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2586B1 - 지반침하 대응 접속슬래브를 포함하는 교량 - Google Patents

지반침하 대응 접속슬래브를 포함하는 교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2586B1
KR102172586B1 KR1020190018904A KR20190018904A KR102172586B1 KR 102172586 B1 KR102172586 B1 KR 102172586B1 KR 1020190018904 A KR1020190018904 A KR 1020190018904A KR 20190018904 A KR20190018904 A KR 20190018904A KR 102172586 B1 KR102172586 B1 KR 102172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connection slab
height
unit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0925A (ko
Inventor
김용훈
Original Assignee
김용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훈 filed Critical 김용훈
Priority to KR1020190018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586B1/ko
Publication of KR20200100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8Bearings being adjustable once installed; Bearings used in incremental launc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34Foundations for sinking or earthquake territ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침하 대응 접속슬래브를 포함하는 교량에 관한 것으로, 지반침하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교량과 성토부의 단차발생 및 교량의 측방유동을 예방하도록 형성되어 교량의 신축이음부 거리가 유지될 뿐만 아니라, 측방유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지반침하 대응 접속슬래브를 포함하는 교량{A BRIDGE INCLUDING CONNECTING SLAB CAPABLE OF COPING WITH SUBSIDENCE}
본 발명은 접속슬래브를 포함하는 교량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지반침하에 대응할 수 있는 접속슬래브를 포함하는 교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로 나뉘는데, 상부구조는 설치 후에 주변으로부터 작용하는 온도변화에 의해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하고 충격, 차량통행, 지진 등에 의한 물리적 진동이 발생하여 교량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더욱이, 교량의 교대 뒷채움부는 비압축성인 교대 콘크리트 구조물과 압축성인 흙으로 구성된 부분으로, 흙의 압축성으로 인해 공사완료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침하가 발생되어 교량의 상부구조가 변형됨에 따라 사고가 유발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침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입상재료를 사용하고, 교대 구조물 기초 위부터 층 따기, 층 다짐, 우수유입 방지를 위한 배수시설 설치 및 적정 장비사용 등을 수행하여 지면을 시공하고, 교통하중 지지 및 침하방지를 위해서 접속슬래브를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하천 등에 설치된 교량은 시공된 후 오랜 시간 경과됨에 따라 지면 침하로 인해 유입되는 토양에 의해 측방유동이 유발되어 접속 슬래브를 포함하는 교량의 상구부조가 변형됨에 따라 교량의 안전이 위협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1044호(이하 ‘문헌 1’)의 “토공 접속부 침하량 조절 시스템 및 침하량 조절시스템 시공 방법”에서, 교량 뒷채움부를 포함하는 구조물과 토공 접속부 또는 토공과 토공 접속부에 구축되는 침하량을 조절하는 시스템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1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잭 또는 유압잭으로 형성된 침하량 조절 수단에 의해 접속슬래브를 들어 올림으로써 도로의 평탄성을 확보하여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는 접속슬래브 일측이 벽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침하가 발생될 경우, 접속슬래브의 일측은 벽체에 고정되고, 타측이 지면과 함께 침하됨으로써 가라앉게 되어 접속슬래브가 사선방향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량의 측방유동이 유발될 뿐만 아니라, 접속슬래브를 포함하는 교량 상부구조의 이음부가 솟아오르게 되어 교량의 유지 및 보수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사고가 유발되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55247호(이하 ‘문헌 2’)의 “구조물의 다지점 동시 인상용 컴퓨터 제어 인상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교량인상방법”에서, 교량, 선박 등과 같은 대형의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철 구조물을 컴퓨터 제어에 의해 다지점에서 동시에 인상 또는 하강 시키는 제어 시스템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2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하중 변화에 대해 컴퓨터 제어에 의해 유압잭에 연결된 유압밸브가 제어되어 구조물을 다지점에서 인상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시스템 운전자의 명령에 따라 유압잭이 제어됨으로써, 별도의 명령 없이 지반침하에 대해 구조물의 높이를 제어해야 할 경우 상당한 어려운 단점이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7006호(이하, ‘문헌 3’)의 “교량의 접속 슬래브 구조”에서, 접속 슬래브 하부면에 배출 홀이 형성된 그라우팅 관을 포함하는 접속 슬래브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3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홀을 통해 그라우트를 공급하여 뒷채움재의 공극을 채워주게 되어 뒷채움재의 침하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잦은 그라우트 주입에 의해 배출 홀에 막힘 현상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라우트를 주입함으로써 교량 보수를 위한 단가가 높아지게 되어 유지 및 보수가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5472호(이하, ‘문헌 4’)의 “지반침하대응 교량”에서, 지반이 침하되면 침하된 높이만큼 교량의 높이도 조절하여 지반침하로 인해 교량에 전달되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는 지반침하대응 교량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4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침하에 대응하여 교량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지반침하로 인해 교량에 전달되는 충격을 방지하여 교량의 수명도 연장시키고, 차량에 전달되는 충격에 의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교각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측방유동에 대응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지반침하에 대해 실시간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배경기술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104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55247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700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5472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반 침하에 의해 접속슬래브의 위치가 변화함에 따라 교량의 접속슬래브 및 교면을 포함하는 상부구조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지반침하에 의해 형성된 공극을 신속하게 메우도록 형성된 지반침하 대응 접속슬래브를 포함하는 교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지반침하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교량과 성토부의 단차발생 및 교량의 측방유동을 예방함으로써 교량의 신축이음부 거리 유지 또는 측방유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지반침하 대응 접속슬래브를 포함하는 교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별도의 위치변화 시공을 수행하지 않고 접속슬래브 위치가 변화함에 따라 교량의 상부구조 위치가 변화될 수 있는 지반침하 대응 접속슬래브를 포함하는 교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측에 접속슬래브 일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다짐부; 다짐부와 연동되도록 형성되며, 지면 또는 수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부터 접속슬래브 또는 교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상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부구조; 다짐부 또는 하부구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상측에 형성되며, 하측면에 함몰 형성된 제1수용부를 포함하는 접속슬래브; 및 하부구조 상측면 일측에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제1수용부 내측에 인입되도록 형성된 제1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부구조 상측에 형성되며, 다짐부 높이변동에 따라 접속슬래브 또는 교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위치가 변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접속슬래브 또는 교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하측면 일측에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접속슬래브 또는 교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위치변동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된 제2높이조절부; 제2높이조절부와 연동되도록 형성되며, 내측에 유체를 포함하도록 형성된 제1저장부; 및 접속슬래브 또는 교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하측면에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이 제1저장부에 인입되어 유체의 높이변화에 따라 위치가 변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3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제2높이조절부 또는 제1저장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연동 형성되며, 제2높이조절부의 길이가 변화됨과 동시에 전기적 신호에 의해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제어부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접속슬래브 또는 교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하측에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4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제3높이조절부; 제3높이조절부의 길이변화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제3높이조절부와 연동 형성된 제1회전부; 제1회전부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측면에 접속슬래브 또는 교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안착되어 회전에 의해 접속슬래브 또는 교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위치가 변동될 수 있도록 타원형으로 형성된 제1회전고정부; 및 제1회전부가 제3높이조절부에 의해 회전됨과 동시에 제1회전고정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 회전전달부;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반침하에 의해 접속슬래브 위치가 변화함에 따라 교량의 접속슬래브 및 교면을 포함하는 상부구조부 위치가 변화되어 지반침하에 의해 형성된 제1이격부를 신속하게 메울 뿐만 아니라, 별도로 접속슬래브를 포함하는 상부구조물의 위치변화를 위한 시공을 수행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유지 및 보수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반침하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교량과 성토부의 단차발생 및 교량의 측방유동을 예방하도록 형성되어 교량의 신축이음부 거리가 유지될 뿐만 아니라, 측방유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교량 일측에 접속슬래브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받침대가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지반침하에 의해 접속슬래브가 사선으로 유지되는 것이 예방되어 솟음 또는 측방유동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문헌 1발명의 일반적인 교대 구조물과 다짐부에서 침하가 발생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는 문헌 1발명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문헌 2발명의 복수의 유압실린더(유압잭) 및 높이 센서의 교각에의 설치 및 보조 매니폴드 어셈블리와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문헌 3발명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문헌 4발명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반침하 대응 접속슬래브를 포함하는 교량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반침하 대응 접속슬래브를 포함하는 교량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반침하 대응 접속슬래브를 포함하는 교량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반침하 대응 접속슬래브를 포함하는 교량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반침하 대응 접속슬래브를 포함하는 교량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반침하 대응 접속슬래브를 포함하는 교량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반침하 대응 접속슬래브를 포함하는 교량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반침하 대응 접속슬래브를 포함하는 교량의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다짐부, 11: 접속슬래브, 12: 교면, 13: 신축이음부
20: 하부구조부, 21: 제1벽체, 22: 제2벽체, 23: 제1지지부, 24: 제2지지부, 25: 제3지지부
30: 제1이격부
40: 유체
100: 제1고정부, 110: 제1수용부
200: 제2고정부, 210: 제1받침부, 220: 높이조절부, 230: 제2받침부
300: 제2높이조절부, 310: 제1높이고정부, 311: 제1개폐부, 312: 제2개폐부, 320: 제2높이고정부, 321: 제1연결부, 330: 제1수집부, 331: 제1유입부
400: 제1하우징, 410: 제3받침부, 411: 제1걸림턱, 412: 제2이격부, 420: 제1저장부, 422: 제1배출부, 430: 제2유입부, 431: 제1제어부, 440: 제2제어부
500: 제3높이조절부, 501: 제3높이고정부, 502: 제4높이고정부, 510: 제4높이조절부, 520: 제1회전부, 530: 제2회전부, 540: 제1회전고정부, 550: 회전전달부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이 가해질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 특징들, 실시예들 또는 구현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다양한 조합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청구범위에 의해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고,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사람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지반침하 대응 접속슬래브를 포함하는 교량(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교량’이라함)은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짐부(10), 하부구조부(20), 접속슬래브(11) 및 제1고정부(10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짐부(10)는 상측에 접속슬래브(11) 일부가 상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접속슬래브(11) 일부가 다짐부(10)에 안착되고, 접속슬래브(11)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면이 다짐부(1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 형성됨으로써 후술될 교면(12) 및 하부구조부(20)가 교량으로써 안정적으로 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다짐부(10)는 다짐율 95% 이상이 유지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높은 하중을 포함하는 차량 등이 접속슬래브(11)를 통과할 경우, 안정적으로 통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만약, 다짐부(10)의 다짐율이 95% 이하로 유지될 경우, 다짐부(10)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침하가 수행되어 교량의 수명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다짐율 95% 이상에서 상부 포장이 시행되도록 시방하고 있지만, 다짐율이 95% 이상이 되어서 포장이 시행된다고 하더라도 장시간에 걸친 외부 자극에 의해 침하가 발생되어 교량과 다짐부(10)인 성토부 사이에 제1이격부(30)인 단차가 발생되어 교량의 평탄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교량에 가해지는 충격하중에 의해 교량의 수명이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음으로, 하부구조부(20)는 다짐부(10)와 연동되도록 형성되며, 지면 또는 수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부터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상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안착됨으로써, 사람 또는 자동차 등이 강 또는 시내 등을 건널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구조부(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벽체(21) 및 제2벽체(2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1벽체(21)는 다짐부(10)의 측면에 형성됨으로써,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벽체(21)의 상측에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부 일부가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사람 또는 자동차 등이 강 또는 시내 등을 용이하게 건널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즉, 제1벽체(21)가 형성됨으로써,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사람 또는 자동차 등이 강 또는 시내 등을 용이하게 건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짐부(10)에 포함되는 토양, 자갈 등이 강 또는 시내 등에 유실되지 않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벽체(21) 상측에는 접속슬래브(11) 및 교면(12) 단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벽체(21)가 양 단부에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다짐부(10)의 침하를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때, 제1벽체(21)는 제1지지부(23) 및 제2지지부(24)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1지지부(23)는 제1벽체(21) 상측면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측에 접속슬래브(11) 다짐부(10)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부분이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속슬래브(11) 일부가 제1벽체(21) 상측면 일측에 안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다짐부(10) 상측면 침하에 따라 발생되는 교량과 성토부인 다짐부(10) 사이에 발생되는 단차인 제1이격부(30)의 깊이만큼 접속슬래브(11)가 지면을 기준으로 수평을 유지하며 하측방향으로 가라앉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지지부(23)의 상측면은 다짐부(10)의 침하 발생되기 전 상태의 상측면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침하가 발생됨과 동시에 접속슬래브(11)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변화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때, 제1지지부(23) 상측에 접속슬래브(11)가 안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종래의 접속슬래브(11) 단부가 교량에 고정 형성되어 다짐부(10)의 침하에 따라 제1이격부(30)의 깊이만큼 접속슬래브(11)가 기울도록 형성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다짐부(10) 또는 교량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교량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솟아오르지 않을 뿐만 아니라, 후술될 신축이음부(13)의 길이변화를 최소화시킴으로써, 사고를 예방하고, 교량의 유지 및 보수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2지지부(24)는 제1벽체(21) 상측에 형성된 제1지지부(23)와 마주보는 측면이 하측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제1이격부(30)의 깊이에 따라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지지함과 동시에 이의 위치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변동시킬 수 있는 구성을 포함시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지지부(24)의 상측면은 후술될 제2벽체(22)의 상측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함몰되어 접속슬래브(11)의 위치변화에 따라 교면(12)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는 구성이 설치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벽체(22)는 제1벽체(21)와 이격되며, 하측이 강 또는 시내 등에 잠길 수 있도록 형성되어 제2벽체(22) 상측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교면(12)이 지면 또는 수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상측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벽체(22) 상측에 하나 이상의 교면(12)이 형성됨으로써, 사람 또는 자동차 등이 강 또는 시내 등을 용이하게 건널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제2벽체(22) 상측에 하나 이상의 교면(12)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부가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벽체(22) 상측에 교면(12)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부가 안착됨으로써, 하나 이상의 교면(12)이 연속적으로 제2벽체(22) 상측에 형성되어 교량이 사람 또는 자동차가 강 또는 시내를 용이하게 건널 수 있을 길이만큼 교면(12)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2벽체(22)는 제1벽체(21) 사이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사람 또는 자동차가 강 또는 시내를 용이하게 건널 수 있을 길이만큼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제2벽체(22)는 제2지지부(24)의 상측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접속슬래브(11)의 위치변화에 따라 교면(12)의 높이가 접속슬래브(11)와 같거나 낮게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만약, 교면(12)의 위치가 접속슬래브(11)의 위치보다 낮게 형성될 경우, 교량 상측에 이동되는 자동차의 주행방향을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가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주행될 경우, 좌측에 형성된 접속슬래브(11) 보다 우측에 형성된 교면(12)의 높이가 더 낮게 형성됨으로써, 자동차의 주행을 방해하거나, 자동차에 손상이 가해지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둘 이상의 교면(12)의 관계에서도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를 위해, 제2벽체(22) 상측에 단면이 하측보다 상측이 점점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3지지부(2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3지지부(25)에 의해, 교면(12)의 일측 또는 타측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뿐만 아니라, 제3지지부(25) 상측에 형성된 교면(12)의 높이를 제1이격부(30)의 깊이만큼 변동되는 접속슬래브(11)의 높이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접속슬래브(11)는 다짐부(10) 또는 하부구조부(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상측에 형성되며, 하측면에 함몰 형성된 제1수용부(11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구조부(20) 상측에 안착되는 접속슬래브(11)의 단부가 하부구조부(20) 상측에 고정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다짐부(10) 상측면 침하에 따라 발생되는 제1이격부(30)의 깊이만큼 접속슬래브(11)가 지면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접속슬래브(11) 하측에 하부구조부(20)가 접하는 부분의 단면이 제1지지부(23)의 형상과 맞물릴 수 있도록 제1지지부(23)의 형상과 대응되어 접속슬래브(11) 하측 단부 일부가 상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접속슬래브(11) 하측 단부 일부의 형상에 따라, 접속슬래브(11)의 단부 일부는 하부구조부(20) 상측에 안정적으로 안착됨과 동시에, 다짐부(10)에 제1이격부(30)가 발생됨과 동시에 접속슬래브(11)의 위치가 지면과 수평을 유지하며 변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접속슬래브(11) 하측면에 내측에 제1고정부(100)가 인입되도록 형성되도록 제1수용부(110)가 함몰 형성됨으로써, 접속슬래브(11)가 하부구조부(2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수직운동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짐부(10)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접속슬래브(11)의 하측면에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때, 접속슬래브(11)가 하부구조부(2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부구조부(20) 상측면에는 후술될 제1고정부(10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하나 신축이음부(1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신축이음부(13)에 의해 접속슬래브(11)와 교면(12) 사이에 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외부 온도변화 또는 외부 자극에 의해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팽창 또는 수축될 경우, 교량에 갈라짐 또는 균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고정부(100)는 하부구조부(20) 상측면 일측에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제1수용부(110) 내측에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다짐부(10)의 외부자극에 의한 유실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침하에 의해 형성되는 제1이격부(30)의 깊이만큼 다짐부(10)의 높이가 변동됨과 동시에 접속슬래브(11)의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이때, 제1고정부(100)가 제1수용부(110) 내측에 인입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접속슬래브(11)가 하부구조부(20)에 이탈되지 않고 지면을 기준으로 수평을 유지하며 하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고정부(100)는 접속슬래브(11)를 하부구조부(20)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접속슬래브(11)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고, 제1이격부(30)의 깊이만큼 접속슬래브(11)의 위치가 용이하게 변동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는, 다웰바를 포함하는 바(bar)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교량으로부터 가해지는 중량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량의 시공이 견고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짐부(10) 높이변동에 따라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위치가 변동될 수 있도록 하부구조부(20) 상측에 제2고정부(200)가 포함될 수 있다.
제2고정부(200)는 하부구조부(20)와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다짐부(10)의 침하가 발생될 경우, 제2고정부(200)에 의해 다짐부(10)가 침하된 높이만큼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교면(12)의 하측에 형성됨으로써, 제1이격부(30)의 깊이만큼 접속슬래브(11)의 위치가 변동됨과 동시에 교면(12)의 위치가 변동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고정부(200)는 제1받침부(210) 및 높이조절부(22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제1받침부(210)는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하측면에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교면(12) 하측에 형성됨으로써 다짐부(10) 침하가 발생되어 접속슬래브(11)의 높이가 변화함에 따라 교면(12)의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제1받침부(210)가 형성됨으로써, 후술될 높이조절부(220)로부터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제1받침부(210)는 상측면이 하측면보다 넓은 형태로 형성되어 높이조절부(220)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가해지는 하중을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높이조절부(220)는 제1받침부(210) 하측에 판 형태로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높이조절부(220) 개수 또는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하부구조부(20)와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교량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슬래브(11)의 높이가 제1이격부(30)가 발생됨과 동시에 낮아지면, 높이조절부(220)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교면(12)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높이조절부(220)는 피스톤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높이조절부(220) 내측에 형성된 유체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높이조절부(220)의 이탈을 예방하고,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에 가해지는 무게를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높이조절부(220) 하측에 제2받침부(2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2받침부(230)는 제1받침부(210)와 마주보는 방향에 형성되며, 하측면이 상측면보다 넓게 형성되어 높이조절부(220)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반침하 대응 접속슬래브를 포함하는 교량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7의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 또는 자연현상에 의해 다짐부(10)의 침하가 발생되어 다짐부(10)와 다짐부(10) 상측에 형성된 접속슬래브(11) 사이에 제1이격부(30)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7의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격부(30)의 높이만큼 접속슬래브(11)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다짐부(10)와 연동되도록 형성된 제1벽체(21) 상측에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고정부(100)가 접속슬래브(11) 타측 하측면에 제1수용부(110) 내측에 인입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접속슬래브(11)가 지면과 수평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되는 것이다.
이때, 접속슬래브(11) 하측단부는 제1벽체(21)에 포함된 제1지지부(23)와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8의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슬래브(11)가 제1이격부(30) 깊이만큼 이동되면, 접속슬래브(11)와 교면(12) 사이에 높이차가 발생된다.
이 높이차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하부구조부(20)와 교면(12) 사이에 형성된 제2고정부(200)의 높이를 조절하여 교면(12)의 위치가 접속슬래브(11)의 위치와 같거나 낮게 형성됨으로써, 외부압력에 의한 교량과 성토부인 다지부(10) 사이에 발생되는 단차로서 제1이격부(30)를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방유동 및 접속슬래브(11)와 교면(12) 사이에 형성된 신축이음부(13)의 길이변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제2고정부(200)에 포함된 판 형태로 형성된 높이조절부(220)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수동적으로 교면(1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별명은, 지반침하에 의해 접속슬래브(11) 위치가 변화함에 따라 교량의 접속슬래브(11) 및 교면(12)을 포함하는 상부구조부 위치가 변화되어 지반침하에 의해 형성된 제1이격부(30)를 신속하게 메울 뿐만 아니라, 별도로 접속슬래브(11)를 포함하는 상부구조물의 위치변화를 위한 시공을 수행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유지 및 보수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반침하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교량과 성토부의 단차발생 및 교량의 측방유동을 예방하도록 형성되어 교량의 신축이음부(13) 거리가 유지될 뿐만 아니라, 측방유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교량 일측에 접속슬래브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받침대가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지반침하에 의해 접속슬래브(11)가 사선으로 유지되는 것이 예방되어 솟음 또는 측방유동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2>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구조(20) 상측에는 제2고정부(200)를 대신하여 제2높이조절부(300), 제3받침부(410) 및 제1저장부(42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제2높이조절부(300)는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하측면에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위치변동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도록 제1높이고정부(310) 및 제2높이고정부(32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높이조절부(300)가 포함됨으로써, 접속슬래브(11)의 높이변동이 발생함과 동시에 제2높이조절부(300)의 길이가 변동되어 후술될 제3받침부(410)와 연동 형성된 교면(12)의 높이를 자동으로 변동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제1높이고정부(310)는 하부구조부(20) 상측에 형성되며, 내측에 제2높이고정부(320) 하측이 인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높이고정부(310)는 일측에 제1수집부(330)와 타측에 제1저장부(420)와 연동 형성됨으로써, 제2높이고정부(320)가 상하운동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제1저장부(420)에 저장되어있는 유체가 제1수집부(330)에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높이고정부(310) 일측과 타측 벽면에 각각 관통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유입부(331) 및 제1배출부(4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유입부(331)는 제1높이고정부(310) 일측 벽면에 관통될 수 있도록 제1수집부(330) 타측 벽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나 이상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제1높이고정부(310)와 제1수집부(330)가 연동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배출부(422)는 제1유입부(331)와 일직선상에 형성되며, 하나 이상 형성된 제1저장부(420)의 일측 벽면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높이고정부(310) 타측 벽면에 관통 형성됨으로써, 후술될 제2높이고정부(320)에 형성된 제1연결부(321)에 의해 제1저장부(420)에 저장된 유체(40)가 제1수집부(330) 내측으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높이고정부(320)는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하측면에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제1이격부(30)가 발생됨과 동시에 이동될 경우, 제2높이고정부(320)가 제1높이고정부(310) 내측이 인입됨으로써, 제2높이조절부(300)의 길이가 가변되어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높이를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높이를 별도의 시스템구성을 적용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변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높이고정부(320) 하측에 제1연결부(321)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2높이고정부(320)가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이 제1이격부(30)의 깊이만큼 가라앉음과 동시에 후술될 제1저장부(420)에 저장되어있는 유체(40)가 제1연결부(321)를 통해 제1수집부(330)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높이고정부(320) 하측에 형성된 제1연결부(321)가 제1유입부(331) 및 제1배출부(422) 사이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제1저장부(420) 내측에 형성된 유체(40)가 제1수집부(330)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유체(40)는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제1유입부(331) 또는 제1배출부(42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측면에 각각 하나 이상의 제1개폐부(311) 또는 제2개폐부(3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제1이격부(30)에 의해 낮아지게 되고, 제2높이고정부(320)는 제1높이고정부(310) 내측에 인입되어 제1저장부(420) 내측에 형성된 유체(40)를 제1수집부(330)로 유입시키게 된다.
이 때, 유체(40)의 유압에 의해 제1개폐부(311) 또는 제2개폐부(3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흰지를 포함하는 회전부재와 결합되어 회전됨으로써 개방되어 제1저장부(420) 내측에 형성된 유체(40)가 제1수집부(330) 내측으로 용이하게 저장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1개폐부(311) 또는 제2개폐부(3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는 제1높이고정부(310)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측면에 제1유입부(331) 또는 제1배출부(42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연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제1수집부(330)는 제1높이고정부(310) 일측에 제1높이고정부(310)와 연동되도록 형성되어 제1저장부(420)로부터 유출되는 유체(40)를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유체(40)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재사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저장부(420)는 제2높이조절부(300)와 연동되도록 형성되며, 내측에 유체(4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저장부(420)는 제2높이조절부(300)와 연동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저장부(420)에 포함된 유체(40)의 양이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위치변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위치가 제1이격부(30)에 의해 변동될 경우, 제2높이고정부(320)가 제1높이고정부(310)에 의해 길이가 변동됨과 동시에 제1저장부(420)에 포함된 유체(40)가 제1수집부(330)로 유입됨으로써 후술될 제3받침부(410)의 위치가 변동되어 제3받침부(410)와 연동 형성된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위치가 변동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유체(40)는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고, 제2높이조절부(300)에 의해 양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이라면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제1저장부(420) 일측에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높이고정부(310) 타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배출부(422)에 의해 유체(40)가 제1수집부(330)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저장부(420) 타측에는 타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유입부(430)가 제1제어부(431)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유입부(430)가 형성됨으로써, 제2유입부(430)의 개폐에 의해 제1저장부(420) 내측에 유체(40)를 유입 또는 배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유입부(430)의 개폐는 제1제어부(431)에 의해 조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받침부(410)는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하측면에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이 제1저장부(420)에 인입되어 유체의 높이변화에 따라 위치가 변동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저장부(420) 내측에 포함된 유체(40)가 변화되는 양에 따라 제3받침부(410)의 높이가 변화되어 제1이격부(30)의 깊이만큼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높이가 변동됨으로써, 연속 형성된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높이가 같거나 낮게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3받침부(410) 상측 양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걸림턱(411)이 형성됨으로써, 제3받침부(410)에 가해지는 하중을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2높이조절부(300), 제1수집부(330) 및 제1저장부(42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제2높이조절부(300), 제1수집부(330) 및 제1저장부(420)가 제1하우징(400) 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짐부(10)의 침하에 의해 제1이격부(30)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접속슬래브(11)의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슬래브(11)의 높이가 제1이격부(30)의 깊이만큼 낮아짐과 동시에 제2높이고정부(320)가 낮아지게 되어 제2높이고정부(320)의 하측이 제1높이고정부(310)에 인입됨으로써 고정된다.
이때, 제2높이고정부(320) 하측에 관통 형성된 제1연결부(321)는 제1고정부(310)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된 제1유입부(331) 및 제1배출부(422)와 연동 형성된다.
다음으로, 유체(40)의 유압에 의해 제1개폐부(311) 및 제2개폐부(312)가 회전에 의해 개방됨으로써, 제1저장부(420) 내측에 형성된 유체(40)가 제1수집부(330)에 유입되어 저장되는 것이다.
이때, 제1저장부(420) 내측에 형성된 유체(40)와 제3받침부(410) 사이에 제1이격부(30)의 깊이만큼 제2이격부(412)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격부(30)의 깊이만큼 유체(40)가 제1수집부(330) 내측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제1개폐부(311) 및 제2개폐부(312)가 폐쇄 된다.
이와 동시에 제1이격부(30)의 깊이만큼 유체(40)가 제1저장부(420) 내측으로부터 유출되어 제2이격부(412)가 형성되고, 제2이격부(412)의 깊이만큼 제3받침부(410)가 하강함으로써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높이가 자동적으로 낮아질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밀폐된 용기 속에 담겨있는 액체의 한 쪽 부분에 주어진 압력은 그 세기에는 변함없이 같은 크기로 액체의 각 부분에 골고루 전달된다고 알려진 파스칼의 원리가 적용되어 유체의 이동됨과 동시에 제3받침부(410)가 이동되는 것이다.
<실시예 3>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높이조절부(300) 또는 제1저장부(4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연동 형성되며, 제2높이조절부(300)의 길이가 변화됨과 동시에 전기적 신호에 의해 유체(40)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제어부(440)가 포함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2높이조절부(300)와 제1수집부(330) 및 제1저장부(420)는 각각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2높이조절부(300), 제1수집부(330) 및 제1저장부(42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제2제어부(44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제어부(440)가 형성됨으로써, 제1높이고정부(310)의 길이변화에 따라 제1저장부(420)에 전기적 신호를 보냄과 동시에 제2제어부(440)를 통해 제1저장부(420) 내측에 형성된 유체(40)가 제1수집부(330)에 유입되거나, 제1수집부(330)에 저장된 유체(40)가 제1저장부(420) 내측에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제어부(440)의 타측 단부는 제1제어부(431)와 연동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제어부(431)의 신호에 의해 제1저장부(420) 내측에 형성된 유체(40)의 양을 조절 할 수 있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1제어부(431)는 내측에 펌프가 포함됨으로써, 제1수집부(330) 또는 제1저장부(4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포함된 유체(40)의 흐름을 용이하게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1제어부(431)는 제1저장부(420) 또는 제2유입부(43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제어부(431)는 제1저장부(420)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유입부(430) 일측에 형성됨으로써, 제2유입부(430)와 제2제어부(440)가 연동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4>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구조부(20) 상측에는 제2고정부(200)를 대신하여 제3높이조절부(500), 제1회전부(520), 제1회전고정부(540) 및 회전전달부(55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제3높이조절부(500)는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하측에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4높이조절부(51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3높이조절부(500)는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하측에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부구조부(20)로부터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높이조절부(500) 일면의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4높이조절부(510)에 의해 후술될 제1회전부(5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위치가 제1이격부(30)가 형성됨과 동시에 낮아지게 되는데, 이때, 제3높이조절부(500)의 길이가 낮아짐과 동시에 제4높이조절부(510)의 위치도 하측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제1회전부(520)가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1회전부(520)는 시계 또는 반시계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3높이조절부(500)는 제3높이고정부(501) 및 제4높이고정부(50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3높이고정부(501)는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하측에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높이고정부(501)의 하측은 제4높이고정부(502)의 상측에 인입됨으로써,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위치가 변동됨에 따라 제4높이고정부(502)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3높이고정부(501) 일측면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4높이조절부(510)가 형성됨으로써, 제3높이고정부(501)의 위치가 변화됨과 동시에 제4높이조절부(510)의 위치가 변화되어 제1회전부(520)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3높이고정부(501) 하측 일측면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제4높이고정부(502) 일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레일과 맞물리도록 형성됨으로써, 후술될 제1회전부(520)가 제3높이고정부(501)의 길이변화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4높이고정부(502)는 하부구조부(20)의 상측에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내측에 제3높이고정부(501)의 하측이 수용될 수 있도록 제3높이고정부(501)와 마주보는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높이고정부(501) 외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4높이조절부(510) 또는 제1회전부(520)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제4높이고정부(502) 외측 일측면에 관통 형성된 수용부가 더 포함될 수 있으나, 이는 제4높이조절부(510) 또는 제1회전부(520)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는 형태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제4높이고정부(502) 외측 일측면에 관통 형성된 수용부에 의해 제1회전부(520) 일부가 제3높이고정부(201) 외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4높이조절부(510)와 맞물릴 수 있도록 인입되어 형성되어 제1회전부(5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4높이고정부(502) 일측에 일측면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레일이 형성되어 레일과 제3높이고정부(503) 하측 일측면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가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3높이고정부(503)가 제4높이고정부(502) 내측으로 인입되는 길이만큼 레일이 제4높이고정부(502) 외측면을 따라 회전됨으로써, 제1회전부(520)가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제1회전부(520)는 제4높이고정부(502)에 형성된 레일과 맞물리도록 형성됨으로써, 레일의 운동에 의해 제1회전부(520)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1회전부(520)는 제3높이조절부(500)의 길이변화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제3높이조절부(500)와 연동 형성될 수 있다.
즉,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높이 변동에 의해 제3높이고정부(501)의 길이가 변화됨과 동시에 제4높이조절부(510)의 위치가 변화되거나, 제4높이고정부(502)에 형성된 레일이 회전함으로써 제1회전부(5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회전부(520)는 회전에 의해 제4높이조절부(510) 또는 제4높이고정부(502)에 형성된 레일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맞물리도록 톱니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제1회전부(520)는 하부구조부(20)외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제1회전부(520)의 회전이 하부구조부(20)의 형상에 의해 방해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회전고정부(540)는 제1회전부(520)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측면에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안착되어 회전에 의해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위치가 변동될 수 있도록 타원형 또는 타원형을 띄는 다각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회전고정부(540)는 하부구조부(20) 상측에 형성되며, 제1회전부(520)와 서로 연동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회전고정부(540)가 회전함과 동시에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위치가 변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1회전고정부(540)가 타원형 또는 타원형을 띄는 다각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회전고정부(540)의 회전에 의해 반지름이 변동되어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위치가 제1이격부(30)의 깊이가 변화됨에 따라 자동적으로 변동될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타원형을 띄는 다각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회전고정부(540)가 회전함과 동시에 하부구조부(20)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를 위해, 제1회전고정부(540)의 고정 및 회전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제2회전부(5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2회전부(530)는 제1회전부(520)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되어 제1회전부(520)의 회전에 의해 제2회전부(530)가 같거나 적게 회전됨으로써 제1회전고정부(540)의 회전이 조밀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제2회전부(530)는 시계 또는 반시계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제1회전부(520)와 대응하여 회전될 수 있다.
제2회전부(530)가 더 포함됨으로써, 제1회전고정부(540)의 회전에 의해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제1회전고정부(540)의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하측면과 제1회전고정부(540) 상측 사이에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상하운동가이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하운동가이드의 각 단부는 서로 중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회전고정부(540)의 회전에 의해 상하운동가이드가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각 단부가 인입되어 교량의 전체길이의 변화시키지 않고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1회전부(520)의 회전력을 제2회전부(530)에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제1회전부(520) 및 제2회전부(530)와 연동 형성된 회전전달부(550)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회전전달부(550)는 제1회전부(520)가 제3높이조절부(500)에 의해 회전됨과 동시에 제1회전고정부(54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회전전달부(550)는 띠 또는 체인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며, 제1회전부(520) 및 제2회전부(530) 또는 제1회전고정부(54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회전부(52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을 제2회전부(530) 또는 제1회전고정부(54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용이하게 전달함으로써, 제1회전고정부(540)의 회전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짐부(10)의 침하에 의해 제1이격부(30)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접속슬래브(11)의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이때, 접속슬래브(11)의 높이가 낮아짐과 동시에 제3높이고정부(501)의 하측이 제4높이고정부(502)에 인입되어 제3높이조절부(500)의 길이가 변화된다.
다음으로, 제3높이조절부(500)의 길이가 변화한 만큼 제4높이조절부(510)의 높이가 변화되거나, 제4높이고정부(502) 일측면에 형성된 레일이 회전하게 됨으로써, 제1회전부(520)가 회전하게 되며, 이때 제2회전부(530) 또는 제1회전고정부(54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회전되어 제1회전고정부(540)가 회전된다.
이때, 제1회전고정부(540)는 타원형 또는 타원형을 띄는 다각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제1회전고정부(540)의 지름변화에 의해 제1회전고정부(540) 상측에 형성된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회전전달부(550)가 제1회전부(520)와 제2회전부(530) 또는 제1회전고정부(54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지반침하 대응 접속슬래브에 관한 것으로, 수동 또는 자동으로 지반침하에 대응되어 교량의 높이가 조절되며, 접속슬래브가 지면을 기준으로 수평으로 이동됨으로써, 지반침하에 따라 교량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산업상 이용가능한 발명이다.

Claims (5)

  1. 상측에 접속슬래브(11) 일부가 안착되며, 침하에 따라 발생되는 제1이격부(30)의 깊이만큼 접속슬래브(11)가 지면을 기준으로 수평을 유지하며 하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다짐부(10);
    다짐부(10)와 연동되도록 형성되며, 지면 또는 수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부터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상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부구조부(20);
    다짐부(10) 또는 하부구조부(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상측에 형성되며, 하측면에 함몰 형성된 제1수용부(110)를 포함하는 접속슬래브(11); 및
    하부구조부(20) 상측면 일측에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접속속슬래브(11)가 하부구조부(20)에 이탈되지 않고 수평을 유지하며 하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1수용부(110) 내측에 인입되도록 형성된 제1고정부(100);를 포함하고,
    하부구조부(20)는
    다짐부(10) 측면에 형성되어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벽체(21); 및
    제1벽체(21)와 이격 형성되며, 상측에 교면(12)이 지면 또는 수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상측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벽체(22);를 포함하고,
    제1벽체(21)는
    제1벽체(21) 상측면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상측에 접속슬래브(11)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지지부(23); 및
    제1지지부(23)와 마주보는 측면에 교면(12)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제2지지부(24);를 포함하고,
    제1지지부(23) 상측에 안착되는 접속슬래브(11) 단부는 제1지지부(23)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하측 단부가 상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다짐부(10)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하부구조부(20) 상측에 형성되며, 다짐부(10) 높이변동에 따라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위치가 변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고정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침하 대응 접속슬래브를 포함하는 교량.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하측면 일측에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위치변동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된 제2높이조절부(300);
    제2높이조절부(300)와 연동되도록 형성되며, 내측에 유체(40)를 포함하도록 형성된 제1저장부(420); 및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하측면에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이 제1저장부(420)에 인입되어 유체(40)의 높이변화에 따라 위치가 변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3받침부(4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침하 대응 접속슬래브를 포함하는 교량.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제2높이조절부(300) 또는 제1저장부(4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연동 형성되며, 제2높이조절부(300)의 길이가 변화됨과 동시에 전기적 신호에 의해 유체(40)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제어부(440)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침하 대응 접속슬래브를 포함하는 교량.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하측에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4높이조절부(510)를 포함하는 제3높이조절부(500);
    제3높이조절부(500)의 길이변화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제3높이조절부(500)와 연동 형성된 제1회전부(520);
    제1회전부(520)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측면에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안착되어 회전에 의해 접속슬래브(11) 또는 교면(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위치가 변동될 수 있도록 타원형 또는 타원형을 띄는 다각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제1회전고정부(540); 및
    제1회전부(520)가 제3높이조절부(500)에 의해 회전됨과 동시에 제1회전고정부(54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 회전전달부(550);
    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침하 대응 접속슬래브를 포함하는 교량.

KR1020190018904A 2019-02-19 2019-02-19 지반침하 대응 접속슬래브를 포함하는 교량 KR102172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904A KR102172586B1 (ko) 2019-02-19 2019-02-19 지반침하 대응 접속슬래브를 포함하는 교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904A KR102172586B1 (ko) 2019-02-19 2019-02-19 지반침하 대응 접속슬래브를 포함하는 교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925A KR20200100925A (ko) 2020-08-27
KR102172586B1 true KR102172586B1 (ko) 2020-11-02

Family

ID=72237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904A KR102172586B1 (ko) 2019-02-19 2019-02-19 지반침하 대응 접속슬래브를 포함하는 교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58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824B1 (ko) * 2013-06-12 2013-12-20 해평선(주) 상부구조물인상유닛,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상부구조물 동시인상공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6993A (ko) * 2004-12-29 2006-07-05 (주)우대기술단 교량의 접속 슬래브 다웰바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824B1 (ko) * 2013-06-12 2013-12-20 해평선(주) 상부구조물인상유닛,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상부구조물 동시인상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925A (ko) 202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35379B (zh) 一种综合管廊及其施工方法
CN209989833U (zh) 装配式预制交错组合挡墙
CN209989835U (zh) 一种沿河路肩预应力锚索桩板墙
CN109537440B (zh) 一种桥台引道结构
CN102493288A (zh) 一种预制l型支挡结构
CN112227391B (zh) 生态钢板桩筑岛围堰及施工方法
KR102172586B1 (ko) 지반침하 대응 접속슬래브를 포함하는 교량
CN110359375B (zh) 一种桥下原位预制节段梁预制场的施工方法
KR20120100052A (ko) 유압잭을 이용한 측방유동교각 보정방법 및 세굴 보강구조
KR100433653B1 (ko) 교량의 교대 뒷채움 배수로 시공방법
CN210975403U (zh) 一种高水位软土桥头路基的处治结构
CN210163739U (zh) 基于预应力混凝土板桩构筑的市政道路
CN113308957A (zh) 挡墙轻质土拼宽路堤的施工方法
KR100902640B1 (ko) 강널말뚝을 이용한 수로암거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95204A (ko)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방법
CN111041919B (zh) 一种桥头路面防沉降结构及施工方法
CN220377102U (zh) 一种支撑式暗桥保护涵结构
CN221118131U (zh) 一种地连墙施工预制承重道路
CN216193941U (zh) 一种新型桥台结构
CN211228521U (zh) 框架桥支护结构
RU2288986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земляного полотна
CN214221194U (zh) 一种矩形顶管施工临时后靠支座结构
CN220908415U (zh) 预制拼装式地铁基坑支护结构
CN218405520U (zh) 一种地铁预制检修道的桩基结构
CN218521839U (zh) 装配式肋板柱挡土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