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094B1 - 유압식 홍수벽 - Google Patents

유압식 홍수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094B1
KR101839094B1 KR1020170158586A KR20170158586A KR101839094B1 KR 101839094 B1 KR101839094 B1 KR 101839094B1 KR 1020170158586 A KR1020170158586 A KR 1020170158586A KR 20170158586 A KR20170158586 A KR 20170158586A KR 101839094 B1 KR101839094 B1 KR 101839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frame
automatic
hydraulic cylinder
lock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8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준
김정민
한승완
Original Assignee
일성보산업(주)
주식회사 삼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성보산업(주), 주식회사 삼안 filed Critical 일성보산업(주)
Priority to KR1020170158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0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02B3/102Permanently installed raisable dykes
    • E02B3/104Permanently installed raisable dykes with self-activ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식 홍수벽에 관한 것으로, 제방이나 옹벽의 하천 쪽 선단에 문비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문비의 배면에는 유압실린더를 설치하여 문비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유압실린더는 인장스프링에 내삽된 상태에서 로드의 신장시 인장스프링이 인장되게 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가 힌지 결합되는 로드 브라켓에 유압실린더의 로드를 외측에서 감싸는 단면이 ㄷ자 형태의 자동 받침대를 설치하되 상기 자동 받침대는 문비가 눕혀졌을 때 문비의 배면 선단과 제방 사이를 받치게 하고, 상기 문비의 선단에는 안전난간대를 설치하여 문비가 눕혀졌을 때 세워지는 한편 문비가 세워질 때 문비와 밀착되어 접히게 하고, 상기 안전난간대의 선단에는 자동 고정장치를 설치하여 문비가 세워졌을 때 바닥에 설치된 고정채널에 끼워져 고정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유압식 홍수벽{Hydraulic type moving wall}
본 발명은 하천에서 홍수가 발생할 경우 제방에 설치된 문비를 세워서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되 자동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문비가 눕혀지는 것을 방지하고 평상시는 문비의 전면을 보행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문비를 눕힐 때는 유압을 이용하지 않고도 문비를 눕혀줄 수 있도록 하는 유압식 홍수벽에 관한 것이다.
도심하천이나 해안에 설치되는 제방은 하천의 범람 방지와 바닷물 유입 차단이라는 목적 이외에 친수공간조성으로 인근 주민의 휴식 및 산책로 등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도심하천의 경우 장기간에 걸친 토사 및 퇴적물의 유입으로 인하여 홍수위가 상승함으로써 장마철에 하천의 범람이 발생하게 된다.
홍수시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제방을 높게 축조하거나 준설을 하면 되나, 제방축조 부지의 매입에 따른 엄청난 비용과 준설에 따른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제방을 높이고 준설을 하는 작업보다는 도심하천의 경계에 콘크리트 홍수벽을 설치하여 홍수피해를 줄이고 있으나, 이러한 콘크리트 홍수벽은 하천의 범람은 막아주는 이점에 반하여 하천으로의 접근이 차단되는 한편 경관을 해치게 되어 친수공간 조성을 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방을 따라 문비를 설치한 후 평상시는 문비가 제방과 수평으로 눕혀져 보행로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천으로의 통행이나 접근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하고, 하천의 범람이나 해일의 발생이 우려될 경우에는 문비를 세워서 제방의 높이를 높임으로써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고 있다.
이 같이, 평상시 문비를 눕힌 상태에서는 문비의 하부를 견고히 받쳐주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한편 문비가 세워졌을 때는 유압실린더를 보호할 필요가 있고, 문비가 세워진 상태에서는 문비의 눕힘이 방지되어 의도치 않는 문비의 눕힘으로 홍수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10-1176067호(2012.08.24. 등록) 대한민국 특허 등록 10-1220902호(2013.01.04. 등록) 대한민국 특허 등록 10-0992906호(2010.11.02. 등록) 대한민국 특허 공개 10-2016-0028807호(2016.03.04. 등록)
본 발명은 하천의 제방이나 옹벽에 설치되고, 평상시는 눕혀져 보행로로 사용되나 하천의 범람이 예상될 때에는 세워져 홍수벽으로 활용되는 문비에 관한 것으로, 문비를 제방에서 하천쪽으로 돌출시켜 눕혀질 때 문비의 하부를 견고히 받치지 못하는 문제는 유압실린더 로드와 문비의 힌지에 매달린 자동 받침대가 제방 경사면이나 옹벽 수직면에 받쳐지게 함으로써 해결되게 하는 한편 문비가 세워진 상태에서 의도치 않는 문비 눕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문비가 세워질 때 자동 고정장치에 의해 문비의 의도치 않는 눕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문비가 세워질 때 유압실린더의 로드가 신장될 때 인장 스프링을 인장시킨 상태로 문비가 세워지게 한 후 문비를 눕힐 때 유압을 이용하지 않고 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문비를 눕혀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방이나 옹벽에 설치되어 홍수위시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는 홍수벽에 관한 것으로, 제방이나 옹벽의 하천 쪽 선단에 문비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문비의 배면에는 유압실린더를 설치하여 문비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유압실린더는 인장스프링에 내삽된 상태에서 로드의 신장시 인장스프링이 인장되게 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가 힌지 결합되는 로드 브라켓에 유압실린더의 로드를 외측에서 감싸는 단면이 ㄷ자 형태를 갖고 문비의 배면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자동 받침대를 설치하되 상기 자동 받침대는 문비가 눕혀졌을 때 문비의 배면 선단과 제방 사이를 받치게 하고, 상기 문비의 선단에는 안전난간대를 설치하여 문비가 눕혀졌을 때 세워지는 한편 문비가 세워질 때 문비와 밀착되어 접히게 하고, 상기 안전난간대의 선단에는 자동 고정장치를 설치하여 문비가 세워졌을 때 바닥에 설치된 고정채널에 끼워져 고정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문비가 눕혀 졌을 때는 문비의 배면선단과 제방 사이를 자동 받침대가 받쳐서 문비에 가해지는 하중을 견디게 되고, 문비가 세워졌을 때는 자동 받침대가 유압실린더를 감싸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가 되게 하는 한편 안전난간이 접히면서 자동 고정장치가 고정채널에 끼워짐으로써 문비가 의도치 않는 눕힘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문비의 전면을 데크로 활용할 때만 자동 받침대가 받쳐지게 하는 한편 문비가 세워졌을 때는 제방에 돌출되는 자동 받침대를 없게 하여 유속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한편 문비가 세워졌을 때는 자동 고정장치에 의해 눕혀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방이나 옹벽의 상측에서 하천 쪽으로 설치되어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세워져서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는 홍수벽에 관한 것으로, 문비가 제방의 상면과 일치하게 펼쳐지게 하되 문비의 전면을 보행자 통로인 보행로 형성함으로써 제방의 상부 면적을 확대하여 통행의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고, 문비가 눕혀졌을 때 문비의 배면 상측과 제방 사이를 자동 받침대가 받치게 되어 하중을 견디게 하는 한편 제방이나 옹벽에 별도의 고정 받침대가 없으므로 유속에 장애가 없게 된다.
그리고, 문비가 세워졌을 때는 문비의 배면에서 유압실린더의 로드를 자동 받침대가 씌워주는 형태로 세워짐으로써 홍수 발생시 유압실린더가 부유물로부터 보호되는 한편 제방에 고정 받침대가 설치될 경우 발생하는 외관이 수려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문비의 선단에 안전 난간대를 설치하여 문비가 보행로로 사용될 때 안전 보행이 이루어지게 하는 한편 안전 난간대의 선단에는 자동 고정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문비가 세워질 때 안전 난간대가 문비와 같이 접히면서 자동 고정장치가 고정채널에 끼워지게 되어 문비가 눕혀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의도치 않는 문비의 눕힘으로 홍수피해를 보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문비가 눕혀진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문비가 세워진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문비가 세워지고 눕혀지는 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문비를 세워주는 유압실린더에 인장 스프링이 끼워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유압실린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록크핀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록크판 정면과 일부 단면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 자동 고정장치의 일부 단면과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자동 고정장치가 고정채널에 끼워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문비가 눕혀진 상태의 저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문비가 세워진 상태의 저면 사시도
도 12은 본 발명의 문비가 세워진 상태의 정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문비가 눕혀진 상태의 정면 사시도
본 발명은 제방이나 옹벽에 설치되어 홍수벽으로 사용되는 문비를 평상시 하천 쪽으로 눕혀서 보행자 통로로 사용함으로써 제방의 상부 면적을 확대하여 사용하고, 홍수시에는 문비를 세워서 제방의 높이를 높여서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는 것으로, 문비를 눕혔을 때, 상측 선단이 문비의 배면방향으로 굴곡지는 자동 받침대가 받쳐지도록 하는 한편 문비가 세워질 때는 자동 받침대가 유압실린더의 커버로 활용되게 하고, 문비가 세워질 때 자동 고정장치가 고정채널에 끼워지면서 문비의 눕힘이 방지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문비를 세우거나 눕히는 유압실린더는 인장스프링에 내삽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로드의 신장시 인장 스프링이 인장되고, 로드가 수축시에는 인장 스프링의 수축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유압실린더를 작동시켜 문비를 세울 때 인장 스프링이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문비를 눕힐 때는 유압장치를 이용하지 않고도 인장 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문비를 눕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 받침대는 문비의 배면으로 유압실린더의 로드가 결합되는 힌지 브라켓에 자동 받침대를 힌지 결합시킴으로써 문비가 눕혀질 때 자동받침대가 회동하여 제방과 문비의 배면 상측을 받치도록 함으로써, 문비에 가해지는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며, 문비가 세워질 때에는 자동 받침대가 중력에 의해서 회동되어 유압실린더를 감싸는 형태로 세워져 이물질이 유압실린더를 오염시키지 않도록 하는 한편 문비를 받치는 구조가 제방에 설치되지 않아 물흐름에 방해받지 않는다.
본 발명은 문비의 상측에 회동되게 안전 난간대를 설치하고, 상기 안전난간대의 선단에는 자동 고정장치를 설치하여 문비가 세워졌을 때 자동 고정장치의 록크핀이 고정채널의 고정홈에 끼워짐으로써 문비가 눕혀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자동 고정장치의 록킹판을 이용하여 록크핀을 고정홈에서 해제시킨 상태에서 문비가 눕혀지게 함으로써, 문비의 의도치 않은 눕힘 현상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하천이나 해안의 물이 범람하지 않게 쌓아주는 제방이나 옹벽(10)의 상면에 홍수시 세워져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는 홍수벽으로 문비(30)를 설치하되 상기 문비(30)는 평상시 제방이나 옹벽(10)에서 하천 쪽으로 눕혀져 문비(30)의 전면을 보행로(31)로 활용되게 하는 한편 홍수시에는 문비(30)를 세워서 물이 제방이나 옹벽(10)을 넘어 범람하는 경우를 없애는 것이다.
본 발명의 문비(30)는 제방이나 옹벽(10)에 상부에 하천 쪽으로 설치되는 문틀(20)의 문비 브라켓(21)에 하부가 힌지(22)로 결합되어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수평으로 눕혀지게 되고, 상기 문비(30)의 전면에는 보행로(31)가 형성되는 한편 상측으로 힌지(32a)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안전 난간대(32)을 설치하여 문비(30)가 눕혀졌을 때 세워진 상태로 활용하고, 문비(30)가 세워졌을 때는 문비(30)에 밀착되게 접혀지도록 하며, 상기 안전 난간대(32)의 상측으로는 안전난간대(32)가 접혀질 때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재(32b)를 설치한다.
본 발명은 문비(30)의 배면으로 제방이나 옹벽(10)의 상측에 문틀(20)의 배면으로 일정거리를 이격시켜 받침틀(40)을 설치하고, 상기 받침틀(40)에는 유압실린더(50)를 힌지(42)로 결합시키되 상기 유압실린더(50)의 로드(51)는 문비(30)의 배면 상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로드 브라켓(33)에 힌지(34)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로드 브라켓(33)에는 힌지(34)로 자동 받침대(6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자동 받침대(60)는 단면이 ㄷ자 형태를 갖고 상측 선단이 문비의 배면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문비(30)가 눕혀질 때는 자동 받침대(60)가 펼쳐지면서 문비(30)의 배면 상단과 제방이나 옹벽(10)과의 사이를 받쳐주게 되고, 문비(30)가 세워질 때에는 유압실린더(50)를 감싸주게 구성한다.
본 발명의 자동 받침대(60)는 하천 쪽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방이나 옹벽(10)을 받치거나, 하천 쪽으로 수직되어 설치되는 받침턱(11)에서도 동일하게 작동하는 것으로, 제방이나 옹벽(10) 또는 받침턱(11)에 관계없이 문비(30)가 세워지면 자동 받침대(60)로 문비(30)를 받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압실린더(50)는 인장스프링(70)에 내삽되게 설치하되 로드(51)을 신장할 경우 인장 스프링(70)을 신장하고, 유압실린더(50)에 유압을 배기시키면 인장 스프링(70)의 복귀력에 의해 로드(51)의 수축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안전 난간대(32)의 선단에는 자동 고정장치(80)를 설치하는 한편 제방이나 옹벽(10)의 상측에는 고정채널(90)을 설치함으로써, 문비(30)가 눕혀진 상태에서는 문비(30)의 선단에 세워진 안전난간대(32)에서 자동 고정장치(80)가 하천 쪽으로 돌출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보행로(31)를 통하여 보행이 이루어질 때 자동 고정장치(80)에 의한 영향이 발생하지 않는다.
단지, 문비(30)가 세워질 때는 안전난간대(32)가 힌지(32a)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문비(30)의 전면에 밀착되게 접혀지고, 이때 완충재(32b)에 의해 안전난간대(32)가 접혀질 때 완충이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의 자동 고정장치(80)는 안전난간대(32)의 선단에 단면이
Figure 112017117495043-pat00001
자형의 고정대(81)를 고정하고, 상기 고정대(81)의 측면으로 장홈(62)을 형성하여 록크판(85)이 고정핀(86)으로 끼워지게 하고, 상기 고정대(81)의 선단은 단면이
Figure 112017117495043-pat00002
형의 받침채널(88)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고정대(81)와 받침대(88)의 내측으로 록크핀(87)을 설치하되 상기 록크핀(87)의 선단은 고정핀(86)에 끼워지게 구성한다.
상기 받침채널(88)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가이드돌기(89)를 고정하고, 록크판(85)은 상기 가이드 돌기(89)의 경사면을 받치는 형태로 설치함으로써, 록크핀(87)은 록크판(85)에 결합된 채로 장홈(82)을 타고 이동하게 되고, 상기 록크판(85)을 누를 경우 록크판(85)의 하측이 가이드돌기(89)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하면서 록크핀(87)을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받침채널(88)에는 록크핀(87)이 끼워지는 핀홀더(88a)를 고정시킴으로써, 록크핀(87)이 핀홀더(88a)를 통하여 받침채널(88)을 관통하여 돌출되게 한다.
상기 록크핀(87)의 선단은 제방이나 옹벽(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채널(90)에 형성된 고정홈(91)에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고정채널(90)은 단면이 삼각 형태를 갖게 앵커핀 등으로 고정되며, 록크핀(87)이 고정홈(91)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록크핀(87)을 후퇴시켜 빼내지 않는 한 문비(30)가 눕혀지는 것이 완벽하게 방지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서, 수해를 입지 않는 평상시에는 도 1과 같이 문비(30)가 눕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안전난간대(32)를 세워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문비(30)의 보행로(31)를 이용한 안전한 보행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유압실린더(50)를 이용하여 문비(30)를 눕히거나 세우는 동작은 당 업계의 공지된 사실이고, 본 발명에서는 문비(30)가 제방이나 옹벽(10)의 상측으로 받쳐지면서 눕혀지지 않고 하천 쪽으로 눕혀져 문비(30)의 폭 만큼의 보행로(31)의 활용이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문비(30)가 하천 쪽으로 눕혀질 때 문비(30)의 배면을 도 1과 같이 자동 받침대(60)로 받쳐줌으로써 문비(30)가 눕혀진 채로 장시간에 걸쳐 보행로(31)로 사용되더라도 문비(30)가 하중에 의해 쳐지거나 휘어지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자동 받침대(60)는 로드 브라켓(33)에 힌지(34)로 결합된 상태이고, 무게 중심이 하측을 향하게 되므로, 도 2와 같이 문비(30)를 세우게 되면 자동 받침대(60)는 유압실린더(50)를 감싸면서 세워지게 되고, 도 1과 같이 문비(30)를 눕히게 되면, 자동 받침대(60)는 서서히 하단이 하천쪽을 향하면서 상단이 문비(30)의 배면 상측을 향하면서 눕혀지게 되고, 이 상태가 지속되면 자동 받침대(60)의 하단은 제방이나 옹벽(10)에 받쳐진 상태가 되는 한편 상측의 굴곡진 부분은 문비(30)의 배면 상측에 받쳐진 상태가 된다.
즉, 문비(30)가 눕혀진 상태에서는 자동 받침대(60)가 회동하여 상단은 문비(30)의 배면 상측을 받치는 동시에 하단의 제방이나 옹벽(10) 또는 받침틀(11)에 받쳐지게 되므로, 문비(30)의 전면을 보행로(31)로 사용할 때 문비(30)가 받게 되는 하중은 자동 받침대(60)를 통하여 받쳐주기 때문에 문비(30)가 하중에 의하여 쳐지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문비(30)는 눕혀질 때 구조물이 없는 하천 쪽으로 눕혀지게 되어, 문비(30)를 보행로로 활용할 때 하중에 의해 쳐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문비(30)가 눕혀질 때 상측 선단이 문비(30)의 배면쪽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자동 받침대(60)가 제방이나 옹벽(10)과 문비(30)의 배면 상단을 받치도록 함으로써 문비(30)가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방이나 옹벽(10)에서 하천 쪽으로 문비(30)가 눕혀져 보행로(31)를 형성하게 되므로, 한정된 제방이나 옹벽(10)의 상부를 확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문비(30)의 선단에 설치된 안전 난간대(32)로 인하여 안전 통행이 확보되고, 이러한 문비(30)의 사용으로 하천 쪽으로의 접근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친수공간의 활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문비(30)가 눕혀진 상태에서 사용되다가, 홍수 등으로 인한 범람의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문비(30)를 세워서, 문비(30)의 높이만큼 제방이나 옹벽(10)을 높인 결과가 되게 함으로써, 범람의 피해를 줄이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문비(30)를 세우는 방법으로는 유압실린더(50)를 작동시키게 되고, 문비(30)를 세우기 위하여 유압실린더(50)에 유압을 가하게 되면 유압실린더(50)의 로드(51)가 신장되면서 문비(30)는 서서히 세워지게 되는 것으로, 이때 유압실린더(50)는 도 4와 같이 인장 스프링(70)을 신장시키면서 로드(51)의 신장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문비(30)가 세워진 후에는 유압실린더(50)의 로드(51) 신장이 완료되는 동시에 인장 스프링(70)은 본래 크기로 돌아가기 위한 복귀력을 간직한 채로 놓이게 된다.
본 발명은 문비(30)가 세워질 때 자동 받침대(60)도 힌지(34)에 결합된 채로 회동하면서 세워지게 되고, 상기 자동 받침대(60)는 문비(30)와 함께 세워지면서 유압실린더(50)를 외측에서 감싸주는 형태로 세워지게 되므로, 홍수위로 인하여 수위가 상승되더라도 자동 받침대(60)가 물속에 잠기지 않아 물 흐름에 방해를 주지 않는 동시에 유압실린더(50)의 파손을 방지하는 한편 유압실린더(50)와 문비 사이에 이물질이 끼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은 문비(30)가 세워진 상태에서는 의도치 않게 문비(30)가 눕혀지는 경우를 없애기 위하여 자동 안전장치(80)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문비(30)가 세워질 때 안전 난간대(32)는 힌지(32a)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문비(30)의 전방에 밀착되어 세워지고, 이때, 안전난간대(32)가 접혀질 때 완충재(32b)에 의해 충격이 완화되게 한다.
이 같이 문비(30)가 세워질 때 안전 난간대(32)가 접혀지게 되면, 안전난간대(32)의 선단에 설치된 자동 안전장치(80)에서 하중에 의해 록크핀(87)이 돌출되면서 바닥에 고정된 고정채널(90)의 고정홈(91)에 끼워지게 되며, 상기 록크핀(87)이 고정홈(91)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문비(30)가 눕혀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록크핀(87)이 고정채널(90)의 고정홈(91)에서 후퇴하면서 이탈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문비(30)는 의도치 않는 눕힘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안전 고정장치(80)는 안전난간대(32)의 선단에 단면이
Figure 112017117495043-pat00003
자의 고정대(81)를 고정시키되 상기 고정대(81)에 장홈(82)을 형성하여 고정핀(86)이 끼워지게 하되 고정대(81)의 외측으로 고정대(81)를 덮어주는 형태의 록크판(85)을 설치하여 고정핀(86)에 끼워지게 하고, 상기 고정대(81)의 선단에는 핀홀더(88a)가 고정된 받침채널(88)을 고정하고, 상기 받침채널(88)에서 고정대(81)쪽으로 가이드돌기(89)를 고정하되 록크판(85)의 하측이 가이드돌기(89)의 경사면에 받쳐지게 한다.
상기 고정대(81)의 내측에는 록크핀(87)을 설치하되 상기 록크핀(87)의 선단은 고정핀(86)에 끼워지게 되고, 상기 록크핀(87)의 선단은 핀홀더(88a)에 끼워진 채로 받침채널(88)에서 돌출하여 고정채널(90)의 고정홈(91)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안전 고정장치(80)의 록크핀(87)은 안전난간대(32)가 세워졌을 때 록크판(85)과 록크핀(87)의 자중에 의해 하강되면서 록크핀(87)의 선단이 고정채널(90)의 고정홈(91)에 끼워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는 별도로 록크핀(87)을 고정홈(91)에서 후퇴시켜 이탈시키지 않는 한 문비(30)는 눕혀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안전 고정장치(80)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록크판(85)을 발로 밟아주면 되는 것으로, 록크판(85)을 발로 밟게 되면, 록크판(85)의 하측이 가이드돌기(89)의 경사면을 타고 눌리면서 고정핀(86)을 장홈(82)의 상측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고정핀(86)에 결합된 록크핀(87)은 고정대(81)의 내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록크핀(87)의 선단이 고정채널(90)의 고정홈(91)에서 이탈하게 되고, 이에 따라 유압실린더(50)를 작동시키지 않더라도 인장스프링(70)이 복귀하려는 힘이 작용하여 문비(30)는 서서히 닫히게 되고, 자동 받침대(60)는 문비(30)의 배면에서 펼쳐지면서 문비(30)를 받치게 된다.
문비(30)가 펼쳐진 후에는 안전난간대(32)가 자동으로 세워지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가 이동하면서 안전난간대(32)를 세워주면 된다.
10 : 제방이나 옹벽 20 : 문틀
30 : 문비 31 : 보행로
32 : 안전난간대 32b : 완충재
40 : 받침틀 50 : 유압실린더
60 : 자동 받침대 70 : 인장 스프링
80 : 자동 고정장치 81 : 고정대
82 : 장홈 85 : 록크판
86 : 고정핀 87 : 록크핀
88 : 받침채널 89 : 가이드돌기
90 : 고정채널 91 : 고정홈

Claims (7)

  1. 제방이나 옹벽(10)의 상측에서 하천 쪽으로 설치되는 문틀(20)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하천 쪽으로 수평되게 눕혀지는 한편 전면으로 보행로(31)가 형성되는 문비(30)를 구비하고,
    상기 문비(30)의 배면 상측에는 로드 브라켓(33)에 유압실린더(50)의 로드(51)를 결합시키는 한편 상기 유압실린더(50)의 하측은 문비(30)의 배면 하측으로 제방이나 옹벽(10)에 설치된 받침틀(40)에 힌지(42)로 결합되게 하고,
    상기 문비(30)의 로드 브라켓(33)에는 자동 받침대(60)를 힌지(34)로 결합시키되 상기 자동 받침대(60)는 상측 선단이 문비(30)의 배면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문비(30)가 세워질 때 유압실린더(50)를 감싸게 세워지는 한편 문비(30)가 눕혀질 때는 문비(30)의 배면 상측과 제방이나 옹벽(10) 사이를 받쳐주고,
    상기 문비(30)의 상측으로 안전난간대(32)를 설치하되 문비(30)가 세워지면 문비(30)의 전면으로 접혀지게 하는 한편 문비(30)가 눕혀지면 상측으로 세워지게 하고,
    상기 안전난간대(32)의 상측으로 자동 안전장치(80)를 설치하여 문비(30)가 세워질 때 눕혀지지 않게 하고,
    제방이나 옹벽(10)의 상측에는 문비(30)가 세워질 때 자동 안전장치(80)의 록크핀(87)이 고정홈(91)에 끼워지는 고정채널(90)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홍수벽.
  2. 제1항에 있어서, 자동 받침대(60)는 단면이 ㄷ자 형태를 갖고, 로드 브라켓(33)의 힌지(34)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설치되며, 문비(30)가 세워질 때는 자동 받침대(60)도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유압실린더(50)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감싸게 되고, 문비(30)가 눕혀질 때는 자동 받침대(60)의 상측 선단이 문비(30)의 배면 상측을 받치는 한편 자동 받침대(60)의 하측 선단이 제방이나 옹벽(10)을 받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홍수벽.
  3. 제1항에 있어서, 자동 안전장치(80)는 안전난간대(32)의 선단에 단면이
    Figure 112018016506551-pat00004
    자의 고정대(81)를 고정시키되 상기 고정대(81)의 측면으로 관통하는 장홈(82)을 형성하여 고정핀(86)이 끼워지게 하고, 상기 고정대(81)의 외측으로 고정대(81)를 덮어주는 형태의 록크판(85)을 설치하여 고정핀(86)에 끼워져 회동되게 하고, 상기 고정대(81)의 선단에는 핀홀더(88a)가 고정된 받침채널(88)을 고정하되 상기 받침채널(88)에서 고정대(81)쪽으로 가이드돌기(89)를 고정하고, 상기 가이드돌기(89)는 록크판(85)의 하측을 받치는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대(81)의 내측에는 록크핀(87)을 설치하되 상기 록크핀(87)의 선단은 고정핀(86)에 끼워지게 되고, 상기 록크핀(87)의 선단은 받침채널(88)의 핀홀더(88a)에 끼워진 채로 돌출하여 고정채널(90)의 고정홈(91)에 끼워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홍수벽.
  4. 제3항에 있어서, 록크핀(87)는 록크판(85)과 록크핀(87)의 자중에 의해 고정대(81)에서 돌출되어 고정채널(90)의 고정홈(91)에 끼워지고, 록크판(85)을 발로 누르면 록크판(85)의 하측이 가이드돌기(89)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하면서 장홈(82)을 따라 록크핀(87)을 이동시킴으로써 록크핀(87)이 후퇴하며 고정홈(91)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홍수벽.
  5. 제1항에 있어서, 안전난간대(32)는 문비(30)가 눕혀질 때 수동으로 세워지는 한편 문비(30)가 세워질 때 자동으로 눕혀지게 되며, 상기 안전난간대(32)의 상측으로 완충재(32b)를 설치하여 안전난간대(32)가 문비(30)와 닿을 때 완충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홍수벽.
  6. 제3항에 있어서, 문비(30)가 세워져 록크핀(87)이 고정채널(90)의 고정홈(91)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문비(30)가 눕혀지는 힘을 받더라도 록크핀(87)이 고정홈(91)에서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홍수벽.
  7. 제1항에 있어서, 유압실린더(50)는 인장 스프링(70)에 내장되어 설치되는 한편 로드(51)가 신장할 때 인장 스프링(70)이 신장되고, 인장 스프링(70)의 복원력에 의해 로드(51)가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홍수벽.
KR1020170158586A 2017-11-24 2017-11-24 유압식 홍수벽 KR101839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586A KR101839094B1 (ko) 2017-11-24 2017-11-24 유압식 홍수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586A KR101839094B1 (ko) 2017-11-24 2017-11-24 유압식 홍수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9094B1 true KR101839094B1 (ko) 2018-03-15

Family

ID=61659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586A KR101839094B1 (ko) 2017-11-24 2017-11-24 유압식 홍수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0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284B1 (ko) 2018-11-22 2019-05-24 주식회사 한가람산업 월파방지 및 충격감쇄용 가동벽
KR102048026B1 (ko) * 2019-06-12 2019-12-02 주식회사 한가람산업 방파벽 상단에 설치되는 월파 방지벽
KR102226260B1 (ko) 2020-08-14 2021-03-11 주식회사 한가람산업 승강식 월파 방지벽
KR102276953B1 (ko) * 2020-12-09 2021-07-15 주식회사 한가람산업 충격 감쇄용 월파 및 홍수 방지벽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4910A (ja) 2004-09-28 2006-05-18 Norimasa Ozaki 津波防波堤
KR101368881B1 (ko) 2013-08-27 2014-03-03 일성보산업(주) 전도식 방재 게이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4910A (ja) 2004-09-28 2006-05-18 Norimasa Ozaki 津波防波堤
KR101368881B1 (ko) 2013-08-27 2014-03-03 일성보산업(주) 전도식 방재 게이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284B1 (ko) 2018-11-22 2019-05-24 주식회사 한가람산업 월파방지 및 충격감쇄용 가동벽
KR102048026B1 (ko) * 2019-06-12 2019-12-02 주식회사 한가람산업 방파벽 상단에 설치되는 월파 방지벽
KR102226260B1 (ko) 2020-08-14 2021-03-11 주식회사 한가람산업 승강식 월파 방지벽
KR102276953B1 (ko) * 2020-12-09 2021-07-15 주식회사 한가람산업 충격 감쇄용 월파 및 홍수 방지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9094B1 (ko) 유압식 홍수벽
US7744310B2 (en) Hydrostatically operated variable height bulkhead
KR101852046B1 (ko) 유압 전도식 방조문의 고정장치
KR101149846B1 (ko) 제방 여유고 부족공간에 설치되는 무빙월
KR101709274B1 (ko) 부력식 보강판을 구비하는 복합 차수벽
US7497644B1 (en) Automatic liquid barrier system
KR200424060Y1 (ko) 수문의 안전장치
JP6625911B2 (ja) フラップゲート及びゲート設備
KR101849368B1 (ko) 유압식 홍수벽
KR101176067B1 (ko) 경관개선용 홍수방지 무빙월
KR101455186B1 (ko) 침수방지용 홍수벽
US10435909B2 (en)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air vents
JP6166370B2 (ja) 防波壁機能を有する組立式高さ可変型遮断構造物
KR101514959B1 (ko) 침수방지용 홍수벽
KR20090000991A (ko) 수문
KR101605023B1 (ko) 다단식 홍수 방어벽
JP4073195B2 (ja) 水圧駆動式の防水装置
KR102076799B1 (ko) 안정성을 향상시킨 가동식 월파방지장치
KR102484676B1 (ko) 매립식 유동 지지대가 구비된 월파 및 홍수 방어벽
KR102389640B1 (ko)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가 적용된 인양기
KR101722200B1 (ko) 전도 게이트
JP2004204601A (ja) 集水枡内設型フラップゲート及びその設置工法
CN113931199A (zh) 一种建筑施工用的深基坑安全保护装置及其安装方法
GB2371324A (en) Pivotable flood barrier
KR20160028807A (ko) 무부하 홍수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