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8188A - 잠수형 보 - Google Patents

잠수형 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8188A
KR20090098188A KR1020080023415A KR20080023415A KR20090098188A KR 20090098188 A KR20090098188 A KR 20090098188A KR 1020080023415 A KR1020080023415 A KR 1020080023415A KR 20080023415 A KR20080023415 A KR 20080023415A KR 20090098188 A KR20090098188 A KR 20090098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excavation space
river
hydraulic cylind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0698B1 (ko
Inventor
강남구
Original Assignee
강남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남구 filed Critical 강남구
Priority to KR1020080023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0698B1/ko
Publication of KR20090098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강이나 하천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보(洑)가 승하강되도록 하여 보의 전체 구간에서 물길을 막거나 월류하도록 하여 저수량 조절을 할 수 있게 되고, 보가 필요 없을 경우에는 보를 하천의 바닥속으로 하강시켜 숨겨지도록 할 수 있는 잠수형 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잠수형 보는 강이나 하천의 물을 막거나 흘려보내기 위해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보에 있어서, 강이나 하천의 바닥속에 폭방향으로 굴착공간을 형성하고, 굴착공간에 적어도 1단 이상의 블록이 들어가도록 설치하고, 블록의 하부에 승하강수단을 구비하여서 됨이 특징이다. 이때, 굴착공간의 일측에는 굴착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닫는 셔터장치가 설치되어 모래나 자갈 등과 같은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들은 마름모꼴 형상을 가지며, 양측면의 빗면이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설계하여 수압을 빗면에 의한 형상으로 완화시키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하측 블록의 안착공간에 수직한 가이드봉을 형성하고, 상측 블록의 하부면상에 가이드봉에 대응되는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블록들이 승강되었을때에 수압에 의한 하중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잠수형 보{A submerging type dam}
본 발명은 강이나 하천 등의 물길을 막는 보(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 자체가 승, 하강 되도록 하여 물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고, 보가 필요 없을 경우에는 하천 바닥 속으로 하강하여 감추어지는 잠수형 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하천 등의 물길을 막는 구조물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이나 하천의 폭 방향으로 보(1)를 설치하고, 이 보(1)의 중간 중간에 수문(2)을 설치하여 수문(2)을 선택적으로 열고 닫으면서 저수량을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보를 중심으로 상류와 하류가 보에 의해 차단되어 있어 상류와 하류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즉, 상류의 물이 하류로 흘러가기 위해서는 항상 수문을 통해서만 가능하게 되고, 운송수단인 배와 같은 경우는 보에 의해 막혀져 원천 봉쇄되는 문제점도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강이나 하천 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보(洑)가 승하강되도록 하여 보의 전체 구간에서 물길을 막거나 월류하도록 하여 저수량 조절을 할 수 있게 되고, 보가 필요 없을 경우에는 보를 하천의 바닥속으로 하강시켜 숨겨지도록 할 수 있는 잠수형 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강이나 하천의 물을 막거나 흘려보내기 위해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보에 있어서,
강이나 하천의 바닥속에 폭방향으로 굴착공간을 형성하고, 굴착공간에 적어도 2단 이상의 블록이 승하강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형 보를 제공한다.
이때, 굴착공간의 일측에는 굴착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닫는 셔터장치가 설치되며, 셔터장치는 굴착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슬라이딩하면서 하부면상에 기어가 형성된 덮개판과, 덮개판의 하부에는 기어에 치합되는 피티언기어가 장착된 구동모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블록은 마름모꼴 형상을 가지며, 양측면의 빗면이 동일한 기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블록 중에서 하측의 블록에는 가이드봉이 형성되고, 상측 블록에는 가이드봉에 대응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잠수형 보는 승하강되면서 강이나 하천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불필요 할 경우에는 강바닥 속으로 침강시켜 보가 원천적으로 갖고 있는 장애물로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수형 보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잠수형 보가 강이나 하천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잠수형 보를 상세하게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언더블록, 미들블록 및 탑블록을 분리하여 보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잠수형 보(100)는 강이나 하천(R)의 수중 바닥면상에 설치된다. 이러한 잠수형 보(100)는 지중(G)에 강이나 하천의 폭방향으로 깊숙한 굴착공간(111)을 형성한다. 이러한 굴착공간(111)은 본 발명에 따른 보(100)가 설치될 공간으로 바닥면과 벽면을 콘크리트 타설하여 시공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굴착공간(111)에 언더블록(120)이 안착된다. 언더블록(120)은 상측으로 연장될수록 좁아지는 마름모꼴 형상을 갖는 것으로, 굴착공간(111)과 마찬가지로 강이나 하천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이러한 언더블록(120)은 굴착공간(111)속으로 들어갈 수 있는 높이를 가지면서 전후좌우가 굴착공간(111)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언더블록(120)의 상부면상에는 다른 블록이 안착되도록 언더안착공간(121)이 형성된다.
한편, 언더블록(120)이 굴착공간(111)내에서 승하강되도록 언더블록(120)의 하부에는 1차승하강수단이 설치된다.
1차승하강수단은 굴착공간(111)의 바닥에 장착되는 1차유압실린더(115)를 구비한다. 이러한 1차유압실린더(115)는 하부의 실린더하우징이 고정되고, 신축되는 로드가 언더블록(120)의 하부면상 고정단(123)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1차유압실린더(115)는 흔히 사용되는 일단으로 신축되는 유압실린더가 사용될 수도 있지만, 이중유압실린더가 사용됨이 짧고 길게 사용할 수 있도록 유용하다. 그리고 1차유압실린더(115)는 굴착공간(111) 및 언더블록(120)의 길이방향으로 여러 개가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잠수형 보(100)는 언더블록(120)의 위에 미들블록(130) 또는 탑블록(140)이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언더블록(120)의 위에 미들블록(130)만 설치되면, 본 발명에 따른 잠수형 보(100)는 2단으로 구성되는 것이고, 미들블록(130)의 위에 다시 탑블록(140)이 설치되면 3단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3단보다 더 놓은 단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자세한 설명 및 도면으로의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잠수형 보(100)가 2단으로 구성될 때에는 언더블록(120)의 언더안착공간(121)에 마름모꼴 형상을 갖는 미들블록(130)이 안착된다. 이때, 언더블록(130)은 언더안착공간(121)내에 들어가도록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며, 전후좌우가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미들블록(130)의 하부에는 미들블록(130)을 승하강시키는 2차승하강수단이 설치된다.
2차승하강수단은 1차승하강수단과 마찬가지로 2차유압실린더(125)의 실린더하우징이 언더안착공간(121)내에 고정되거나 또는, 매립고정되고, 2차유압실린더(125)의 신축되는 실린더로드가 미들블록(130)의 하부면상 고정단(133)에 고정된다. 이때에도 2차유압실린더(125)는 언더블록(120)의 길이방향으로 여러 개가 등간격 설치된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잠수형 보(100)가 3단으로 구성될 때에는 미들블록(130)의 상부면상에 미들안착공간(131)이 형성되며, 이 미들안착공간(131)에 마름모꼴 형상을 갖는 탑블록(140)이 설치된다. 이때에도 탑블록(140)의 하부에는 탑블록(140)을 승하강시키는 1차승하강수단과 같은 3차승하강수단이 설치된다. 그리고 3차승하강수단은 실린더하우징이 미들안착공간(131)에 고정되거나 또는, 매립고정되면서 신축되는 실린더로드가 탑블록(140)의 하부면상 고정단(143)에 고정되는 3차유압실린더(135)를 구비한다. 그리고 1차승하강수단 및 2차승하강수단과 마찬가지로 탑블록(140)의 길이방향으로 여러 개가 등간격 설치된다.
한편, 탑블록(140) 및 미들블록(130)을 승하강시키는 3차유압실린더(135) 및 2차유압실린더(125)로 유압을 공급해주는 유압라인은 도 3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유압실린더(125) 및 3차유압실린더(135)가 매립된 블록을 뚫고 하측으로 연장되어 굴착공간(111)의 바닥면상에 형성되는 권선롤(160a, 160b)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연장된다. 즉, 2차유압실린더(125)가 승강할때나 하강할때에는 동축상에 장착되면서 각각의 2차유압실린더(125)의 하측에 위치한 다수의 권선롤(160a)가 동시에 회전되면서 2차유압실린더(125)로 연결되는 유압라인을 줄이거나 늘어뜨리 게 된다. 그리고 3차유압실린더(135)도 승강할때나 하강할때에 동축상에 장착되면서 각각의 3차유압실린더(135)의 하측에 위치한 다수의 권선롤(160b)이 동시에 회전하면서 3차유압실린더(135)로 연결되는 유압라인을 줄이거나 늘어뜨리게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언더블록(120), 미들블록(130) 및 탑블록(140)은 단계적으로 승하강되며, 모두 하강하여 굴착공간(111)내에 안착될 경우에는 굴착공간(111)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셔터장치(150)가 마련된다.
셔터장치(150)는 굴착공간(111)내로 모래나 자갈 등과 같은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덮개판(151)과 구동모터(152)를 구비한다. 이때, 덮개판(151)의 하부면상 일부분에는 기어가 형성되고, 구동모터(152)에는 피니언기어가 장착되어 덮개판(151)과 구동모터(152)는 통상의 래크와 피니언 결합으로 치합되어 작동된다. 바람직하게는 덮개판(151)은 개방된 굴착공간(111)의 상부에서 슬라이딩되기 위해 굴착공간(111)의 상부면상 가장자리에 가이드(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그리고 덮개판(151)의 하부면상에는 원활한 움직임을 위해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이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언더블록(120), 미들블록(130) 및 탑블록(140)의 양측면상 빗면(S)은 동일한 기울기를 가지며, 각 블록(120, 130, 140)의 양측면상 하부측에는 수직면(V)이 형성된다. 이때, 수직면(V)은 상측의 블록이 그 하부에 위치한 블록의 안착공간내로 들어갈 때 전후좌우면과 일치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그리고 수직면(V)은 각 블록이 승강되었을때 상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언더블록(120), 미들블록(130) 및 탑블록(140)이 모두 최상으로 승강되었을 때에 블록들간 양측면이 굴곡없이 동선상으로 일치되게 된다. 또한, 수직면(V)은 그 하부측의 안착공간내에 삽입되게 되어 위쪽 블록들의 횡압력을 지탱해 주는 역할도 해준다.
또한, 미들블록(130)이나 탑블록(140)이 승강하였을때에 수압에 의한 흔들림을 지지해주기 위해 언더블록(120)의 언더안착공간(121)과 미들블록(130)의 미들안착공간(131)에는 수직한 가이드봉(128, 138)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미들블록(130)의 하부면상 및 탑블록(140)의 하부면상에는 가이드봉(128, 138)이 삽입되는 가이드홈(139, 149)가 형성된다. 이때, 미들블록(130)에 형성되는 가이드봉(138)은 언더블록(120)에 형성된 가이드봉(128)이 함께 삽입되야 하므로 내부가 가이드홈(129)과 연통되는 구조로 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잠수형 보(100)의 사용상태 및 작동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5는 탑블록이 하강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미들블록이 하강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언더블록이 하강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며, 그리고 도 8은 셔터장치가 닫혀지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잠수형 보(100)는 모든 블록(120, 130, 140)이 승강되면, 강이나 하천의 물이 넘치지 않게 되어 모든 물을 막게 된다(도 2참조).
그리고 잠수형 보(100)를 중심으로 상류쪽 물을 하류쪽으로 흘려 보내기 위해서는 탑블록(140) 또는 미들블록(130)을 하강시켜주면 된다. 따라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3차유압실린더(135)가 축소되도록 작동시켜 탑블록(140)이 미들안착 공간(131)속으로 들어가도록 하여 강이나 하천의 물이 미들블록(130)을 월류하도록 한다.
또는, 더 많은 물을 하류로 흘려보내기 위해서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들블록(130)도 하강시킬 수 있다.
한편, 상류와 하류를 모두 개방시킬 때에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탑블록(140) 및 미들블록(130)이 하강된 상태에서 언더블록(120)도 하강시킨다. 그리고 모래나 자갈 등과 같은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셔터장치(150)를 작동시켜 덮개판(151)을 닫는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강이나 하천 등에 설치되는 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잠수형 보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잠수형 보를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언더블록, 미들블록 및 탑블록의 분리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잠수형 보의 하강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으로서,
도 5는 탑블록이 하강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미들블록이 하강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7은 언더블록이 하강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8은 셔터장치가 작동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Claims (5)

  1. 강이나 하천의 물을 막거나 흘려보내기 위해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보에 있어서,
    강이나 하천의 바닥속에 폭방향으로 굴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굴착공간에 적어도 2단 이상의 블록이 승하강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형 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굴착공간의 일측에는 상기 굴착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닫는 셔터장치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형 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장치는 상기 굴착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슬라이딩하면서 하부면상에 기어가 형성된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의 하부에는 상기 기어에 치합되는 피티언기어가 장착된 구동모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형 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마름모꼴 형상을 가지며, 양측면의 빗면이 동일한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형 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중에서 하측의 블록에는 가이드봉이 형성되고, 상측 블록에는 상기 가이드봉에 대응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형 보.
KR1020080023415A 2008-03-13 2008-03-13 잠수형 보 KR100990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415A KR100990698B1 (ko) 2008-03-13 2008-03-13 잠수형 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415A KR100990698B1 (ko) 2008-03-13 2008-03-13 잠수형 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188A true KR20090098188A (ko) 2009-09-17
KR100990698B1 KR100990698B1 (ko) 2010-10-29

Family

ID=41357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415A KR100990698B1 (ko) 2008-03-13 2008-03-13 잠수형 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06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9877A1 (ko) * 2013-02-01 2014-08-07 Kang Nam Gu 방파벽 기능을 갖는 조립식 높이가변형 차단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058Y1 (ko) 2011-09-09 2012-06-20 강남구 제방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승하강식 잠수형 보
KR200464803Y1 (ko) * 2011-10-24 2013-01-17 강남구 높이 가변형 차단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7248B2 (ja) 1982-10-07 1985-08-24 丸誠重工業株式会社 多段式シリンダ−ゲ−ト設備における制水ゲ−ト装置
KR100640150B1 (ko) * 2005-12-12 2006-11-01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하천 수중보 및 댐용 하향식 수문의 덮개
KR100763802B1 (ko) * 2006-10-10 2007-10-12 한상관 승강식 다층 자동보 수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9877A1 (ko) * 2013-02-01 2014-08-07 Kang Nam Gu 방파벽 기능을 갖는 조립식 높이가변형 차단구조물
JP2016503467A (ja) * 2013-02-01 2016-02-04 カン、ナム グKANG,Nam Gu 防波壁機能を有する組立式高さ可変型遮断構造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0698B1 (ko) 201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52326A (ko) 선박 건조 시스템
KR200464944Y1 (ko) 승강식 가동보
KR101522515B1 (ko)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비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친환경 발전시스템
KR100990698B1 (ko) 잠수형 보
KR100763802B1 (ko) 승강식 다층 자동보 수문
KR101261776B1 (ko) 유압식 매립형 인양 수문기
KR101788194B1 (ko) 배수능력이 개선된 수문장치
KR100995969B1 (ko) 수문 시스템
CA1283426C (en) Fish conveying apparatus
KR101563886B1 (ko) 상부 돌출높이 최소화를 고려한 지하터널용 수문 시스템
KR102432977B1 (ko) 표층수와 부유물 방류가 가능한 수위조절 2단 수문
KR20180098898A (ko) 저수조용 수문
KR20140099027A (ko) 다목적 높이가변형 차단구조물
KR20060113615A (ko) 조립식 자동보 수문
JP3074672B2 (ja) 排砂流路の二段ゲート
JP4651017B2 (ja) 下水道の伏越部構造
KR100647352B1 (ko) 다단 전도식 수문시스템
KR101885903B1 (ko) 수문 시스템
KR102566704B1 (ko) 횡형 게이트
NL1041323B1 (en) Submersible bridge and water way provided with a submersible bridge.
JP2005213960A (ja) スライドゲート装置
KR101565081B1 (ko) 가동보 수문
JP2005023747A (ja) 自動水位調整ゲート
KR20180111113A (ko) 부력 댐
KR102246907B1 (ko) 방조제 호소 저층수 배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