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058Y1 - 제방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승하강식 잠수형 보 - Google Patents

제방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승하강식 잠수형 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058Y1
KR200461058Y1 KR2020110008230U KR20110008230U KR200461058Y1 KR 200461058 Y1 KR200461058 Y1 KR 200461058Y1 KR 2020110008230 U KR2020110008230 U KR 2020110008230U KR 20110008230 U KR20110008230 U KR 20110008230U KR 200461058 Y1 KR200461058 Y1 KR 2004610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ase
blocks
base block
clo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82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남구
Original Assignee
강남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남구 filed Critical 강남구
Priority to KR20201100082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0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0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0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05Deformable barrages or barrages consisting of permanently deformable elements, e.g. inflatable, with flexible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4Sealings f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3단 이상으로 된 블록들을 승하강하게 할 수 있어 보 뿐만 아니라 제방에도 적용이 가능한 승하강식 잠수형 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식 잠수형 보는 하천의 바닥면 또는 제방면상에 서로 이격되게 한쌍으로 설치되는 기초블록과, 기초블록의 내측면상에 밀착되게 배치되어 기초블록과 홈부 및 돌기부에 의해 끼움결합되어 승하강되는 적어도 1단 이상의 연결블록과, 연결블록의 내측면상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자 형상을 가지면서 연결블록과 홈부 및 돌기부에 의해 끼움결합되어 승하강되는 상부블록과, 기초블록의 사이 지면속 기계실에 설치되어 상부블록을 승하강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기초블록은 지면에 매립된 기초위에 설치되고, 기초블록의 상부면상 및 연결블록의 상부면상에는 그 내측의 블록들에 맞닿도록 기밀부재가 설치되되, 기밀부재는 바깥쪽 블록들에 장착되는 판체와 안쪽 블록들에 맞닿아 밀착되는 튜브체가 일체로 된 것이 사용된다. 그리고 상부블록, 연결블록 및 기초블록의 상부면상에는 식물이 식생될 수 있다.

Description

제방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승하강식 잠수형 보{A submerging type dam}
본 고안은 잠수형 보에 관한 것으로,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되어 제방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승하강식 잠수형 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하천 등의 물길을 막는 구조물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이나 하천의 폭 방향으로 보(1)를 설치하고, 이 보(1)의 중간 중간에 수문(2)을 설치하여 수문(2)을 선택적으로 열고 닫으면서 저수량을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보를 중심으로 상류와 하류가 보에 의해 차단되어 있어 상류와 하류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즉, 상류의 물이 하류로 흘러가기 위해서는 항상 수문을 통해서만 가능하게 되고, 운송수단인 배와 같은 경우는 보에 의해 막혀져 원천 봉쇄되는 문제점도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발명자)에 의해 선출원된 등록특허 제990698호(2010.10.29. 공고)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특허 제990698호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이나 하천의 바닥속에 폭방향으로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굴착공간(111)과;
상기 굴착공간(111)에 삽입되도록 마름모꼴 형상을 가지면서 상단부에 언더안착공간(121)이 형성된 언더블록(120)과;
상기 언더안착공간(121)에 삽입되도록 마름모꼴 형상을 갖는 미들블록(130)과;
상기 언더안착공간(121)의 바닥면상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봉(128)과;
상기 가이드봉(128)이 삽입되도록 상기 미들블록(130)의 하부면상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39)과;
상기 굴착공간(111)의 바닥면상에 설치되며, 로드의 단부가 상기 언더블록(120)의 하부면상에 결합되어 상기 언더블록(120)을 상기 굴착공간(111)내에서 승하강시키는 1차유압실린더(115)와;
상기 언더안착공간(121)의 바닥면상에 매립되게 설치되며, 로드의 단부가 상기 미들블록(130)의 하부면상에 결합되어 상기 미들블록(130)을 상기 언더안착공간(121)내에서 승하강시키는 2차유압실린더(125)와;
상기 굴착공간(111)의 개방된 상부를 닫도록 상기 굴착공간(111)의 일측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셔터장치(15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각 층의 블록들이 사다리꼴 형태를 갖기 때문에 결합구조가 복잡하고 운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특허번호:990698호 B1, 2010.10.29.) 잠수형 보, 출원인/발명자:강남구(대한민국)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끼움돌기와 끼움홈에 의해 적어도 3단 이상으로 된 블록들을 승하강하게 할 수 있어 보 뿐만 아니라 제방에도 적용이 가능한 승하강식 잠수형 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하천의 폭방향이나 하천 제방의 길이방향으로 구축되는 승하강식 잠수형 보에 있어서,
하천의 바닥면 또는 제방면상에 서로 이격되게 한쌍으로 설치되는 기초블록과, 기초블록의 내측면상에 밀착되게 배치되어 기초블록과 홈부 및 돌기부에 의해 끼움결합되어 승하강되는 적어도 1단 이상의 연결블록과, 연결블록의 내측면상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자 형상을 가지면서 연결블록과 홈부 및 돌기부에 의해 끼움결합되어 승하강되는 상부블록과, 기초블록의 사이 지면속 기계실에 설치되어 상부블록을 승하강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식 잠수형 보를 제공한다.
이때, 기초블록은 지면에 매립된 기초위에 설치되고, 기초블록의 상부면상 및 연결블록의 상부면상에는 그 내측의 블록들에 맞닿도록 기밀부재가 설치되되, 기밀부재는 바깥쪽 블록들에 장착되는 판체와 안쪽 블록들에 맞닿아 밀착되는 튜브체가 일체로 된 것이 사용된다.
그리고 상부블록, 연결블록 및 기초블록의 상부면상에는 식물이 식생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잠수형 보는 기초블록, 연결블록 및 상부블록이 돌기부와 홈부에 의한 간단 결합에 의해 작동되므로, 설치가 쉽게 운용이 쉬우며, 복잡하지 않은 잇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잠수형 보를 제방에 적용할 수 있어 홍수시에 하천이 제방을 범람할때에 잠수형 보를 높여주게 되면 범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선행기술에 따른 잠수형 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잠수형 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잠수형 보가 하강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구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잠수형 보의 상부에 식물이 식생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잠수형 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방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승하강식 잠수형 보를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잠수형 보(200)는 크게 기초블록(210)과, 연결블록(220)과, 상부블록(230)과, 구동장치(24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기초블록(210)은 보(200)의 기초가 되면서 하부의 폭을 결정짓는 것으로, 수중속 지면(10) 또는 제방의 지면(10)에 삽입되어 튼튼하게 직립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기초블록(210)은 서로 이격된 한쌍으로 구비되고, 이 기초블록(210)의 내측면상에는 그 상부측에 위치할 연결블록(220)과 끼움결합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된다. 이때, 홈부의 상부는 기초블록(210)의 상부면상으로 관통되지 않도록 막혀지게 되는 걸림턱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기초블록(210)은 지면(10)에 단순히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지중에 횡방향으로 기초(215)를 구축한 후, 이 기초(215)의 양옆 위에 기초블록(210)이 설치되도록 하여 승하강식 보(200)가 침강되는 것을 방지한다.
연결블록(220)은 기초블록(210)의 내측면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연결블록(220)은 기초블록(210)과 같이 한쌍의 블록이 기초블록(210)의 내측에 끼움결합되어 승,하강될 수 있도록 외측면상에는 기초블록(210)의 홈부에 대응되는 돌기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내측면상에는 다시 그 상부측에 위치할 상부블록(230)과 끼움결합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된다. 이때, 연결블록(220)에 형성되는 돌기부는 연결블록(220)의 외측 아래쪽에 위치하고, 연결블록(220)의 홈부의 상부는 기초블록(210)의 홈부와 마찬가지로 연결블록(220)의 상부면상으로 관통되지 않도록 막혀지게 걸림턱으로 형성된다. 참고된 도면에는 연결블록(220)을 1단으로만 도시하였으나, 잠수형 보(200)의 규모에 따라 2단 및 그 이상으로 구축될 수도 있다.
상부블록(230)은 아래쪽이 개방된 관 형상('┏┓'자)을 갖는 것으로, 연결블록(220)의 내측면상에 맞닿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상부블록(230)은 연결블록(220)의 내측과 끼움결합되어 승하강될 수 있도록 그 외측면상에는 연결블록(220)의 홈부와 대응되는 돌기부가 형성된다. 이때, 상부블록(230)의 돌기부도 연결블록(220)의 돌기부와 마찬가지로 상부블록(230)의 외측 아래쪽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연결블록(220) 및 상부블록(230)은 그 하측의 기초블록(210) 및 연결블록(220)속으로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되는데, 블록들의 사이 틈새로 이물질이 들어갈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함께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기초블록(210)의 상부면상 및 연결블록(220)의 상부면상에는 기밀부재(250)가 장착된다. 기밀부재(250)는 그 내측의 블록들 외측을 향하도록 사선방향으로 장착되는 판체(251)와, 이 판체(251)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튜브체(252)로 구성된다. 즉, 튜브체(252)는 내부가 비어있는 호스와 같은 것으로, 블록들이 튜브체(252)와 맞닿게 되면, 튜브체(252)가 눌려지면서 기밀작용을 하게 된다.
구동장치는 상부블록(230)을 올리거나 내리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구동장치는 유압실린더나 회전축으로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유압실린더(240)로 구축할때에는 유압실린더(240)의 본체(241)가 지면(10) 또는 그 속의 기계실(11)에 설치되고, 유압실린더(240)의 로드(242)가 상부블록(230)의 내측 중앙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유압실린더(240)가 줄어들면 상부블록(230) 및 연결블록(220)이 하강하면서 잠수형 보(200)를 전체적으로 하강시켜주게 되고, 유압실린더(240)가 늘어나면 상부블록(230) 및 연결블록(220)이 승강하면서 잠수형 보(200)를 전체적으로 승강시켜주게 된다. 이때, 기계실(11)과 기초(215)가 교차되는 부분에는 기초(215)에 타공을 형성하여 그 간섭을 회피하게 설계해 준다.
회전축으로 구축할때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블록(230)의 하부면상 중앙부에 회전축(245)을 결합시키고, 이 회전축(245)의 하부가 기계실(11)로 연장되도록 설치하여 기계실(11)내에 회전축(245)과 치합되도록 모터(246)와 원동기어(247)가 설치된다. 따라서 모터(246)의 회전에 따라 원동기어(247)가 회전하면서 회전축(245)를 승하강시켜 상부블록(230)이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이때, 회전축(245)에는 원동기어(247)와 치합되는 기어가 형성되는 것이 당연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잠수형 보(200)에는 식물이 식생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잠수형 보(200)는 제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제방에 적용될 때에는 잠수형 보(200)가 콘크리트 또는 강재이므로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아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블록(230)의 상부면상과, 연결블록(220)의 상부면상과, 기초블록(210)의 상부면상에 식물(260)을 식생하여 사용되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수형 보(200)는 위의 첫 번째 실시예와 기본 구조는 동일하며 다만, 홈부와 돌기부가 서로 반대로 형성되는 것이다. 즉,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초블록(210)의 내측과 연결블록(220)의 내측에는 돌기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연결블록(220)의 외측과 상부블록(230)의 외측에는 홈부가 형성된다. 이때, 돌기부들은 외측의 상부측에 형성되고, 홈부들은 하부면상으로 관통되지 않도록 막혀지게 걸림턱으로 형성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0 : 승하강식 잠수형 보
210 : 기초블록 215 : 기초
220 : 연결블록 230 : 상부블록
240 : 유압실린더 241 : 본체
242 : 로드 245 : 회전축
246 : 모터 247 : 원동기어
250 : 기밀부재 251 : 판체
252 : 튜브체 260 : 식물

Claims (4)

  1. 하천의 폭방향이나 하천 제방의 길이방향으로 구축되는 승하강식 잠수형 보에 있어서,
    하천의 바닥면 또는 제방면의 지면(10)속에 횡방향으로 매립되는 기초(215)와, 상기 기초(215)위에 서로 이격되게 한쌍으로 설치되는 기초블록(210)과, 상기 기초블록(210)의 내측면상에 밀착되게 배치되어 상기 기초블록(210)과 홈부 및 돌기부에 의해 끼움결합되어 승하강되는 적어도 1단 이상의 연결블록(220)과, 상기 연결블록(220)의 내측면상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자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연결블록(220)과 홈부 및 돌기부에 의해 끼움결합되어 승하강되는 상부블록(230)과, 상기 기초블록(210)의 사이 지면(10)속 기계실(11)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블록(230)을 승하강시키는 구동장치(2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식 잠수형 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블록(210)의 상부면상 및 연결블록(220)의 상부면상에는 그 내측의 블록들에 맞닿도록 기밀부재(250)가 설치되되, 상기 기밀부재(250)는 바깥쪽 블록들(210, 220)에 장착되는 판체(251)와 안쪽 블록들(220, 230)에 맞닿아 밀착되는 튜브체(252)가 일체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식 잠수형 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블록(230), 연결블록(220) 및 기초블록(210)의 상부면상에는 식물(260)이 식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식 잠수형 보.
KR2020110008230U 2011-09-09 2011-09-09 제방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승하강식 잠수형 보 KR2004610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230U KR200461058Y1 (ko) 2011-09-09 2011-09-09 제방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승하강식 잠수형 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230U KR200461058Y1 (ko) 2011-09-09 2011-09-09 제방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승하강식 잠수형 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058Y1 true KR200461058Y1 (ko) 2012-06-20

Family

ID=46875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8230U KR200461058Y1 (ko) 2011-09-09 2011-09-09 제방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승하강식 잠수형 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058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698B1 (ko) 2008-03-13 2010-10-29 강남구 잠수형 보
KR101064725B1 (ko) * 2010-10-29 2011-09-14 강남구 잠수형 가동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698B1 (ko) 2008-03-13 2010-10-29 강남구 잠수형 보
KR101064725B1 (ko) * 2010-10-29 2011-09-14 강남구 잠수형 가동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1983B1 (ko) 승하강식 홍수방지용 벽체 구조물
WO2018133739A1 (zh) 一种施工时底部带有链刀的基础及其施工法
JP2006257829A (ja) 陸閘の自動防潮扉設備
KR200464944Y1 (ko) 승강식 가동보
CN210975746U (zh) 一种具有分层取水功能的弧形叠梁闸门
JP4936262B1 (ja) ユニット堤体及びこれを用いた堤防
KR20050080148A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권양기 수문의구성방법
JP6166370B2 (ja) 防波壁機能を有する組立式高さ可変型遮断構造物
KR101074864B1 (ko) 퇴적물 방류기능을 갖는 친환경 하천 수중보
KR200461058Y1 (ko) 제방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승하강식 잠수형 보
JP5572540B2 (ja) 遮水壁における最終締切部の仮締切構造とその締切方法
KR100597464B1 (ko) 수문을 구비한 고무댐
KR200464803Y1 (ko) 높이 가변형 차단구조물
KR20100010477U (ko) 수문
KR100990698B1 (ko) 잠수형 보
JP2009041340A (ja) 防水扉装置
JP5929089B2 (ja) 液状化対策構造及び液状化対策工法
KR101219658B1 (ko) 웅덩이형 수제의 시공 방법
KR101750440B1 (ko) 사통 노출형 다중 슬루스 게이트
KR100890029B1 (ko) 수문 수납형 조력발전 방조제용 수로
KR101505014B1 (ko) 부력을 이용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
KR200259043Y1 (ko) 우수침수용 수로
KR101290999B1 (ko) 조력발전소용 수문구조물
JP4481253B2 (ja) 取水装置
KR200398099Y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권양기 수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