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407Y1 - 방음패널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방음패널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407Y1
KR960009407Y1 KR2019930007509U KR930007509U KR960009407Y1 KR 960009407 Y1 KR960009407 Y1 KR 960009407Y1 KR 2019930007509 U KR2019930007509 U KR 2019930007509U KR 930007509 U KR930007509 U KR 930007509U KR 960009407 Y1 KR960009407 Y1 KR 9600094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proof panel
soundproof
connecting portion
shaped stee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75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6930U (ko
Inventor
남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부
한경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부, 한경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부
Priority to KR20199300075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407Y1/ko
Publication of KR9400269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69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4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4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58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방음패널의 설치구조
제1도는 종래 방음페널의 설치구조를 예시한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방음패널의 조립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B-B선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상하로 분리되는 프레임에 방음패널이 조립되는 상태를 예시한 분리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상부프레임 60 : 하부프레임
본 고안은 방음패널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요철형태를 갖는 한 쌍의 프레임에 방음패널을 조립가능하게 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방음패널의 연결부위에 기밀성을 부여하여 방음효과를 크게 개선할 수 있는 방음페널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음벽은 주변의 소음을 차단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방음벽은 소음의 정도에 따라 그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음벽은 일정규격을 갖는 패널형태로 하여 이를 다양한 높이로 쌓고, 그 양측을 I형강으로 고정시키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음페널의 설치구조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다. 제1도는 방음패널(10)을 다단으로 설치하고 그 양측을 I형강(20)으로 고정시킨 구조를 보이고 있다. 제2도는 방음패널(10)의 양측을 앵글플에이트(30)를 고정수단(32)으로 하여 I형강(20)에 고정시킨 구조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음패널(10)의 설치구조를 보면 그 설치구조가 간단한 것은 사실이나, 설치구조가 갖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단으로 설치된 방음패널(10)들 사이에는 틈새(C)가 발생될 소지가 있다. 이러한 틈새(C)가 발생하게 되면 방음벽의 구실을 제대로 하지 못하여 소음을 유발시키는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틈새(C)가 발생되는 요인을 살펴보면, 방음패널(10)은 형틀에서 대량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규격이 정확하여 별다른 문제점이 없으나, I형강(20)은 방음벽을 설치할 장소에서 현장시공을 함에 따라 세워진 I형강(20)이 조금이라도 삐뚤어지거나 기울기를 갖고 설치되면, 그 기울기의 정도에 따라 틈새(C)가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종래와 같이 I형강의 기울기에 따라 발생되는 틈새를 방지하기 위하여 I형강이 어느 정도의 기울기를 갖더라도 틈새가 전혀 발생되지 않토록 하여 완벽한 방음벽을 제공하고, 조립성을 개선하여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킨 방음패널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요철형태를 갖는 한 쌍의 상,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요홈부에 방음패널을 상하로 개재시키고, 상기 하부프레임을 이용하여 방음패널의 양측에 개재시켜 하나의 프레임을 조립하되, 요철형태로 상, 하부프레임을 조립하여 다단으로 방음패널을 설치하게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 종래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부호를 명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방음패널의 조립구조를 보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음패널(10)의 사면을 한 쌍의 요철형태를 갖는 상, 하부프레임(50, 60)으로 조립되게 이들 프레임(50, 60)은 양 단면을 경사지게 절단하고 앵글플레이트(70)로 맞대고 고정수단(72)으로 고정시킨 구조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50, 60)에 의하여 조립된 방음패널(10)은 하부프레임(60)의 양측을 제2도와 같이 앵글플레이트(30)에 고정수단(32)으로 하여 I형강(20)에 고정시키면 된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50)은 길이방향의 상측으로 돌출접속부(52)가 형성되고 하측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요홈부(54)가 형성되며 그 측면으로 턱이진 요홈(56)이 형성되어 일정간격으로 나사공(58)이 형성된다. 하부프레임(60)은 길이방향의 상측으로 요홈부(64)가 형성되고 그 측면으로 턱이진 요홈(66)이 형성되어 일정간격으로 나사공(68)이 형성되며, 하측의 일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요홈접속부(62)가 형성된다.
상기 상, 하부프레임(50, 60)의 요홈부(54, 64)에 방음패널(10)을 개재시키고, 또 방음패널(10)의 양 측면에 하부프레임(60)을 세워서 요홈부(64)에 개재시켜 고정수단(80)으로 체결하면 제3도와 같이 하나의 방음패널(10)의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방음패널(10)의 양측에 하부프레임(60)을 형성시키지 않은 상태로 하여 I형강(20)에 설치할 수 있으며, 또는 방음패널(10)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하부프레임(60)에 요홈부(64)만을 형성하고 요홈 접속부(62)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는 방음패널(10)의 양측이 I형강(20)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요홈접속부(62)는 아무런 기능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요홈접속부(62)를 삭제시킨 하부프레임(60)은 강도 및 제조하기가 유리하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방음패널(10)은 다단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는 제4도 및 제5도에서와 같이 하부프레임(60)의 요홈접속부(62)에 상부프레임(50)의 돌출접속부(52)를 연결시키면 요철형태로 하부프레임(60)에 상부프레임(50)이 조립되어 또 다른 방음패널(10)을 요홈부(54, 64)에 개재시켜 소정하는 높이의 방음벽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방음패널(10)을 다단으로 형성시에 방음패널들 사이에는 틈새가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되는데, 이는 방음패널(10)이 상, 하부프레임(50, 60)에 설치되고, 또 상, 하부프레임(50, 60)이 돌출접속부(52)와 요홈접속부(62)에 의하여 연결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I형강(20)을 설치시에 삐뚤어지거나 또는 다소의 기울기가 발생된다 하더라도 접속부(52, 62)에 의하여 틈새가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일체로 형성되는 상, 하부프레임(50, 60)은 알루미늄과 같은 경금속으로 제조가 가능하고 강도를 갖는 플라스틱으로도 제조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하부프레임(60)의 요홈접속부(62)의 일측을 길이방향으로 절개시킨 것으로 그 부분을 절개시키더라도 강도에는 별다른 문제점이 없기 때문이며, 절개된 만큼의 재료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설치장소에서 방음패널(10)을 프레임(50, 60)에 조립시켜 설치할 수 있고, 생산현장에서 일괄적으로 조립하여 이를 설치장소에서 바로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시공성을 개선하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방음패널의 설치구조를 보면, 사각형태의 형틀을 이루는 프레임에 방음패널을 고정시켜 I형강에 설치함으로써 시공성과 틈새가 방지되어 방음효과가 뛰어난 방음벽을 형성할 수 있는 매우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2)

  1. 일정규격을 갖는 방음패널(10)을 I형강(20)에 설치시켜 소정하는 높이의 방음벽을 형성함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돌출접속부(52)와 요홈부(54)을 형성한 상부프레임(50)과, 길이방향으로 요홈부(64)와 요홈접속부(62)를 형성한 하부프레임(60)이 서로 요철형태로 조립되게 하여 상기 요홈부(54, 64)에 방음패널(10)을 고정수단으로 조립하고 접속부(52, 62)에 의하여 다단으로 방음패널(10)을 조립가능하게 하고 I형강(20)에 고정수단에 의하여 설치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방음패널의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방음패널(10)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하부프레임(60)에 요홈부(64)만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방음패널의 설치구조.
KR2019930007509U 1993-05-06 1993-05-06 방음패널의 설치구조 KR9600094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7509U KR960009407Y1 (ko) 1993-05-06 1993-05-06 방음패널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7509U KR960009407Y1 (ko) 1993-05-06 1993-05-06 방음패널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6930U KR940026930U (ko) 1994-12-09
KR960009407Y1 true KR960009407Y1 (ko) 1996-10-21

Family

ID=19354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7509U KR960009407Y1 (ko) 1993-05-06 1993-05-06 방음패널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40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6930U (ko) 199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8392A (en) Arrangement for mounting panel assemblies on a building
KR100242887B1 (ko) 소음차단벽 및 그 설치방법
US3858850A (en) Adjustable picket rail assembly for stairways
KR960009407Y1 (ko) 방음패널의 설치구조
JP3946269B2 (ja) 成形材を固定するための台座
KR200429283Y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방음판용 프레임
JPH07247518A (ja) 遮音壁上端に対する吸音体の取付方法
KR19980066428A (ko) 방음벽과 그 방음벽에 적합한 방음판
KR0157240B1 (ko) 조립식 패널의 코너 연결부위용 조립 브라켓
KR200307676Y1 (ko) 방음벽용 분리형 방음판의 이음 구조물
KR200405934Y1 (ko) 방음벽용 투명 방음패널
JP3044171B2 (ja) ゲート
US5103611A (en) Panel unit
JP2534710Y2 (ja) 遮音パネル
JPS5844726Y2 (ja) 建物用外壁パネルの出角部構造
KR200146934Y1 (ko) 복층격자창호의 문짝결합구조
JPH024206Y2 (ko)
GB2223043A (en) Arrangement for mounting panel assemblies on a building
KR0115394Y1 (ko) 방음 창틀의 모서리 연결부재
JPS592259Y2 (ja) ケンチクヨウガイソウバンノ コ−ナヒフクグ
KR200183394Y1 (ko) 끼움홈이 형성된 프레임과 브라켓트의 상호 체결구조
KR200274866Y1 (ko) 가설방음벽 구조
JP2555546Y2 (ja) 配線ユニットの固定金具
JPS6339351Y2 (ko)
JP2627119B2 (ja) 曲面カーテンウォールにおけるカーテンウォールユニット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