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977B1 - 표층수와 부유물 방류가 가능한 수위조절 2단 수문 - Google Patents

표층수와 부유물 방류가 가능한 수위조절 2단 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977B1
KR102432977B1 KR1020220015450A KR20220015450A KR102432977B1 KR 102432977 B1 KR102432977 B1 KR 102432977B1 KR 1020220015450 A KR1020220015450 A KR 1020220015450A KR 20220015450 A KR20220015450 A KR 20220015450A KR 102432977 B1 KR102432977 B1 KR 102432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ice gate
sluice
plate
door frame
body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5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화
Original Assignee
윤병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화 filed Critical 윤병화
Priority to KR1020220015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9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1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slu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수위조절 2단 수문은, 수로의 양측면 및 바닥에 지지되고, '
Figure 112022013356703-pat00005
' 형상으로 마련되는 문틀, 양단이 문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단수문, 상단부가 상단수문 하단부에 접촉하도록 구비되고, 문틀에 양단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하단수문, 상단수문 상단 양측에 고정되고, 측면이 랙기어로 마련되는 복수 개의 리프트찬넬 및 상단수문 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련되고, 리프트찬넬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권양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층수와 부유물 방류가 가능한 수위조절 2단 수문 {WATER LEVEL CONTROL 2-STAGE HYDRAULIC GATE CAPABLE OF DISCHARGING SURFACE WATER AND FLOATING MATTER}
본 발명은 수문의 상단블럭을 수면 아래로 하강시키는 구조로 마련되어 유수지에 저장된 표층수부터 순차적으로 방류함으로써, 대기 온도와 비슷한 온도의 용수를 농작물에 사용하여 냉해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하고, 홍수 재난 상황에서 저수지 및 다목적댐으로 유입되는 부유 쓰레기들에 의한 담수 오염을 줄이기 위하여 표층수 방류 시 부유 쓰레기들을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표층수와 부유물 방류가 가능한 수위조절 2단 수문에 관한 것이다.
보통의 저수지나 다목적댐은 심층수에 비해 표층수가 상대적으로 따뜻하고, 심층수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유지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문은, 수문을 열 때 권양 장치에 의해 수문이 아래에서 위로 상승하여 아래층의 물이 먼저 방류된다. 즉, 표층수 보다 온도가 낮은 심층수가 먼저 방류되어 농작물이 냉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표층수 보다 심층수가 먼저 방류됨으로써, 홍수 등의 재난 상황에서 저수지 및 다목적댐으로 유입되는 부유 쓰레기들이 배출되지 않고 축적되어 담수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유수지에 저장된 표층수부터 순차적으로 방류함으로써, 대기 온도와 비슷한 온도의 용수를 농작물에 사용하여 냉해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하고, 홍수 재난 상황에서 저수지 및 다목적댐으로 유입되는 부유 쓰레기들에 의한 담수 오염을 줄이기 위하여 표층수 방류 시 부유 쓰레기들을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표층수와 부유물 방류가 가능한 수위조절 2단 수문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1364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수문의 하단부터 심층수를 저부방류하는 일반적 배수 기능 및 수문의 상단부를 하강시켜 표층수를 방류하는 월류 배수 기능을 모두 구비한 표층수와 부유물 방류가 가능한 수위조절 2단 수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대기 온도와 비슷한 온도의 용수를 농작물에 사용하여 냉해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하고, 홍수 재난 상황에서 저수지 및 다목적댐으로 유입되는 부유 쓰레기들에 의한 담수 오염을 줄일 수 있는 표층수와 부유물 방류가 가능한 수위조절 2단 수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수위조절 2단 수문은, 수로의 양측면 및 바닥에 지지되고, '
Figure 112022050713701-pat00002
' 형상으로 마련되는 문틀, 양단이 문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단수문, 상단부가 상단수문 하단부에 접촉하도록 구비되고, 문틀에 양단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하단수문, 상단수문 상단 양측에 고정되고, 측면이 랙기어로 마련되는 복수 개의 리프트찬넬 및 상단수문 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련되고, 리프트찬넬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권양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상단수문은, 'ㄱ'자 형상으로 마련되는 상단수문본체부, 상단수문본체부 상단 양측에 결합되는 가이드브라켓, 상단수문본체부 양측면 일지점에 결합되고, 문틀 내부에서 상하강을 안내하며, 수압을 문틀에 전달하는 다수의 제1주롤러부, 상단수문본체부 하면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하단수문을 구름 운동 지지판으로 하여 수압을 전달하는 제1보조롤러부, 상단수문본체부 양측단에 마련되고, 문틀 및 상단수문본체부의 수밀을 유지하는 제1수밀부 및 상단수문본체부 하부에 마련되고, 하단수문에 고정되는 제1후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문틀은, 수로의 양측면에 각각 기립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 및 다수의 수직프레임 하단을 연결하고, 수로 바닥에 고정되는 수평프레임을 포함하고, 상단수문본체부는, 일단이 절곡된 판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플레이트, 'ㄱ' 형상으로 마련되고, 제1플레이트 내면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다수의 제1보강재, 다수의 제1보강재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교차되어 마련되고, 제1플레이트 내면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다수의 제2보강재 및 일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고, 일면이 제1플레이트 내면에 결합되는 플레이트커버를 포함하고, 다수의 제1보강재 및 제2보강재는, 기설정된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하단수문은, 판 형상으로 마련되는 하단수문본체부, 하단수문본체부 양측면 일지점에 결합되고, 문틀 내부에서 상하강을 안내하며, 수압을 문틀에 전달하는 다수의 제2주롤러부, 하단수문본체부 양측면 타지점에 결합되는 제2보조롤러부, 하단수문본체부 양측단에 마련되고, 문틀 및 하단수문본체부의 수밀을 유지하는 제2수밀부, 하단수문본체부 하부에 마련되고, 하단수문본체부 및 수평프레임의 수밀을 유지하는 제3수밀부, 하단수문본체부 상부에 마련되고, 제1후크부와 대응되는 제2후크부 및 제1보조롤러부의 상하강을 안내하는 전면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하단수문본체부는, 판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2플레이트, 제2플레이트 삼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플레이트, 제2플레이트 일면에 수직으로 부착되고, 기설정된 거리 이격되어 마련되는 다수의 제3보강재 및 다수의 제3보강재에 의하여 구획되는 행마다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제4보강재를 포함하고, 제3보강재는, 단면이 '工' 형상으로 마련되며, 제4보강재는, 단면이 'T'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표층수와 부유물 방류가 가능한 수위조절 2단 수문은, 수문의 하단부터 심층수를 저부방류하는 일반적 배수 기능 및 수문의 상단부를 하강시켜 표층수를 방류하는 월류 배수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표층수와 부유물 방류가 가능한 수위조절 2단 수문은, 대기 온도와 비슷한 온도의 용수를 농작물에 사용하여 냉해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하고, 홍수 재난 상황에서 저수지 및 다목적댐으로 유입되는 부유 쓰레기들에 의한 담수 오염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표층수와 부유물 방류가 가능한 수위조절 2단 수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문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상단수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상단수문본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상단수문본체부의 횡방향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상단수문본체부의 종방향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하단수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하단수문본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하단수문본체부의 횡방향 단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하단수문본체부의 종방향 단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표층수와 부유물 방류가 가능한 수위조절 2단 수문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표층수와 부유물 방류가 가능한 수위조절 2단 수문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례에 따른 표층수와 부유물 방류가 가능한 수위조절 2단 수문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상단수문 및 하단수문의 후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례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례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인 표층수와 부유물 방류가 가능한 수위조절 2단 수문(100)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표층수와 부유물 방류가 가능한 수위조절 2단 수문(1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표층수와 부유물 방류가 가능한 수위조절 2단 수문(100)은 문틀(110), 상단수문(120), 하단수문(130), 리프트찬넬(140) 및 권양기(150)를 포함할 수 있다.
문틀(110)은 수로의 양측면 및 바닥에 지지되고, '
Figure 112022013356703-pat00003
'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문틀(110)은 도 2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문틀(11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문틀(110)은 수직프레임(111) 및 수평프레임(112)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프레임(111)은 수로의 양측면에 각각 기립되어 고정되고, 다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111)은 절곡된 프레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수평프레임(112)은 상기 다수의 수직프레임(111) 하단을 연결하고, 수로 바닥에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상단수문(120)은 양단이 상기 문틀(11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단수문(120)은 도 3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상단수문(12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상단수문(120)은 상단수문본체부(121), 가이드브라켓(122), 제1주롤러부(123), 제1보조롤러부(124), 제1수밀부(125) 및 제1후크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수문본체부(121)는 'ㄱ'자 형상으로 마련되고, 보강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단수문본체부(121)는 도 4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상단수문본체부(121)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상단수문본체부(121)는 제1플레이트(1211), 제1보강재(1212), 제2보강재(1213) 및 플레이트커버(12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플레이트(1211)는 일단이 절곡된 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절곡된 부분은 아치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보강재(1212)는 'ㄱ'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1211) 내면에 수직으로 부착되며, 다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제2보강재(1213)는 상기 다수의 제1보강재(1212)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교차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1211) 내면에 수직으로 부착되며, 다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보강재(1213)는 다수의 슬릿(미도시)이 마련되어 상기 제1보강재(1212)가 교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보강재(1213)의 단면은 '工' 형상으롤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보강재(1212) 및 제2보강재(1213)는 각각 기설정된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재(1212) 및 제2보강재(1213)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상단수문(120)의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플레이트커버(1214)는 일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일면이 상기 제1플레이트(1211)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커버(1214)가 마련됨으로써, 이물질이 보강재 사이에 끼어 슬라이딩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상단수문본체부의 횡방향 단면 사시도이고, 도 6은 종방향 단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보강재(1212)는, 단면이 '|'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보강재(1213)는, 단면이 '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가이드브라켓(122)은 상기 상단수문본체부(121) 상단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브라켓(122)에 상기 리프트찬넬(140)이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제1주롤러부(123)은 상기 상단수문본체부(121) 양측 일지점에 결합되고, 상기 문틀(110) 내부에서 상하강을 안내하며, 수압을 상기 문틀(110)에 전달하고, 다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보조롤러부(124)는 상기 상단수문본체부(121) 하부 양측에 결합되고, 상기 하단수문(130)을 구름 운동 지지판으로 하여 수압을 전달할 수 있다.
제1수밀부(125)는 상기 상단수문본체부(121) 양측단에 마련되고, 상기 문틀(110) 및 상단수문본체부(121)의 수밀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수밀부(125)는 레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후크부(161)는 상기 상단수문본체부(121)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하단수문(130)에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하단수문(130)은 상단부가 상기 상단수문(120) 하단부에 접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문틀(110)에 양단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단수문(130)은 도 7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하단수문(13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하단수문(130)은 하단수문본체부(131), 제2주롤러부(132), 제2보조롤러부(133), 제2수밀부(134), 제3수밀부(135), 제2후크부(136) 및 전면가이드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수문본체부(131)는 판 형상으로 마련되고, 보강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수문본체부(131)의 둘레를 따라 수직으로 벽이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단수문본체부(131)는 도 8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하단수문본체부(131)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하단수문본체부(131)는 제2플레이트(1311), 가이드플레이트(1312), 제3보강재(1313) 및 제4보강재(13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플레이트(1311)는 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플레이트(1312)는 상기 제2플레이트(1311) 삼면에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312)는 롤러부 결합을 위한 다수의 홀을 구비할 수 있다.
제3보강재(1313)는 상기 제2플레이트(1311) 일면에 수직으로 부착되고, 기설정된 거리 이격되어 마련되며, 다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3보강재(1313)의 양단은 경사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4보강재(1314)는 상기 다수의 제3보강재에 의하여 구획되는 행마다 수직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고, 다수로 마련될 수 있다. 각 행의 n번째 제4보강재(1314)는 일직선상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312) 및 제3보강재(1314) 사이 및 수로 바닥 및 제3보강재(1314) 사이 공간에 마련되는 제4보강재(1314)는 경사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하단수문본체부(130)의 횡방향 단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종방향 단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보강재(1313)는, 단면이 '工'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4보강재(1314)는, 단면이 'T'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고하면, 제2주롤러부(132)는 상기 하단수문본체부(131) 양측면 일지점에 결합되고, 상기 문틀(110) 내부에서 상하강을 안내하며, 수압을 상기 문틀(110)에 전달하고, 다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제2수밀부(134)는 상기 하단수문본체부(131) 양측단에 마련되고, 상기 문틀(110) 및 상기 하단수문본체부(131)의 수밀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수밀부(134)는 레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수밀부(125) 및 제2수밀부(134)는 도 11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표층수와 부유물 방류가 가능한 수위조절 2단 수문(100)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밀부(125) 및 제2수밀부(134)는 레버 형상으로 경사지게 마련되어 상기 문틀(110)과 수문 사이의 수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수밀부(125) 및 제2수밀부(134)는 고무 등의 탄성을 가진 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문틀(110)에 밀착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고하면, 제3수밀부(135)는 상기 하단수문본체부(131)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하단수문본체부(131) 및 수평프레임(112)의 수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수밀부(135)는 고무 등의 탄성을 가진 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문틀(110)에 밀착될 수 있다.
제2후크부(136)는 상기 하단수문본체부(131)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후크부(126)와 대응되어 상기 상단수문(120) 상승 시, 고정될 수 있다.
전면가이드부(137)는 상기 제1보조롤러부(124)의 상하강을 안내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리프트찬넬(140)은 상기 상단수문(120) 상단 양측에 고정되고, 측면이 랙기어로 마련되어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권양기(150)는 상기 상단수문(120) 위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련되고, 상기 리프트찬넬(140)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권양기(150) 내부에는 피니언기어(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리프트찬넬(140)의 랙기어와 치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양기(150) 내부에 모터가 구비되어 입력을 받아 상기 피니언기어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시 도 12 내지 도 13를 참고하여, 본 발명인 표층수와 부유물 방류가 가능한 수위조절 2단 수문(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표층수와 부유물 방류가 가능한 수위조절 2단 수문(100)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례에 따른 표층수와 부유물 방류가 가능한 수위조절 2단 수문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평상시에는 (a)와 같이 상단수문(120)이 하단수문(130) 상단에 위치하여 저장된 물의 유동을 차단하고 있다. 표층수를 방류하고자 할 때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양기(150)로 리프트찬넬(140)을 하강시켜, 상기 리프트찬넬(140) 하단에 결합된 상단수문(120)을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상단수문(120)이 완전히 하강하면 (c)와 같이 상기 상단수문(120) 및 하단수문(130)이 중첩되어 수문 위로 표층수가 방류될 수 있다.
또한, 도 13을 참고하면, 표층수 방류 후 다시 권양기(150)로 리프트찬넬(140)을 상승시키면, (a)에서 (b)를 거쳐 (c)와 같이 물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심층수를 방류하고자 할 때는 (c) 상태에서 리프트찬넬(140)을 더 상승시켜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수문(120) 및 하단수문(130)을 상승시켜 방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단수문(120) 및 하단수문(130)의 결합은 도 14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상단수문(120) 및 하단수문(130)의 후크부(126, 136)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상단수문(120)에 마련되는 제1후크부(126)와 상기 하단수문(130)에 마련되는 제2후크부(136)가 맞물려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후크부(126) 및 제2후크부(136)가 결합되어 상기 상단수문(120) 상승 시, 상기 하단수문(130)이 함께 상승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르면, 표층수와 부유물 방류가 가능한 수위조절 2단 수문은, 수문의 하단부터 심층수를 저부방류하는 일반적 배수 기능 및 수문의 상단부를 하강시켜 표층수를 방류하는 월류 배수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대기 온도와 비슷한 온도의 용수를 농작물에 사용하여 냉해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하고, 홍수 재난 상황에서 저수지 및 다목적댐으로 유입되는 부유 쓰레기들에 의한 담수 오염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비록 한정된 실시례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상기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표층수와 부유물 방류가 가능한 수위조절 2단 수문
110: 문틀
111: 수직프레임
112: 수평프레임
120: 상단수문
121: 상단수문본체부
122: 가이드브라켓
123: 제1주롤러부
124: 제1보조롤러부
125: 제1수밀부
126: 제1후크부
130: 하단수문
131: 하단수문본체부
132: 제2주롤러부
133: 제2보조롤러부
134: 제2수밀부
135: 제3수밀부
136: 제2후크부
137: 전면가이드부
140: 리프트찬넬
150: 권양기

Claims (5)

  1. 수로의 양측면 및 바닥에 지지되고, '
    Figure 112022050713701-pat00004
    ' 형상으로 마련되는 문틀;
    양단이 상기 문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단수문;
    상단부가 상기 상단수문 하단부에 접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문틀에 양단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하단수문;
    상기 상단수문 상단 양측에 고정되고, 측면이 랙기어로 마련되는 복수 개의 리프트찬넬; 및
    상기 상단수문 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련되고, 상기 리프트찬넬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권양기;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수문은,
    'ㄱ'자 형상으로 마련되는 상단수문본체부;
    상기 상단수문본체부 상단 양측에 결합되는 가이드브라켓;
    상기 상단수문본체부 양측면 일지점에 결합되고, 상기 문틀 내부에서 상하강을 안내하며, 수압을 상기 문틀에 전달하는 다수의 제1주롤러부;
    상기 상단수문본체부 하면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하단수문을 구름 운동 지지판으로 하여 수압을 전달하는 제1보조롤러부;
    상기 상단수문본체부 양측단에 마련되고, 상기 문틀 및 상단수문본체부의 수밀을 유지하는 제1수밀부; 및
    상기 상단수문본체부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하단수문에 고정되는 제1후크부;
    를 포함하는 수위조절 2단 수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은,
    수로의 양측면에 각각 기립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 및
    상기 다수의 수직프레임 하단을 연결하고, 수로 바닥에 고정되는 수평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상단수문본체부는,
    일단이 절곡된 판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플레이트;
    'ㄱ'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 내면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다수의 제1보강재;
    상기 다수의 제1보강재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교차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 내면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다수의 제2보강재; 및
    일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일면이 상기 제1플레이트내면에 결합되는 플레이트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제1보강재 및 제2보강재는,
    각각 기설정된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 2단 수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수문은,
    판 형상으로 마련되는 하단수문본체부;
    상기 하단수문본체부 양측면 일지점에 결합되고, 상기 문틀 내부에서 상하강을 안내하며, 수압을 상기 문틀에 전달하는 다수의 제2주롤러부;
    상기 하단수문본체부 양측면 타지점에 결합되는 제2보조롤러부;
    상기 하단수문본체부 양측단에 마련되고, 상기 문틀 및 상기 하단수문본체부의 수밀을 유지하는 제2수밀부;
    상기 하단수문본체부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하단수문본체부 및 수평프레임의 수밀을 유지하는 제3수밀부;
    상기 하단수문본체부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후크부와 대응되는 제2후크부; 및
    상기 제1보조롤러부의 상하강을 안내하는 전면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표층수와 부유물 방류가 가능한 수위조절 2단 수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수문본체부는,
    판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2플레이트;
    상기 제2플레이트 삼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플레이트;
    상기 제2플레이트 일면에 수직으로 부착되고, 기설정된 거리 이격되어 마련되는 다수의 제3보강재; 및
    상기 다수의 제3보강재에 의하여 구획되는 행마다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제4보강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3보강재는,
    단면이 '工'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4보강재는,
    단면이 'T'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 2단 수문.
KR1020220015450A 2022-02-07 2022-02-07 표층수와 부유물 방류가 가능한 수위조절 2단 수문 KR102432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450A KR102432977B1 (ko) 2022-02-07 2022-02-07 표층수와 부유물 방류가 가능한 수위조절 2단 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450A KR102432977B1 (ko) 2022-02-07 2022-02-07 표층수와 부유물 방류가 가능한 수위조절 2단 수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2977B1 true KR102432977B1 (ko) 2022-08-16

Family

ID=83063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5450A KR102432977B1 (ko) 2022-02-07 2022-02-07 표층수와 부유물 방류가 가능한 수위조절 2단 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29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1469B1 (ko) * 2022-11-29 2023-04-14 해전산업 주식회사 월류형 2단 게이트
CN117905027A (zh) * 2024-03-15 2024-04-19 新乡市起重设备厂有限责任公司 一种升降式水利防汛闸门及其控制方法
CN117905027B (zh) * 2024-03-15 2024-06-07 新乡市起重设备厂有限责任公司 一种升降式水利防汛闸门及其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798B1 (ko) * 2010-06-10 2011-03-21 비엠씨(주) 다목적 이중 수문
KR101913649B1 (ko) 2018-06-04 2018-10-31 주식회사 우진산업 인양식 수문
KR102040831B1 (ko) * 2019-02-08 2019-11-05 (주)현대워터텍 모터 구동에 의한 랙 방식의 수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798B1 (ko) * 2010-06-10 2011-03-21 비엠씨(주) 다목적 이중 수문
KR101913649B1 (ko) 2018-06-04 2018-10-31 주식회사 우진산업 인양식 수문
KR102040831B1 (ko) * 2019-02-08 2019-11-05 (주)현대워터텍 모터 구동에 의한 랙 방식의 수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1469B1 (ko) * 2022-11-29 2023-04-14 해전산업 주식회사 월류형 2단 게이트
CN117905027A (zh) * 2024-03-15 2024-04-19 新乡市起重设备厂有限责任公司 一种升降式水利防汛闸门及其控制方法
CN117905027B (zh) * 2024-03-15 2024-06-07 新乡市起重设备厂有限责任公司 一种升降式水利防汛闸门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2977B1 (ko) 표층수와 부유물 방류가 가능한 수위조절 2단 수문
KR200464944Y1 (ko) 승강식 가동보
KR100763802B1 (ko) 승강식 다층 자동보 수문
EP0155948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iver control structures
KR101220424B1 (ko) 인양식 수문
JP3395033B2 (ja) 水位調整水門
KR100811816B1 (ko) 하천치수를 위한 수문 탑재형 취입보
KR101788194B1 (ko) 배수능력이 개선된 수문장치
KR100990698B1 (ko) 잠수형 보
KR20110111343A (ko) 댐에 설치하여 수위 변동시에도 연중 역할이 가능한 어도 장치
JP3074672B2 (ja) 排砂流路の二段ゲート
CN214271944U (zh) 一种水利工程施工用排水装置
KR20100038509A (ko) 인양 수문
KR920003107B1 (ko) 게이트용 펌프 시스템
KR20060113615A (ko) 조립식 자동보 수문
JPS6125858B2 (ko)
US21195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migratory fish over a dam structure
KR101885903B1 (ko) 수문 시스템
KR102640244B1 (ko) 주차장 침수 차단장치
KR102129969B1 (ko) 두 가지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 멀티 핀 잭과 분리된 이중 수문
KR102017861B1 (ko) 유압식 수문장치
KR20090001585U (ko) 수문 인양장치
KR101646229B1 (ko) 승하강이 가능한 전도수문
JP4082260B2 (ja) フロート式選択取水設備
JPH057727U (ja) 魚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