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7887B1 - 독 배치 구조 및 그의 선박 건조방법 - Google Patents

독 배치 구조 및 그의 선박 건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7887B1
KR100967887B1 KR1020070097990A KR20070097990A KR100967887B1 KR 100967887 B1 KR100967887 B1 KR 100967887B1 KR 1020070097990 A KR1020070097990 A KR 1020070097990A KR 20070097990 A KR20070097990 A KR 20070097990A KR 100967887 B1 KR100967887 B1 KR 100967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k
dry
floating
cran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7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2619A (ko
Inventor
이태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7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7887B1/ko
Publication of KR20090032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2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2Floating d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8Graving d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6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by vertical movement of vessel, i.e. by cran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식 독의 수문 앞에 부양식 수문 독을 배치하여, 저 수심 해역에서도 건식 독과 부양식 수문 독의 합작 진수 공법을 수행하여, 호선 3척 이상을 진수할 수 있어 생산성과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 할 수 있고, 기존 건식 독에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선박 진수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독 배치 구조 및 그의 선박 건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독 배치 구조는 해상크레인(400)과 골리앗크레인(300)을 사용하되, 상기 해상크레인의 접근과 상기 골리앗크레인의 사용이 가능한 곳에 설치된 것으로서, 개폐 가능한 독 게이트(201)를 갖는 건식 독(200)과, 상기 건식 독(200)의 양측에서 상기 건식 독(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바다쪽으로 연장 및 지지되도록 수중 콘크리트 구조 공법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골리앗크레인의 주행을 위해 각각 레일을 구비한 한 쌍의 연장부(210)와, 상기 건식 독(200)의 전방 해상을 기준으로 상기 연장부(210) 사이에 배치된 부양식 수문 독(100)을 포함한다.
건식 독, 부양식 수문 독, 수문, 블록, 해상크레인, 골리앗크레인

Description

독 배치 구조 및 그의 선박 건조방법{DOCK DISPLACEMENT STRUCTURE AND VESSEL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독 배치 구조 및 그의 선박 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dock)은 선박을 건조, 수리하기 위해서 조선소나 항만 등에 건설된 설비로서 건식 독(dry dock)과 부양식 독(floating dock)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건식 독은 선박을 진수하기에 충분한 수심을 갖는 바다와 인접한 곳에서, 선박의 출입이 가능할 정도의 길이, 너비, 깊이로 땅을 파서 바다와 연결시키고, 측벽과 바닥을 철근콘크리트나 말뚝으로 보강하고 입구의 갑문에 해당하는 독 게이트(dock gate)를 설치한 것이다.
종래의 건식 독은 그의 크기에 대응하게 생산량이 정해져 있기에 실질적으로 생산량을 증가시키는데 어렵거나 한계가 있다.
종래의 건식 독에서는 호선 1척 또는 복수 척을 생산하기 위해, 다양한 공법이나 건조방법에 따라 선박이 건조되어 진수되지만, 더욱 큰 선박을 건조하거나, 동일 회전 횟수 대비 선박 진수 횟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더 큰 공간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조선소에서는 일단 건식 독이 만들어진 후 더 큰 선박의 건조에 대응한 공간이 더 요구될 경우, 한정된 육상 공간을 이용하여 다른 더 큰 건식 독을 건설하여야 하는 공간 이용상의 문제점에 항상 봉착하고 있다.
이런 점을 감안하여 만들어진 종래 기술의 부양식 독은 한정되고 부족한 조선소의 육상 공간이 아닌 조선소 앞바다의 넓은 해상 공간을 이용하기 때문에 많은 관심과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종래 기술의 부양식 독은 그의 횡단면을 살펴볼 때 바닥부(bottom)의 양측에 측벽부(side wall)를 각각 수직하게 연결 형성하여 요(凹)형 단면을 갖고 있고, 상기 바닥부 및 측벽부의 내부에서 다수의 구획으로 만들어진 발라스트 탱크(ballast tank) 또는 셀(cell)을 구비한 일종의 강제 상자선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부양식 독은 통상적인 건식 독에 비교할 때 기초공사가 필요 없고 이동 가능하다는 특징도 있지만 아래와 같은 극명한 단점을 갖고 있다.
예컨대, 종래 기술의 부양식 독은 대형의 조립블록 또는 메가블록과 같이 대형 선박 건조를 위한 과중량의 블록을 탑재시킬 경우, 해당 탑재 위치에 하중이 집중되어 부양식 독이 뒤틀리거나 처짐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예컨대, 1개의 메가블록은 폭 45m, 높이 25m, 길이 40m, 무게 3천톤급 대형 철구조물을 의미한 것으로서, 기존의 조립블록 5∼6개를 합쳐 만든 것이다.
또한, 종래 기술의 부양식 독은 그의 부상(浮上) 또는 침하(沈下)를 전적으 로 바닥부의 바닥셀과 측벽부의 사이드셀에 의존하기 때문에, 적어도 수심이 16미터 또는 그 이상 깊이의 해역에서만 설치하여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을 갖는다.
왜냐면, 종래 기술의 부양식 독은 자체 중량은 차치하더라도 과중량의 블록 탑재 후에도 부력을 조정하여 부상 또는 침하 등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바닥셀 및 사이드셀의 높이가 약 8미터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매우 두껍게 형성되어야만 하고, 이런 상황에서 부상 또는 침하 깊이를 고려한다면, 적어도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심 16미터 내지 그 이상이 요구되어, 결국 수심이 낮은 조선소의 건식 독에 연접하여 설치하거나, 그 건식 독으로부터 근접된 해역에서 부양식 독의 설치 사용이 불가능하다.
한편, 종래의 부양식 독을 상대적으로 얇게 제작할 경우 자체 중량과 함께 메가블록을 이용하여 블록탑재 완료된 호선의 과중량을 합한 하중에 대응한 턱없이 부족한 부력만을 제공하여, 해양 선박 건조가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종래 기술의 부양식 독은 블록이 있는 육상작업장으로부터 먼 곳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해양 제작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의 부양식 독은 조선소에 기 설치된 수백 톤급 골리앗크레인을 해상크레인과 병용할 수 없기 때문에 선박 건조 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건식 독의 수문 앞에 부양식 수문 독을 배치하여, 저 수심 해역에서도 건식 독과 부양식 수문 독의 합작 진수 공법을 수행하여, 호선 3척 이상을 진수할 수 있어 생산성과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 할 수 있고, 기존 건식 독에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선박 진수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독 배치 구조 및 그의 선박 건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바와 같이, 해상크레인과 골리앗크레인을 사용하는 독 배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해상크레인의 접근과 상기 골리앗크레인의 사용이 가능한 곳에 설치된 것으로서, 개폐 가능한 독 게이트를 갖는 건식 독; 상기 건식 독의 양측에서 상기 건식 독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바다쪽으로 연장 및 지지되도록 수중 콘크리트 구조 공법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골리앗크레인의 주행을 위해 각각 레일을 구비한 한 쌍의 연장부; 상기 건식 독의 전방 해상을 기준으로 상기 연장부 사이에 배치된 부양식 수문 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 배치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건식 독과 상기 부양식 수문 독은 부양식 수문 독의 수문과 건식 독의 독 게이트가 개방되었을 때, 부양식 수문 독과 건식 독 각각의 작업공간이 상호 통하도록 일렬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상크레인과 골리앗크레인을 이용하고 건식 독과 부양식 수문 독을 포함한 독 배치 구조의 선박 건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해상크레인의 통과를 위해 상기 건식 독의 전방 해상에 배치된 상기 부양식 수문 독이 침하하는 제1단계; 상기 해상크레인이 블록작업장의 메가블록을 들어올린 후 상기 침하된 부양식 수문 독 위의 수면을 통과하여 상기 건식 독 내에 상기 메가블록을 안착시키는 제2단계; 상기 해상크레인이 빠져나간 후 상기 부양식 수문 독이 부상하는 제3단계; 상기 골리앗크레인이 상기 메가블록에 연결할 조립블록을 상기 건식 독 내에 탑재하고 상기 부양식 수문 독 내에도 다른 조립블록을 탑재하는 제4단계; 상기 해상크레인이 부양식 수문 독의 3면에 각각 배치되어 동시에 메가블록 또는 조립블록을 탑재하는 제5단계; 진수를 위해서 상기 부양식 수문 독이 침하하는 제6단계; 상기 부양식 수문 독 양쪽의 수문이 개방된 후 부양식 수문 독에서 블록탑재 완료된 호선들이 진수되는 제7단계; 상기 건식 독의 독 게이트가 개방된 후 건식 독에서 블록탑재 완료된 호선이 진수되는 제8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 배치 구조의 선박 건조방법에 의해 실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독 배치 구조 및 그의 선박 건조방법은 건식 독의 독 게이트와 부양식 수문 독의 수문이 개방되었을 때 상호 통하도록 건식 독의 전방에 부양식 수문 독을 배치함에 따라, 수심이 8미터 정도밖에 안되는 저수심 해역에서 해양 선박 건조를 수행하는 것과 육상 건조를 동시에 수행하여, 선박 건조에 필요한 장비, PE(Pre-Erection)작업장, 블록작업장, 엘엔지 운반선박용 족장 세트장, 유니트장의 활용도를 극대화시켜 생산성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독 배치 구조 및 그의 선박 건조방법은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의 건식 독에도 불구하고 부양식 수문 독과의 동시 및 합작 건조에 활용되어 결국, 적어도 10만 톤급 대형 호선(예 : 아프라막스급 유조선) 3척을 같이 진수할 수 있음에 따라, 기존 건식 독에 대비하여 동일 회전률 대비 상대적으로 많은 선박 진수 횟수의 증가를 가져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독 배치 구조 및 그의 선박 건조방법은 건식 독 앞에 부양식 수문 독이 배치되더라도 건식 독의 해상크레인 사용에 전혀 문제가 없음은 물론이며 건식 독에 기 설비된 골리앗크레인의 가동률을 증가시켜 선박 건조를 앞당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독 배치 구조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독 배치 구조에 사용된 부양식 수문 독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독 배치 구조의 선박 건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h는 도 3에 도시된 선박 건조방법의 단계별 평면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부양식 수문 독(100)(floating gate dock) 및 건식 독(200)(dry dock)을 활용하여 합작 진수를 가능하게 하면서도 적치 공간 활용도를 증가시키고 골리앗크레인 또는 해상크레인의 가동율을 극대화시킨 독 배치 구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핵심은 상대적으로 협소한 건식 독(200)의 전방에 일렬로 부양식 수문 독(100)을 배치하는 독 배치 구조와, 그에 따른 선박 건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런 독 배치 구조는 해상크레인(400)의 접근과 골리앗크레인(300)의 사용이 가능한 곳에 설치된 것으로서, 개폐 가능한 독 게이트(201)를 갖는 건식 독(200)과, 건식 독(200)의 양측에서 건식 독(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바다쪽으로 연장 및 지지되도록 수중 콘크리트 구조 공법에 의해 설치되고 골리앗크레인(300)의 주행을 위해 각각 레일을 구비한 한 쌍의 연장부(210)와, 상기 건식 독(200)의 전방 해상을 기준으로 상기 연장부(210) 사이에 배치된 부양식 수문 독(100)을 포함한다.
여기서, 부양식 수문 독(100)의 수문과 건식 독(200)의 독 게이트(201)가 개방되었을 때, 부양식 수문 독(100)과 건식 독(200) 각각의 작업공간이 상호 통하도록 일렬 배치된다.
이런 부양식 수문 독(100)과 건식 독(200)은 모두 기본적으로 블록 건조방법의 적용이 가능하다.
부양식 수문 독(100)과 건식 독(200)은 그의 주위에 형성된 블록작업 장(600), PE작업장, 엘엔지 운반선박용 족장 세트장, 유니트장 등을 함께 이용하며, 기타 선박 건조에 필요한 장비도 같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록 건조방법은 주지된 바와 같이 우선 선체를 수 십 개 혹은 수 백 개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그 개개의 블록들을 지상에서 조립 제작하고, 제작된 블록들을 순차적으로 선대위에 탑재하여 하나의 선체로 조립해 내는 일명 메가블록공법으로 이해되며, 이때, 골리앗크레인(300), 해상크레인(400), 복수열의 트랜스포터(도시 안됨), 복수대의 견인선(500)이 사용된다.
골리앗크레인(300)은 1대 기준으로 할 때, 500톤급의 최대 리프팅 능력을 갖는다. 최대 리프팅 능력이란 장비의 중량과 안전 중량(예 : 여유치)을 제외한 물체 또는 블록을 들어올릴 수 있는 허용 능력을 의미한다. 골리앗크레인(300)은 복수대로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건식 독(200) 전방에 일렬로 배치된 부양식 수문 독(100)의 양측에 배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해상크레인(400)은 건식 독(200) 바깥 해상에 떠있는 것으로서 3천6백톤급의 최대 리프팅 능력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3대가 사용되었으나, 그 사용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트랜스포터는 골리앗크레인(300) 또는 그 주위의 지브(JIB)크레인(도시 안됨)에 의해 건식 독(200) 내부에 투입될 수 있는 과중량 처리용 운반장비이다.
예컨대, 통상적인 조선소에서 사용되는 상기 트랜스포터는 1대당 1천톤급 중량을 처리 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상크레인(400)에 의해 하역된 메가블록 1개를 건식 독(200) 내에서 다른 곳까지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트랜스포터 3대 또는 복수대를 횡렬로 연결시켜 사용한다.
각각 별개인 복수대의 트랜스포터는 케이블 연결을 통해 한치의 오차도 없이 똑같이 움직이며 메가블록 또는 조립블록을 실어 나를 수 있다.
견인선(500)은 부양식 수문 독(100)과 건식 독(200)에서 블록탑재 완료된 각각의 호선을 같이 합작하여 진수하는데 사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양식 수문 독(100)은 부선거(浮船渠) 구조의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선수 및 선미에서 개폐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어서 개폐에 상응하게 부력 증감을 변경하는 복수의 수문(120, 121)과, 상기 본체(110) 내부의 작업공간에 해당하는 홀드(130)(hold)를 갖는다.
본체(110)는 수심(m)이 8미터 정도인 저 수심 해역에서도 메가블록공법 등과 같은 선박 건조방법을 실현하면서도 충분한 부력 발생이 가능하도록 2.5미터와 같이 상대적으로 얇은 높이(n)의 하부를 갖는다.
실제로 본체(110)의 부력 발생은 기계적으로 형성 또는 제거되는 개폐식 수문(120, 121)의 도움에 의해 실현 가능하다.
또한, 부양식 수문 독(100)은 본체(110)의 하부 안쪽에 형성된 하부셀 구조물(111)과, 상기 하부셀 구조물(111)의 양측 코너 부위에서 상호 연결되게 형성된 사이드셀 구조물(112)과, 상기 사이드셀 구조물(112) 각각에서 수직하게 세워진 벽체 구조물(113)과, 상기 하부셀 구조물(111) 및 상기 사이드셀 구조물(112)을 이용한 발라스팅(ballasting) 또는 디발라스팅(de-ballasting) 내지 홀드(130) 내부에 해수를 주수 또는 배수시켜 부력을 조정하는 부력 조종 장치(114)와, 이런 부력 조종 장치(114)를 제어하는 메인 조종실(115)과, 상기 홀드(130)의 내부로 해수를 유입 또는 배출시켜 주수 또는 배수를 담당하는 코너쪽 입출 밸브(116a, 116b)와, 상기 본체(110)의 외측면에 부설된 방현재(防舷材)와 같은 펜더구역(117)과, 상기 벽체 구조물(113)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로프 고정부(118)와, 상기 수문(120, 121)에 연결되고 벽체 구조물(113)에 설치되어 상기 수문(120, 121)을 개폐시키는 복수의 윈치(140)를 갖는다.
이런 부양식 수문 독(100)은 도 1에 도시된 독 게이트(201), 한 쌍의 연장부(210)에서 이격되도록 둘러싸인 해상에서 정박 또는 계류된 후, 건식 독(200)과 병행 또는 동시에, 메가블록 또는 조립블록의 상호 결합 또는 블록탑재 완료에 따라 블록 조립체에 해당하는 호선을 건조한다.
블록탑재 완료 또는 호선 건조 후, 부양식 수문 독(100)은 그의 본체의 하부셀 구조물 및 사이드셀 구조물 내부로 해수를 유입시키는 제1주수단계와, 상기 본체의 수문을 폐쇄한 상태로 상기 본체의 홀드 내부에 해수를 유입시키는 제2주수단계와, 상기 본체에 결합된 수문을 개방시키는 수문개방단계와, 상기 수문 개방으로 인해 해수가 홀드 내부에 채워져서 본체가 침하할 때 본체와 상기 건조된 호선간 분리가 일어나서 결국 호선이 부상하는 플로트오프단계와, 개방된 수문을 통해 상기 호선을 진수시키는 진수단계와, 상기 개방된 수문을 폐쇄하는 수문폐쇄단계와, 상기 본체의 홀드 내부에 유입된 해수를 밖으로 배출시키는 제1배수단계와, 상기 본체의 하부셀 구조물 및 사이드셀 구조물 내부에 유입된 해수를 밖으로 배출시키 는 제2배수단계를 통해서 부상 또는 침하를 수행하면서 선박 또는 호선을 건조할 수 있다.
이하, 도 3과 그와 관련된 도 4a 내지 도 4h를 통해서, 본 발명의 독 배치 구조의 선박 건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제1단계(S10)에서는 해상크레인(400)의 통과를 위해 건식 독(200)의 전방 해상에 배치된 부양식 수문 독(100)이 침하한다.
부양식 수문 독(100)의 침하는 완전 가라앉는 것이 아니라, 부양식 수문 독(100)의 본체 하부 또는 일부가 해수면 아래에 위치하고, 이때 부양식 수문 독(100)의 수문이 개방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때, 부양식 수문 독(100)의 침하는 상기 언급한 제1주수단계와 제2주수단계 및 수문개방단계를 통해 이루어진다(도 4a 참조).
제2단계(S20)에서는 해상크레인(400)이 블록작업장(600)의 메가블록을 들어올린 후 상기 침하된 부양식 수문 독(100) 위의 수면을 통과하여 건식 독(200) 내에 상기 메가블록을 안착시킨다(도 4b 참조).
제3단계(S30)에서는 해상크레인(400)이 부양식 수문 독(100)의 바깥쪽으로 빠져나갈 때, 부양식 수문 독(100)의 수문은 모두 폐쇄되고, 상기 부양식 수문 독(100)은 부상한다.
이런 부양식 수문 독(100)의 부상은 상기 언급한 수문폐쇄단계와 제1배수단계 및 제2배수단계를 통해 이루어진다(도 4c 참조).
제4단계(S40)에서는 골리앗크레인(300)이 상기 메가블록에 연결할 조립블록 을 건식 독(200) 내에 탑재하고 상기 부양식 수문 독(100) 내에도 다른 조립블록을 탑재한다(도 4d참조).
제5단계(S50)에서는 해상크레인(400)이 부양식 수문 독(100)의 3면에 각각 배치되어 동시에 메가블록 또는 조립블록을 탑재한다.
이때, 10만 톤급 대형 호선(예 : 아프라막스급 유조선) 3척은 해상크레인(400)과 골리앗크레인(300) 및 기타 선박 건조에 필요한 장비 및 시설을 이용하면서 부양식 수문 독(100)과 건식 독(200)을 통해 동시 또는 합작 건조된다(도 4e참조).
제6단계(S60)에서는 블록탑재에 사용이 끝난 해상크레인(400)이 부양식 수문 독(100)의 수문 밖 해상으로 이동하여 이후 있을 진수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진수를 위해서 부양식 수문 독(100)은 도 4f와 같이 블록탑재 완료를 수행한 후 도 4g와 같이 침하한다.
제7단계(S70)에서는 부양식 수문 독(100) 양쪽의 수문이 개방된 후 부양식 수문 독(100)에서 블록탑재 완료된 호선들이 진수된다.
부양식 수문 독(100)의 호선들은 견인선(500)에 의해 안벽 의장 장소까지 견인된다(도 4g참조).
제8단계(S80)에서는 건식 독(200)의 독 게이트(201)가 개방된 후 건식 독(200)에서 블록탑재 완료된 호선이 진수된다.
건식 독의 호선도 역시 다른 견인선(500)에 의해 침하된 상태의 부양식 수문 독(100)을 지나 다른 안벽 의장 장소까지 견인된다(도 4h참조).
상기 제7단계(S70)와 상기 제8단계(S80)는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독 배치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독 배치 구조에 사용된 부양식 수문 독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독 배치 구조의 선박 건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h는 도 3에 도시된 선박 건조방법의 단계별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부양식 수문 독 110 : 본체
120, 121 : 수문 130 : 홀드(hold)
140 : 윈치 200 : 건식 독
210 : 연장부 300 : 골리앗크레인
400 : 해상크레인 500 : 견인선

Claims (6)

  1. 해상크레인과 골리앗크레인을 사용하는 독 배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해상크레인의 접근과 상기 골리앗크레인의 사용이 가능한 곳에 설치된 것으로서, 개폐 가능한 독 게이트를 갖는 건식 독;
    상기 건식 독의 양측에서 상기 건식 독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바다쪽으로 연장 및 지지되도록 수중 콘크리트 구조 공법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골리앗크레인의 주행을 위해 각각 레일을 구비한 한 쌍의 연장부;
    상기 건식 독의 전방 해상을 기준으로 상기 연장부 사이에 배치된 부양식 수문 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 배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독과 상기 부양식 수문 독은
    부양식 수문 독의 수문과 건식 독의 독 게이트가 개방되었을 때, 부양식 수문 독과 건식 독 각각의 작업공간이 상호 통하도록 일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 배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양식 수문 독은
    부선거(浮船渠) 구조의 본체;
    상기 본체의 선수 및 선미에서 개폐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어서 개폐에 상응하게 부력 증감에 사용되는 복수의 수문;
    상기 본체 내부의 작업공간에 해당하는 홀드(hold);
    상기 본체의 하부 안쪽에 형성된 하부셀 구조물;
    상기 하부셀 구조물의 양측 코너 부위에서 상호 연결되게 형성된 사이드셀 구조물;
    상기 사이드셀 구조물 각각에서 수직하게 세워진 벽체 구조물;
    상기 하부셀 구조물 및 상기 사이드셀 구조물을 이용한 발라스팅(ballasting) 또는 디발라스팅(de-ballasting) 내지 상기 홀드 내부에 해수를 주수 또는 배수시켜 부력을 조정하는 부력 조종 장치;
    상기 부력 조종 장치를 제어하는 메인 조종실;
    상기 홀드의 내부로 해수를 유입 또는 배출시켜 주수 또는 배수를 담당하는 코너쪽 입출 밸브;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부설된 방현재(防舷材)와 같은 펜더구역;
    상기 벽체 구조물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로프 고정부;
    상기 수문에 연결되고 상기 벽체 구조물에 설치되어 상기 수문을 개폐시키는 복수의 윈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 배치 구조.
  4. 해상크레인과 골리앗크레인을 이용하고 건식 독과 부양식 수문 독을 포함한 독 배치 구조의 선박 건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해상크레인의 통과를 위해 상기 건식 독의 전방 해상에 배치된 상기 부양식 수문 독이 침하하는 제1단계;
    상기 해상크레인이 블록작업장의 메가블록을 들어올린 후 상기 침하된 부양식 수문 독 위의 수면을 통과하여 상기 건식 독 내에 상기 메가블록을 안착시키는 제2단계;
    상기 해상크레인이 빠져나간 후 상기 부양식 수문 독이 부상하는 제3단계;
    상기 골리앗크레인이 상기 메가블록에 연결할 조립블록을 상기 건식 독 내에 탑재하고 상기 부양식 수문 독 내에도 다른 조립블록을 탑재하는 제4단계;
    상기 해상크레인이 부양식 수문 독의 3면에 각각 배치되어 동시에 메가블록 또는 조립블록을 탑재하는 제5단계;
    진수를 위해서 상기 부양식 수문 독이 침하하는 제6단계;
    상기 부양식 수문 독 양쪽의 수문이 개방된 후 부양식 수문 독에서 블록탑재 완료된 호선들이 진수되는 제7단계;
    상기 건식 독의 독 게이트가 개방된 후 건식 독에서 블록탑재 완료된 호선이 진수되는 제8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 배치 구조의 선박 건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양식 수문 독은
    하부셀 구조물 및 사이드셀 구조물 내부로 해수를 유입시키고, 수문을 폐쇄한 상태로 본체의 홀드 내부에 해수를 유입시키고, 수문의 개방에 의해 해수가 홀드 내부에 채워져서 침하하고,
    개방된 수문을 폐쇄하고 홀드 내부에 유입된 해수를 밖으로 배출시키고, 하부셀 구조물 및 사이드셀 구조물 내부에 유입된 해수를 밖으로 배출시켜 부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 배치 구조의 선박 건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탑재 완료된 호선들은 복수의 견인선에 의해 안벽 의장 장소까지 견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 배치 구조의 선박 건조방법.
KR1020070097990A 2007-09-28 2007-09-28 독 배치 구조 및 그의 선박 건조방법 KR100967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990A KR100967887B1 (ko) 2007-09-28 2007-09-28 독 배치 구조 및 그의 선박 건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990A KR100967887B1 (ko) 2007-09-28 2007-09-28 독 배치 구조 및 그의 선박 건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619A KR20090032619A (ko) 2009-04-01
KR100967887B1 true KR100967887B1 (ko) 2010-07-05

Family

ID=40759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7990A KR100967887B1 (ko) 2007-09-28 2007-09-28 독 배치 구조 및 그의 선박 건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78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17130B (zh) * 2019-12-20 2023-12-12 宜昌一凡船舶设计有限公司 提高船闸通航能力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812B1 (ko) 2005-11-16 2007-03-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과 육상을 겸한 선박 건조 공법
KR20070050548A (ko) * 2005-11-11 2007-05-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바지를 이용한 선박 건조 공법
KR20070088081A (ko) * 2006-02-24 2007-08-29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페이스트 패턴 검사 방법
KR20080052326A (ko) * 2006-12-07 2008-06-11 미나미 니뽄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선박 건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0548A (ko) * 2005-11-11 2007-05-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바지를 이용한 선박 건조 공법
KR100687812B1 (ko) 2005-11-16 2007-03-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과 육상을 겸한 선박 건조 공법
KR20070088081A (ko) * 2006-02-24 2007-08-29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페이스트 패턴 검사 방법
KR20080052326A (ko) * 2006-12-07 2008-06-11 미나미 니뽄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선박 건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619A (ko) 200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52246B (zh) 对用于运输、移除、装配、容置和转移资产的移动式停驻设备再配置的系统和方法
US10590618B2 (en) Seabed supported unit and method to provide a shallow water drilling terminal
CN101085658B (zh) 自动化集装箱船、码头及其组成库化运输系统的使用方法
CN101920771B (zh) 一种船舶建造中的出坞压载方法
KR20120067357A (ko) 선박의 배치 및 회수용 해양 장비
CN101195407A (zh) 船舶建造系统
EP1259420A1 (en) Submersible heavy lift catamaran
WO2017058098A1 (en) A mobile dock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JP3663693B2 (ja) 大型構造物の製造作業方法及び修理作業方法並にこれらの方法の実施に用いるバージ
CN107856819A (zh) 浮动船厂及浮动式舰船维修和建造方法
WO201010924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a submersible item
US9499239B2 (en) Integrated heavy lift and logistics vessel
KR20090022587A (ko) 부양식 수문 독 및 그의 선박 건조방법
WO2015136086A1 (en) A quay structure, a quay arrangement and a method of installing such structure
KR100967887B1 (ko) 독 배치 구조 및 그의 선박 건조방법
US3680512A (en) Method of building ships
KR102631910B1 (ko)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및 진수공법
JPS6349595A (ja) 簡易浮きドツク
Shah et al. Side Transfer of Vessels on a Floating Drydock
KR200312005Y1 (ko) 부두의 선박 종접안시설 구조
KR100640189B1 (ko) 선박의 독 구조
ES2913839A1 (es) Plataforma flotante para construcción de grandes estructuras de hormigón
JPH07149286A (ja) ケーソン建造進水用非水密ドック及びバージ
ES1308222U (es) Plataforma flotante para construcción de grandes estructuras de hormigón.
CN115946823A (zh) 下水工作船及其使用和船体高度范围计算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