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6428A - 방음벽과 그 방음벽에 적합한 방음판 - Google Patents

방음벽과 그 방음벽에 적합한 방음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6428A
KR19980066428A KR1019970001938A KR19970001938A KR19980066428A KR 19980066428 A KR19980066428 A KR 19980066428A KR 1019970001938 A KR1019970001938 A KR 1019970001938A KR 19970001938 A KR19970001938 A KR 19970001938A KR 19980066428 A KR19980066428 A KR 19980066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proof
transparent
channel
sides
transparent sound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1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3712B1 (ko
Inventor
여상구
Original Assignee
여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상구 filed Critical 여상구
Priority to KR1019970001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3712B1/ko
Publication of KR19980066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3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3712B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투명방음판을 2변지지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시야를 양호하게 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투명방음판의 깨짐시 교환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방호벽(2)의 상단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는 빔(4)과; 상기 빔(4)과 빔(4)의 사이에 다수열로 설치되고 사각형상을 갖는 투명방음판(10)과; 상기 투명방음판(10)의 상, 하단면이 타 투명방음판(10)의 하단면 및 상단면과 직접 면접촉된 상태에서 이의 양측변을 지지하기 위한 변지지수단(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음벽과 그 방음벽에 적합한 방음판
본 발명은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투명방음판을 2변지지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시야를 양호하게 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투명방음판의 깨짐시 교환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달리는 도로변 양측에는 이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도로의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막아주기 위하여 방음벽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차량 탑승객들의 시야를 좋게 하기 위하여 투명방음판을 이용한 방음벽이 주로 설치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투명 방음판은 광선을 소정 크기의 투과율 이상으로 투과할 수 있으면서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소정 두께를 가져야 하며 또한 풍속에 따른 안전도를 고려하여 투명방음판과 투명방음판은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음벽은 도로변 양측을 따라 설치된 콘크리트 방호벽의 상단면에 고정되는데, 상기 방음벽이 방호벽에 설치되는 구조를 살펴보면 종래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다.
즉, 방호벽(100)에는 일정간격으로 H 형상을 갖는 빔(102)이 브래킷(104)을 개재하여 고정 결합되고, 사각형상을 갖는 투명방음판(106)의 4변은 프레임(108)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빔(102)과 빔(102)의 사이에는 그 하부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투명방음판(106)을 4변지지한 프레임(108)을 빔(102)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8)은 빔(102)과 브래킷(110)을 개재하여 고정시켜 주거나 프레임(106)의 일측면에 탄성부재를 삽입한 후 탄성부재를 눌러 주면서 탄성부재와 빔의 내측면으로 브래킷을 삽입하여 고정시켜 주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투명방음판을 프레임에 의하여 4변지지하여 빔에 설치되므로 인하여 수평방향으로 시야가 부분적으로 가리게 됨은 물론 미관을 좋지 못하게 되고, 투명방음판의 깨짐이 발생될시 교환 작업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교통사고 발생시 주로 빔의 하부에 위치한 투명방음판이 깨지게 되고, 상기 빔의 하부에 위치한 투명방음판이 깨지게 되어 교환작업을 하려면 깨진 투명방음판의 상부에 위치한 투명방음판 및 프레임과 빔과의 체결을 풀어준 후 4변이 프레임으로 지지된 투명방음판을 빔으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깨진 투명방음판은 프레임을 해체한 후 분리 제거하게 되며 새로운 투명방음판에 프레임을 재장착하여 교환하므로 그 만큼 교환 작업이 어렵게 되었던 것이다.
또한, 투명방음판을 프레임으로 4변지지하는 만큼 프레임의 소요 증가로 제조원가가 상승됨에 따라서 투명방음판의 두께가 프레임의 원가에 의하여 제한을 받게 되며 이로 인하여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시켜 주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방음판을 2변지지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시야를 양호하게 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투명방음판의 깨짐시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방음벽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호벽의 상단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는 빔과; 상기 빔과 빔의 사이에 다수열로 배치되고 사각형상을 갖는 투명방음판과; 상기 투명방음판의 상, 하단면이 타 투명방음판의 하단면 및 상단면과 직접 면접촉된 상태에서 이의 양측변을 지지하기 위한 변지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투명방음판은 이의 좌, 우측변이 각각 변지지수단에 의하여 2변지지 되고, 투명방음판과 타 투명방음판의 상, 하단면은 각각 직접 면접촉되므로 빔과 빔사이의 수평방향으로 시야를 가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방음판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방음벽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방음벽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방호벽(2)의 상단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H 형상의 단면을 갖는 빔(4)이 브래킷(6)을 개재하여 고정 결합된다.
상기 빔(4)과 빔(4)의 사이에는 하부로부터 다수열로 배치되면서 사각형상을 갖는 불투명방음판(8)이 설치되고, 상기 불투명방음판(8)의 상단에는 다수열로 배치되어 사각형상을 갖는 투명방음판(10)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투명방음판(10)은 상기한 방호벽(2)의 상단면에 바로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투명방음판(10)의 상, 하단면이 타 투명방음판(10)의 하단면 및 상단면과 직접 면접촉된 상태에서 이의 양측변을 지지하기 위한 변지지수단(12)이 결합되고, 상기 변지지수단(12)은 빔(4)의 내측면에 밀착된 브래킷(14)에 탄지되는 탄성부재(16)의 탄성력에 의하여 고정 결합된다.
상기 투명방음판(10)은 광선을 소정 크기의 투과율 이상으로 투과할 수 있으면서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소정 두께를 갖고서 플라스틱등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지지수단(12)은 투명방음판(10)의 일측변을 세로방향을 따라 감싸면서 소정의 결합수단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유연성을 갖는 판상의 부재(18)와; 상기 부재(18)의 양측으로 세로방향을 따라 각각 고정되는 소정 형상의 제1채널(20)과 제2채널(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부재(18)는 빔(4)의 내측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빔(4)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재(18)는 투명방음판(10)의 열 팽창 및 수축에 따른 좌, 우 변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빔(4)과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수단은 투명방음판(10)이 양쪽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제1체결공(24)과; 상기 체결공과 대응 결합되기 위하여 부재 및 제1채널과 제2채널에 각각 형성된 제2, 제3체결공(26)(28)과; 상기 제1, 제2, 제3체결공에 삽입되는 투명방음판, 부재, 제1채널 및 제2채널을 일체로 체결하기 위한 볼트(30)와 너트(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체결공(24)은 투명방음판(10)의 열수축, 팽창에 의한 상, 하 변화를 고려하여 제2체결공(26)과 제3체결공(28)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방음판(10)은 타 투명방음판(10)과 견고하게 결합되어 풍속등에 의한 투명방음판(10)의 휨을 방지함과 아울러 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음시켜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상단면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반원형상의 걸림홈(34)을 형성하고, 그 하단면에는 가로방향으로 따라 반원형상의 걸림돌기(36)를 형성한다.
상기 투명방음판(10)의 상, 하단면과 걸림홈(34) 및 걸림돌기(36)에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접착제를 도포한다.
상기 제2채널(22)은 타 제2채널(22)과 보다 견고한 결합이 될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연결편(38)이 볼트(30)에 의하여 제2채널(22)의 하단 및 타 제2채널(22)의 상단에 각각 결합된다.
이에 따라 투명방음판(10)은 이의 좌, 우측변이 각각 변지지수단(12)의 부재(18)와 제1채널(20) 및 제2채널(22)에 의하여 2변지지 되고, 투명방음판(10)과 타 투명방음판(10)의 상, 하단면은 각각 걸림돌기(36)가 걸림홈(34)에 걸리게 되면서 직접 면접촉되므로 빔(4)과 빔(4)사이의 수평방향으로 시야를 가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빔(4)과 빔(4)의 사이에 위치한 투명유리판(10)이 깨지게 되어 교환 작업을 하려면 먼저 깨진 투명방음판(10)에 위치한 연결판(38)의 결합을 풀어준후 결합수단의 볼트(30)과 너트(32)의 체결을 풀어준다.
상기 결합수단의 체결이 풀리게 되면 변지지수단(12)의 부재(18)가 빔(4)의 내측면으로 벌어지게 되므로 깨진 투명방음판(10)의 걸림돌기(36)를 타 투명방음판(10)의 걸림홈(34)으로부터 분리하여 깨진 투명방음판(10)을 빔(4)과 빔(4)사이로 부터 빼낸다.
그리고 새로운 투명방음판(10)의 상, 하단면과, 걸림돌기(36) 및 걸림홈(34)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빔(4)과 빔(4)의 사이로 위치하게 한 후 상기 새로운 투명방음판(10)의 걸림돌기(36)와 걸림홈(34)을 각각 타 투명유리판(10)의 걸림홈(34)과 걸림돌기(36)에 걸리게 한다.
상기 새로운 투명방음판(10)의 양측면을 변지지수단(12)의 부재(18)에 의하여 감싸주고, 제1체결공(24), 제2체결공(26) 및 제3체결공(28)에 볼트(30)를 삽입하여 너트(32)에 투명방음판(10), 부재(18), 연결편(38), 제1채널(20) 및 제2채널(22)을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변지지수단(12)의 제1채널은 빔(4)의 내측면에 밀착된 브래킷(14)에 탄지되는 탄성부재(16)의 탄성력에 의하여 고정 결합시켜 주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투명방음판을 2변지지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시야를 양호하게 하고, 미관을 좋게 하고, 투명방음판의 깨짐시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투명방음판의 상, 하에 프레임을 삭제할 수 있게 되므로 그 만큼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투명방음판의 두께를 증대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시켜 주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방호벽(2)의 상단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는 빔(4)과; 상기 빔(4)과 빔(4)의 사이에 다수열로 배치되고 사각형상을 갖는 투명방음판(10)과; 상기 투명방음판(10)의 상, 하단면이 타 투명방음판(10)의 하단면 및 상단면과 직접 면접촉된 상태에서 이의 양측변을 지지하기 위한 변지지수단(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방음판(10)은 그 상단면에 가로방향을 따라 반원형상의 걸림홈(36)을 형성하고, 그 하단면에는 가로방향으로 따라 반원형상의 걸림돌기(38)를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지지수단(12)은 투명방음판(10)의 일측변을 감싸면서 소정의 결합수단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유연성을 갖는 판상의 부재(18)와; 상기 부재(18)의 양측으로 세로방향을 따라 각각 고정되는 소정 형상의 제1채널(20)과 제2채널(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투명방음판(10)이 양쪽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제1체결공(26)과; 상기 체결공과 대응 결합되기 위하여 부재 및 제1채널과 제2채널에 각각 형성된 제2, 제3체결공(28)(30)과; 상기 제1, 제2, 제3체결공에 삽입되는 투명방음판과 부재와 제1채널 및 제2채널을 일체로 체결하기 위한 볼트(32)와 너트(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채널(22)은 타 제2채널(22)과 보다 견고한 결합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연결편(38)이 볼트(30)에 의하여 제2채널(22)의 하단 및 타 제2채널(22)의 상단에 각각 결합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KR1019970001938A 1997-01-23 1997-01-23 방음벽과 그 방음벽에 적합한 방음판 KR100273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1938A KR100273712B1 (ko) 1997-01-23 1997-01-23 방음벽과 그 방음벽에 적합한 방음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1938A KR100273712B1 (ko) 1997-01-23 1997-01-23 방음벽과 그 방음벽에 적합한 방음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428A true KR19980066428A (ko) 1998-10-15
KR100273712B1 KR100273712B1 (ko) 2000-12-15

Family

ID=19495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1938A KR100273712B1 (ko) 1997-01-23 1997-01-23 방음벽과 그 방음벽에 적합한 방음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37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1681B1 (ko) * 2002-09-09 2005-09-28 매크로드 주식회사 방음벽용 방음판 결합구조물
KR101998105B1 (ko) * 2019-03-05 2019-07-09 (주)에스엔비 투명 홍수벽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430764B1 (ko) * 2021-07-02 2022-08-08 박찬규 도로용 방음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1682B1 (ko) * 2002-09-09 2005-08-31 매크로드 주식회사 방음벽을 이루는 방음판 고정용 아답터
KR100724021B1 (ko) 2006-07-28 2007-06-04 주용산업주식회사 멀티형 방음패널을 갖는 방음벽
KR101052054B1 (ko) * 2010-09-20 2011-07-26 에스에이 주식회사 Led를 갖는 투명방음패널의 풍압조절가능한 h빔 체결 시스템
KR101648907B1 (ko) 2014-12-17 2016-08-18 서울과학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흡음성능을 보유한 방음벽 고정장치
KR101664013B1 (ko) 2014-12-31 2016-10-11 서울과학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국소반응형 공명흡음판에 이용되는 저속유동용 가이드그릴 및 그 제조공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808U (ja) * 1982-06-25 1983-01-17 日鐵金属工業株式会社 防音壁パネルのシ−ル材剥離防止構造
KR960015772B1 (ko) * 1993-12-10 1996-11-21 위성호 폐자재를 이용한 다목적 조립식판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1681B1 (ko) * 2002-09-09 2005-09-28 매크로드 주식회사 방음벽용 방음판 결합구조물
KR101998105B1 (ko) * 2019-03-05 2019-07-09 (주)에스엔비 투명 홍수벽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430764B1 (ko) * 2021-07-02 2022-08-08 박찬규 도로용 방음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3712B1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0468A (en) Facing element for floors, ceilings, walls and the like
KR100242887B1 (ko) 소음차단벽 및 그 설치방법
KR19980066428A (ko) 방음벽과 그 방음벽에 적합한 방음판
KR200397818Y1 (ko) 건축물의 외장벽 조립체 및 그 시공구조
JP3615842B2 (ja) 遮音板取付構造
KR101042326B1 (ko) 방음패널
KR100466410B1 (ko) 방음벽용 수지 방음판
KR101057833B1 (ko) 외장재가 부착된 건물 벽의 방수장치
JP2002146936A (ja) 建築用金属板及びその加工方法並びに断熱材の支持用桟材
KR102643260B1 (ko) 무용접 단열하지 시스템
KR20020036692A (ko) 내차판넬
KR200377459Y1 (ko) 격자형 십자중문 조립체
JP2714110B2 (ja) パネルの目地構造
KR200274866Y1 (ko) 가설방음벽 구조
KR200287858Y1 (ko) 블럭 조립식 방음벽
KR960009407Y1 (ko) 방음패널의 설치구조
JP4928392B2 (ja) 遮音パネル及び遮音パネル取付壁
JP3044171B2 (ja) ゲート
KR200375911Y1 (ko) 격자형 중문 조립체
KR200441051Y1 (ko) 방음벽용 방음판
KR200261572Y1 (ko) 내차판넬
KR100219885B1 (ko) 벽면 마감재
KR970001552Y1 (ko) 차음식 방음벽의 설치구조
KR200230651Y1 (ko) 흡음벽
JP3440443B2 (ja) 壁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