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803Y1 - 높이 가변형 차단구조물 - Google Patents

높이 가변형 차단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803Y1
KR200464803Y1 KR2020110009437U KR20110009437U KR200464803Y1 KR 200464803 Y1 KR200464803 Y1 KR 200464803Y1 KR 2020110009437 U KR2020110009437 U KR 2020110009437U KR 20110009437 U KR20110009437 U KR 20110009437U KR 200464803 Y1 KR200464803 Y1 KR 2004648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oundation
height
base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4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남구
Original Assignee
강남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남구 filed Critical 강남구
Priority to KR20201100094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8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8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8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하천의 보와 같이 흐르는 물길을 막거나, 제방이나 방파제와 같이 범람을 막거나, 도로나 인도에서 통행을 막는데 사용될 수 있는 높이 가변형 차단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차단구조물은 지면속에 흐름을 차단하고자 하는 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설치공간을 구축하여 그 속에 승하강되는 구조물이 매립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차단구조물은 설치공간의 바닥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설치되는 기초와, 기초의 길이방향 양 옆으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기초블록과, 기초블록의 내측면상에 밀착되게 배치되어 기초블록과 홈부 및 돌기부에 의해 끼움결합되어 승하강되는 적어도 1단 이상의 연결블록과, 연결블록의 내측면상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자 형상을 가지면서 연결블록과 홈부 및 돌기부에 의해 끼움결합되어 승하강되는 상부블록과, 설치공간의 아래쪽 기계실에 설치되면서 기초를 통과하여 상부블록을 승하강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블록들의 높이는 기초의 상부면에서부터 지면까지의 높이와 일치하고, 각 홈부들은 상측으로 관통하지 않도록 그 상단부에 걸림턱으로 형성되며, 각 돌기부들은 블록의 하단부에 형성된다.

Description

높이 가변형 차단구조물{Height variable type block structure}
본 고안은 차단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의 보와 같이 흐르는 물길을 막거나, 제방이나 방파제와 같이 범람을 막거나, 도로나 인도에서 통행을 막는데 사용될 수 있는 높이 가변형 차단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하천 등의 물길을 막는 구조물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이나 하천의 폭 방향으로 보(1)를 설치하고, 이 보(1)의 중간 중간에 수문(2)을 설치하여 수문(2)을 선택적으로 열고 닫으면서 저수량을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보를 중심으로 상류와 하류가 보에 의해 차단되어 있어 상류와 하류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즉, 상류의 물이 하류로 흘러가기 위해서는 항상 수문을 통해서만 가능하게 되고, 운송수단인 배와 같은 경우는 보에 의해 막혀져 원천 봉쇄되는 문제점도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발명자)에 의해 선출원된 등록특허 제990698호(2010.10.29. 공고)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특허 제990698호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이나 하천의 바닥속에 폭방향으로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굴착공간(111)과;
상기 굴착공간(111)에 삽입되도록 마름모꼴 형상을 가지면서 상단부에 언더안착공간(121)이 형성된 언더블록(120)과;
상기 언더안착공간(121)에 삽입되도록 마름모꼴 형상을 갖는 미들블록(130)과;
상기 언더안착공간(121)의 바닥면상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봉(128)과;
상기 가이드봉(128)이 삽입되도록 상기 미들블록(130)의 하부면상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39)과;
상기 굴착공간(111)의 바닥면상에 설치되며, 로드의 단부가 상기 언더블록(120)의 하부면상에 결합되어 상기 언더블록(120)을 상기 굴착공간(111)내에서 승하강시키는 1차유압실린더(115)와;
상기 언더안착공간(121)의 바닥면상에 매립되게 설치되며, 로드의 단부가 상기 미들블록(130)의 하부면상에 결합되어 상기 미들블록(130)을 상기 언더안착공간(121)내에서 승하강시키는 2차유압실린더(125)와;
상기 굴착공간(111)의 개방된 상부를 닫도록 상기 굴착공간(111)의 일측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셔터장치(15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각 층의 블록들이 사다리꼴 형태를 갖기 때문에 결합구조가 복잡하고 운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제방이나 방파제와 같은 경우 일정한 높이를 갖게 되는데, 이는 정해둔 그 한계의 높이 이상에서는 무용지물이 되버리는 문제도 있게 된다.
그리고 도로나 인도의 경우에는 통행을 차단하기 위해 바리게이트라고 하는 철구조물을 설치하는데, 이는 단순히 시각적으로 통행을 저지하는 역할만 할 뿐 물리적 저지수단으로는 부적합한 한계가 있다.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특허번호:990698호 B1, 2010.10.29.) 잠수형 보, 출원인/발명자:강남구(대한민국)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지면속에 매립된 상태에서 끼움돌기와 끼움홈에 의해 적어도 3단 이상으로 된 블록들을 승하강하게 할 수 있어 물길을 차단하는 보와 같은 역할 뿐만 아니라, 범람을 방지하는 제방 및 방파제 또는, 통행을 방지하는 도로 및 인도에도 적용이 가능한 높이 가변형 차단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지면속에 흐름을 차단하고자 하는 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설치공간을 구축하여 그 속에 승하강되는 구조물이 매립되도록 설치한 높이 가변형 차단구조물에 있어서,
설치공간의 바닥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설치되는 기초)와, 기초의 길이방향 양 옆으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기초블록과, 기초블록의 내측면상에 밀착되게 배치되어 기초블록과 홈부 및 돌기부에 의해 끼움결합되어 승하강되는 적어도 1단 이상의 연결블록과, 연결블록의 내측면상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자 형상을 가지면서 연결블록과 홈부 및 돌기부에 의해 끼움결합되어 승하강되는 상부블록과, 설치공간의 아래쪽 기계실에 설치되면서 기초를 통과하여 상부블록을 승하강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며, 블록들의 높이는 기초의 상부면에서부터 지면까지의 높이와 일치하고, 각 홈부들은 상측으로 관통하지 않도록 그 상단부에 걸림턱으로 형성되며, 각 돌기부들은 블록의 하단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가변형 차단구조물을 제공한다.
이때, 기초블록의 상부면상 및 연결블록의 상부면상에는 그 내측의 블록들에 맞닿도록 기밀부재가 설치되되, 기밀부재는 바깥쪽 블록들에 장착되는 판체와 안쪽 블록들에 맞닿아 밀착되는 튜브체가 일체로 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블록, 연결블록 및 기초블록의 상부면상에는 식물이 식생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높이 가변형 차단구조물은 지중에 매립설치된 기초블록과 이 기초블록에 연속해서 돌기부와 홈부에 의해 간단 결합되는 연결블록 및 상부블록으로 구축되어 물길이든 아니면 범람이든 또는 차량이나 사람의 통행 등을 중량의 구조물로 저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설치공간의 기초에 각 블록들의 하부가 맞닿기 때문에 블록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에도 튼튼히 지탱할 수 있게 되고, 각 블록들의 상부면과 지면이 수평하게 되어 통행을 지장을 주거나 블록들의 틈새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문제도 없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선행기술에 따른 잠수형 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 가변형 차단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차단구조물이 하강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구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 차단구조물의 블록들에 설치되는 기밀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차단구조물의 상부에 식물이 식생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 가변형 차단구조물을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차단구조물(200)은 지면(10) 속에 설치공간(S)을 형성하여 그 속에 매립되도록 설치된다. 설치공간(S)은 무엇을 차단할지에 따라 다른 형태로 형성된다. 즉, 하천의 물길이나 도로 및 인도 등과 같이 통행을 차단하고자 할 때에는 그 흐름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되고, 제방이나 방파제와 같이 범람을 차단하고자 할 때에는 그 범람의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방이나 방파제용으로 사용될때에는 제방 및 방파제의 상부면에 더 돌출되게 구축되는 것이다.
이러한 차단구조물(200)은 설치공간(S)의 바닥에 설치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기초(215)가 설치되고, 이 기초(215)위에 기초블록(210)과, 연결블록(220)과, 상부블록(230)과, 구동장치(240)가 설치된다.
먼저, 기초(215)는 차단구조물(200)의 지지 기반으로서 차단구조물(200)이 지중으로 침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판상 구조물 또는 콘크리트 타설로 설치된다.
기초블록(210)은 차단구조물(200)의 하부 폭을 결정짓는 것으로, 서로 이격된 한쌍으로 구비되어 기초(215)의 길이방향 양 옆을 따라 세워진다. 이러한 기초블록(210)의 내측면상에는 그 상부측에 위치할 연결블록(220)과 끼움결합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된다. 이때, 홈부의 상부는 기초블록(210)의 상부면상으로 관통되지 않도록 막혀지게 되는 걸림턱으로 형성된다.
연결블록(220)은 기초블록(210)의 내측면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연결블록(220)은 기초블록(210)과 같이 한쌍의 블록이 기초블록(210)의 내측에 끼움결합되어 승,하강될 수 있도록 외측면상에는 기초블록(210)의 홈부에 대응되는 돌기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내측면상에는 다시 그 상부측에 위치할 상부블록(230)과 끼움결합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된다. 이때, 연결블록(220)에 형성되는 돌기부는 연결블록(220)의 외측 아래쪽에 위치하고, 연결블록(220)의 홈부의 상부는 기초블록(210)의 홈부와 마찬가지로 연결블록(220)의 상부면상으로 관통되지 않도록 막혀지게 걸림턱으로 형성된다. 참고된 도면에는 연결블록(220)을 1단으로만 도시하였으나, 차단구조물(200)의 규모에 따라 그 이상으로 구축될 수도 있다.
상부블록(230)은 아래쪽이 개방된 관 형상('┏┓'자)을 갖는 것으로, 연결블록(220)의 내측면상에 맞닿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상부블록(230)은 연결블록(220)의 내측과 끼움결합되어 승하강될 수 있도록 그 외측면상에는 연결블록(220)의 홈부와 대응되는 돌기부가 형성된다. 이때, 상부블록(230)의 돌기부도 연결블록(220)의 돌기부와 마찬가지로 상부블록(230)의 외측 아래쪽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기초블록(210), 연결블록(220) 및 상부블록(230)들이 끼움결합되기 위한 홈부 및 돌기부는 각 블록들의 전체 구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닌 일정한 폭을 갖도록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기초블록(210)과, 연결블록(220)과 상부블록(230)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제작되어 각 블록들이 모두 하강하였을때에는 각 블록들의 하부가 기초(215)의 상부면상에 맞닿도록 하여 차단구조물(100)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게 된다. 나아가 각 블록들이 동일한 높이를 가짐으로써 각 블록들과 지면이 수평을 유지하게 되어 하강된 차단구조물(100)위를 통행하는데에도 문제가 없게 된다. 이는 기초의 상부면상에서부터 지면까지를 계산하여 이와 동일한 높이로 각 블록들을 제작하여야 가능해 질 수 있다.
한편, 연결블록(220) 및 상부블록(230)은 그 하측의 기초블록(210) 및 연결블록(220)속으로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되는데, 혹여, 블록들의 사이 틈새로 이물질이 들어갈 수 있음을 감안하여 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본 고안에 함께 마련된다. 따라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초블록(210)의 상부면상 및 연결블록(220)의 상부면상에는 기밀부재(250)가 장착된다. 기밀부재(250)는 그 내측의 블록들을 향하도록 사선방향으로 장착되는 판체(251)와, 이 판체(251)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튜브체(252)로 구성된다. 즉, 튜브체(252)는 내부가 비어있는 호스와 같은 것으로, 기밀부재(250)의 내측에 위치한 블록들이 튜브체(252)와 맞닿게 되면, 튜브체(252)가 눌려지면서 기밀작용을 하게 된다.
구동장치는 상부블록(230)을 올리거나 내리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구동장치는 유압실린더나 회전축으로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유압실린더(240)로 구축할때에는 유압실린더(240)의 본체(241)가 설치공간(S) 또는 그 속의 기계실(11)에 설치되고, 유압실린더(240)의 로드(242)가 상부블록(230)의 내측 중앙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유압실린더(240)가 줄어들면 상부블록(230) 및 연결블록(220)이 하강하면서 차단구조물(200)을 전체적으로 하강시켜주게 되고, 유압실린더(240)가 늘어나면 상부블록(230) 및 연결블록(220)이 승강하면서 차단구조물(200)을 전체적으로 승강시켜주게 된다. 이때, 기계실(11)과 기초(215)가 교차되는 부분에는 기초(215)에 타공을 형성하여 그 간섭을 회피하게 설계해 줌이 바람직하다.
회전축으로 구축할때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블록(230)의 하부면상 중앙부에 회전축(245)을 결합시키고, 이 회전축(245)의 하부가 기계실(11)로 연장되도록 설치하여 기계실(11)내에 회전축(245)과 치합되도록 모터(246)와 원동기어(247)가 설치된다. 따라서 모터(246)의 회전에 따라 원동기어(247)가 회전하면서 회전축(245)를 승하강시켜 상부블록(230)이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이때, 회전축(245)에는 원동기어(247)와 치합되는 기어가 형성되는 것이 당연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차단구조물(200)에는 식물이 식생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차단구조물(200)은 제방, 방파제, 도로 및 인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들에 적용될 때에는 차단구조물(200)이 콘크리트 또는 강재이므로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아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블록(230)의 상부면상과, 연결블록(220)의 상부면상과, 기초블록(210)의 상부면상에 식물(260)을 식생하여 사용되어지는 것이다. 다시 말해 본 고안의 차단구조물이 제방이나 방파제에 적용될때에 주로 식물을 식생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0 : 높이 가변형 차단구조물
210 : 기초블록 215 : 기초
220 : 연결블록 230 : 상부블록
240 : 유압실린더 241 : 본체
242 : 로드 245 : 회전축
246 : 모터 247 : 원동기어
250 : 기밀부재 251 : 판체
252 : 튜브체 260 : 식물

Claims (3)

  1. 지면(10)속에 흐름을 차단하고자 하는 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설치공간(S)을 구축하여 그 속에 승하강되는 구조물이 매립되도록 설치한 높이 가변형 차단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간(S)의 바닥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설치되는 기초(215)와, 상기 기초(215)의 길이방향 양 옆으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기초블록(210)과, 상기 기초블록(210)의 내측면상에 밀착되게 배치되어 상기 기초블록(210)과 홈부 및 돌기부에 의해 끼움결합되어 승하강되는 적어도 1단 이상의 연결블록(220)과, 상기 연결블록(220)의 내측면상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자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연결블록(220)과 홈부 및 돌기부에 의해 끼움결합되어 승하강되는 상부블록(230)과, 상기 설치공간(S)의 아래쪽 기계실(11)에 설치되면서 상기 기초(215)를 통과하여 상기 상부블록(230)을 승하강시키는 구동장치(240)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들(210, 220, 230)의 높이는 상기 기초(215)의 상부면에서부터 지면까지의 높이와 일치하고, 각 홈부들은 상측으로 관통하지 않도록 그 상단부에 걸림턱으로 형성되며, 각 돌기부들은 블록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높이 가변형 차단구조물로서, 상기 기초블록(210)의 상부면상 및 연결블록(220)의 상부면상에는 그 내측의 블록들에 맞닿도록 기밀부재(250)가 설치되되, 상기 기밀부재(250)는 바깥쪽 블록들(210, 220)에 장착되는 판체(251)와 안쪽 블록들(220, 230)에 맞닿아 밀착되는 튜브체(252)가 일체로 된 것이고, 상기 상부블록(230), 연결블록(220) 및 기초블록(210)의 상부면상에는 식물(260)이 식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가변형 차단구조물.
  2. 삭제
  3. 삭제
KR2020110009437U 2011-10-24 2011-10-24 높이 가변형 차단구조물 KR2004648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437U KR200464803Y1 (ko) 2011-10-24 2011-10-24 높이 가변형 차단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437U KR200464803Y1 (ko) 2011-10-24 2011-10-24 높이 가변형 차단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803Y1 true KR200464803Y1 (ko) 2013-01-17

Family

ID=51360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437U KR200464803Y1 (ko) 2011-10-24 2011-10-24 높이 가변형 차단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8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9877A1 (ko) * 2013-02-01 2014-08-07 Kang Nam Gu 방파벽 기능을 갖는 조립식 높이가변형 차단구조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3435A (ja) * 1999-04-23 2000-10-31 Sato Tekko Co Ltd 多段式ゲート
KR100990698B1 (ko) * 2008-03-13 2010-10-29 강남구 잠수형 보
KR101064725B1 (ko) * 2010-10-29 2011-09-14 강남구 잠수형 가동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3435A (ja) * 1999-04-23 2000-10-31 Sato Tekko Co Ltd 多段式ゲート
KR100990698B1 (ko) * 2008-03-13 2010-10-29 강남구 잠수형 보
KR101064725B1 (ko) * 2010-10-29 2011-09-14 강남구 잠수형 가동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9877A1 (ko) * 2013-02-01 2014-08-07 Kang Nam Gu 방파벽 기능을 갖는 조립식 높이가변형 차단구조물
JP2016503467A (ja) * 2013-02-01 2016-02-04 カン、ナム グKANG,Nam Gu 防波壁機能を有する組立式高さ可変型遮断構造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1983B1 (ko) 승하강식 홍수방지용 벽체 구조물
NL1035546C2 (en) Self-closing flood barrier and method for protecting a hinterland using the same.
JP5157710B2 (ja) 堤防の補強構造
US7651298B2 (en) Flood levee and barrier module and system
ES2845001T3 (es) Método y sistema para un sistema de muro de contención retráctil
JP4936262B1 (ja) ユニット堤体及びこれを用いた堤防
JP6166370B2 (ja) 防波壁機能を有する組立式高さ可変型遮断構造物
KR200464803Y1 (ko) 높이 가변형 차단구조물
JP4979797B2 (ja) ダムの天端高を高くするための上部構造物
KR100597464B1 (ko) 수문을 구비한 고무댐
CN107338770B (zh) 一种沥青混凝土心墙坝与混凝土重力坝的组合坝型及其建造方法
KR200461058Y1 (ko) 제방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승하강식 잠수형 보
KR101219658B1 (ko) 웅덩이형 수제의 시공 방법
JP3222697U (ja) 高さ可変型堤防装置
CN210887089U (zh) 一种节省空间的互锁坞式生态挡墙结构
KR20060100637A (ko) 하상 옹벽용 계단블록 및 그 축조 방법
JP6839438B2 (ja) 雨水浸透貯留槽の構築方法
JP2013249705A (ja) 津波防潮堤の施工方法
JP2013253461A (ja) 津波防潮壁
KR20110083935A (ko) 친환경 복합 사방댐
CN210887088U (zh) 一种用于河道护岸的透水生态坞式挡墙底座
KR100510884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취입보 설치공법
KR101290999B1 (ko) 조력발전소용 수문구조물
KR102172586B1 (ko) 지반침하 대응 접속슬래브를 포함하는 교량
RU2288986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земляного полот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