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640B1 -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가 적용된 인양기 - Google Patents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가 적용된 인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640B1
KR102389640B1 KR1020210167336A KR20210167336A KR102389640B1 KR 102389640 B1 KR102389640 B1 KR 102389640B1 KR 1020210167336 A KR1020210167336 A KR 1020210167336A KR 20210167336 A KR20210167336 A KR 20210167336A KR 102389640 B1 KR102389640 B1 KR 102389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closing
main body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7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윤성
이창우
김대욱
Original Assignee
(주)이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젠테크 filed Critical (주)이젠테크
Priority to KR1020210167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6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jibs supported by columns, e.g. towers having their lower end mounted for slewing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권양기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수분과 염분으로부터 권양기를 보호하도록 하는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가 적용되는 인양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권양기가 수용되도록 공간을 구비하되 하방으로 개폐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개폐부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개폐부를 개폐시키는 한 쌍의 도어와, 상기 도어가 상기 개폐부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압력을 가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가 적용된 인양기{Lifting Device}
본 발명은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가 적용되는 인양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권양기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수분과 염분으로부터 권양기를 보호하도록 하는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가 적용되는 인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제방, 방조제, 저수지, 폐수 처리장 등에는 배수량을 조절하여 물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역류를 방지하여 담수율 또는 저수율을 인위적으로 조절하고, 홍수로 인한 설비 구조물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수문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수문에는 인양기가 설치되어 수문이 용이하게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해안을 따라 어촌계를 중심으로 설치된 인양기는 어구 및 해산물을 용이하게 인양 및 하역하도록 하여 노동력을 절감하거나 또는 태풍이나 악천후에 어선을 방파제 또는 육상으로 안전하게 인양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인양기는 수분과 염분이 많은 지역에 설치되므로, 수분과 염분으로부터 인양기를 보호하도록 해야 한다.
도 1은 종래 인양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인양기는 보호 커버(10)와, 보호 커버(10)에 수용되는 권양기(20)를 포함한다. 권양기(20)는 평상시 보호 커버(10) 내부에 위치되어 있으며, 작업시 보호 커버(10)의 측방에 위치되는 도어(12)가 열린 상태에서 권양기(20)가 좌우로 이동된 후, 상하 이동되면서 수문을 개폐하거나 어구, 해산물, 어선 등을 인양하는 등의 작업을 진행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수분과 염분으로부터 권양기(20)를 보호할 수 없어, 수분과 염분이 권양기(20)로 직접 침투되며, 이는 권양기(20)의 급격한 부식을 초래하게 되어, 필요시, 권양기(20)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아 물적 재산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6857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권양기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수분과 염분으로부터 권양기를 보호하도록 하는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가 적용되는 인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가 적용된 인양기는, 기둥 형태로 세워지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암; 상기 암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트롤리와, 상기 트롤리와 함께 이동되도록 상기 트롤리의 하부에 위치되며, 내부에 권양기가 수용되도록 공간을 구비하되 하방으로 개폐부가 형성되는 본체; 및 트롤리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본체에 수용되거나 또는 상기 본체의 하부로 이동되는 상기 권양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개폐부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개폐부를 개폐시키는 한 쌍의 도어; 및 상기 도어가 상기 개폐부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압력을 가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탄성부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도어가 상기 개폐부를 폐쇄시키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에 수용된 상기 권양기가 하강되면, 상기 권양기가 상기 도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보다 강한 하방 압력을 상기 도어에 가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권양기의 하방 압력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개폐부를 개방시키고, 상기 권양기의 하방 압력에 의하여 상기 도어가 상기 개폐부를 개방시키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 위치된 상기 권양기가 상승되어 상기 본체 내부로 수용되면,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개폐부를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암의 일측에는 상기 트롤리, 상기 본체 및 상기 권양기가 수용되도록 보호 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 커버의 개방된 일측에 보호 도어가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권양기의 하측은, 상기 권양기의 하부 중앙에 위치되는 하부지지부와, 상기 하부지지부의 양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방으로 갈수록 상호 이격되는 폭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권양기와 접촉되는 상기 도어의 내부 일측에는 열림가이드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권양기가 하강될 때, 상기 하부경사부가 상기 열림가이드롤러에 접촉된 상태로 하강되되, 상기 열림가이드롤러에 접촉되는 한 쌍의 상기 하부경사부의 상호 이격되는 폭이 점차 커짐에 따라 상기 개폐부의 개방 각도가 점차 커지도록 오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도어가 상기 개폐부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압력을 가하도록 일측은 상기 본체의 내부 양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도어의 내측에 연결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권양기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도어의 외면 일측에 상기 본체의 측부 방향으로 클램프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측부에 상기 클램프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잠금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권양기의 하강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가 개방되면, 상기 클램프가 상기 잠금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클램프가 상기 잠금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권양기가 상기 도어보다 하부로 이동되어 상기 도어에 상기 권양기의 하방 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클램프가 상기 도어의 이동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는,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일측은 상기 도어의 외면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의 측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잠금부재와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본체의 측부에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내부가 빈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잠금바디와, 한 쌍의 상기 잠금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잠금스프링과, 한 쌍의 상기 잠금바디의 상호 마주보는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잠금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압력이 가해지는 한 쌍의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가 상기 잠금부재에 결합될 때, 상기 삽입부는 한 쌍의 상기 가압부 사이를 벌리면서 한 쌍의 상기 가압부 사이로 억지로 삽입되고, 상기 클램프가 상기 잠금부재에서 탈거될 때, 한 쌍의 상기 가압부 사이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가 한 쌍의 상기 가압부 사이를 벌리면서 억지로 탈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볼록한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가압부의 상호 마주보는 단부는 각각 오목한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권양기의 상측은, 상기 권양기의 상부 중앙에 위치되는 상부지지부와, 상기 상부지지부의 양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상호 이격되는 폭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를 폐쇄한 상태에서 일측은 상기 도어의 내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의 측부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닫힘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권양기의 하강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가 개방되면, 상기 닫힘안내부의 타측은 상기 개폐부의 개방되는 각도만큼 상기 본체의 안쪽으로 이동되어 상기 닫힘안내부의 타측은 상기 상부경사부와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잠금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하부로 하강된 상기 권양기가 상승되면, 상기 상부경사부가 상기 닫힘안내부의 타측에 접촉된 상태로 상승되되, 상기 닫힘안내부의 타측에 접촉되는 상기 상부경사부의 상호 이격된 폭이 점차 커짐에 따라 상기 닫힘안내부의 타측이 상기 본체의 바깥쪽으로 이동되고, 상기 도어는 클로즈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잠금부재에서 탈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닫힘안내부의 타측에는 닫힘가이드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권양기가 상승될 때, 상기 상부경사부가 상기 닫힘가이드롤러에 접촉된 상태로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평상시, 인양기의 권양기가 본체 내부에 수용되고 도어에 의하여 개폐부가 폐쇄되도록 구성되므로, 권양기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아, 수분과 염분으로부터 권양기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경사부가 열림가이드롤러에 접촉된 상태로 하강되도록 구성되므로, 도어는 열림경사부에 걸리지 않고 열림경사부를 따라 부드럽게 회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권양기가 도어보다 하부로 이동되어 도어에 권양기의 하방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다 하더라도, 클램프가 도어의 이동을 구속하므로, 도어는 임의로 개폐부를 폐쇄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삽입부가 가압부 사이로 삽입될 때, 삼각형 형태의 삽입부의 일측이 한 쌍의 가압부를 상하 방향으로 밀면서 한 쌍의 가압부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삽입부가 가압부에서 탈거될 때, 삼각형 형태의 삽입부의 타측이 한 쌍의 가압부를 상하 방향으로 밀면서 한 쌍의 가압부 사이에서 용이하게 탈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권양기가 상승되는 과정에서 닫힘안내부가 도어를 클로즈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므로, 클램프가 잠금부재에서 자동으로 탈거되어, 클램프가 도어의 이동을 더 이상 구속하지 않아, 도어는 탄성부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개폐부를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권양기가 상승될 때, 상부경사부가 닫힘가이드롤러에 접촉된 상태로 상승되도록 구성되므로, 닫힘안내부는 상부경사부에 걸리지 않고 상부경사부를 따라 부드럽게 이동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인양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가 적용된 인양기의 권양기가 보호 커버의 외부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가 적용된 인양기의 권양기가 보호 커버로 복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의 도어가 본체의 개폐부를 폐쇄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의 권양기가 하강되면서 본체의 개폐부를 개방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의 개폐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권양기가 하부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의 잠금부재에 클램프가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의 권양기가 본체 내부로 복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가 적용된 인양기의 권양기가 보호 커버의 외부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가 적용된 인양기의 권양기가 보호 커버로 복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가 적용된 인양기에 관한 것으로, 인양기는 기둥 형태로 세워지는 포스트(P)와, 포스트(P)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암(A)과, 암(A)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트롤리(T)와, 트롤리(T)와 함께 이동되도록 트롤리(T)의 하부에 위치되는 본체(100: 도 4 도시)와, 트롤리(T)에 지지된 상태로 본체(100)에 수용되거나 본체(100)의 하부로 이동되는 권양기(300)를 포함한다. 도 9 및 도 10에서는 본체(100)가 생략되었음을 유념해야 한다. 그리고 암(A)의 일측에는 트롤리(T), 본체(100) 및 권양기(300)가 수용되도록 보호 커버(C)가 형성되고, 보호 커버(C)의 개방된 일측에 보호 도어(미도시)가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트롤리(T)가 암(A)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보호 커버(C)에 수용된 트롤리(T), 본체(100) 및 권양기(300)가 암(A)을 따라 이동된다. 이때, 보호 도어(미도시)가 자동으로 개방되어, 보호 커버(C)의 일측이 개방되고, 이 상태에서 트롤리(T), 본체(100) 및 권양기(300)가 자유롭게 보호 커버(C)의 외부로 이동할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권양기(300)의 권양 작업이 종료된 후, 트롤리(T), 본체(100) 및 권양기(300)는 암(A)의 일측으로 이동되어, 트롤리(T), 본체(100) 및 권양기(300)는 보호 커버(C) 내부로 수용된다. 그리고 권양기(300)가 보호 커버(C) 내부로 복귀되면, 보호 도어(미도시)는 자동으로 닫혀지게 되어, 권양기(300)는 상, 하, 좌, 우, 즉, 사방으로 막혀진 구조가 되어, 권양기(300)는 수분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의 도어가 본체의 개폐부를 폐쇄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는 권양기(300)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100), 도어(200), 탄성부(220), 닫힘안내부(240), 클램프(260) 및 잠금바디(272)를 포함한다.
권양기(300)는 인양기에 구비되어 해산물, 어선 등을 인양하는 등의 작업을 진행하는 것으로, 권양기(300)의 하측은, 권양기(300)의 하부 중앙에 위치되는 하부지지부(301)와, 하부지지부(301)의 양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방으로 갈수록 상호 이격되는 폭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경사부(302)를 포함한다. 그리고 권양기(300)의 상측은, 권양기(300)의 상부 중앙에 위치되는 상부지지부(304)와, 상부지지부(304)의 양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상호 이격되는 폭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경사부(30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부경사부(305)와 하부경사부(302)는 측벽부(303)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본체(100)는 권양기(300)가 작업을 진행하지 않는 평상시에 권양기(300)가 수용되도록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것으로, 본체(100)의 하부는 개방되도록 개폐부(110)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00)의 상부는 권양기(300)의 상측이 본체(100)의 상부로 이동되도록 개방되고, 본체(100)의 측부는 후술하는 닫힘안내부(240)가 이동되도록 개방된다.
도어(200)는 개폐부(110)의 양측에 힌지부(210)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개폐부(110)를 개폐시키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도어(200)는 예를 들면 미닫이문과 같이 회전되면서 열리고 닫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권양기(300)와 접촉되는 도어(200)의 내부 일측에는 열림가이드롤러(230)가 자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탄성부(220)는 도어(200)가 개폐부(110)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탄성부(220)는 도어(200)가 개폐부(110)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압력을 가하도록 일측은 본체(100)의 내부 양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도어(200)의 내측에 연결되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평상시 탄성부(220)의 탄성에 의하여 도어(200)가 개폐부를 폐쇄시키도록 위치된다.
닫힘안내부(240)는 개폐부(110)가 본체(100)를 폐쇄한 상태에서 일측은 개폐부(110)의 내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본체(100)의 측부를 관통하여 본체(100)의 측부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닫힘안내부(240)의 타측에는 닫힘가이드롤러(250)가 자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클램프(260)는 도어(200)가 개방된 상태에서 일측은 도어(200)의 외면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본체(100)의 측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262)와, 연장부(262)의 단부에서 잠금부재(270)와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264)와, 절곡부(264)의 단부에 형성되는 삽입부(264a)를 포함한다. 잠금부재(270)는 본체(100)의 측부에 클램프(26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의 권양기가 하강되면서 본체의 개폐부를 개방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탄성부(220)의 탄성에 의하여 도어(200)가 개폐부를 폐쇄시키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본체(100)에 수용된 권양기(300)가 하강되면, 권양기(300)가 도어(200)에 접촉된 상태로 탄성부(220)의 탄성력보다 강한 하방 압력을 도어(200)에 가하고, 도어(200)는 권양기(300)의 하방 압력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개폐부(110)를 개방시킨다. 이때, 하부경사부(302)가 열림가이드롤러(230)에 접촉된 상태로 하강되되, 열림가이드롤러(230)에 접촉되는 한 쌍의 하부경사부(302)의 상호 이격되는 폭이 점차 커짐에 따라 개폐부(110)의 개방 각도가 점차 커지도록 오픈된다. 즉, 본체(100)에 수용된 권양기(300)가 하강되면서 도어(200)를 하부로 밀게 되어, 도어(200)가 본체(100)의 바깥쪽으로 오픈되는 것이다. 그리고 탄성부(220)는 도어(200)가 오픈되는 각도만큼 신장 즉, 늘어나게 된다.
한편, 권양기(300)가 하강될 때, 하부경사부(302)가 열림가이드롤러(230)에 접촉된 상태로 하강되도록 구성되므로, 도어(200)는 열림경사부에 걸리지 않고 열림경사부를 따라 부드럽게 회전되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의 개폐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권양기가 하부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를 참조하면, 권양기(300)의 하강에 의하여 개폐부(110)가 개방되면, 닫힘안내부(240)의 타측은 개폐부(110)의 개방되는 각도만큼 본체(100)의 안쪽으로 이동되어 닫힘안내부(240)의 타측은 상부경사부(305)와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클램프(260)는 잠금부재(270)에 결합된다. 즉, 권양기(300)의 하강에 의하여 개폐부(110)가 개방된 상태에서 권양기(300)가 개폐부(110) 보다 하부로 이동되면, 권양기(300)의 하방 압력이 개폐부(110)로 더 이상 가해지지 않게 된다. 그러면 신장된 탄성부(220)의 탄성력에 의하여 도어(200)가 개폐부(110)를 폐쇄하려고 이동되려 할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즉, 도어(200)가 개폐부(110)를 오픈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권양기(300)가 도어(200)를 밀어 개폐부(110)가 오픈되면 클램프(260)가 잠금부재(270)에 결합되도록 하여, 도어(200)가 고정되도록 한다. 그러면 권양기(300)가 도어(200)보다 하부로 이동되어 도어(200)에 권양기(300)의 하방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다 하더라도, 클램프(260)가 도어(200)의 이동을 구속하므로, 도어(200)는 임의로 개폐부(110)를 폐쇄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의 잠금부재에 클램프가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잠금부재(270)는, 본체(100)의 측부에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내부가 빈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잠금바디(272)와, 한 쌍의 잠금바디(272)의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잠금스프링(276)과, 한 쌍의 잠금바디(272)의 상호 마주보지 않는 외측에 설치되어 잠금스프링(276)을 지지하는 잠금볼트(274)와, 한 쌍의 잠금바디(272)의 상호 마주보는 내측에 설치되며 잠금스프링(276)의 탄성에 의하여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압력이 가해지는 한 쌍의 가압부(278)를 포함한다. 한 쌍의 가압부(278) 사이는 삽입부(246a)가 삽입되도록 빈 틈이 구비된다.
그리고 클램프(260)가 잠금부재(270)에 결합될 때, 삽입부(264a)는 한 쌍의 가압부(278) 사이를 벌리면서 한 쌍의 가압부(278) 사이로 억지로 삽입된다. 그리고 클램프(260)가 잠금부재(270)에서 탈거될 때, 한 쌍의 가압부(278) 사이에 삽입된 삽입부(264a)가 한 쌍의 가압부(278) 사이를 벌리면서 억지로 탈거된다. 여기서 삽입부(264a)의 일측과 타측 즉, 좌측과 우측은 각각 볼록한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한 쌍의 가압부(278)의 상호 마주보는 단부는 각각 오목한 삼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절곡부(264)는 삽입부(264a)의 일측 또는 타측에 연결되지 않고, 삽입부(264a)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측부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삽입부(264a)가 가압부(278) 사이로 삽입될 때, 삼각형 형태의 삽입부(264a)의 일측이 한 쌍의 가압부(278)를 상하 방향으로 밀면서 한 쌍의 가압부(278)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삽입부(264a)가 가압부(278)에서 탈거될 때, 삼각형 형태의 삽입부(264a)의 타측이 한 쌍의 가압부(278)를 상하 방향으로 밀면서 한 쌍의 가압부(278) 사이에서 용이하게 탈거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삽입부(464a)는 사각형 또는 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가압부(278) 사이를 용이하게 삽입 또는 탈거될 수 있는 형상이면 삽입부(464a)의 형태를 특별하게 제한하지 않는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의 권양기가 본체 내부로 복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권양기(300)의 하방 압력에 의하여 도어(200)가 개폐부를 개방시키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본체(100)의 하부에 위치된 권양기(300)가 상승되어 본체(100) 내부로 수용되면, 탄성부(220)의 탄성력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개폐부(110)를 폐쇄시킨다.
이때, 본체(100)의 하부로 하강된 권양기(300)가 상승되면, 상부경사부(305)가 닫힘안내부(240)의 타측에 접촉된 상태로 상승되면서 닫힘안내부(240)를 밀게 되고, 이와 동시에 닫힘안내부(240)의 타측에 접촉되는 상부경사부(305)의 상호 이격된 폭이 점차 커짐에 따라 닫힘안내부(240)의 타측이 본체(100)의 바깥쪽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도어(200)는 닫힘안내부(240)의 타측이 본체(100)의 바깥쪽으로 이동되는 각도만큼 클로즈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도어(200)에 연결된 클램프(260)는 본체(100)의 바깥쪽으로 이동되면서 잠금부재(270)에서 탈거된다.
이처럼 권양기(300)가 상승되는 과정에서 닫힘안내부(240)가 도어(200)를 클로즈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므로, 클램프(260)가 잠금부재(270)에서 자동으로 탈거되어, 클램프(260)가 도어(200)의 이동을 더 이상 구속하지 않아, 도어(200)는 탄성부(22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개폐부(110)를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평상시, 권양기(300)는 본체(100) 내부에 수용되고 도어(200)에 의하여 개폐부(110)가 폐쇄되도록 구성되므로, 권양기(300)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아, 수분과 염분으로부터 권양기(300)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권양기(300)가 상승될 때, 상부경사부(305)가 닫힘가이드롤러(250)에 접촉된 상태로 상승되도록 구성되므로, 닫힘안내부(240)는 상부경사부(305)에 걸리지 않고 상부경사부(305)를 따라 부드럽게 이동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A: 암 C: 커머
P: 포스트 T: 틀롤리
100: 본체 110: 개폐부
200: 도어 210: 힌지부
220: 탄성부 230: 열림가이드롤러
240: 닫힘안내부 250: 닫힘가이드롤러
260: 클램프 262: 연장부
264: 절곡부 264a: 삽입부
270: 잠금부재 272: 잠금바디
274: 잠금부 276: 잠금스프링
278: 가압부 300: 권양기
301: 하부지지부 302: 하부경사부
303: 측벽부 304: 상부지지부
305: 상부경사부

Claims (9)

  1. 기둥 형태로 세워지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암;
    상기 암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트롤리와, 상기 트롤리와 함께 이동되도록 상기 트롤리의 하부에 위치되며, 내부에 권양기가 수용되도록 공간을 구비하되 하방으로 개폐부가 형성되는 본체; 및
    트롤리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본체에 수용되거나 또는 상기 본체의 하부로 이동되는 상기 권양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개폐부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개폐부를 개폐시키는 한 쌍의 도어; 및
    상기 도어가 상기 개폐부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압력을 가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탄성부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도어가 상기 개폐부를 폐쇄시키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에 수용된 상기 권양기가 하강되면, 상기 권양기가 상기 도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보다 강한 하방 압력을 상기 도어에 가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권양기의 하방 압력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개폐부를 개방시키고,
    상기 권양기의 하방 압력에 의하여 상기 도어가 상기 개폐부를 개방시키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 위치된 상기 권양기가 상승되어 상기 본체 내부로 수용되면,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개폐부를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가 적용된 인양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의 일측에는 상기 트롤리, 상기 본체 및 상기 권양기가 수용되도록 보호 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 커버의 개방된 일측에 보호 도어가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가 적용된 인양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양기의 하측은, 상기 권양기의 하부 중앙에 위치되는 하부지지부와, 상기 하부지지부의 양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방으로 갈수록 상호 이격되는 폭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권양기와 접촉되는 상기 도어의 내부 일측에는 열림가이드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권양기가 하강될 때, 상기 하부경사부가 상기 열림가이드롤러에 접촉된 상태로 하강되되, 상기 열림가이드롤러에 접촉되는 한 쌍의 상기 하부경사부의 상호 이격되는 폭이 점차 커짐에 따라 상기 개폐부의 개방 각도가 점차 커지도록 오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가 적용된 인양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도어가 상기 개폐부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압력을 가하도록 일측은 상기 본체의 내부 양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도어의 내측에 연결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가 적용된 인양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양기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도어의 외면 일측에 상기 본체의 측부 방향으로 클램프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측부에 상기 클램프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잠금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권양기의 하강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가 개방되면, 상기 클램프가 상기 잠금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클램프가 상기 잠금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권양기가 상기 도어보다 하부로 이동되어 상기 도어에 상기 권양기의 하방 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클램프가 상기 도어의 이동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가 적용된 인양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일측은 상기 도어의 외면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의 측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잠금부재와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본체의 측부에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내부가 빈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잠금바디와, 한 쌍의 상기 잠금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잠금스프링과, 한 쌍의 상기 잠금바디의 상호 마주보는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잠금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압력이 가해지는 한 쌍의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가 상기 잠금부재에 결합될 때, 상기 삽입부는 한 쌍의 상기 가압부 사이를 벌리면서 한 쌍의 상기 가압부 사이로 억지로 삽입되고,
    상기 클램프가 상기 잠금부재에서 탈거될 때, 한 쌍의 상기 가압부 사이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가 한 쌍의 상기 가압부 사이를 벌리면서 억지로 탈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가 적용된 인양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볼록한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가압부의 상호 마주보는 단부는 각각 오목한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가 적용된 인양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권양기의 상측은, 상기 권양기의 상부 중앙에 위치되는 상부지지부와, 상기 상부지지부의 양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상호 이격되는 폭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를 폐쇄한 상태에서 일측은 상기 도어의 내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의 측부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닫힘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권양기의 하강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가 개방되면, 상기 닫힘안내부의 타측은 상기 개폐부의 개방되는 각도만큼 상기 본체의 안쪽으로 이동되어 상기 닫힘안내부의 타측은 상기 상부경사부와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잠금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하부로 하강된 상기 권양기가 상승되면, 상기 상부경사부가 상기 닫힘안내부의 타측에 접촉된 상태로 상승되되, 상기 닫힘안내부의 타측에 접촉되는 상기 상부경사부의 상호 이격된 폭이 점차 커짐에 따라 상기 닫힘안내부의 타측이 상기 본체의 바깥쪽으로 이동되고, 상기 도어는 클로즈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잠금부재에서 탈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가 적용된 인양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닫힘안내부의 타측에는 닫힘가이드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권양기가 상승될 때, 상기 상부경사부가 상기 닫힘가이드롤러에 접촉된 상태로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가 적용된 인양기.

KR1020210167336A 2021-11-29 2021-11-29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가 적용된 인양기 KR102389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336A KR102389640B1 (ko) 2021-11-29 2021-11-29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가 적용된 인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336A KR102389640B1 (ko) 2021-11-29 2021-11-29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가 적용된 인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9640B1 true KR102389640B1 (ko) 2022-04-22

Family

ID=81452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7336A KR102389640B1 (ko) 2021-11-29 2021-11-29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가 적용된 인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96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231B1 (ko) * 2022-10-31 2023-03-15 (주)이젠테크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042Y1 (ko) * 2003-08-06 2003-10-22 주식회사 포스코 용강시료 채취장치
KR20150050129A (ko) * 2013-10-31 2015-05-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
US20160068374A1 (en) * 2014-09-09 2016-03-10 Nautical Structures Industries, Inc. High Speed, Reduced Clearance Lift
JP2018119391A (ja) * 2017-01-25 2018-08-02 泰士 高木 浮上式防潮堤
KR101968578B1 (ko) 2018-04-24 2019-04-12 광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권양기 커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042Y1 (ko) * 2003-08-06 2003-10-22 주식회사 포스코 용강시료 채취장치
KR20150050129A (ko) * 2013-10-31 2015-05-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동식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
US20160068374A1 (en) * 2014-09-09 2016-03-10 Nautical Structures Industries, Inc. High Speed, Reduced Clearance Lift
JP2018119391A (ja) * 2017-01-25 2018-08-02 泰士 高木 浮上式防潮堤
KR101968578B1 (ko) 2018-04-24 2019-04-12 광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권양기 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231B1 (ko) * 2022-10-31 2023-03-15 (주)이젠테크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9640B1 (ko)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가 적용된 인양기
KR101839094B1 (ko) 유압식 홍수벽
KR102530918B1 (ko)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
KR101368883B1 (ko) 슬라이드 방재 게이트
KR20110030102A (ko) 수문걸림장치가 구비된 와이어로프식 수문
KR20050118116A (ko) 권양기 수문의 구성방법
KR101968578B1 (ko) 권양기 커버
CN103306309A (zh) 防盗安全排水窨井盖
JP4073195B2 (ja) 水圧駆動式の防水装置
KR200460432Y1 (ko) 누수 방지된 수문개폐장치
KR102263671B1 (ko) 무동력 자동수문
JP2015074940A (ja) 駐車装置の水害対策ゲート装置
KR102510231B1 (ko) 권양기용 수분 유입 방지 장치
KR200398077Y1 (ko) 승강식 수문
KR200464234Y1 (ko) 권양기 캐노피
KR101553695B1 (ko) 스마트 수문
CN111778923A (zh) 一种轨道交通出入口半自动防淹装置
KR200377424Y1 (ko) 하천수량에 따라 배수량조절이 가능한 수문장치
KR101417885B1 (ko) 해상 선박출입장치
KR20010109059A (ko) 자동수문
CN220953806U (zh) 一种户外电缆井的防小动物排水装置
JP4079700B2 (ja) マンホールの構造
KR101230652B1 (ko) 항만 내 육상구역에 설치되는 방호벽 방수문
KR101252186B1 (ko) 방조제에서 이용할 수 있는 동기식 인양 방수문
KR102227788B1 (ko) 슬라이딩형 월파방지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