  1. 수로의 양측면에 구비된 지지구조체에 지지되는 수문틀(100);
    상기 수문틀(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한 하류 수문(200);
    상기 하류 수문(200)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접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수문틀(100)의 중심영역에 구비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한 상류 수문(300);
    상기 하류 수문(200)의 상단면에 구비되는 제 1 수문용 활차(210);
    상기 상류 수문(30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제 2 수문용 활차(310);
    상기 수문틀(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수문용 활차(210) 및 제 2 수문용 활차(310)와 와이어(600)로 연결되는 인양용 풀리블록(400);
    상기 인양용 풀리블록(400)과 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상류 수문(300) 및 하류 수문(200)을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410); 및
    상기 인양용 풀리블록(400)의 일측에는 상기 제 1 수문용 활차(210) 및 제 2 수문용 활차(310)와 연결된 상기 와이어(60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인양용 풀리블록(400)과 연결된 각각의 상기 와이어(600)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 1 장력 조절기(240) 및 제 2 장력 조절기(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이중 수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력 조절기(240) 및 제 2 장력 조절기(340)는 상기 와이어(600)의 길이 변화를 측정하는 변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이중 수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 수문(300)과 상기 하류 수문(200)이 접촉하는 상기 상류 수문(300)의 하단부 또는 상기 하류 수문(200)의 상단부에는 상기 상류 수문(300) 및 하류 수문(200)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기 위해 상류 수밀고무(5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이중 수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 수문(300) 및 하류 수문(200)의 양측면에는 상기 상류 수문(300) 및 하류 수문(200)과 상기 수문틀(100)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측면 수밀고무(51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이중 수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류 수문(200)의 저면에는 상기 수로의 바닥면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하류 수밀고무(52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이중 수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류 수문(200)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상류 수문(300)의 하단과 접촉하여 상기 상류 수문(30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 1 스토퍼(25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이중 수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 수문(300)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하류 수문(200)의 상단과 접촉하여 상기 하류 수문(20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 2 스토퍼(35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이중 수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문용 활차(210) 및 제 2 수문용 활차(310)는,
    상기 와이어(600)가 감기는 주 롤러(211); 및
    상기 와이어(600)가 상기 주 롤러(21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롤러(2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이중 수문.
KR1020100054990A 2010-06-10 2010-06-10 다목적 이중 수문 KR101023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990A KR101023798B1 (ko) 2010-06-10 2010-06-10 다목적 이중 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990A KR101023798B1 (ko) 2010-06-10 2010-06-10 다목적 이중 수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3798B1 true KR101023798B1 (ko) 2011-03-21

Family

ID=43939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4990A KR101023798B1 (ko) 2010-06-10 2010-06-10 다목적 이중 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379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644B1 (ko) * 2012-11-05 2014-09-15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수문장치
KR101802881B1 (ko) * 2017-07-24 2017-12-28 에코엔주식회사 취수장 자연취수 및 토사유입 방지용 슬라이딩 게이트 장치
KR20180060354A (ko) 2016-11-29 2018-06-07 김홍순 관개수로 차수용 수동형 댐퍼 개폐장치
CN108824382A (zh) * 2018-06-08 2018-11-16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尾水冷却器的检修方法及装置
CN110761252A (zh) * 2019-11-15 2020-02-07 扬州大学 一种智能自动化分层取水闸门及其取水运行方法、检修运行方法
KR102432977B1 (ko) * 2022-02-07 2022-08-16 윤병화 표층수와 부유물 방류가 가능한 수위조절 2단 수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21635U (ko) * 1987-01-28 1988-08-08
JPH0249809A (ja) * 1988-08-12 1990-02-2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直線多段式ゲート開閉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21635U (ko) * 1987-01-28 1988-08-08
JPH0249809A (ja) * 1988-08-12 1990-02-2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直線多段式ゲート開閉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644B1 (ko) * 2012-11-05 2014-09-15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수문장치
KR20180060354A (ko) 2016-11-29 2018-06-07 김홍순 관개수로 차수용 수동형 댐퍼 개폐장치
KR101802881B1 (ko) * 2017-07-24 2017-12-28 에코엔주식회사 취수장 자연취수 및 토사유입 방지용 슬라이딩 게이트 장치
CN108824382A (zh) * 2018-06-08 2018-11-16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尾水冷却器的检修方法及装置
CN108824382B (zh) * 2018-06-08 2024-05-14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尾水冷却器的检修方法及装置
CN110761252A (zh) * 2019-11-15 2020-02-07 扬州大学 一种智能自动化分层取水闸门及其取水运行方法、检修运行方法
KR102432977B1 (ko) * 2022-02-07 2022-08-16 윤병화 표층수와 부유물 방류가 가능한 수위조절 2단 수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3798B1 (ko) 다목적 이중 수문
CN104532796B (zh) 一种自控式带抗磨钢板的橡胶坝
CN208363235U (zh) 一种由浮筒与滑轮控制截流管道流量的溢流井
CN104264637B (zh) 斜轴式水力自控闸门
KR101908577B1 (ko) 상,하 분리되어 힌지로 결합된 이중 구조의 롤러 게이트
JP4351713B2 (ja) 蝶番式ゲート水門
KR101658067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
GB2488809A (en) Buoyant weir
CN105756179A (zh) 一种污水流量可控及拦渣防倒灌截流井
KR100662861B1 (ko) 수로와 물받이블럭의 수문개폐장치
KR20090027496A (ko) 합류식 하수 시스템의 우수토실 유량조절장치
KR100754965B1 (ko) 무동력 가동보
KR20030097562A (ko) 생태복원형 수문식 자동보 시스템
KR101261700B1 (ko) 회전식 가동보
KR20170062658A (ko) 도르래를 이용한 홍수 방지장치
CN104790355B (zh) 浮移式自动闸门
CN211735302U (zh) 一种水利工程拦砂取水闸门
KR20050004456A (ko) 물추와 지렛대를 이용한 무동력 자동수문 시스템
CN205577088U (zh) 一种污水流量可控及拦渣防倒灌截流井
KR101142291B1 (ko)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하는 수문 시스템
KR100919132B1 (ko) 수문용 관리수위 유지구조 및 그를 이용한 수문
KR200244423Y1 (ko) 지수장치의 역할에 의해 밀폐되어 작동하는 수문
KR100798434B1 (ko) 무동력 개폐식 차집용 가동웨어
CN219450991U (zh) 一种新型截污装置
CN215948109U (zh) 防异物堵塞式水利闸门净水疏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