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1113A - 부력 댐 - Google Patents

부력 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1113A
KR20180111113A KR1020170041587A KR20170041587A KR20180111113A KR 20180111113 A KR20180111113 A KR 20180111113A KR 1020170041587 A KR1020170041587 A KR 1020170041587A KR 20170041587 A KR20170041587 A KR 20170041587A KR 20180111113 A KR20180111113 A KR 20180111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interlocking
river
lifting
we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1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9992B1 (ko
Inventor
나성민
Original Assignee
삼화건설환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화건설환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화건설환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1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992B1/ko
Publication of KR20180111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0Float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력 댐에 관한 것으로서, 하천의 수위에 따라 승강보가 하상으로부터 개방되어 하천이 일정수위를 유지하며 하상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승강보의 상류 측 전방으로 유입되는 토사를 토사침사지수로를 통하여 침사지부력연동보를 통하여 방류하여 침사된 토사로 인한 메인부력연동보의 동작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댐에 있어서, 하천의 수위에 따른 부력에 의하여 하상으로부터 개방되는 메인부력연동보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부력연동보의 하천 상류 측 전방 하상에 하천 폭방향으로 연속되는 토사침사지수로를 형성하며, 상기 메인부력연동보의 양측 중 어느 일측 이상에 침사지수로의 수위에 따른 부력에 의하여 침사지수로의 하상으로부터 연결되는 토사침사지수로로 유입된 하천수를 방류하는 침사지부력연동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천의 수위에 따라 승강보가 하상으로부터 개방되어 하천이 일정수위를 유지되는 효과와 하천의 흐름이 하상 흐름으로 이루어져 퇴적물이 방지되는 효과 및 하상 유동에 의하여 하천의 생태환경 단절이 방지되는 효과를 가지며, 승강보의 상류 측 전방으로 유입된 토사를 토사침사지수로를 통하여 침사지부력연동보로 방류하여 침사된 토사로 인한 메인부력연동보의 동작불량방지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부력 댐{Buoyancy dam}
본 발명은 부력 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댐에 있어서, 하천의 수위에 따른 부력에 의하여 하상으로부터 개방되는 메인부력연동보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부력연동보의 하천 상류 측 전방 하상에 하천 폭방향으로 연속되는 토사침사지수로를 형성하며, 상기 메인부력연동보의 양측 중 어느 일측 이상에 침사지수로의 수위에 따른 부력에 의하여 침사지수로의 하상으로부터 연결되는 토사침사지수로로 유입된 하천수를 방류하는 침사지부력연동보를 구비하여서, 하천의 수위에 따라 승강보가 하상으로부터 개방되어 하천이 일정수위를 유지하며 하상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승강보의 상류 측 전방으로 유입되는 토사를 토사침사지수로를 통하여 침사지부력연동보를 통하여 방류하여 침사된 토사로 인한 메인부력연동보의 동작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댐은 하천 상류 측의 수위를 일정 수위로 유지하여 생활 용수를 취수할 수 있게 수위를 확보하는 것이다.
또한, 댐은 홍수기에 물 흐름을 조절하여 홍수로 인하 하류 지역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댐에 의하여 일정 높이의 수위가 확보된 하천은 관광자원의 개발을 위한 유람선의 운행을 위하여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댐은 어류 이동이 차단되어 생태환경고리가 단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댐은 하천흐름이 댐의 수문을 넘어 유동되게 되어 있어 하상유동이 발생하지 않아 뻘과 같은 퇴적물을 유발하는 문제점과, 하상유동에 따라 자연히 형성되는 자연하천본연의 하천이 아닌 단순히 물이 저장된 그릇에 불과한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댐은 보의 개방을 위한 별도의 외부전원에 의하여 동작되는 보개방장치가 요구되고 이의 관리 인원이 요구되는 등 그 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0789936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댐이 어류 이동이 차단되어 생태환경고리가 단절되는 문제점과 하천흐름이 댐의 수문을 넘어 유동되게 되어 있어 하상유동이 발생하지 않아 뻘과 같은 퇴적물을 유발하는 문제점, 하상유동에 따라 자연히 형성되는 자연하천본연의 하천이 아닌 단순히 물이 저장된 그릇에 불과하고, 댐은 보의 개방을 위한 별도의 외부전원에 의하여 동작되는 보개방장치가 요구되고 이의 관리 인원이 요구되는 등 그 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댐에 있어서, 하천의 수위에 따른 부력에 의하여 하상으로부터 개방되는 메인부력연동보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부력연동보의 하천 상류 측 전방 하상에 하천 폭방향으로 연속되는 토사침사지수로를 형성하며, 상기 메인부력연동보의 양측 중 어느 일측 이상에 침사지수로의 수위에 따른 부력에 의하여 침사지수로의 하상으로부터 연결되는 토사침사지수로로 유입된 하천수를 방류하는 침사지부력연동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메인부력연동보와 침사지부력연동보를 양측에서 보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보프레임과 최 상측에 위치되어 하천의 수위에 따라 부력승강되는 부력보, 상기 부력보의 하부 측으로 구비되어 부력보의 부력승강에 따른 견인력에 의하여 견인승강되는 하나 이상의 승강보 및 상기 부력보의 부력승강력에 의하여 승강보를 견인승강시키는 보승강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보승강구를 부력보의 상단에 침수되지 않게 상부로 돌출 구비되는 래크기어와 상기 양측 가이드프레이임 사이에 침수되지 않게 구비되는 승강되는 래크기어와 치합 회전되는 피니언기어, 상기 피니언기어와 전동 결속되어 회전되는 보승강휠 및 상기 보승강휠에 권취되어 승강보를 견인하는 보개방로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것이다.
본 발명은 승강보를 2개로 구성하고 부력보의 승강에 따른 제1승강보 및 제2승강보의 승강높이 비가 1:2:4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부력보와 승강보에는 원활한 승강을 위하여 가이드롤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천의 수위에 따른 부력에 의하여 하상으로부터 개방되게 부력보와 승강보 및 보승강구로 구성된 메인부력연동보를 구비함으로써 하천의 수위에 따라 승강보가 하상으로부터 개방되어 하천이 일정수위가 유지되는 효과와 하천의 흐름이 하상 흐름으로 이루어져 퇴적물이 방지되는 효과 및 하상 유동에 의하여 하천의 생태환경 단절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부력연동보의 상류 측 전방에 토사침사지수로를 형성하고 토사침사지수로로 유입된 하천수를 방류하는 침사지부력연동보를 구비함으로써 승강보의 상류 측 전방으로 유입된 토사를 토사침사지수로를 통하여 침사지부력연동보로 방류하여 침사된 토사로 인한 메인부력연동보의 동작불량방지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측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평단면 예시도
도 4 와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하천의 수위에 따라 승강보가 하상으로부터 개방되어 하천이 일정수위를 유지하며 하상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승강보의 상류 측 전방으로 유입되는 토사를 토사침사지수로를 통하여 침사지부력연동보를 통하여 방류하여 침사된 토사로 인한 메인부력연동보의 동작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인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은 댐에 있어서, 메인부력연동보(1)와 토사침사지수로(3) 및 침사지부력연동보(2)로 구성하고, 상기 메인부력연동보(1)와 침사지부력연동보(2)는 부력보(10)와 승강보 및 보승강구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메인부력연동보(1)는 보프레임과 부력보(10), 승강보 및 보승강구로 구성되어서 하천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하천의 수위에 따른 부력에 의하여 하상으로부터 개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토사침사지수로(3)는 상기 메인부력연동보(1)의 하천 상류 측 전방 하상에 하천 폭방향으로 연속되게 하상보다 낮은 높이의 수로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침사지부력연동보(2)는 상기 메인부력연동보(1)의 양측 중 어느 일측 이상에 침사지수로의 수위에 따른 부력에 의하여 침사지수로의 하상으로부터 연결되는 토사침사지수로(3)로 유입된 하천수를 방류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부력연동보(1)와 침사지부력연동보(2)를 구성하는 부력연동보는 보프레임과 부력보(10), 승강보 및 보승강구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보프레임은 하천 또는 수로의 양측에 구비되고 내면에 부력보(10)와 승강보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부에 보승강구를 지지하는 피니언기어(42)축과 보승강휠축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부력보(10)는 하천의 수면부위에 설치되어 부력에 의하여 승강될 수 있게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진 부력박스체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보는 2 개 이상으로 구비어 부력보(10)의 하부에 순차적으로 겹쳐지게 구비되며 부력개방시 부력보(10)와 겹쳐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보의 상부에 보개방로프(43)의 결속을 위한 로브결속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보승강구는 부력보(10)의 부력상승에 따라 상기 승강보를 견인 개방시키는 것이다.
상기 보승강구는 부력보(10)의 상단에 침수되지 않게 상부로 돌출 구비되는 래크기어(41)와 상기 양측 가이드프레이임(30) 사이에 침수되지 않게 구비되는 승강되는 래크기어(41)와 치합 회전되는 피니언기어(42), 상기 피니언기어(42)와 전동 결속되어 회전되는 보승강휠 및 상기 보승강휠에 권취되어 승강보를 견인하는 보개방로프(43)로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보승강휠은 제1보승강휠(44a) 및 제2보승강휠(44b)로 구성하여 부력보(10)의 승강에 따른 제1승강보(21) 및 제2승강보(22)의 승강높이 비가 1:2:4로 승강 견인할 수 있게 2 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부력보(10)와 승강보에는 원활한 승강을 위하여 가이드롤러(45)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용실시에 따른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댐에 있어서, 메인부력연동보(1)와 토사침사지수로(3) 및 침사지부력연동보(2)로 구성하고, 상기 메인부력연동보(1)와 침사지부력연동보(2)는 부력보(10)와 승강보 및 보승강구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하천의 수위에 따라 메인부력연동보(1)의 승강보가 하상으로부터 개방되어 하천이 일정수위를 유지하고 하천의 흐름이 하상 흐름으로 이루어져 퇴적물이 방지되며 하상 유동에 의하여 하천의 생태환경 단절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부력연동보(1)의 상류 측 전방에 형성한 토사침사지수로(3)를 통하여 하상의 토사가 하천수와 함께 유입되고, 토사침사지수로(3)로 유입된 토사는 하상으로부터 부력개방되는 침사지부력연동보(2)의 승강보에 의하여 하류로 방류되어 침사된 토사로 인한 메인부력연동보(1)의 동작불량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보승강구를 부력보(10)의 상단에 침수되지 않게 상부로 돌출 구비되는 래크기어(41)와 상기 양측 가이드프레이임(30) 사이에 침수되지 않게 구비되는 승강되는 래크기어(41)와 치합 회전되는 피니언기어(42), 상기 피니언기어(42)와 전동 결속되어 회전되는 보승강휠 및 상기 보승강휠에 권취되어 승강보를 견인하는 보개방로프(43)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부력보(10)의 부력승강에 따라 래크기어(41)와 피니언기어(42)가 침수되지 않아 하천 부유물에 의한 오염 및 훼손이 방지되어 부력보(10)의 부력승강동작에 따른 승강보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승강보를 제1승강보(21) 및 제2승강보(22)로 구성하고 상기 보승강휠은 제1보승강휠(44a) 및 제2보승강휠(44b)로 구성하여 부력보(10)의 승강에 따른 제1승강보(21) 및 제2승강보(22)의 승강높이 비가 1:2:4로 승강 견인할 수 있게 피니언기어(42)와 1 회전에 대하여 2 회전되게 전동결속되는 제2보승강휠과 4 회전되게 전동결속되는 제1보승강휠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부력보(10)의 부력승강에 따라 제1승강보(21)로부터 제2승강보(22)가 순차승강동작되어 부력에 따른 보의 개폐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부력보(10)와 승강보에는 원활한 승강을 위하여 가이드롤러(45)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보의 승강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1 : 메인부력연동보
2 : 침사지부력연동보
3 : 토사침사지수로
10 : 부력보
21 : 제1승강보 22 : 제2승강보
30 : 가이드프레이임
41 : 래크기어
42 : 피니언기어
43 : 보개방로프
44a: 제1보승강휠 44b: 제2보승강휠
45 : 가이드롤러

Claims (5)

  1. 댐에 있어서;
    하천의 수위에 따른 부력에 의하여 하상으로부터 개방되는 메인부력연동보(1)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부력연동보(1)의 하천 상류 측 전방 하상에 하천 폭방향으로 연속되는 토사침사지수로(3)를 형성하며, 상기 메인부력연동보(1)의 양측 중 어느 일측 이상에 침사지수로의 수위에 따른 부력에 의하여 침사지수로의 하상으로부터 연결되는 토사침사지수로(3)로 유입된 하천수를 방류하는 침사지부력연동보(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댐.
  2. 상기 메인부력연동보(1)와 침사지부력연동보(2)를 양측에서 보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보프레임과 최 상측에 위치되어 하천의 수위에 따라 부력승강되는 부력보(10), 상기 부력보(10)의 하부 측으로 구비되어 부력보(10)의 부력승강에 따른 견인력에 의하여 견인승강되는 하나 이상의 승강보 및 상기 부력보(10)의 부력승강력에 의하여 승강보를 견인승강시키는 보승강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승강구는 부력보(10)의 상단에 침수되지 않게 상부로 돌출 구비되는 래크기어(41)와 상기 양측 가이드프레이임(30) 사이에 침수되지 않게 구비되는 승강되는 래크기어(41)와 치합 회전되는 피니언기어(42), 상기 피니언기어(42)와 전동 결속되어 회전되는 보승강휠 및 상기 보승강휠에 권취되어 승강보를 견인하는 보개방로프(43)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보는 제1승강보(21) 및 제2승강보(22)로 구성하고 상기 보승강휠은 부력보(10)의 승강에 따른 제1승강보(21) 및 제2승강보(22)의 승강높이 비가 1:2:4로 승강 견인할 수 있게 피니언기어(42)의 1 회전에 대하여 2 회전되게 전동결속되는 제2보승강휠과 4 회전되게 전동결속되는 제1보승강휠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댐.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보(10)와 승강보에는 원활한 승강을 위하여 가이드롤러(4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댐.
KR1020170041587A 2017-03-31 2017-03-31 부력 댐 KR101979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587A KR101979992B1 (ko) 2017-03-31 2017-03-31 부력 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587A KR101979992B1 (ko) 2017-03-31 2017-03-31 부력 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113A true KR20180111113A (ko) 2018-10-11
KR101979992B1 KR101979992B1 (ko) 2019-08-28

Family

ID=63865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587A KR101979992B1 (ko) 2017-03-31 2017-03-31 부력 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9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120A (ko) * 2019-01-22 2020-07-30 삼화건설환경 주식회사 생태유동로를 갖는 상계감압형 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9660A (ja) * 1998-10-26 2000-05-09 Fuji Kisetsu Kogyo Kk 水門の扉落下指令装置
KR20050077178A (ko) * 2004-01-27 2005-08-01 일신엠텍(주) 부력 부상수문 및 수문부상형 유수분리시스템
KR100789936B1 (ko) 2006-09-29 2008-01-02 문화종합건설(주) 전도식 수문을 이용한 하천보
KR100822300B1 (ko) * 2007-12-06 2008-04-17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수위조절 및 퇴적물 배출용 가요성 보
KR20120021348A (ko) * 2010-07-28 2012-03-09 홍문표 다단계 수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9660A (ja) * 1998-10-26 2000-05-09 Fuji Kisetsu Kogyo Kk 水門の扉落下指令装置
KR20050077178A (ko) * 2004-01-27 2005-08-01 일신엠텍(주) 부력 부상수문 및 수문부상형 유수분리시스템
KR100789936B1 (ko) 2006-09-29 2008-01-02 문화종합건설(주) 전도식 수문을 이용한 하천보
KR100822300B1 (ko) * 2007-12-06 2008-04-17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수위조절 및 퇴적물 배출용 가요성 보
KR20120021348A (ko) * 2010-07-28 2012-03-09 홍문표 다단계 수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120A (ko) * 2019-01-22 2020-07-30 삼화건설환경 주식회사 생태유동로를 갖는 상계감압형 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9992B1 (ko)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1585797A (en) A water control gate
JP2009091736A (ja) 防水扉装置
JP2008274728A (ja) 蝶番式ゲート水門
JP3395033B2 (ja) 水位調整水門
KR20180111113A (ko) 부력 댐
CN213952150U (zh) 一种用于清洁水源的水域养鱼拦鱼系统
KR101023798B1 (ko) 다목적 이중 수문
KR100952910B1 (ko) 부양식 수문 독 및 그의 선박 건조방법
KR200426008Y1 (ko) 양방향 와이어드럼을 이용한 수문 개폐장치
JP4413153B2 (ja) 取水装置
JP2016503467A (ja) 防波壁機能を有する組立式高さ可変型遮断構造物
CA1283426C (en) Fish conveying apparatus
CN115075200A (zh) 一种水力自动启闭闸门
CN109113033B (zh) 防止泥沙进入取水口的内置排水泵潜浮式拦沙坎
KR20090098188A (ko) 잠수형 보
JPH1037173A (ja) 地滑り抑止井
JP3079406U (ja) 二重堰又は二段堰
JPS5816202B2 (ja) 自動選択排水除塩装置
CN203559401U (zh) 机械式全自动内涝内旱控制阀
KR200364372Y1 (ko) 수압식 수문 구동 장치
JP3427324B2 (ja) チェーンゲート装置
CN219508507U (zh) 一种用于围海堤坝的水闸结构
CN103614992B (zh) 机械式全自动内涝内旱控制装置
CN215165312U (zh) 一种水利闸门
KR101161480B1 (ko) 자동 승강 어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