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2326A - 선박 건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 건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2326A
KR20080052326A KR1020070097269A KR20070097269A KR20080052326A KR 20080052326 A KR20080052326 A KR 20080052326A KR 1020070097269 A KR1020070097269 A KR 1020070097269A KR 20070097269 A KR20070097269 A KR 20070097269A KR 20080052326 A KR20080052326 A KR 20080052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k
seawater
subsequent
ship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7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미 고지마
Original Assignee
미나미 니뽄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나미 니뽄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나미 니뽄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2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23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30Moving or transporting modules or hull blocks to assembly sites, e.g. by rolling, lifting or fl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81/00Repairing or maintain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CSHIP-LIFTING DEVICES OR MECHANISMS
    • E02C1/00Locks or dry-docks; Shaft locks, i.e. locks of which one front side is formed by a solid wall with an opening in the lower part through which the ships pas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CSHIP-LIFTING DEVICES OR MECHANISMS
    • E02C1/00Locks or dry-docks; Shaft locks, i.e. locks of which one front side is formed by a solid wall with an opening in the lower part through which the ships pass
    • E02C1/06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lo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Barrages (AREA)
  • Underground Or Underwater Handling Of Bui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선박 건조 시스템(10) 또는 방법은 소망의 깊이를 갖는 도크(14)를 포함한다. 이 도크(14)는 주위 벽에 의해 어느 정도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고, 그리고 근해(S)와 연통할 수 있는 개방 가능한 출입 게이트(20)를 갖는다. 도크(14) 내로 해수를 도입하거나 도크로부터 해수를 배수함으로써, 도크(14) 내의 수위를 근해(S)의 수위와 동일 수위로 조정하여 선박(H)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크(14)와 연결되는 얕은 후속 도크(14-1 내지 5)가 제공되고, 후속 도크(14-1 또는 5)의 수위를 제어함으로써 건조 공간이 형성된다.
Figure P1020070097269
선박 건조, 도크, 후속 도크, 해수면, 테이블 도크

Description

선박 건조 시스템{SHIP CONSTRUCTION SYSTEM}
본 발명은 선박 건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건조 즉, 새로운 선박을 건조하는 신규 건조, 기존 선박의 수리 및 유지 등의 작업 및 보수 등에 이용되는 선박 건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크 내부로 또는 도크로부터 해수를 도입/공급하거나, 해수를 배수하고, 해수 도입/배수 장치에 의해 도크 내의 수위를 제어하고, 도크의 게이트의 개폐를 제어하고, 그에 의해서 바다로부터 지면의 도크로, 도크로부터 다른 도크로, 또는 지면으로부터 바다로의 선박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선박 건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건조는 (1) 건식 도크(dry dock), (2) 강으로 제조된 부양식 도크(floating dock), (3) 선박을 리프트 장치에 의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지면상의 작업장으로 이동시키고, 작업장으로부터 바다쪽으로 들어 내리는 싱크로리프트 시스템(syncrolift system)으로 통상 지칭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이러한 종래의 시스템은 하기의 문제점을 갖는다.
상기 항목 (1)의 건식 도크는, 땅을 굴착하는 대규모의 토목 작업을 요하기 때문에 많은 제조 비용이 요구된다. 또한, 건조중에 굴착된 대용량의 흙과 모래의 처분은는 환경 보호 관점에서 문제점으로 여겨진다.
항목 (2)의 부양식 도크는 주로 수리용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그러한 특성 때문에, 부양식 도크는 불가피하게 도크에 수용할 수 있는 선박의 크기가 제한되는 단점을 갖는다.
항목 (3)의 싱크로리프트 시스템이 복수의 선박의 건조에 적합하다고 하지만, 이는 다수의 대형 리프트 장치를 필요로할 뿐만 아니라, 리프트 용량도 제한된다. 따라서, 싱크로리프트 시스템이 처리할 수 있는 크기는 제한되어 있다.
더욱이, 부양식 도크는 해저로부터 직립된 주변 벽으로 둘러싸여져 있으며, 주변 벽에 제공된 수문을 개방함으로써 밸러스트에 의해 수면 아래로 가라 앉은 부상식 도크 내부로 선박이 도입되며, 도크는 밸러스트 해수(ballast water)를 배수시킴으로써 부양되며 선박은 주변 벽 내의 안착 테이블(seating table) 상에 안착되는 종래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은 해수 도입/배수 장치에 의해 주변 벽 내의 수위를 조절하여, 조류의 레벨에 관계없이 부양식 도크의 안착 테이블 상에 선박의 정확한 안착을 가능하게 한다(일본 공개 제 11-105785). 그러나, 이러한 기법은 단일 도크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건조는 다른 도크와 같이 소정 규 모의 굴착을 요한다. 더욱이, 이러한 기법은 도크용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시스템에서, 설비의 구성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많은 비용이 필요하다. 더욱이, 도크의 건조 중에 굴착된 많은 양의 흙과 모래의 처리는 심각한 문제이다. 또 다른 종래의 시스템은 시스템이 처리할 수 있는 선박의 크기에 제한 등의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선박의 건조, 근해에 인접한 적합한 장소를 이용하여,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크기에 제한 없이 보다 적은 건조 비용으로 필요시에 복수의 선박의 동시 건조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1항에 따른 시스템은, 지면에 의해 지지된 주위 벽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근해와 적어도 일부 연통하는 연통부와, 선박이 근해의 수위에서 부유하는 동안 선박을 도크에 출입 가능하능하게 하는 깊이를 갖는 도크를 포함한다. 연통부에는, 개방 가능한 출입 게이트가 개방되어 있으면 바다 위에 부유하는 선박의 통과를 허용하고, 개방 가능한 출입 게이트가 폐쇄되되 도크 내의 근해의 수위 보다 높은 수위를 유지하는 개방 가능한 출입 게이트가 제공된다. 또한, 이 시스템은 개방 가능한 출입 게이트가 폐쇄된 상태에서 도크에 해수를 도입하고 그로부터 배수하는 해수 도입/배수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도크에는, 도크에 후속하고 선박의 통과를 허용하는 개방가능한 이동 게이트를 통해 주위 벽의 일부와 연결되는 후속 도크가 제공된다. 후속 도크는 도크의 깊이보다 낮은 깊이를 가지며 선박이 배치되는 바닥부를 갖는다. 또한, 이 시스템은 개방가능한 게이트가 폐쇄된 상태에서 후속 도크 내부로 그리고 후속 도크로부터 해수를 도입하고 배수하는 제2 해수 도입/배수 장치를 포함하고 있어, 후속 도크는 도크와 동일한 수위를 유지한다. 선박 건조 시스템은 선박이 도크 내의 수위가 근해의 수위와 일치하도록 된 상태에서 개방된 개방 가능한 출입 게이트를 통하여 수리 및 보수유지를 요하는 선박이 도크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며, 선박은 후속 도크 내의 수위를 조정한 후에 도크와 연결된 후속 도크로 이동된다. 후속 도크 내의 해수가 배수된 후에, 선박은 고정되어 건조 즉, 수리 및 보수가 행해진다.
새로운 선박을 건조하는 경우에, 통상의 건조는 해수가 배수된 후속 도크 내에서 완료되며, 그리고 나서 후속 도크 및 도크는 개방가능 게이트 및 개방 가능한 출입 게이트를 개폐하고, 상응하는 해수 도입/배수 장치를 작동함으로써 거의 동일한 수위를 갖도록 조정된다. 그 후, 신규 건조된 선박이 개방가능 게이트를 통해 도크 내부로 이동된다. 그 후, 도크가 근해의 해수면의 수위와 거의 동일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개방 가능한 출입 게이트는 개방되며, 신규 건조된 선박은 도크로부터 나와 근해에 진수된다.
청구범위 제2항에 따른 발명은 도크에 인접하여 테이블 도크가 제공된 구조를 갖는다. 테이블 도크는 도크의 깊이보다 낮은 깊이를 가지며, 도크의 수위에 의해 부유된 선박의 이동을 허용하며, 선박은 테이블 도크의 바닥부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선박의 건조는 필요한 테이블 도크를 이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테이블 도크가 도크보다 낮은 깊이를 가지므로, 테이블 도크는 특별한 굴착을 요하지 않으며, 기존의 지면상에 주위 벽을 제공함으로써만 건조될 수 있다. 따라서, 테 이블 도크의 건조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청구범위 제3항에 따른 본 발명은 도크와 후속 도크 사이에 이동 채널이 제공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동 채널은 이동용 게이트를 통해 도크 사이의 부유 선박의 이동을 허용한다. 본 발명은 후속 도크로 선박의 용이한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청구범위 제4항에 따른 본 발명은 후속 도크와 동일한 구조는 갖는 하나 이상의 후속 도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소정의 후속 도크로 선박의 선택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청구범위 제5항에 따른 본 발명은 출입 게이트 및 게이트가 선박의 이동이 소정 도크로 이동하게 하도록 서로 연결된 제어에 의해 개폐된다. 본 발명은 선박을 소정의 후속 도크로 효율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또한, 청구범위 제6항에 따른 본 발명은 지면에 의해 지지된 주위 벽으로 둘러싸인 도크를 이용한 선박 건조 방법에 있어서, 근해와 적어도 일부분 연통하는 연통부를 가지며, 근해의 수위에 부유하는 동안에 도크로부터 선박이 출입 가능하게 하는 깊이를 갖는다. 연통부에는, 개방 가능한 출입 게이트가 개방되면 해수 상에 부유하는 선박의 통과를 허용하고, 출입 게이트가 폐쇄되면 도크 내의 근해의 수위보다 높은 수위를 유지하는 개방 가능한 출입 게이트가 제공된다. 더욱이, 개방 가능한 출입 게이트가 폐쇄된 상태에서 도크로부터 해수를 도입하고 도크로부터 해수를 배수하는 해수 도입/배수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도크에는 도크에 후속하며 선박의 통과를 허용하는 개방가능 게이트를 통해 주위 벽의 일부와 연결된 후속 도크가 제공된다. 후속 도크는 도크의 깊이보다 낮은 깊이를 가지며, 선박이 위치되는 바닥부를 갖는다. 더욱이, 개방가능 게이트가 폐쇄된 상태에서 후속 도크로 해수를 도입하고 배수하는 제2 해수 도입/배수 장치가 제공되어, 후속 도크는 도크와 동일한 수위를 유지하며 선박은 후속 도크로 이동할 수 있다. 수리 및 보수를 요하는 선박은 도크 내의 수위가 연안 바닥의 수위에 일치하도록 된 상태에서 개방된 개방 가능한 출입 게이트를 통해 도크로 유입되도록 한다. 그 후, 도크와 연결된 후속 도크 내의 수위가 조절되며, 선박은 후속 도크로 이동된다. 후속 도크 내의 해수가 배수된 이후, 선박은 고정되며, 건조 즉, 필요한 수리 및 보수가 행해진다.
청구범위 제7항에 따른 본 발명은 도크와 후속 도크 사이에 추가로, 청구범위 제6항의 건조 방법에서 도크와 후속 도크에 이동 채널이 제공되는 선박 건조 방법에 있어서, 이동 채널은 선박이 소정의 후속 도크로 이동되도록 이동용 개방가능 게이트를 통해 도크 사이의 부유 선박의 이동을 허용한다. 수리 및 보수를 요하는 선박은 도크 내의 수위가 근해의 수위에 맞춰진 상태에서 개방된 개방 가능한 출입 게이트를 통해 도크로 도입되게 한다. 그리고 나서, 선박은 도크와 동일하게 조정된 수위를 갖는 이동 채널로 입항된다. 선박은 소정의 후속 도크로 이동되며, 이동 채널과 연결되며 개방가능 게이트를 통해 조정된 수위를 갖는다. 후속 도크 내의 해수가 배수된 후에, 선박은 고정되고 건조 즉, 필요한 수리 및 보수가 행해진다. 그후, 선박은 역순으로 도크 밖으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라, 입구 도크 이외의 도크들은 지면 레벨과 거의 동일한 레벨 에 제공될 수 있으며, 종래의 건조 도크와 달리 지면의 굴착이 요구되지 않으며, 소정의 수위가 지면에 의해 지지된 주위 벽에 의해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설치 및 건조가 지면 레벨에서 수행될 수 있는 상술한 싱크로리프트 시스템과 유사하나. 본 발명의 시스템은 싱크로리프트 시스템 내에서 수행되는 지면과 상승 플랫폼 사이의 레일 상에서 선박을 이동시키지 않으므로 간단한 구조를 갖는다. 더욱이, 선박의 크기를 크게 제한하지 않고 서로 연결되도록 제공된 도크의 개방가능 게이트는 서로 연결되어 제어에 의해 개폐되며, 그로 인해 건조될 선박이 연안바다와, 소정의 도크 사이에 유연하게 이동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통합되고 명세서의 일부로 구성되는 첨부된 도면이 상술한 개략적인 설명과 하기에 기술되어질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1 내지 도6(b)는 참조번호 10으로 도시된 전체 선박 건조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선박 건조 시스템(10)은 양호하게는 근해(5)와 지면(L) 사이의 경계부에 위치된 해안선(CL)의 부근에 위치된다. 특히, 도2의 평면도 및 도3 내지 도5의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시스템(10)은 근해(S)를 향하도록 구성되며, 지면상에 즉, 해안선(CL)을 따라 연장하는 지면(L) 상에 직립된 주위 벽(12)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근해(S)"는 대양에 연결된 해수의 연안 본체를 지칭하나, 호수와 강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용어 " 해수"는 담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1 및 도2에서, 참조번호 14는 연통부(16)를 포함하는 직사각형 도크를 지칭한다. 연통부(16)는 근해(S)와 지면(L) 사이의 경계부 상에 넓게 위치되며, 연통부(16)의 일부분은 근해(S)와 마주하며 근해(S)와 연통할 수 있다. 직사각형 도크(14)는 해수가 소정의 레벨에 유지되도록 주위 벽(12)에 둘러싸여져 있다. 주위 벽(12)의 높이는 건조 또는 보수되어질 선박의 이동에 요구되는 수위에 따라 결정된다. 요구되는 수위가 선박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달라지기는 하나, 일반적으로 대략 7m의 드래프트로 거의 대부분의 선박을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블록의 높이(대략 2m)을 고려하여, 지면으로부터 후방 주위 벽(12)의 충분한 높이는 대략 9 내지 10m이다.
연통부(16)에는 도크로부터 선박이 출입할 수 있도록 개방 가능한 출입 게이트(20)가 제공된다. 개방가능 게이트(20)는 주위 벽(12)과 거의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게이트(20)의 하부 단부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봇식으로 지지된다. 게이트(20)는 게이트가 직각에서 외부로 게이트를 피봇회전함으로써 개방될 때, 건조 또는 보수를 요하는 선박(H)이 도크와 근해 사이의 도크로부터 출입 가능하도록 충분한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해수 내에서 부유하는 선박은 게이트(20)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20)의 개폐는 소정의 수위 즉, (하기에 기술될) 후속 도크 내에서 선박을 지지하고 부유하기에 충분한 해수의 수면 레벨을 유지하도록 제어된다.
도크(14)에는 두 개의 직사각형의 도크 즉, 전방 도크와 후방 도크로 분할된 다. 전방 도크는 입구 도크(14F)로 제공되며, 후방 도크는 입구 도크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건조 도크 즉, 후속 도크(14R)로 제공된다. 입구 도크(14F) 및 후속 도크(14R)는 서로 연결된다 특히, 도크사이의 구획(15)에는 게이트(2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개방가능 게이트(20-R)가 제공된다.
또한, 도5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해 측면과 직접 접촉하는 입구 도크인 도크(14F)는 직사각형의 전체 길이를 통해 근해를 향해 깊이 굴착되어, 선박(H)은 게이트(20)를 통해 근해로부터 도크에 용이하게 유입(도크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특히, 도크(14F)는 근해와 연통하며 그 전체 면적을 통해 대략 7 내지 8m 아래로 굴착된다. 이로 인해, 도크(14F)는 주위 벽와 함께 대략 16 내지 18m의 깊이를 갖는 도크로 형성되어, 선박은 근해로부터 그리고 연안바다까지 개방가능 게이트(20)를 통해 도크로부터 용이하게 출입될 수 있다.
반면에, 후속 도크(14R)의 깊이는 도크(14F)의 깊이보다 낮게 설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후속 도크(14R)의 깊이는 건조 중에 지면의 굴착을 요하지 않는 깊이로 설정된다. 즉, 지면과 동일한 레벨을 갖는 바닥부가 형성된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후방 측면 상의 주위 벽(12)은 지연으로부터 대략 9 내지 10m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도크(14R)의 바닥부는 지면 레벨과 동일한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2의 평면도 및 도4의 단면도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블록(17)은 그 종방향으로 후속 도크의 바닥면 상에 묶여있는 레일과 같이 간헐적으로 제공된다. 블록(17)은 해수 내에 부유하는 동안에 도크에 유입되고 하기에 기술된 후속 도크(14R)내의 해수를 방출함으로써 낮아진 선박(H)의 바닥부는 블록(17) 상에 위치되어 그 위에 고정된다. 각각의 블록(17)은 콘크리트 블록 상에 강 블록을 선택적으로 적층하고, 그 위에 복수의 나무 블록 형태를 연속하여 적층하고, 블록을 묶어줌으로써 형성된다. 블록(17)은 해수가 도크 내부로 도입되는 경우에도 부유되지 않는다. 더욱이, 도크 내의 해수가 배수된 후에, 블록(17)은 낮아진 선박(H)의 바닥을 고정함으로써 선박(H)을 안정되게 지지한다. 더욱이, (제2 해수 도입/배수 장치로 지칭되는 도크(14R)용 장치(18)로 지칭되는)해수 도입/배수 장치(18)는 도크(14F,14R)에 서로 연결된다. 특히, 도6(a)에 개략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해수 도입/배수 장치(18), 해수 도입/배수 펌프(22), 밸브(24) 및 해수 방출 밸브(25)는 도크(14F,14R) 의 바닥부 내에 배치된다. 펌프(22)는 스트레이너(27) 및 밸브(28)를 통해 해수 흡입구(sea chest)(29)를 거쳐 근해(S)와 연통한다. 더욱이, 근해(S) 측면 상의 해수 방출 밸브(25)는 해수 방출 밸브(25)의 위치가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도크(14F)의 근해 연통부(16) 내의 해수면보다 낮은 부분에서 근해(S)와 연통한다.
다음으로, 도1 및 도2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후속 도크(14R)와 거의 동일한 깊이는 갖는 직사각형의 후속 도크(14S)는 도크(14F)의 일측면 상에 형성된다. 후속 도크(14F)의 일측면은 그 전체 길이를 통해 도크(14F)와 연결되며, 도크(14F)의 외주위는 후속 도크(14R)를 둘러싼 주위 벽(12)과 동일한 주위 벽(12)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크(14R) 내에 제공된 유사한 블록은 도크(14S)의 바닥부 상에 배열된다. 필요한 경우에, 블록과 동일한 높이(2m)를 갖는 낮게 직립된 벽(12A)은 도크(14F)와 경계부 상에 형성된다. 도크(14F)가 근해와 동일한 수위를 가질 때, 직립하는 벽(12A)은 도크(14S)내부로 해수의 불필요한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크(14S)는 도크(14F) 내의 수위가 근해(S)의 수위와 동일하거나 더 높게 유지되도록 형성되며, 선박(H)이 근해(S)와 동일한 수위에서 부유되고 개방가능 게이트(20)가 폐쇄된 상태에서 해수 도입/배수 장치(18)에 의해 도크(14S)의 영역 내에 충분한 수위가 확보된다.
또한, (도시되지 않은) 해수 배수 밸브가 도크(14S)의 바닥부 내에 제공된다. 해수 배수 밸브는 직립 벽(12A)에 의해 도크(S) 내에 잔존하는 해수를 배수하며, 도크(14F)의 해수 배수와 연통한다. 더욱이, 도1 및 도2에 하나의 위치로만 도시되어 있으나, 도크(14S)는 두 개 이상의 위치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도크(14S)가 전술한 실시예에서 도크(14F)의 일측면에 인접하여 제공되나, 후속 도크(14R) 대신에, 도크(14S)는 도크(14F)의 종방향 후방 측면에 인접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를 갖는 건조 시스템(10)의 작동을 하기에 설명한다. 본 설명에서는, 선박(H)의 구조 중에, 보수되는 선박(H)이 기술된다.
먼저, 보수되어질 선박(H)은 연안 바닥(S) 내의 건조 시스템(10)의 부근에 위치된다. 또한, 해수는 근해(S)와 동일하도록 도크(14F) 내의 수위를 증가시키기 위해, 해수 도입/배수 장치(18)에 의해 출입 게이트(20)에 의해 폐쇄된 도크(14F) 내부로 도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출입 게이트(20)는 개방되고, 선박(H)은 도크(14F)로 이동된다. 선박(H)이 도크(14F)로 유입된 후에, 출입 도크(14F)의 게이 트(20)는 폐쇄되며, 해수 도입/배수 장치(18)는 후속 도크(14R)의 개방가능 게이트(20-R)가 개방된(또는 폐쇄된) 상태에서 후속 도크(14R) 내부로 해수를 도입한다. 이러한 해수 도입에 의해, 도크(14R) 내의 수위는 도크(14R) 내에 선박(H)을 위치시키기 위해 필요한 레벨로 증가시킨다. 그리고 나서, 도크(14F) 내의 선박(H)은 해수 내의 부유 상태에서 게이트(20-R)를 통해 후속 도크(14R)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
그 후, 게이트(20-R)는 폐쇄되며, 제2 해수 도입/배수 장치(18)는 후속 도크(14R)로 해수를 배수시키기 위해 구동된다. 이로써, 선박(H)은 수위로 감소로 낮아지며, 선박(H)의 바닥은 블록(17) 상에 안정되게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후속 도크(14R)내의 선박(H)에 대해서 소정의 보수 공정이 수행된다. 보수 공정이 완료된 이후에, 도크(14R) 내부로 선박(H)이 도크(14R) 내부에 놓여질 때 사용된 동일한 수위로 해수가 도입되고 이로 인해 선박(H)은 부유된다. 더욱이, 도크(14F)의 수위는 폐쇄된 게이트(20)와 동일한 수위로 증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게이트(20-R)는 개방되고, 이로 인해 도크(14F, 14R)는 동일한 수위로 서로 연통한다. 따라서, 후속 도크(14R) 내의 선박(H)이 게이트(20-R)를 통해 도크(14F)로 이동될 수 있다.
그 후에, 도크(14F) 내의 해수는 해수 도입/배수 장치(18)에 의해 배수되고, 도크(14F) 내의 수위가 근해(S)의 수위와 거의 동일하게 되는 상태에서 게이트(20)가 개방된다. 그것에 의해서, 도크(14F)는 근해(S)와 동일 수위로 통하게 되고, 그에 따라서 수리된 선박(H)은 도크(14F)에서 벗어나 근해(S)쪽으로 나아가게 된 다. 또한, 배수 작업은 근해(S)의 수면보다 낮은 위치에 제공된 근해 연통부(16)의 배수 밸브(25)를 사용하여 중력에 의해서 수행되고, 그에 의해서 해수면상에 부유할 수도 있는 선박으로부터의 오일이 근해에 유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는 해양 오염의 가능성을 제거한다.
또한, 선박(H)을 신규로 건조하는 경우에, 건조에 필요한 부품재들은 후속 도크(14R)에 해수가 없는 상태로 블록(17)에 공급되고, 조립 단계가 수행되어 선박(H)이 완성된다. 그 다음, 후속 도크(14R)와 입구 도크(14F)의 게이트(20-R 및 20)개폐하는 것에 의해서 그리고 해수 도입/배수 장치(18)에 의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수위 조정 작업이 수행된다. 그것에 의해서, 선박(H)은 게이트(20-R)를 통해서 후속 도크(14R)로부터 도크(14F)로 이동하게 되고, 그리고 개방 가능한 출입 게이트(20)를 통해서 도크(14F)로부터 근해로 원활하게 이동하게 된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크(14S)를 사용하여 건조를 행하는 경우, 선박(H)이 도크(14F)에 배치된 상태에서, 도크(14F)의 수위는 해수 도입/배수 장치(18)에 의해 증가되어 근해의 수위와 동일하거나 또는 더 높아진다. 그 후에, 해수가 추가로 도입되어 도크(14S) 내에 충분한 수위가 확보된다. 이 경우에, 도크(14)에서 떠오른 선박(H)은 도크(14S)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선박(H)이 도크(14S) 내에 위치되면, 선박(H)은 도크(14F)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조를 갖는 도크(14S)에 따르면, 도크(14R)와 같은 개방 가능한 특수 게이트를 제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개방 가능한 게이트를 작동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도크(14S)의 수위를 해수 도입/배수 장치(18)에 의해서 도크(14S)의 바닥부보다 더 높게 증가시킴으로써, 도크(14F)의 수위가 도크(14S)의 수위와 균등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도크(14F)의 수위를 증감시키는 것만으로 선박(H)이 도크들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자체 추진, 권양기에 의한 예인 및 보트 등의 적절한 수단을 선박(H)의 이동을 위한 동력으로 채택할 수 있고, 주위 벽(12)에 제공된 플랫폼상에 이들 수단에 필요한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선박(H)이 도크에 출입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도크(14F)가 제공되는 것을 설명했지만, 다른 도크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블록을 도크(14F)이 바닥부에 제공할 수도 있다. 그것에 의해서, 게이트(20, 20-R)가 폐쇄된 상태에서, 도크(14R)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해수 도입/배수 장치(18)에 의해서 도크(14F)로부터 해수를 배수함으로써 건조 또는 수리를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건조 시스템의 상기 실시예에서의 구성 요소, 즉 상기 구조체의 도크(14F), 출입 게이트(20), 도크용 해수 도입/배수 장치(18), 개방 가능한 게이트(20-R), 후속 도크(14R), 및 후속 도크에 대하여 해수를 도입 및 배수하는 제2 해수 도입/배수 장치(18)를 사용함으로써, 후속 도크에 대하여 선박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선박 건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방법은, 도크(14F) 내의 수위가 근해의 수위와 동일하게 된 상태에서, 수리 및 보수유지를 필요로 하는 선박(H)을, 출입 게이트(20)를 통해 도크(14F) 내로 입항시키는 방법이다. 그 후에, 도크(14F)와 연통하는 후속 도크(14R)내의 수위를 조정하여, 선박(H)을 후속 도크(14R) 내로 이동시킨다. 그 후에, 후속 도크(14R) 내의 해수가 배수된 후, 선박(H)은 고정되어 건조된다. 즉, 선박은 필요한 수리 및 보수유지를 받게 된다.
다음에, 도 7 내지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근해(S)와 육지(L)의 경계에 위치한 해안선(CL)의 부근에,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건조 시스템(10)이 설치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시스템(10)은 육지, 즉 지면(L)에 의해 지지되는 기립 주위 벽(12)으로 둘러싸여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서, 도크(14)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연통부(16)를 포함한다. 이 연통부(16)는 근해(S)와 육지(L) 사이의 경계면 부근에 배치되고, 연통부(16)의 일부는 근해(S)에 면하며, 근해(S)와 연통할 수 있다. 주위 벽(12)의 높이는,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약 10m이어서, 도크(14) 내의 해수면이 소정의 수위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연통부(16)의 일부에는, 제어에 의해서 개폐되는 개방 가능한 출입 게이트(20)가 제공되어서, 선박(H)을 위한 입구 도크(124F)가 형성된다.
동일 형상을 갖는 복수의 건조 도크, 즉 후속 도크(14-1, 14-2, 14-3, 14-4, 14-5)가 도크(14F)의 측면에 평행하게 그 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후속 도크(14-1 내지 15-5)는 선박(H)이 이동하는 이동 채널(30)을 통해서 서로 연통하고 있다. 채널(30)은 제1 실시예의 건조 후속 도크(14)와 거의 동일한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 어, 지면의 굴착 필요성을 실질적으로 없앤다. 후속 도크(14-1, 14-2)는 채널(30)과 거의 동일한 깊이를 가지며, 입구 도크(14F)의 측면에 인접하여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후속 도크(14-3, 14-4, 14-5)도 채널(30)과 동일한 깊이를 가지며, 지면측을 향해서 입구 도크(14F)로부터 떨어져서 그 사이에 채널(30)이 개재된 상태로 배치되고, 그리고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후속 도크를 둘러싸는 주위 벽(12)의 일부가 공통적으로 사용된다.
주위 벽(12)들의 사이에서, 채널(30)에 면하는 각 도크의 주위 벽, 즉 격벽(32)에는, 개방 가능한 게이트(2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개방 게이트(20-R, 20-1, ..., 20-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8은, 상기 건조 시스템(10)에서의 입구 도크(14F)와 후속 도크(14-1, 14-2)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후속 도크(14-3, 14-4, 14-5)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는, 입구 도크(14F)는 근해에 직접 접촉하는 입구의 역할을 하며, 따라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근해(S)를 향해서 직사각형 형상의 전체 길이를 따라 가파르게 굴착되어, 선박(H)이 개방 가능한 게이트(20)를 통하여 근해(S)로부터 또 근해쪽으로 도크에서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후속 도크는, 입구 도크(14F)보다 얕게 형성된 채널(30)과 거의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얕은 깊이를 갖는 바닥부를 구비한다. 입구 도크(14F) 및 후속 도크(R)인 도크(14-1, ..., 14-5)는 해수 도입/배수 장치(18) 및 제2 해수 도입/배수 장치(18-1, ..., 18-5)와 각각 연결되어 있다. 도 10 및 11은 그의 배관 게통을 도시하는 개략적 다이아그램이다. 구체적으로는, 해수 도입/배수 장치(18) 및 제2 해수 도입/배수 장치(18-1 내지 18-5)는, 해수 도입/배수 장치(22)와 각 밸브(24)가 각 해수 도입/배수 장치(26)를 통해서 각 도크에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펌프(22)도 해수상자(29)를 거쳐 스트레이너(strainer)(27) 및 밸브(28)를 통해서 근해(S)와 연통한다.
입구 도크(14F), 채널(30) 및 후속 도크(14-1 내지 14-5) 내의 수위는, 펌프(22)의 작동과, 각 도크의 밸브(24) 및 밸브(28)의 작동에 의해서 조정되며, 그리고 개방 가능한 게이트를 통해 동일한 수위로 설정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서, 선박(H)은 개방 가능한 게이트(20, 20-R, 20-1 내지 20-5)를 통하여 도크 중 하나와 채널(30) 사이에서, 그리고 입구 도크(14F)와 채널(30)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의 구조를 갖는 제2 실시예의 건조 시스템(10)의 작동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 선박(H)의 건조 중에, 선박(H)을 수리하는 예를 설명한다. 먼저, 수리할 선박(H)이 근해(S)의 건조 시스템(10)의 부근에 위치된다. 그 다음, 선박(H)은, 도크(14F)가 근해와 동일한 수위로 설정된 상태에서, 개방가능한 출입 게이트(20)를 통하여 도크(14F) 내로 이동한다. 그 후에, 게이트(20)가 폐쇄되고, 입구 도크(14F)와 채널(30)의 수위가 해수 도입/배수 장치(18)에 의해 증가되며, 선박(H)은 도크(14F)와 채널(30) 사이의 개방 가능한 게이트(20-R)를 통하여 채널(30) 내로 이동한다. 그 후에, 선박이 이동한 예컨대, 후속 도크인 도크(14-3)의 개방 가능한 게이트(20-3)가 폐쇄되고, 도크(14-3) 내의 수위가 도크(14-3_의 해수 도입/배수 장치(18)에 의해서 채널(30)과 동일한 수위로 증가된다. 이어서, 개방 가능한 게이트(20-3)가 개방되고, 채널(30)에 위치된 선박(H)은, 개방 가능한 게이트(20-3)를 통하여 해수면상에 떠오른 상태로 도크(14-3) 내로 이동한다. 다음에, 개방 가능한 게이트(20-3)가 폐쇄되고, 해수 도입/배수 장치(18)는 후속 도크(14-3) 내의 해수를 배수하도록 구동된다. 그것에 의해서, 선박(H)은 바닥이 블록(17) 위에 배치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배치되어 수리된다.
후속 도크(14-3)에서 필요한 수리 과정이 완료된 후에, 개방 가능한 게이트(20-3)가 폐쇄된 상태로 해수 도입/배수 장치(18)에 의해서 도크(14-3) 내에 해수다 도입되고, 선박(H)이 블록(17)으로부터 떠오른다. 그것에 의해서, 수리된 선박(H)이 해수면상에 떠오른다. 이 상태에서, 채널(30)과 도크(14F)의 수위는, 해수 도입/배수 장치(18)에 의해서 후속 도크(14-3)의 수위와 동일하게 증가된다. 그 후에, 개방 가능한 게이트(20-3, 20-R)가 개방되고, 선박(H)은 도크(14-3)로부터 채널(30)쪽으로 이동하여, 입구 도크(14F)쪽으로 더 이동한다. 그 후에, 개방 가능한 게이트(20-R)가 폐쇄되고, 도크(14F) 내의 해수가 배수되어 도크(14F) 내의 수위를 근해의 수위로 저하시킨다. 그것에 의해서, 선박(H)은 개방된 출입 게이트(20)를 통해서 도크로부터 근해(S)쪽으로 나아가게 된다.
또한, 신규 선박을 건조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작업이 수행된다. 예컨대, 신규 건조 선박이 후속 도크(14-3)에서 완성된 후에, 선박(H)은 동일한 수위의 후속 도크(14-3)와 채널(30)과 입구 도크(14)의 사이에서, 개방 가능한 게이트(20-3, 20-R), 출입 게이트(20) 및 각 해수 도입 장치(18)를 서로 공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연속적으로 이동한다. 그것에 의해서, 선박(H)은 근해(S)쪽으로 원활하게 이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선박이 단일 건조 도크를 사용하여 건조되지만, 복수의 도크, 예컨대 후속 도크(14-1, 14-2)에서 복수의 선박이 동시에 수리될 수도 있다. 또한, 신규 선박이 후속 도크(14-3, 14-5)에서 동시에 건조될 수 있다. 각 구조에서, 각 선박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 과정에 의해서 이동할 수 있고 도크에 출입하게 된다.
또한, 각 건조 도크는 상기 실시예에서 입구 도크와 거의 동일한 평탄한 형상을 갖지만, 상이한 크기를 갖는, 즉 필요한 경우 상이한 길이, 폭 또는 깊이를 갖는 도크가 준비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수위를 갖는 도크와 근해 사이에서 선박을 이동시키는 작업을 설명하였지만, 그들간에 소정의 수위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선박의 이동을 실행할 수 있다. 수위의 일시적인 차이는, 이동 영역들 사이의 이동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 한, 실질적인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제2 실시예에 따르는 건조 시스템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구조의 도크(14F), 후속 도크 및 그 사이에 제공된 채널(30)을 사용하여 선박을 건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방법은, 출입 게이트(20), 도크(14F)용 해수 도입/배수 장치(18), 개방 가능한 게이트(20-R, 20-1 내지 20-5), 후속 도크(14-1 내지 14-5) 및 각 후속 도크에 대해서 해수를 도입 및 배수하는 제2 해수 도입/배수 장치(18)를 사용하여, 채널(30)을 통해서 소망의 후 속 도크에 대해 선박(H)을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방법은, 도크(14F) 내의 수위가 근해의 수위와 일치하게 된 상태에서, 수리 및 보수유지를 필요로 하는 선박(H)이 출입 게이트(20)를 통해 도크(14F) 내로 입항하는 선박 건조 방법이다. 그 후에, 채널(30)을 통해 도크(14F)와 연통하는 후속 도크(14-1) 내의 수위가 조정되어, 선박(H)은 후속 도크(14-1)쪽으로 이동한다. 그 다음, 후속 도크(14-1) 내의 해수가 배수된 후에, 선박(H)은 고정되어 건조된다. 즉, 선박은 필요한 수리 및 보수유지를 받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서, 출입 게이트 및 이동 게이트는, 서로 공동으로 제어에 의해 개폐되고, 해수 도입/배수 장치의 해수 도입/배수 동작은 게이트와 관련하여 제어된다. 그것에 의해서, 선박은 필요에 따라 소망의 도크쪽으로 또 그로부터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은,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고 그리고 명세서로부터 부분적으로 명확해지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행에 의해 터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이점은, 하기에 특별히 강조된 수단 및 그의 조합에 의해서 실현되고 달성될 수도 있다.
추가의 이점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의 가장 넓은 측면에서 구체적인 세부사항 및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된 대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의 등가물에 의해서 규정되는 바와 같이 포괄적인 발명의 개념의 정신 또는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주요 부분의 평면도,
도3은 도2의 선A-A를 따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4는 도2의 선B-B를 따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5는 도2의 선C-C를 따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평면 개략도,
도6(b)는 본 발명 실시예의 개략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8은 도7의 선D-D를 따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9는 도7의 선E-E를 따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 개략도,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 단면도.

Claims (7)

  1. 선박 건조 시스템에 있어서,
    지면에 의해 지지된 주위 벽으로 둘러싸인 도크로서, 적어도 일부가 근해와 연통하는 연통부를 구비하며, 선박이 근해의 수위에 부상하면서 도크에 출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깊이를 갖는, 도크와;
    상기 연통부상에 제공된 개방 가능한 출입 게이트로서, 상기 개방 가능한 출입 게이트가 개방되면 해수상에 떠 있는 선박의 통과를 허용하고, 그리고 상기 개방 가능한 출입 게이트가 폐쇄되면 상기 도크 내에 근해의 수위보다 높은 수위의 해수를 유지하는, 개방 가능한 출입 게이트와;
    상기 개방 가능한 출입 게이트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도크 내로 해수를 도입하고 또 상기 도크로부터 해수를 배수하는 해수 도입/배수 장치와;
    상기 도크상에 제공된 후속 도크로서, 상기 도크의 뒤에 위치되고 그리고 선박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이동을 위한 개방가능한 게이트를 통하여 주위 벽의 일부와 연결되며, 상기 도크의 깊이보다 얕은 깊이를 가지며, 선박이 위치되는 바닥부를 갖는, 후속 도크와;
    상기 이동을 위한 개방가능한 게이트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후속 도크내에 해수를 도입하고 또 상기 후속 도크로부터 해수를 배수하여, 상기 후속 도크가 상기 도크와 동일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2 해수 도입/배수 장치를 포함하는
    선박 건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크에 인접하여 테이블 도크가 제공되고, 상기 테이블 도크는 상기 도크의 깊이보다 얕은 깊이를 가지며, 상기 도크의 수위에 의해 부상한 선박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선박이 상기 테이블 도크의 바닥부상에 배치될 수 있는
    선박 건조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크와 상기 후속 도크의 사이에 이동 채널이 제공되고, 상기 이동 채널은 상기 이동을 위한 게이트를 통하여 상기 도크들 사이에서 부상한 선박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선박 건조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속 도크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하나 이상의 후속 도크를 더 포함하는
    선박 건조 시스템.
  5.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게이트 및 상기 이동을 위한 게이트는 서로 공동으로 제어에 의해서 개폐되어 소망의 도크로의 선박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선박 건조 시스템.
  6. 지면에 의해 지지된 주위 벽으로 둘러싸인 도크로서, 적어도 일부가 근해와 연통하는 연통부를 구비하며, 선박이 근해의 수위에 부상하면서 도크에 진입 및 진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깊이를 갖는, 도크와;
    상기 연통부상에 제공된 개방 가능한 출입 게이트로서, 상기 개방 가능한 출입 게이트가 개방되면 해수상에 떠 있는 선박의 통과를 허용하고, 그리고 상기 개방 가능한 출입 게이트가 폐쇄되면 상기 도크 내에 근해의 수위보다 높은 수위의 해수를 유지하는, 개방 가능한 출입 게이트와;
    상기 개방 가능한 출입 게이트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도크 내로 해수를 도입하고 또 상기 도크로부터 해수를 배수하는 해수 도입/배수 장치와;
    상기 도크상에 제공된 후속 도크로서, 상기 도크의 뒤에 위치되고 그리고 선박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이동을 위한 개방가능한 게이트를 통하여 주위 벽의 일부와 연결되며, 상기 도크의 깊이보다 얕은 깊이를 가지며, 선박이 위치되는 바닥부를 갖는, 후속 도크와;
    상기 개방가능한 게이트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후속 도크내에 해수를 도입하고 또 상기 후속 도크로부터 해수를 배수하여, 상기 후속 도크가 상기 도크와 동일한 수위를 유지하고 또 선박을 상기 후속 도크 내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제2 해수 도입/배수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는
    선박 건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크와 상기 후속 도크 사이에 이동 채널이 제공되고, 상기 이동 채널은 상기 개방 가능한 게이트를 통하여 도크들 사이에서 부상한 선박의 이동을 허용하여 선박이 소망의 후속 도크로 이동하도록 하는
    선박 건조 방법.
KR1020070097269A 2006-12-07 2007-09-27 선박 건조 시스템 KR200800523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30985 2006-12-07
JP2006330985A JP2008143281A (ja) 2006-12-07 2006-12-07 船舶等の建造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326A true KR20080052326A (ko) 2008-06-11

Family

ID=39546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7269A KR20080052326A (ko) 2006-12-07 2007-09-27 선박 건조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8143281A (ko)
KR (1) KR20080052326A (ko)
CN (1) CN101195407A (ko)
SG (1) SG14311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887B1 (ko) * 2007-09-28 2010-07-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독 배치 구조 및 그의 선박 건조방법
KR102336040B1 (ko) * 2021-06-02 2021-12-0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저 청소 통합 플랜트 및 이를 이용한 선저 청소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23546B (zh) * 2010-04-29 2015-02-11 浙江金港船业股份有限公司 一种化学品船的串联造船法
KR101857076B1 (ko) * 2011-11-04 2018-05-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드라이 도크 내 부분 진수를 위한 장치와 그 방법
CN103112560B (zh) * 2013-03-10 2015-07-15 浙江海洋学院 一种船舶快速下水的方法
CN103669920B (zh) * 2013-11-29 2016-02-03 中交第四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生产出运大型预制构件的深浅坞组合体及流水线作业方法
CN108001630B (zh) * 2017-11-28 2020-05-05 海洋石油工程(青岛)有限公司 大型模块的装船工艺
CN110027927B (zh) * 2019-04-12 2021-06-18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半浮坐墩式滑移装船的方法
KR102157346B1 (ko) * 2019-12-26 2020-09-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드라이도크 미부양 탠덤 공법을 적용한 선박건조공법
CN112356970A (zh) * 2020-01-08 2021-02-12 阮保国 钢夹板叠加结构
CN112173035B (zh) * 2020-10-16 2021-07-23 上海振华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管节沉放船在受限区域内的建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887B1 (ko) * 2007-09-28 2010-07-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독 배치 구조 및 그의 선박 건조방법
KR102336040B1 (ko) * 2021-06-02 2021-12-0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저 청소 통합 플랜트 및 이를 이용한 선저 청소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143281A (ja) 2008-06-26
SG143119A1 (en) 2008-06-27
CN101195407A (zh) 200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52326A (ko) 선박 건조 시스템
US4484836A (en) Pneumatic spar sediment control curtain
JP2010101149A (ja) 発電所排水路の泡発生防止用水路構造
CN101410291A (zh) 浮桥,船坞及用于船坞的方法
KR100952910B1 (ko) 부양식 수문 독 및 그의 선박 건조방법
JP3663693B2 (ja) 大型構造物の製造作業方法及び修理作業方法並にこれらの方法の実施に用いるバージ
JP3958170B2 (ja) 堤体及び構造物の保護設備
KR20100070632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의 해상연결장치 및 방법
GB1576581A (en) Platforms comprising an underwater structure and in their method of assembly
JP5269541B2 (ja) 通船ゲート
KR101027578B1 (ko) 계단형 선박건조장치
US7520231B2 (en) Watercraft lock
JPS6349595A (ja) 簡易浮きドツク
KR100722550B1 (ko) 선박 건조용 드라이도크 구조물
JPH1171715A (ja) 浮 橋
WO2005073470A1 (en) Sinkable device provided with operating gates for use as barrier in a channel, and barrier installation
JP2003129454A (ja) フローティングゲート
JP2005290965A (ja) 可動式防波堤
KR100671438B1 (ko) 소형 수문이 장착된 도크 게이트
KR100967887B1 (ko) 독 배치 구조 및 그의 선박 건조방법
KR200212227Y1 (ko) 조위차를 이용한 수족관의 수문구조
KR20010008139A (ko) 로타리형 자동보의 구성방법
KR20130058881A (ko) 드라이 도크 배수 시스템
KR20000073085A (ko) 하수시설(역사이펀)의 퇴적물 방지장치
SU896178A1 (ru) Вертикальный судоподъемни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