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8434B1 - 무동력 개폐식 차집용 가동웨어 - Google Patents

무동력 개폐식 차집용 가동웨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8434B1
KR100798434B1 KR1020060129282A KR20060129282A KR100798434B1 KR 100798434 B1 KR100798434 B1 KR 100798434B1 KR 1020060129282 A KR1020060129282 A KR 1020060129282A KR 20060129282 A KR20060129282 A KR 20060129282A KR 100798434 B1 KR100798434 B1 KR 100798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movable
wear
wire
bu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9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섭
경국현
Original Assignee
(주) 디아이엔바이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디아이엔바이로 filed Critical (주) 디아이엔바이로
Priority to KR1020060129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84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8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8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03F5/107Active flow control devices, i.e. moving during flow reg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유량에 따라 오수와 우수로 구분하여 유체를 일정 높이의 수위까지 차집할 목적으로 하수 관거내에 설치되는 무동력 개폐식 차집용 가동웨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개폐식 차집용 가동웨어는, 상기 관거 내벽면에 설치된 한 쌍의 웨어 가이드와, 상기 한 쌍의 웨어 가이드에 그 양단부가 지지되어 관거 내부 바닥면 상에 직립 배치된 가동웨어와, 상기 관거 일측 내벽면에는 와이어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 가이드를 매개로 상기 가동웨어를 관거 내에서 승강가능하게 견인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가이드를 거쳐 관거 하류 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연장된 와이어 단부에 연결되는 부표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웨어는 상기 부표보다 무겁고 상기 부표는 물보다 비중이 작아서, 상기 가동웨어를 월류한 오수 또는 우수에 의해 상기 부표는 관거 내에서 수면위로 부상함과 동시에 상기 오수 또는 우수의 유속에 의해 유체 흐름방향으로 밀려나면서 상기 와이어를 당겨 상기 가동웨어가 관거 내에서 승강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하수 관거, 우수, 하수, 가동웨어, 부표

Description

무동력 개폐식 차집용 가동웨어{POWERLESS SHUT AND OPEN TYPE MOVABLE WEIR FOR FILTERING OF SLURR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개폐식 가동웨어의 관거내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평면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측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 구성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개폐식 차집용 가동웨어의 작동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하수 관거 10...웨어 가이드
15...와이어 가이드 20...가동웨어
30...와이어 35...스토퍼
40...부표
본 발명은 유체 유량에 따라 오수와 우수로 구분하여 유체를 일정 높이의 수위까지 차집할 목적으로 하수 관거내에 설치되는 웨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유수의 유량에 따라 상기 웨어가 관거 내에서 승강하면서 상기 유수를 하수 처리장과 하천으로 분리 배출하여 하수의 효과적인 관리를 유도하되, 별도의 전기적 동력원 없이도 상기 웨어가 가동될 수 있는 무동력 개폐식 차집용 가동웨어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는 생활이나 공업에 기인하거나 수반되는 오수와 자연강우에 의한 우수를 총칭하며, 그 배출방법에는 배제형식에 따라 오수와 우수를 별개의 하수관거에 의하여 배제하는 분류식(分流式)과, 오수와 우수를 동일 하수관거로 배제하는 합류식(合流式)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오수와 우수를 별개의 관거로 배수하는 분류식(分流式)의 경우 생활하수 또는 공장폐수 등은 직접 하수 처리장으로 보낼 수 있고 우수는 하천 또는 강으로 직접 방류할 수 있어 하수를 별도로 차집하기 위한 차집시설이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나, 최근 정부의 지속적인 수질환경개선 정책에 따라 분류식에 있어 우수가 배수되는 우수관에 비점오염원을 다수 포함하고 있는 초기 우수를 차집하기 위한 차집시설이 요구되고 있으며, 기존의 많은 도시에 적용된 합류식(合流式, Combined System of Sewage)의 경우 오수와 우수를 하나의 관거를 통하여 배수하는 관계로 우천 시 하수시설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한 차집시설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차집시설은 하수 유량에 따라 오수와 우수를 구분하여 하수 처리장과 하천으로 각각 분리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수의 효과적인 수질관리를 가능하게 하며, 동시에 우천 시 다량의 우수가 하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처리장의 효과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한 시설이다.
즉, 차집시설은 평상시에는 하수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일정량의 하수를 차집하여 하수 처리장으로 배출하고, 우천시와 같이 자연강우에 의해 우수(빗물)에 의한 유량이 평상시 오수유량의 2~3배 또는 그 이상이 된 경우에는 하천 방류구를 통하여 하천이나 강 등의 수역으로 방류될 수 있도록 한 시설로서, 종래의 차집시설은 보통 하수도 수로 또는 관거 바닥에 상기 수로 또는 관거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하향 설치된 차집관거와, 이 차집관거 측으로 일정량의 하수 또는 초기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관거 바닥면 상에 일정높이로 설치되는 웨어(weir;차단벽)를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집시설의 경우 일반적으로 관거 상에 콘크리트를 일정한 높이로 타설하여 웨어를 형성하고 있는 관계로, 평상 시 오수를 하수 처리장으로 유도하는 것에는 전혀 문제가 없으나, 집중호우 또는 폭우로 인하여 관거내 우수의 유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우에는 상기 웨어가 오히려 관거내 유체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될 수 있다.
즉, 종래 웨어는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관거 상에 타설되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웨어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서는 관거의 단면적이 축소될 수 밖에 없었고, 그에 따라 유체의 흐름이 원활히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며, 또한 상기 웨 어가 유체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하여 관거 내에 역류(Back water)가 발생함과 아울러 관거내 압력 및 유속이 과도하게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관거내에 수위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이 수위감지센서와 연계 가동되는 가동식 웨어를 관거내에 설치하여 유량에 따라 상기 웨어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러한 구성의 경우 상기 웨어를 가동시키기 위해서는 엑츄에이터와 같은 기계적 부품이 요구되므로 제작 및 설치에 따른 상당한 초기 비용이 요구됨과 동시에 지속적인 장치의 유지·보수를 필요로 하고, 또한 상기 기계적 부품을 구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동력원 구체적으로, 전력이 요구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장치 설치에 상당한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집중호우 또는 폭우 등으로 관거내 유량이 급속히 증가하여 관거내에 설치된 웨어 높이 이상으로 유체가 흐르는 경우, 상기 웨어를 월류한 유체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웨어가 관거내에서 상부로 들어올려져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웨어로 인한 관로내 단면축소 및 그에 따른 역효과 예컨데, 하수 역류 및 수압 및 유속 상승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부력과 유체의 힘을 이용함에 따라 웨어를 개폐 시킴에 있어 기계적인 부품 및 별도의 동력원이 요구되지 않으며, 간단한 구조로서 안정된 작동성을 갖춘 무동력 개폐식 차집용 가동웨어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수 및 초기 우수등을 차집할 목적으로 관거 내에 설치되는 웨어에 있어서, 상기 관거 내벽면에 설치된 한 쌍의 웨어 가이드; 소정높이를 가지는 판상체이며, 상기 한 쌍의 웨어 가이드에 그 양단부가 지지되어 관거 내부 바닥면 상에 직립 배치된 가동웨어; 상기 관거 일측 내벽면에는 와이어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 가이드를 매개로 상기 가동웨어를 관거 내에서 승강가능하게 견인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가이드를 거쳐 관거 하류 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연장된 와이어 단부에 연결되는 부표;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웨어는 상기 부표보다 무겁고 상기 부표는 물보다 비중이 작아서, 상기 가동웨어를 월류한 오수 또는 우수에 의해 상기 부표는 관거 내에서 수면위로 부상함과 동시에 상기 오수 또는 우수의 유속에 의해 유체 흐름방향으로 밀려나면서 상기 와이어를 당겨 상기 가동웨어를 승강시킴에 따라 관거내 유로가 완전 개방되는 무동력 개폐식 관거 가동웨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웨어 가이드는, 상기 가동웨어에 상응하는 높이로 관거 바닥면으로부터 직립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동웨어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측 단부에서 관거 하류 측으로 상향 경사각을 가지며 연장된 경사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부는 일정 곡률을 가지며 오목하게 함몰 형성된다. 이는 상기 가동웨어가 승강되었을 경우에 이 가동웨어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상기 가동웨어가 유속에 의해 유수의 흐름 방향으로 용이하게 눕혀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유량이 감소되었을 경우에 가동웨어가 다시 웨어 가이드의 지지부 전방으로 복귀되는 것이 용이하게 가이드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가동웨어는 물보다 비중이 무거운 금속 또는 합성수지를 소재로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가동웨어는 그 표면 부식방지를 위해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중공체에 의해 감싸여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와이어 가이드는 도르래 일 수 있으며, 이러한 와이어 가이드는 관거 내벽면 상부에 두개 한 쌍이 서로 이격 설치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와이어 가이드를 경유하는 와이어 상에는 상기 가동웨어의 승강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표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속이 빈 중공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스텐인레스 재질의 속이빈 중공체 내부에 우레탄 또는 스티로폴이 충전된 구성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개폐식 가동웨어의 관거내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평면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관거내 오수(생활하수)와 우수(빗물)를 그 유량에 따라 하수 처리장과 하천으로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수의 효과적인 관리를 유도하기 위한 차집시설로서, 관거(1)내에 설치되는 웨어 가이드(10)와, 상기 웨어 가이드(10)에 의해 관거 바닥면 상에 직립 배치되어 하수 및 초기 우수를 차집하는 가동웨어(Movable Weir;20)를 구비한다. 상기 가동웨어(20)는 관거(1) 내에 설치된 와이어 가이드(15)와 이 와이어 가이드(15)를 경유하는 와이어(30)에 의해서 관거 내에서 승강 가능하게 견인되며, 상기 와이어(30)는 관거 하류 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연장된 그 단부에는 부표(4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동웨어(20)는 상기 부표(40)보다 무겁고 상기 부표(40)는 물보다 비중이 작다. 따라서 우수 등으로 인하여 상기 가동웨어(20)를 월류한 오수 또는 우수에 의해 상기 부표(40)는 관거 내에서 수면위로 부상한다. 동시에 상기 부표(40)는 오수 또는 우수의 유속에 의해 유체 흐름방향으로 떠밀려가면서 상기 와이어(30)를 당겨 상기 가동웨어(20)를 승강시킨다. 그 결과, 관거내 유로는 완전히 개방되어 유체의 원활한 흐름이 유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가동웨어(20)는 소정높이를 가지는 판상체로서, 관거(1) 내에서 한 쌍의 웨어 가이드(10)에 그 양단부가 지지되어 관거(1) 내부 바닥면 상에 직립 배치됨과 동시에 관거내 설치된 와이어 가이드(15)를 경유하는 와이어(30)를 통해 관거 내에서 승강 가능하게 견인된다. 이러한 가동웨 어(20)는 평상 시 상기와 같이 관거(1) 내부 바닥면 상에 직립 배치되어 일정 유량 이하의 하수 및 초기우수의 흐름을 차단하여 차집관거 보내는 일종의 차단벽 역할을하며, 유사 시 구체적으로, 관거내 유체의 흐름이 과도한 경우 후술될 부표(40)의 부력과 유체의 운동에너지를 통해 승강되어 관로를 완전 개방시킨다.
상기와 같은 가동웨어(20)는 물보다 비중이 무거운 금속 또는 합성수지를 소재로하여 제작되며, 바람직하게는 그 표면 부식방지를 위해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중공체에 의해 감싸지도록 구성된다.
웨어 가이드(10)는 상기 가동웨어(20)가 관거내 일정한 범위 내에서만 거동하도록 유도하는 장치로서 관거 양 측벽 내면에 한 쌍이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웨어 가이드(10)는 상기 가동웨어(20)에 상응하는 높이로 관거 바닥면으로부터 직립 형성된 지지부(100)와, 이러한 지지부(100) 상측 단부에서 관거(1) 하류 측으로 상향 경사각을 가지며 연장된 경사부(11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110)는 관거 바닥면 상에 위치하는 가동웨어(20)를 그 후방에서 직립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하며, 상기 경사부(110)는 관거(1) 내에서 상기 가동웨어(20) 승강 시 그 승강을 원활히 가이드 하는 동시에 하강 시 원위치로의 복귀를 원활히 가이드하는 가이드면에 해당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부(110)는 도 2에서와 같이 관거 하류 측으로 평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4의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그 경사부(110a)가 일정 곡률을 가지며 오목하게 함몰 형성될 수도 있다. 경사부(110a)가 함몰지게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가동웨어(20)가 승강되었을 때 이 가동웨어(20)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상기 가동웨어(20)가 유속에 의해 유수의 흐름 방향으로 용이하게 눕혀질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부표(40)는 전술한 가동웨어가 관거내에서 무동력으로 기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동수단이다. 이러한 부표(40)는 와이어(30)를 매개로 상기 가동웨어(20)와 연결되며, 와이어(30)는 관거(1) 내에 설치된 와이어 가이드(15)를 경유하면서 상기 가동웨어(20)를 관거내에서 승강 가능하게 견인하고 있다. 이때, 상기 부표(40)는 상기한 가동웨어(20)에 비해 가벼운 동시에 물보다 비중이 작다.
따라서, 관거(1) 내에 가동웨어(20) 높이 이상의 과유량이 흐르면, 부력(浮力)이 작용하여 상기 부표(40)는 관거(1) 내에서 수면위로 부상함과 동시에 상기 오수 또는 우수의 유속에 의해 유체 흐름방향으로 떠밀려가면서 상기 와이어(30)를 당겨 상기 가동웨어(20)를 관거 내에서 승강시킨다.
상기와 같은 부표(4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속이 빈 중공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내부식성 높은 스텐인레스 재질의 속이 빈 중공체 내부에 우레탄 또는 스티로폴이 충전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와이어(30)는 상기한 가동웨어(20)와 부표(40)를 연결하여 유체에 의한 동력 구체적으로, 유체 흐름에 의한 운동 및 속도에너지에 의해 부표(40)에 전가되는 힘을 가동웨어(2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 수단이다. 이러한 와이어(30)는 관거 내에 설치된 와이어 가이드(15)에 지지되어 상기한 가동웨어(20)를 관거내에서 승강가능하게 견인한다.
상기 와이어 가이드(15)로는 도르래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도르래는 관거(1) 내벽면 상부에 두개 한 쌍이 서로 이격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와이어 가이드(15)를 경유하는 와이어(30) 상에는 스토퍼(35)를 마련하여 상기 가동웨어(20)의 승강을 제한토록 함이 좋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개폐식 가동웨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들로서, 도 5는 평상시 하수 관거 내에 일정 유량 이하의 하수 또는 초기 우수가 흐를 경우의 본 발명의 작동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집중호수 또는 폭우로 인하여 하수 관거 내에 과도한 유량의 유체가 흐를 경우의 본 발명의 작동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평상시 가동웨어(20)는 하수 관거 내에서 웨어 가이드(10)에 의해 관거(1) 바닥면 상에 직립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일정 유량 이하 구체적으로, 관거내 직립 배치된 상기 가동웨어(20)의 높이에 비해 하수 및 초기우수의 양이 적은 경우 하수 관거(1)를 통해 유입된 생활하수 또는 초기우수는 상기 가동웨어에 의해 그 흐름이 차단된다.
이때, 상기 가동웨어(20) 전방의 하수 관거(1) 바닥면 또는 측벽 하부에는 관로(2)가 상기 바닥면 또는 측벽면과 연통토록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관로는 별도의 차집관거(미도시)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동웨어(20)에 의해 그 흐름이 차단된 적은 유량의 생활하수 및 초기우수는 상기 관로(2)를 통해 차집관거 측으로 유입되고 차집관거를 통해 하 수 처리장으로 안내되어 이를 거치면서 여과 및 정화 처리된 후 하천 또는 강으로 방류된다.
이와는 다르게 도 6에서와 같이, 폭우 또는 집중호우로 인하여 하수 관거 내에 상기 가동웨어 높이 이상으로 유량이 흐르는 경우, 우수는 관거 내에서 설치된 상기 가동웨어(20)를 월류(越流)하여 하수 관거(1) 하류측으로 흘러 내려간다.
이때, 상기 가동웨어(20) 후방의 하수 관거(1) 하류에는 물에 비해 비중이 작은 부표(40)가 마련됨과 동시에 상기 부표(40)는 와이어(30)를 매개로 상기 가동웨어(20)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동웨어(20)를 월류한 우수에 의해 상기 부표(40)는 관거 내에서 수면위로 부상함과 동시에 우수의 흐름에 의해 하류로 떠밀려가면서 상기 와이어(30)를 당겨 가동웨어(20)를 관거내에서 승강시킨다.
좀 더 구체적으로, 우천 시 관거 내에 가동웨어(20) 높이 이상의 많은 양의 유체가 흐르면, 상기 가동웨어(20)를 월류한 유체에 의해 부표(40)는 관거내에서 부상함과 동시에 유체의 유속에 의해 관거 하류 측으로 떠내려가게 된다. 부표(40)에 작용한 에너지는 와이어(30)를 통해 가동웨어(20)에 전달되며, 가동웨어(20)는 와이어 가이드(15)에 의해 견인되는 상기 와이어에 의해 관거 내에서 직상향으로 승강된다. 가동웨어는 일정한 높이까지 승강된 후 스토퍼(35)에 의해 그 승강이 멈추고 유체 즉, 우수에 의하여 도 6에서와 같이 유체의 흐름 방향으로 누워 관거(1) 바닥면과 평행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승강 후 유체의 흐름 방향으로 눕혀진 가동웨어(20)는 유체의 흐름 을 방해하지 않으며, 그 결과 종래와 같이 웨어가 관거 바닥면 상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서와 같은 역류(Back Water)가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위와 같은 상태에서 관거(1) 내에 유량이 줄어들어 수위가 떨어지면, 상기 가동웨어(20)는 그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여 원위치 구체적으로, 도 5에서와 같이 웨어 가이드(10) 지지부(100)에 그 배면이 지지된 채 관거(1) 바닥면 상에 직립 배치된다. 이때, 상기 웨어 가이드(10)의 경사부(110)에 의해 상기 복귀되는 가동웨어(20)는 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 상기 지지부(100) 측으로 용이하게 안내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집중호우 또는 폭우 등으로 관거내 유량이 급속히 증가하여 관거내에 설치된 가동웨어(20) 높이 이상으로 유체가 흐르는 경우, 상기 가동웨어(20)를 월류한 유체의 에너지에 의해서 상기 가동웨어(20)가 승강되어 관거내 유로를 완전히 개방시킨다. 이에 따라, 가동웨어(20)로 인한 관로내 단면축소 및 그에 따른 역효과 예컨데, 하수 역류 및 수압 및 유속 상승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부력과 유체의 힘을 이용하여 웨어를 개폐시킴에 따라 별도의 기계적인 부품 및 동력원이 요구되지 않는다. 즉, 웨어의 무동력 개폐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무동력 개폐식 차집용 가동웨어에 의하면, 차집을 위한 웨어가 관거내 유량에 따라 가동되어 유로를 개방 또는 일부 폐쇄함으로써, 웨어로 인한 관로내 단면축소 및 그에 따른 역효과 예컨데, 하수 역류 및 수압 및 유속 상승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웨어의 가동은 부력과 유체 힘을 이용한 무동력 가동시스템으로서, 웨어를 개폐 시킴에 있어 기계적인 부품 및 별도의 동력원이 불필요하고, 흐르는 유체의 힘을 이용함에 따라 매우 안정된 작동성을 가지며, 유지/보수를 거의 요하지 않으므로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하수 및 초기 우수등을 차집할 목적으로 관거 내에 설치되는 차집시설에 있어서,
    상기 관거 내벽면에 설치된 한 쌍의 웨어 가이드;
    소정높이를 가지는 판상체이며, 상기 한 쌍의 웨어 가이드에 그 양단부가 지지되어 관거 내부 바닥면 상에 직립 배치되는 가동웨어;
    상기 관거 일측 내벽면에는 와이어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 가이드를 매개로 상기 가동웨어를 관거 내에서 승강가능하게 견인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가이드를 거쳐 관거 하류 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연장된 와이어 단부에 연결되는 부표;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웨어는 상기 부표보다 무겁고 상기 부표는 물보다 비중이 작아서, 상기 가동웨어를 월류한 오수 또는 우수에 의해 상기 부표는 관거 내에서 수면위로 부상함과 동시에 상기 오수 또는 우수의 유속에 의해 유체 흐름방향으로 밀려나면서 상기 와이어를 당겨 상기 가동웨어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개폐식 차집용 가동웨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웨어 가이드는,
    상기 가동웨어에 상응하는 높이로 관거 바닥면으로부터 직립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동웨어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측 단부에서 관거 하류 측으로 상향 경사각을 가지며 연장된 경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개폐식 차집용 가동웨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일정 곡률을 가지며 오목하게 함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개폐식 차집용 가동웨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웨어는 물보다 비중이 무거운 금속 또는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개폐식 차집용 가동웨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웨어는 그 표면 부식방지를 위해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중공체에 의해 감싸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개폐식 차집용 가동웨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는 도르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개폐식 차집용 가동웨어.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는 관거 내벽면 상부에 두개 한 쌍이 서로 이격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 가이드를 경유하는 와이어 상에는 가동웨어의 승강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개폐식 차집용 가동웨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속이 빈 중공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개폐식 차집용 가동웨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는 스텐인레스 재질의 속이 빈 중공체 내부에 우레탄 또는 스티로폴이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개폐식 차집용 가동웨어.
KR1020060129282A 2006-12-18 2006-12-18 무동력 개폐식 차집용 가동웨어 KR100798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282A KR100798434B1 (ko) 2006-12-18 2006-12-18 무동력 개폐식 차집용 가동웨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282A KR100798434B1 (ko) 2006-12-18 2006-12-18 무동력 개폐식 차집용 가동웨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8434B1 true KR100798434B1 (ko) 2008-01-28

Family

ID=39219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9282A KR100798434B1 (ko) 2006-12-18 2006-12-18 무동력 개폐식 차집용 가동웨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84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418B1 (ko) 2013-05-06 2014-02-17 한병숙 우수와 토사의 배출이 가능한 우수토실
KR102153821B1 (ko) 2019-04-11 2020-09-08 김현숙 웨어식 우수토실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2835A (ja) 1998-02-09 1999-08-17 Ryoichi Takashima 堰装置
KR20060010411A (ko) * 2004-07-28 2006-02-02 주식회사 선엔지니어링 하천보의 자동수위 조절방법
KR100640012B1 (ko) 2006-06-30 2006-11-01 (유)대산이앤씨 배수관 내 오니 제거형 맨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2835A (ja) 1998-02-09 1999-08-17 Ryoichi Takashima 堰装置
KR20060010411A (ko) * 2004-07-28 2006-02-02 주식회사 선엔지니어링 하천보의 자동수위 조절방법
KR100640012B1 (ko) 2006-06-30 2006-11-01 (유)대산이앤씨 배수관 내 오니 제거형 맨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418B1 (ko) 2013-05-06 2014-02-17 한병숙 우수와 토사의 배출이 가능한 우수토실
KR102153821B1 (ko) 2019-04-11 2020-09-08 김현숙 웨어식 우수토실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25383B (zh) 一种市政城市污水处理系统及其污水处理方法
CA2929096C (en) Closed flow sewer system
CN104532796B (zh) 一种自控式带抗磨钢板的橡胶坝
CN208363235U (zh) 一种由浮筒与滑轮控制截流管道流量的溢流井
CN106836439B (zh) 一种应急自开启装置
CN110965631A (zh) 具有消能功能的深层隧道排水竖井
CN102392487A (zh) 一种雨污水管道污染物分离装置
KR100798434B1 (ko) 무동력 개폐식 차집용 가동웨어
CN105756179A (zh) 一种污水流量可控及拦渣防倒灌截流井
KR100885534B1 (ko) 우수 유출 저감시설
KR100447049B1 (ko) 우수토실 제어 시스템
KR101313936B1 (ko) 초기우수 분리장치 및 그것이 구비된 빗물 저류탱크
KR100719495B1 (ko) 하수도용 수문장치
KR101224119B1 (ko) 무동력으로 작동하는 암거 수문
KR20090027496A (ko) 합류식 하수 시스템의 우수토실 유량조절장치
CN203821566U (zh) 电动分流制管网截流井
CN112411722B (zh) 溢流除污系统及雨水通过池
EP2283188B1 (de) Verfahren zum spülen eines unterhalb eines hindernisses verlegten abwasserkanals und hierbei verwendete spülanlage
CN205637073U (zh) 水力浮动式止回堰门
CN100384749C (zh) 自调节干湿交替并行运行水槽装置
CN109853492B (zh) 闸阀管道式过鱼方法
CN105756175A (zh) 水力浮动式止回堰门
CN112281649A (zh) 一种桥梁排水螺旋过滤装置
KR20210013515A (ko) 우수토실 무동력 자동 개폐 및 하수량 측정장치.
CN205577088U (zh) 一种污水流量可控及拦渣防倒灌截流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