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767B1 -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동보 - Google Patents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동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767B1
KR102121767B1 KR1020190114035A KR20190114035A KR102121767B1 KR 102121767 B1 KR102121767 B1 KR 102121767B1 KR 1020190114035 A KR1020190114035 A KR 1020190114035A KR 20190114035 A KR20190114035 A KR 20190114035A KR 102121767 B1 KR102121767 B1 KR 102121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ylinder
exposed
sides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회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산업
Priority to KR1020190114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7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배출구를 구비하면서 상기 배출구에 대응되면서 문비가 장착토록 복수의 문틀이 일체로 구비되는 구조물이 설치되고, 상기 문틀은 문비의 상향시 문비의 양측이 외부에 노출토록 개방되면서 문틀의 양측을 지지하는 가이드요홀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문비의 양측에는 실린더 또는 로드의 일부가 내장되어 문비를 가이드요홀을 따라 승,하강토록 설치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동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동보{a movable weir for easily maintenance}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배출구를 구비하면서 상기 배출구에 대응되면서 문비가 장착토록 복수의 문틀이 일체로 구비되는 구조물이 설치되고, 상기 문틀은 문비의 상향시 문비의 양측이 외부에 노출토록 개방되면서 문비의 양측을 지지하는 가이드요홀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문비의 양측에는 실린더 또는 로드의 일부가 내장되어 문비를 가이드요홀을 따라 승,하강토록 설치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동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펌프게이트라 함은 우수관로, 도시하수처리장, 배수펌프장, 및 기타 하천과 접하는 관계 용수로나 저수지, 기타 배수구 등에 설치되는 수리시설로써, 이와 같은 펌프게이트는 선택적인 개폐작용에 의해 유량을 조절하고, 집중호우시 내수 배재 하여 홍수 등의 피해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역할을 행하게 된다.
예컨대, 펌프게이트는, 평소에는 개방된 상태하에, 상류측 내수를 제방 밖 하류측 외수로 자연 배수시키는 기능을 행하게 되고, 기상변화에 따른 집중호우, 또는, 장마 등의 원인으로, 강우량이 증가하여 하류측 외수위가 내수위 보다 상승할 경우에 있어서는, 수문을 하강, 폐쇄(닫힘)시켜, 상승된 외수의 역류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펌프게이트는, 수로가 차단된 상태, 예컨대, 수문이 닫힘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하에, 홍수 등의 영향으로 하류측 외수의 수위가 상승 되는 경우, 그 상승 되는 외수의 역류현상 없이, 상류측 내수를 하류측 외수로 강제 배수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설치 이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펌프게이트는, 도시하수처리장, 빗물처리장 등의 배출 수로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통상적인, 우수처리설비임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되어 종래 펌프게이트의 개략적인 구성을 특허 제1230778호에서 살펴보면 도1에서와 같이, 설치가대(1)의 문비설치부(13)에, 펌프(5)가 장착된 문비(4)를 슬라이딩 안내레일(131)을 따라, 이송안내로울러와, 완충롤러유닛을 유도안내되게 하여, 배수공의 개폐를 탄력적인 완충작용에 의해 안정적으로 밀착 단속되게 하고, 이어, 고정받침판(17) 상부면에 권양기(2)와 제어반(3)을 안착시킨 후, 상기 권양기(2)로 부터 인출되는 견인와이어(21)를 문비(4) 상부면에 연결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문비에 부착되는 펌프(5)는, 진동흡수판이 구비된 체결플랜지(42)를 볼트(422)에 의해 결합하여 펌프(5)를 일체로 내설하고, 상기 펌프(5)가 내설된 문비(4) 상부면에 와이어 연결구(43)를 형성하며, 재차, 문비(4)에 내설된 펌프(5) 전방면에 플랩밸브를 장착토록 하고, 상기 설치가대(1)의 좌,우측 벽면으로 형성된 볼트 체결공(15)을 통해 탄성밀착패드(14)와, 배출수로의 벽면을 완전 밀착구조로 고정시키고, 탄성압착판(16)에 형성된 수직볼트 조립공(161)에 앙카볼트 등을 체결하여 결합토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펌프게이트는, 펌프(5)가 문비(4)에 수평설치되어 일측으로 돌출되는 구성으로 문비의 폭이 증가되고, 상기 문비(4)를 권양기(2)에 연결되는 견인와이어(21)를 통하여 인양하는 구성으로 고정받침핀(17)을 설치하여야 하여 전체부피가 증가되며, 문비(4)가 문비설치부(13)에 내장되는 구성으로 유지보수시 전체를 분해한 후 작업하여야 하여 작업부하가 증가되는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문비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하고, 수리를 위하여 펌프 및 문비를 공간상에 노출시켜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며, 펌프를 수직방향으로 설치하여 문비의 폭증가를 방지토록 하고, 문비에 실린더를 내장시켜 별도의 구조물 없이도 문비의 승,하강이 가능토록 하며, 문비와 문틀사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동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배출구를 구비하면서 상기 배출구에 대응되면서 복수의 문비가 장착되는 복수의 문틀이 일체로 구비되는 구조물이 설치되고,
상기 문틀은 문비의 상향시 문비의 양측이 외부에 노출토록 개방되면서 문비의 양측을 지지하는 가이드요홀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문비의 양측에는 실린더가 내장되어 문비의 하측으로 노출토록 로드가 연결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동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로드는 외측에 실링커버가 더 구비되며, 상기 실링커버는 실린더에 연결되어 실린더가 장착되는 케이싱에 수납토록 설치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동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펌프는, 문비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장착관로의 내측에 내장되고, 상기 장착관로는 상단에 관로커버가 결합되며, 하단이 문비의 유입공에 노출되면서 문비의 외측에 노출되는 배출구가 상부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구에는 일측으로만 개방되는 캡이 구비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동보를 제공한다.
더하여, 상기 가이드요홀에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가이드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문비의 양측에 각각 노출되는 가이드로울러가 접촉토록 설치되고, P형지수고무가 연결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동보를 제공한다.
더하여, 상기 배출구에는 제진스크린이 더 구비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동보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문비의 개폐가 용이하고, 수리를 위하여 펌프 및 문비를 공간상에 노출시켜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펌프를 수직방향으로 설치하여 문비의 폭증가를 방지하고, 문비에 실린더를 내장시켜 별도의 구조물 없이도 문비의 승,하강이 가능하며, 문비과 문틀사이의 누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펌프게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가 적용된 가동보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 및 도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펌프가 적용된 가동보의 개방상태 및 닫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 및 도6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펌프가 적용된 가동보의 측면 및 저부에서의 요부 동작상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펌프가 적용된 가동보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보의 유지보수를 위한 분해상태도이다.
도9 및 도10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가동보를 도시한 사시도 및 동작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가 적용된 가동보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 및 도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펌프가 적용된 가동보의 개방상태 및 닫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5 및 도6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펌프가 적용된 가동보의 측면 및 저부에서의 요부 동작상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펌프가 적용된 가동보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며,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보의 유지보수를 위한 분해상태도이고, 도9 및 도10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가동보를 도시한 사시도 및 동작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가동보(W)는, 복수의 배출구(110)를 구비하면서 상기 배출구(110)에 대응되면서 복수의 문비(200)가 장착되는 복수의 문틀(300)이 일체로 구비되는 콘트리트로 이루어 진 구조물(S)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구조물(S)의 배출구(110)는 문비(200)에 의해 닫혀지는 상태를 유지하여 구조물 양측에서 물의 유동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문비(200)는, 펌프가 구비되지 않아도 되며, 펌프(400)가 설치되어 문비 양측의 물의 다른 방향으로 배수하는 펌프게이트의 역활을 수행토록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문틀(300)은, 상부에 문비(200)의 상향시 문비의 양측이 외부에 노출토록 개방되는 오픈공간(201)이 형성되면서 문비의 양측을 지지하는 가이드요홀(230)이 일체로 함몰 형성된다.
이때, 상기 오픈공간(201)에는 지지되는 문비의 양측을 덮도록 하는 커버(285)가 더 연결된다.
계속하여, 상기 문비(200)는, 양측에는 실린더(210)가 내장되어 문비의 하측으로 노출토록 로드(213)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로드(230)의 외측에는 실링커버(233)가 더 연결되어도 좋으며, 상기 실링커버(233)는 실린더에 연결되어 실린더가 장착되는 케이싱(270)에 수납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문비(200)는 펌프게이트의 역활을 수행할 때 펌프(400)가 일체로 장착된다.
이때, 상기 펌프(400)는, 문비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는 장착관로(290)의 내측에 내장되고, 상기 장착관로(290)는 상단에 관로커버(291)가 결합되며, 하단이 문비에 형성되는 유입공(240)의 일측으로 노출되면서 문비의 일측면 외측에 노출되는 배출구(260)가 상부 또는 중앙부 일측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는 배수를 위한 적절한 높이에 설치되면서 일측으로만 개방되는 캡(261)이 구비된다.
더하여, 상기 가이드요홀(230)에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가이드레일(231)이 구비되고, 상기 문비의 양측에 각각 노출되는 가이드로울러(260)가 접촉토록 설치되고, 상기 문비(200) 또는 문틀에는 P형지수고무(710)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110)에는 제진스크린(730)이 더 구비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오픈공간(201)을 커버링하는 커버(285)가 더 구비되고, 상기 문비(200)에는 도10에서와 같이 문틀(300)의 내측에 형성되는 오픈공간에 하향식으로 실린더(210)의 상단이 연결설치될 때 실린더(210)에서 노출되는 로드 하단이 문비에 연결되어도 좋다.
더하여, 본 발명의 문비(200)는 도8에서와 같이 양측면에 노출되는 가이드로울러(260)가 양측으로 설치되어도 좋으며, 도9에서와 같이 문비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하나의 가이드로울러(260)가 높이방향에 복수개 설치되어도 좋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10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가동보(W)는, 복수의 배출구(110)를 구비하면서 상기 배출구(110)에 대응되면서 복수의 문비(200)가 장착되는 복수의 문틀(300)이 일체로 구비되는 콘트리트로 이루어 진 구조물(S)이 설치되어 물을 가두거나 흘려보내도록 한다.
이때, 상기 구조물(S)의 배출구(110)는 문비(200)에 의해 닫혀지는 상태를 유지하여 구조물 양측에서 물을 한 방향에서 다른 방향으로 강제 유동시키거나 일방향에서 다른 방향으로 흐르게 되는 것을 차단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문비(200)는, 펌프가 구비되지 않을 경우 일반적인 보의 역활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문비에 펌프(400)가 일체로 설치되면 문비 양측의 물의 다른 방향으로 배수하는 펌프게이트의 역활을 수행토록 한다.
또한, 상기 문틀(300)은, 상부에 문비(200)의 상향시 문비의 양측이 외부에 노출토록 개방되는 오픈공간(201)이 형성되면서 문비의 양측을 지지하는 가이드요홀(230)이 문틀의 일측면이 함몰되는 상태로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문비(200)가 문틀(300)을 따라 승강할 때 문비외양측이 외부에 노출되어 유지보수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오픈공간(201)에는 커버(285)가 더 연결되어 문비의 가동시에는 그 가동부를 덮도록 하여 외부의 이물질투입을 방지하므로써 이물질의 투입에 의한 간섭으로 가동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 문비(200)는, 양측에 실린더(210)가 내장되면서 문비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로드(213)가 가이드요홀(230)의 하측에 연결되어 로드의 노출시 문비를 상향시키게 되어 문틀의 상부에 구조물이 노출되어 문틀의 부피가 증가되는 문제점을 해소토록 한다.
이때, 상기 로드(230)의 외측에는 실링커버(233)가 더 연결되어 내구성을 높이도록 하고, 상기 실링커버(233)는 실린더에 연결되어 실린더가 장착되는 케이싱(270)에 수납토록 설치되어 최소의 공간에서 동작이 가능토록 한다.
한편, 상기 문비(200)에는 문틀(300)의 오픈공간에 하향식으로 실린더가 연결될 때 실린더(210)에서 노출되는 로드 하단이 문비에 연결되어 실린더의 동작시 문비를 승,하강토록 설치되어도 문비에 내장되는 실린더의 동작과 동일하게 문틀의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실링커버 및 케이싱은 동일하게 서로 수납되는 상태를 유지토록 한다.
또한, 상기 문비(200)는 펌프게이트의 역활을 수행할 때 펌프(400)가 일체로 내장된다.
이때, 상기 펌프(400)는, 문비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는 장착관로(290)의 내측에 내장되어 문비의 두께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펌프(400)는, 상기 장착관로(290)는 상단에 연결되는 관로커버(291)의 개방시 장착 및 분리가 가능토록 되어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더하여, 상기 펌프(400)는, 문비에 형성되는 유입공(240)을 물을 유입시켜 문비의 일측면 외측에 노출되는 배출구(260)를 향하여 배출토록 하고, 상기 배출구에는 일측으로만 개방되는 캡(261)이 구비되어 펌프의 동작시 물을 일방향으로만 배수토록 한다.
더하여, 상기 가이드요홀(230)에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가이드레일(231)이 구비되어 가이드로울에 의한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문비의 양측에 각각 노출되는 가이드로울러(260)는 하나가 문비의 양측으로 노출토록 설치되거나, 문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로울러가 문비의 외측에 노출토록 설치되어 압력이 작용하는 문비가 가이드요홀에서 용이하게 이동토록 하고, 상기 문비(200) 또는 문틀에는 P형지수고무(710)가 연결되어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110)에는 제진스크린(730)이 더 구비되어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펌프의 동작불량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110...배출구 200...문비
201...오픈공간 260...가이드로울러
285...커버 290...장착관로
300...문틀 400...펌프
730...제진스크린

Claims (6)

  1. 하나 이상의 배출구를 구비하면서 상기 배출구에 대응되는 문비가 장착토록 문틀이 일체로 구비되는 구조물이 설치되고,
    상기 문틀은 배출구를 개방하기 위한 문비의 상향시 문비의 양측이 외부에 노출토록 관통되는 오픈공간이 형성되면서 상기 오픈공간은 문비의 양측을 감싸는 상태로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요홀과 문틀의 상부 일측에서만 관통 연결되며,
    상기 문비의 양측에는 실린더 또는 실린더에 연결되는 로드의 일측이 각각 내장되어 실린더의 동작시 문비가 가이드요홀을 따라 승,하강토록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요홀은, 스테인레스 재질의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면서 문비의 장착시 오픈공간을 커버링하여 문비의 양측을 덮도록 커버가 문틀에 연결되며,
    상기 문비는 펌프가 일체로 설치되면서 문틀의 가이드레일에 접촉되는 가이드로울러가 문비에 작용하는 물의 압력방향과 동일하게 적어도 일측에 노출토록 설치되고,
    상기 펌프는, 상단이 문비의 상측에 노출토록 하면서 문비에 내장되는 장착관로의 내측에 설치될 때 장착관로의 상단에 결합되는 관로커버의 분리시 펌프의 장착 및 분리가 가능토록 설치되고,
    상기 장착관로는, 하단이 문비에 일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유입공에 노출되고, 상기 문비의 타측면 상부에는 외측으로 노출되면서 일측으로만 개방되는 캡을 갖는 배출구가 연결되며,
    상기 문비 또는 문틀에는 지수를 위한 P형지수고무가 더 연결되고,
    상기 로드는 외측에는 실린더에 연결되는 실링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실링커버는 실린더가 장착되는 케이싱에 수납토록 설치되며,
    상기 문비에 실린더가 내장되어 이에 연결되는 로드의 하단이 가이드요홀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향식으로 동작토록 설치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동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는 제진스크린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동보.
KR1020190114035A 2019-09-17 2019-09-17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동보 KR102121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035A KR102121767B1 (ko) 2019-09-17 2019-09-17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동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035A KR102121767B1 (ko) 2019-09-17 2019-09-17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동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767B1 true KR102121767B1 (ko) 2020-06-12

Family

ID=71088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035A KR102121767B1 (ko) 2019-09-17 2019-09-17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동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7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5871A (ja) * 2001-03-16 2002-09-2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スクリーンを備えたポンプゲート
JP2002356836A (ja) * 2001-06-04 2002-12-13 Mitsubishi Heavy Ind Ltd ゲート設備
KR200332997Y1 (ko) * 2003-08-11 2003-11-12 남 숙 허 유압식 수문 개폐장치
JP3168348U (ja) * 2011-03-28 2011-06-09 株式会社丸島アクアシステム ローラゲー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5871A (ja) * 2001-03-16 2002-09-2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スクリーンを備えたポンプゲート
JP2002356836A (ja) * 2001-06-04 2002-12-13 Mitsubishi Heavy Ind Ltd ゲート設備
KR200332997Y1 (ko) * 2003-08-11 2003-11-12 남 숙 허 유압식 수문 개폐장치
JP3168348U (ja) * 2011-03-28 2011-06-09 株式会社丸島アクアシステム ローラゲー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7977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토목구조물용 유압식 승하강 수문장치
KR101049099B1 (ko) 펌프일체형수문
KR200464944Y1 (ko) 승강식 가동보
KR20130107816A (ko) 3단 완충 밀폐구조를 갖는 펌프 게이트
KR101658067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
KR102124277B1 (ko) 펌프내장형 펌프게이트
KR20130107810A (ko)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펌프 게이트
KR100937974B1 (ko) 하수관거용 펌프일체형수문
KR101129042B1 (ko) 수문 구조체
KR102121767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동보
KR20110013678A (ko)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KR101184643B1 (ko) 펌프 일체형 수문
KR200355906Y1 (ko) 수문의 구조
KR20100010477U (ko) 수문
KR101421228B1 (ko) 진동방지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펌프 일체형 수문
KR101390496B1 (ko) 맨홀용 하수관 개폐밸브
KR20170100128A (ko) 배수능력이 개선된 수문장치
KR101926810B1 (ko) 상향 밀폐식 비금속 수문
KR20080037749A (ko) 후랩밸브가 부착된 배수문
KR102008815B1 (ko) 하수관과 연결되는 맨홀의 역류방지장치
KR101134845B1 (ko) 수문용 배수시스템
CN110725392A (zh) 助排截流井
JP3979868B2 (ja) 合流式下水道の特殊人孔の構造
KR20130032983A (ko) 수문장치
CN218175765U (zh) 一种手动双向截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