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105B1 - 투명 홍수벽 장치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투명 홍수벽 장치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105B1
KR101998105B1 KR1020190024993A KR20190024993A KR101998105B1 KR 101998105 B1 KR101998105 B1 KR 101998105B1 KR 1020190024993 A KR1020190024993 A KR 1020190024993A KR 20190024993 A KR20190024993 A KR 20190024993A KR 101998105 B1 KR101998105 B1 KR 101998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sealing member
water leve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기영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엔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엔비 filed Critical (주)에스엔비
Priority to KR1020190024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1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7/00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a part of or on one member entering a hole in the other and involving plastic deformation
    • F16B17/006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a part of or on one member entering a hole in the other and involving plastic deformation of rods or tubes to sheets or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투명 홍수벽 장치 및 그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홍수벽 장치는, 기초구조물에 수직되게 설치되되,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지주유닛; 인접하게 배치된 지주유닛들 사이에 마련되되, 양측부가 지주유닛에 의해 지지되는 투명재질의 차수판; 및 지주유닛에 밀착되게 마련되고 양측면에 차수판의 측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부가 각각 형성된 탄성력을 갖는 제1 완충부재와, 제1 완충부재를 사이에 두고 지주유닛에 대향되게 마련되고 지주유닛과 결합되어 차수판이 지주유닛에 고정되게 제1 완충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여, 차수판을 지주유닛에 고정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투명 홍수벽 장치 및 그 시공방법{TRANSPARENT FLOOD BARRIER EQUIPM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투명 홍수벽 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심하천의 경우 제방은 홍수 피해방지 목적 이외에 친수 공간 조성으로 인근 주민의 휴식 및 산책로 등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하천 공간을 주민들의 휴식공간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그리고 도심하천들이 자연형 하천으로 복원됨에 따라 하천의 고유 기능 회복은 물론 경관적인 측면도 중요시되고 있다.
통상 하류에 위치하는 도심하천의 경우에는 장기간에 걸친 토사 및 유하물의 퇴적으로 인해 장마철에 수면이 상승함에 따라 하천수가 범람하여 장마철마다 이재민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장마철 또는 기상이변으로 인한 장마철이 아닌 기간에도 국지성 호우로 인한 하천수의 범람으로 인해 국가적인 재산피해가 기하 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홍수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일환으로 하천 주변의 토지를 매수하여 제방을 축조할 수 있으나, 현실적으로 제방부지를 마련하기 위해 도심지의 밀집된 가옥과 토지를 매수하거나 수용하는 것은 천문학적인 보상비와 민원이 발생하여 사실상 추진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에 도심하천에 제방축조가 불가능한 실정임을 감안하여 도심하천 경계에 콘크리트 홍수벽을 설치하고 있으나, 이는 인근 주변과 하천의 접근을 차단하고, 경관을 해치는 흉물로 인식되었다.
이에 투명 차수판을 사용하였으나, 기온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 재질의 기초구조물의 반복적인 팽창 및 수축에 따른 변형에 의해 차수판과 기초구조물에 설치되어 차수판의 측부를 지지하는 지주부 사이에 이격이 생길 수 있고 아울러 지주부가 차수판에 가하는 압력에 의해 차수판이 마모 및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5147호(2015.11.06.공고)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온 변화에 따른 기초구조물의 변형에도 불구하고 차수판과 지주부 사이의 이격을 방지함은 물론 차수판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투명 홍수벽 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초구조물에 수직되게 설치되되,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지주유닛;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지주유닛들 사이에 마련되되, 양측부가 상기 지주유닛에 의해 지지되는 투명재질의 차수판; 및 상기 지주유닛에 밀착되게 마련되고 양측면에 상기 차수판의 측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부가 각각 형성된 탄성력을 갖는 제1 완충부재와, 상기 제1 완충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지주유닛에 대향되게 마련되고 상기 지주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차수판이 상기 지주유닛에 고정되게 상기 제1 완충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여, 상기 차수판을 상기 지주유닛에 고정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투명 홍수벽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지주유닛과 상기 제1 완충부재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제1 완충부재보다 강도가 큰 탄성력을 갖는 제2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주유닛은 상기 기초구조물의 상면에 고정되는 평판형태의 기저부; 상기 기저부에 수직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완충부재가 밀착되는 중공형상의 지주부; 및 상기 기저부에 수직되게 결합되고 상기 지주부의 내벽 및 외벽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리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브부는 상기 제1 완충부재가 밀착되는 상기 지주부의 일측 내벽에 밀착되게 결합되며 양측부가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제1 리브부; 및 상기 지주부의 일측에 대향되는 상기 지주부의 타측 외벽에 밀착되게 결합되며 양측부가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제2 리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가압부와 상기 제1 완충부재와 상기 지주부의 일측과 상기 제1 리브부를 관통하여 상기 가압부와 상기 지주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지주부의 타측과 상기 제1 완충부재와 상기 가압부를 관통하여 상기 가압부와 상기 지주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제2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지주부 및 상기 가압부의 상부에 끼움결합되되, 양측면에 상기 차수판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캡홈이 각각 형성된 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초구조물의 상면에 마련되되, 상기 차수판과 상기 기저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탄성력을 갖는 제1 실링부재; 인접하는 상기 기저부들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제1 실링부재의 상면에 밀착되고 상기 차수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기초구조물에 결합되어 상기 차수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 인접하는 상기 기저부들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제1 실링부재의 상면에 밀착되고 유수가 유입되는 방향에 대향되는 상기 차수판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기초구조물에 결합되고 상기 차수판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상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후방 지지부재;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차수판 사이에 마련된 탄성력을 갖는 제2 실링부재; 및 상기 후방 지지부재와 상기 차수판의 후면 사이에 마련된 탄성력을 갖는 제3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수판의 테두리를 따라 끼움결합되되, 상기 삽입홈부 및 상기 캡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실링부재와 상기 차수판 사이 및 상기 제3 실링부재와 상기 차수판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 프레임; 및 상기 차수판의 테두리와 상기 보강 프레임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력을 갖는 밀봉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투명 홍수벽 장치를 시공하는 투명 홍수벽 장치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초구조물에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지주유닛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완충부재의 상기 삽입홈부에 상기 차수판의 측부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차수판이 삽입된 상기 제1 완충부재를 상기 지주부에 밀착되게 배치하고 상기 제1 완충부재에 상기 가압부를 밀착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를 상기 지주부에 결합하여 상기 차수판을 상기 지주부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투명 홍수벽 장치의 시공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차수판을 상기 지주부에 고정한 후 상기 캡부의 상기 캡홈을 상기 차수판의 상단부에 삽입하고 상기 캡부를 상기 지주부 및 상기 가압부의 상부에 끼움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초구조물에 상기 지주유닛을 설치하기 전에 상기 기초구조물의 상면에 상기 제1 실링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차수판을 상기 지주부에 고정한 후 상기 차수판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기초구조물에 상기 후방 지지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수판을 탄성력을 갖는 제1 완충부재의 삽입홈부에 삽입한 후 가압부로 제1 완충부재를 가압하고 제1 완충부재를 사이에 두고 가압부를 지주유닛에 결함합으로써, 기온 변화에 따른 기초구조물의 변형에도 불구하고 차수판과 지주유닛 사이의 이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수판을 탄성력을 갖는 제1 완충부재의 삽입홈부에 삽입하므로 차수판이 지주부 및 가압부에 직접 접촉하지 않아 기초구조물의 변형에 따른 차수판의 마모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기초구조물의 변형에 따른 지주유닛이 차수판에 가하는 압력을 흡수하여 차수판의 안전성 및 내구성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주부의 내벽 및 외벽에 각각 결합되는 리브부를 마련함으로써 차수판에 가해지는 유수의 압력에 대한 지주유닛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투명 재질의 차수판을 마련함으로써 기존의 콘크리트 홍수벽이 시야를 차단하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개방감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홍수벽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홍수벽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홍수벽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유닛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수판의 테두리에 결합된 보강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B-B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D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2(b)의 C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홍수벽 장치(10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홍수벽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홍수벽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홍수벽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유닛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수판의 테두리에 결합된 보강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A-A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B-B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D 부분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2(b)의 C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홍수벽 장치(1000)는 기초구조물(S)의 상면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유닛(100)과, 인접하게 배치된 지주유닛(100)들 사이에 마련되어 유수를 차단하는 차수판(200)과, 차수판(200)의 양측부를 인접하는 지주유닛(100)들 각각에 고정하는 고정유닛(300)과, 차수판(20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유닛(40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구조물(S)은 하천, 해안 등의 연안을 따라 설치되는 인공 구조물이며 지주유닛(100)과, 차수판(200)과, 고정유닛(300) 및 지지유닛(4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기초구조물(S)은 콘크리트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틸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기초구조물(S)은 연안을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중에 매설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주유닛(100)은 기초구조물(S)의 상면에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 설치되어 차수판(2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지주유닛(100)은 기초구조물(S)의 상면에 고정되는 평판형태의 기저부(110)와, 기저부(110)에 수직되게 결합되는 중공형상의 지주부(130)와, 기저부(110)에 수직되게 결합되고 지주부(130)의 내벽 및 외벽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리브부(1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주유닛(100)은 스테인레스 등의 스틸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기저부(110)는 평판형태로 형성되며 지주부(130)와 리브부(1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기저부(110)에는 복수의 결합홀(111)이 형성되며, 앵커볼트 등이 결합홀(111)을 관통하여 기초구조물(S)의 상면에 고정됨으로써 기저부(110)를 기초구조물(S)의 상면에 고정한다.
지주부(130)는 기저부(110)에 수직되게 결합되어 차수판(200)의 측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주부(130)는 기저부(1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기저부(110)에 용접 등에 의해 수직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지주부(130)는 중공형상의 사각형 단면을 갖도록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브부(120)는 지주부(130)의 내벽 및 외벽에 밀착되어 유수의 압력에 대한 지주부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리브부(120)는 지주부(130)의 일측 내벽에 밀착되게 결합되는 제1 리브부(121)와, 지주부의 타측 외벽에 밀착되게 결합되는 제2 리브부(122)를 포함한다.
제1 리브부(121)는 기저부(110)에 수직되게 결합되며 지주부(130)의 유수가 유입되는 방향에 대향되는 일측 내벽에 밀착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2 리브부(122)는 기저부(110)에 수직되게 결합되며 지주부(130)의 일측에 대향되는 지주부(130)의 타측 외벽에 밀착되게 결합된다.
제1 리브부(121) 및 제2 리브부(122)는 지주부(130)의 일측 내벽과 타측 외벽에 밀착되어 지주부(130)의 지지력을 향상시킨다.
제1 리브부(121) 및 제2 리브부(122)는 양측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횡단면이 "ㄷ"자인 형상을 갖는다. 제1 리브부(121) 및 제2 리브부(122)는 기저부(1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기저부(110)에 용접 등에 의해 수직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 리브부(121)는 지주부(130)의 일측에 차수판(200)의 측부가 삽입된 제1 완충부재(320)를 밀착한 상태에서 제2 결합부재(350)에 의해 가압부(310)와 함께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지주부(130)의 일측 내벽과 타측 외벽에 각각 제1 리브부(121)와 제2 리브부(122)를 결합함으로써, 유수의 압력에 대한 지주부(130)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홍수벽 장치(1000)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수판(200)은 인접하는 지주유닛(100)들 사이에 마련되어 유수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2(b)를 참조하면, 차수판(200)은 양측부가 인접하게 배치된 지주유닛(100)들에 의해 지지되며, 하천이나 바다 등의 유수가 범람할 경우에 유수의 유입을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차수판(200)은 주변 경관을 구경할 수 있도록 투명한 합성수지재, 유리 등으로 형성되어 기존의 콘크리트 홍수벽이 시야를 차단하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개방감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수판(200)의 테두리에는 보강 프레임(220)이 끼움결합된다. 보강 프레임(220)은 차수판(200)의 강성을 보강하여 차수판(2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차수판(200)의 테두리와 보강 프레임(220) 사이에는 탄성력을 갖는 밀봉부재(230)가 마련된다. 밀봉부재(230)는 차수판(200)과 보강 프레임(220) 사이를 실링하여 유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차수판(200)이 유수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에 차수판(200)과 보강 프레임(220)의 직접 접촉에 따른 차수판(200)의 마모 및 파손을 방지하고 차수판(200)의 테두리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수판(200)의 테두리에 보강 프레임(220)과 밀봉부재(230)를 일체로 마련한 후, 차수판(200)을 지주유닛(100) 및 지지유닛(400)에 설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유닛(300)은 차수판(200)을 지주유닛(10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고정유닛(300)은 양측면에 차수판(200)의 측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부(321)가 각각 형성된 제1 완충부재(320)와, 제1 완충부재(320)를 가압하되 지주부(130)와 결합되어 차수판(200)을 지주부(130)에 고정하는 가압부(310)와, 가압부(310)와 지주부(130)를 상호 결합시키는 제1 결합부재(340) 및 제2 결합부재(350)와, 지주유닛(100)과 가압부(310)의 상부에 끼움결합되며 차수판(200)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캡홈(361)이 형성된 캡부(360)를 포함한다.
제1 완충부재(320)는 유수가 유입되는 방향인 지주부(130)의 일측 외벽에 밀착되어 기온 변화에 따른 기초구조물(S)의 변형에도 불구하고 차수판(200)과 지주부(130) 사이의 이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1 완충부재(320)는 차수판(200)이 지주부(130) 및 가압부(310)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기초구조물(S)의 변형에 따른 차수판(200)의 마모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기초구조물(S)의 변형에 따른 지주부(130)가 차수판(200)에 가하는 압력을 흡수하여 차수판(200)의 안전성 및 내구성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완충부재(320)는 차수판(200)에 가해지는 유수의 압력을 완충할 수 있다.
제1 완충부재(320)는 일면이 지주부(130)의 일측 외벽에 밀착되며 양측면에 차수판(200)의 측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부(321)가 각각 형성되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제조된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완충부재(32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삽입홈부(321)에 테두리에 보강 프레임(220)과 밀봉부재(230)가 마련된 차수판(200)의 측부가 삽입된다. 기온 변화에 따른 기초구조물(S)의 변형에 의해 인접하는 지주부(130)들의 상호간의 위치가 초기의 위치에서 틀어지는 경우에도 제1 완충부재(320)가 차수판(200)의 측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탄성변형되므로 지주부(130)와 차수판(200) 사이에 이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수가 지주부(130)와 차수판(200) 사이에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유닛(300)은 지주부(130)의 일측 외벽과 제1 완충부재(320) 사이에 마련된 탄성력을 갖는 제2 완충부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완충부재(330)는 제1 완충부재(320)보다 강도가 큰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제2 완충부재(330)는 제1 완충부재(320)를 지지함과 동시에 기초구조물(S)의 변형에 의해 인접하는 지주부(130)들의 상호간의 위치가 제1 완충부재(320)의 탄성 허용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도 지주부(130)에 의해 차수판(200)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충할 수 있다.
가압부(310)는 제1 완충부재(320)의 유수가 유입되는 방향에 대향되는 타면에 밀착되고 제1 완충부재(320)를 가압하며 지주부(130)와 결합되어 차수판(200)을 지주부(13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가압부(310)는 제1 완충부재(320)의 타면에 밀착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된다.
가압부(310)와 지주부(130)는 제1 결합부재(340) 및 제2 결합부재(350)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재(340)는 지주부(130)의 상부와 가압부(310)의 상부를 상호 결합하며, 제2 결합부재(350)는 지주부(130)의 하부와 가압부(310)의 하부를 상호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결합부재(340) 및 제2 결합부재(350)는 볼트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압부(310)와 지주부(130)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다.
지주부(130)와 가압부(310) 사이에 제1 완충부재(320)가 개재된 상태에서, 제1 결합부재(340)는 순차로 지주부(130)의 타측 외벽과 제1 완충부재(320)와 가압부(310)를 관통하여 제1 너트(341)에 결합된다. 또한 지주부(130)와 가압부(310) 사이에 제1 완충부재(320)가 개재된 상태에서, 제2 결합부재(350)는 순차로 가압부(310)와 제1 완충부재(320)와 지주부(130)의 일측 외벽을 관통하여 지주부(130)의 내부에 마련된 제1 리브부(121)에 설치된 제2 너트(351)에 결합된다. 또한, 제2 결합부재(350)는 제1 리브부(121)에 결합되어 제1 리브부(121)가 지주부(130)의 일측 내벽에 밀착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 시예에서는 제1 결합부재(340)와 제2 결합부재(350)를 상호 대향되게 삽입하여 가압부(310)와 지주부(130)를 상호 결합함으로써, 기초구조물(S)의 변형에 따라 지주부(130)들 상호 간의 위치가 초기위치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틀어지는 경우에도 가압부(310)와 지주부(130)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어 구조적인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다.
캡부(360)는 지주부(130)와 가압부(310)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지주부(130)와 가압부(310)의 상부에 끼움결합되어 지주부(130)와 가압부(310)가 상호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캡부(360)는 양측면에 각각 차수판(200)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캡홈(361)이 형성된다. 차수판(200)의 상단부가 캡홈(361)에 삽입되어 이동이 제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유닛(400)은 차수판(20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지지유닛(400)은 기초구조물(S)의 상면에 마련되는 탄성력을 갖는 제1 실링부재(430)와, 인접하는 기저부(110)들 사이에 마련되고 제1 실링부재(430)의 상면에 밀착되는 지지플레이트(410)와, 인접하는 기저부(110)들 사이에 마련되고 제1 실링부재(430)의 상면에 밀착되며 차수판(200)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지지부재(420)와, 지지플레이트(410)와 차수판(200)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력을 갖는 제2 실링부재(440)와, 후방 지지부재(420)와 차수판(200)의 후면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력을 갖는 제3 실링부재(450)를 포함한다.
제1 실링부재(430)는 기초구조물(S)의 상면에 밀착된다. 제1 실링부재(430)의 상부에는 지지플레이트(410)와 차수판(200) 등이 순차로 배치되므로, 특히 기초구조물(S)의 상면이 평탄하지 않는 경우에도 차수판(200)의 무게에 의해 제1 실링부재(430)가 탄성변형되어 지지플레이트(410)가 평탄한 면에 안착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링부재(430)는 지지플레이트(410)의 하부로 유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410)는 차수판(200)의 하면과 제1 실링부재(430) 사이에 마련되어 제1 실링부재(430)와 함께 차수판(200)이 평탄한 면에 안착되게 하고 차수판(2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다.
도 2(a), 도 2(b) 및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410)는 인접하는 기저부(110) 사이에 마련되며 제1 실링부재(430)의 상면에 밀착되고 차수판(200)의 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지지플레이트(410)는 앵커볼트 등에 의해 기초구조물(S)의 상면에 고정되어 차수판(200)을 지지한다.
후방 지지부재(420)는 유수가 유입되는 방향에 대향되는 차수판(200)의 후방에 배치되어 차수판(200)의 후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2(a),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지지부재(420)는 제1 실링부재(430)의 상면에 안착되는 수평부(421)와, 수평부(421)에서 상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차수판(200)의 후면을 지지하는 수직부(422)를 포함한다. 수평부(421)는 앵커볼트 등에 의해 기초구조물(S)의 상면에 고정되며, 수직부(422)는 차수판(200)의 테두리에 끼움결합된 보강 프레임(220)과 사이에 제3 실링부재(450)가 개재된 상태에서 차수판(200)의 후면을 지지한다.
제2 실링부재(440)는 지지플레이트(410)와 차수판(200) 사이에 마련되어 차수판(200)과 지지플레이트(410) 사이로 유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2 실링부재(440)는 차수판(200)이 지지플레이트(410)에 접촉되어 마모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수판(200)의 테두리에 끼움결합된 보강 프레임(220)이 제2 실링부재(440)와 접촉된다.
제3 실링부재(450)는 후방 지지부재(420)와 차수판(200)의 후면 사이에 마련되어 후방 지지부재(420)와 차수판(200) 사이로 유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3 실링부재(450)는 차수판(200)의 후면이 수직부(422)에 접촉되어 마모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수판(200)의 테두리에 끼움결합된 보강 프레임(220)이 제3 실링부재(450)와 접촉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 홍수벽 장치(1000)의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하천, 해안 등의 연안을 따라 기초구조물(S)을 설치하고, 기초구조물(S)의 상면에 제1 실링부재(430)를 고정되게 설치한다.
기초구조물(S)의 상면에 제1 실링부재(430)를 고정되게 설치한 후, 기저부(110)와 지주부(130)와 리브부(120)를 구비한 지주유닛(100)을 제1 실링부재(430)가 설치된 기초구조물(S)의 상부에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 설치한다.
그리고 인접하는 기저부(110) 사이에 지지플레이트(410)를 설치하고 지지플레이트(410)의 상면에 제2 실링부재(440)를 설치한다.
그리고 제1 완충부재(320)의 삽입홈부(321)에 테두리에 보강 프레임(220)과 밀봉부재(230)가 마련된 차수판(200)의 측부를 삽입한다.
제1 완충부재(320)의 삽입홈부에 차수판(200)의 측부를 삽입한 후, 차수판(200)을 제2 실링부재(440)의 상면에 안착시키고 제1 완충부재(320)를 지주부(130)에 밀착되게 배치한다. 제1 완충부재(320)를 지주부(130)에 밀착하기 전에 제2 완충부재(330)를 지주부(130)에 밀착되게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완충부재(320)에 가압부(310)를 밀착한 상태에서 가압부(310)를 지주부(130)에 제1 결합부재(340) 및 제2 결합부재(350)를 사용하여 결합하여 차수판(200)을 지주부(130)에 고정한다.
가압부(310)와 지주부(130)를 결합하여 차수판(200)을 지주부(130)에 고정한 후, 캡부(360)의 캡홈(361)에 차수판(200)의 상단부를 삽입하고 동시에 캡부(360)를 가압부(310) 및 지주부(130)의 상부에 끼움결합한다.
그리고 차수판(200)의 후방에 인접하는 기저부(110)들 사이에 후방 지지부재(420)를 배치한다. 후방 지지부재(420)를 기초구조물(S)에 고정설치하기 전에 후방 지지부재(420)의 수직부(422)와 차수판(200)사이에 제3 실링부재(450)를 개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0 : 투명 홍수벽 장치 100: 지주유닛
110 : 기저부 120: 리브부
121 : 제1 리브부 122 : 제2 리브부
130 : 지주부 200 : 차수판
220 : 보강 프레임 230 : 밀봉부재
300: 고정유닛 310: 가압부
320: 제1 완충부재 321: 삽입홈부
330: 제2 완충부재 340: 제1 결합부재
350: 제2 결합부재 360: 캡부
361: 캡홈 400: 지지유닛
410: 지지플레이트 420: 후방 지지부재
421: 수평부 422: 수직부
430:제1 실링부재 440: 제2 실링부재
450:제3 실링부재

Claims (11)

  1. 기초구조물에 수직되게 설치되되,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지주유닛;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지주유닛들 사이에 마련되되, 양측부가 상기 지주유닛에 의해 지지되는 투명재질의 차수판; 및
    상기 지주유닛에 밀착되게 마련되고 양측면에 상기 차수판의 측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부가 각각 형성된 탄성력을 갖는 제1 완충부재와, 상기 제1 완충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지주유닛에 대향되게 마련되고 상기 지주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차수판이 상기 지주유닛에 고정되게 상기 제1 완충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여, 상기 차수판을 상기 지주유닛에 고정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지주유닛은,
    상기 기초구조물의 상면에 고정되는 평판형태의 기저부;
    상기 기저부에 수직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완충부재가 밀착되는 중공형상의 지주부; 및
    상기 제1 완충부재가 밀착되는 상기 지주부의 일측 내벽에 밀착되게 결합되며 양측부가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제1 리브부와, 상기 지주부의 일측에 대향되는 상기 지주부의 타측 외벽에 밀착되게 결합되며 양측부가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제2 리브부를 구비한 리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가압부와 상기 제1 완충부재와 상기 지주부의 일측과 상기 제1 리브부를 관통하여 상기 가압부와 상기 지주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지주부의 타측과 상기 제1 완충부재와 상기 가압부를 관통하여 상기 가압부와 상기 지주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제2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투명 홍수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지주유닛과 상기 제1 완충부재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제1 완충부재보다 강도가 큰 탄성력을 갖는 제2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투명 홍수벽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지주부 및 상기 가압부의 상부에 끼움결합되되, 양측면에 상기 차수판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캡홈이 각각 형성된 캡부를 더 포함하는 투명 홍수벽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구조물의 상면에 마련되되, 상기 차수판과 상기 기저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탄성력을 갖는 제1 실링부재;
    인접하는 상기 기저부들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제1 실링부재의 상면에 밀착되고 상기 차수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기초구조물에 결합되어 상기 차수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
    인접하는 상기 기저부들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제1 실링부재의 상면에 밀착되고 유수가 유입되는 방향에 대향되는 상기 차수판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기초구조물에 결합되고 상기 차수판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상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후방 지지부재;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차수판 사이에 마련된 탄성력을 갖는 제2 실링부재; 및
    상기 후방 지지부재와 상기 차수판의 후면 사이에 마련된 탄성력을 갖는 제3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투명 홍수벽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판의 테두리를 따라 끼움결합되되, 상기 삽입홈부 및 상기 캡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실링부재와 상기 차수판 사이 및 상기 제3 실링부재와 상기 차수판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 프레임; 및
    상기 차수판의 테두리와 상기 보강 프레임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력을 갖는 밀봉부재를 더 포함하는 투명 홍수벽 장치.
  6. 제1항에 따른 투명 홍수벽 장치를 시공하는 투명 홍수벽 장치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초구조물에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상기 지주유닛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완충부재의 상기 삽입홈부에 상기 차수판의 측부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차수판이 삽입된 상기 제1 완충부재를 상기 지주부에 밀착되게 배치하고 상기 제1 완충부재에 상기 가압부를 밀착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를 상기 지주부에 결합하여 상기 차수판을 상기 지주부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투명 홍수벽 장치의 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판을 상기 지주부에 고정한 후 캡부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캡홈을 상기 차수판의 상단부에 삽입하고 상기 캡부를 상기 지주부 및 상기 가압부의 상부에 끼움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투명 홍수벽 장치의 시공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구조물에 상기 지주유닛을 설치하기 전에 상기 기초구조물의 상면에 제1 실링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차수판을 상기 지주부에 고정한 후 상기 차수판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기초구조물에 상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후방 지지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투명 홍수벽 장치의 시공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90024993A 2019-03-05 2019-03-05 투명 홍수벽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998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993A KR101998105B1 (ko) 2019-03-05 2019-03-05 투명 홍수벽 장치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993A KR101998105B1 (ko) 2019-03-05 2019-03-05 투명 홍수벽 장치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105B1 true KR101998105B1 (ko) 2019-07-09

Family

ID=67261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993A KR101998105B1 (ko) 2019-03-05 2019-03-05 투명 홍수벽 장치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10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368B1 (ko) 2020-09-01 2021-04-20 주식회사 한가람산업 월파 및 홍수방지 투명 방어벽
KR102385735B1 (ko) * 2022-02-18 2022-04-14 일성보산업(주) 다목적 투명 방재벽 조립체
KR20230065515A (ko) * 2021-11-05 2023-05-12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댐핑성능이 구비된 투명 방호벽
KR102570453B1 (ko) * 2023-03-20 2023-08-25 대청산업기술 주식회사 각도 조절이 가능한 투명 홍수 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20952B1 (ko) * 2023-07-13 2024-01-08 (주)에스엔비 월파방지용 투명 방어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6428A (ko) * 1997-01-23 1998-10-15 여상구 방음벽과 그 방음벽에 적합한 방음판
KR100729345B1 (ko) * 2006-11-24 2007-06-15 메리츠산업주식회사 원통형 방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KR101030093B1 (ko) * 2010-07-27 2011-04-20 (주)성소엔지니어링 투명 방음벽
KR101565147B1 (ko) 2015-03-16 2015-11-06 (주)에스엔비 투명 홍수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6428A (ko) * 1997-01-23 1998-10-15 여상구 방음벽과 그 방음벽에 적합한 방음판
KR100729345B1 (ko) * 2006-11-24 2007-06-15 메리츠산업주식회사 원통형 방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KR101030093B1 (ko) * 2010-07-27 2011-04-20 (주)성소엔지니어링 투명 방음벽
KR101565147B1 (ko) 2015-03-16 2015-11-06 (주)에스엔비 투명 홍수벽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368B1 (ko) 2020-09-01 2021-04-20 주식회사 한가람산업 월파 및 홍수방지 투명 방어벽
KR20230065515A (ko) * 2021-11-05 2023-05-12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댐핑성능이 구비된 투명 방호벽
KR102577909B1 (ko) * 2021-11-05 2023-09-12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댐핑성능이 구비된 투명 방호벽
KR102385735B1 (ko) * 2022-02-18 2022-04-14 일성보산업(주) 다목적 투명 방재벽 조립체
KR102570453B1 (ko) * 2023-03-20 2023-08-25 대청산업기술 주식회사 각도 조절이 가능한 투명 홍수 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20952B1 (ko) * 2023-07-13 2024-01-08 (주)에스엔비 월파방지용 투명 방어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8105B1 (ko) 투명 홍수벽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715144B1 (ko) 홍수범람 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098896B1 (ko) 인조잔디 운동장용 배수블록, 배수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20130041045A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 겸용 배수장치
KR102158274B1 (ko) 투명 홍수 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36858B1 (ko) 배수관을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2000175B1 (ko) 도로구조물 배수 신축이음구조
KR20000044699A (ko) 일체식 교대 교량의 시공방법
KR20230065515A (ko) 댐핑성능이 구비된 투명 방호벽
KR101570953B1 (ko)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장치
KR101216310B1 (ko) 도로구조물의 무소음 신축이음구조
KR101654173B1 (ko) 설치 및 보수가 용이한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장치
KR100808574B1 (ko) 지중에 형성되는 관로의 고정수단
KR101610070B1 (ko) 급속시공이 가능한 투과형 사방댐
JP7183819B2 (ja) 堤体の浸透破壊抑止構造
KR20180021534A (ko) 내진보강을 위한 교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10052980A (ko) 수로 이음부 누수방지장치
KR100203205B1 (ko) 다목적댐의 종장형 2단수문의 광폭압축방수장치
KR101740960B1 (ko) 부력을 이용한 수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0744972B1 (ko) 건축용 조립식 흙막이 구조
KR100642331B1 (ko) 연약지반의 도로 교량용 교대 뒷채움부의 차수시설
KR200265335Y1 (ko) 연약지반용 지하수 유출부 하수관 설치구조
KR102548870B1 (ko) 승하강식 월류방지벽
KR102351211B1 (ko) 상하부 구조물의 보강장치
KR102620952B1 (ko) 월파방지용 투명 방어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