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283Y1 -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방음판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방음판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283Y1
KR200429283Y1 KR2020060020407U KR20060020407U KR200429283Y1 KR 200429283 Y1 KR200429283 Y1 KR 200429283Y1 KR 2020060020407 U KR2020060020407 U KR 2020060020407U KR 20060020407 U KR20060020407 U KR 20060020407U KR 200429283 Y1 KR200429283 Y1 KR 2004292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rame
sound insulation
transparent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4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흥룡
Original Assignee
이흥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77767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29283(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흥룡 filed Critical 이흥룡
Priority to KR20200600204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2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2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2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4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inside U-shaped sectio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23Tray or frame type panels or block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동일한 형상을 가지면서 투명방음판의 사방 테두리에 결합됨과 아울러 프레임이 적층되어 서로 맞추어지는 연결면 상에는 만곡된 힌지부 및 힌지부가 안착되는 밀착회전부를 형성함으로써, 밀착회전부에 삽입된 힌지부에 의해서 투명방음판이 일정 각도로 굴절되게 적층되더라도 연결면 사이의 틈새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방음판용 프레임이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은 내부에 차음공동이 형성된 긴 관 형상의 본체와,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투명방음판의 테두리가 끼워져 고정되는 삽입홈과, 삽입홈의 대향하는 본체에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또 다른 프레임과 서로 맞추어지는 연결면을 구비하며, 연결면은 삽입홈에 대향하는 본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면서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천장부와, 천정부의 일측 단부에서 본체의 외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됨과 아울러 마찬가지로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힌지부와, 천정부의 타측 단부에서 본체의 내측으로 침강되게 형성되면서 마찬가지로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밀착회전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방음판용 프레임{FRAME FOR SOUND INSULATION BOAR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방음판용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음판용 프레임을 정면도이고,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이 장착된 투명방음판들의 적층상태를 보인도면이며, 그리고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이 장착된 투명방음판들이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하부호의설명>
100 :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방음판용 프레임 110 : 본체
120 : 삽입홈 130 : 연결면
132 : 천장부 134 : 힌지부
136 : 밀착회전부 138 : 돌출부
본 고안은 방음판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일한 형상 을 가지면서 투명방음판의 사방 테두리에 결합됨과 아울러 프레임이 적층되어 서로 맞추어지는 연결면 상에는 만곡된 힌지부 및 힌지부가 안착되는 밀착회전부를 형성함으로써, 밀착회전부에 삽입된 힌지부에 의해서 투명방음판이 일정 각도로 굴절되게 적층되더라도 연결면 사이의 틈새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방음판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음판은 다수개가 상하로 적층됨과 동시에 좌우로 연결되면서 하나의 방음벽을 이루는 것으로, 주로 소음을 저감시킬 필요가 있는 주택가의 도로변 또는 학교 등의 도로변에 설치된다.
전술한 방음판은 주로 알루미늄이나 철판, 혹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박판을 일정형상으로 성형한 후, 전면판 및 후면판 사이에 흡음재를 충전시켜 제작되었으나, 최근에는 일조권 확보, 시야 확보 및 겨울철 도로의 적설된 눈을 신속하게 녹일 수 있는 투명방음판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투명방음판들을 다수개가 도로변을 따라 다단으로 수직하게 적층 설치됨과 아울러 일측으로 연속되게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서 투명방음판의 사방면 상에는 프레임들이 장착된다.
그런데, 종래 프레임들은 상부 및 하부프레임 그리고 좌우측 프레임의 형상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프레임의 형상에 따른 압출금형이 필요하여 생산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생산단가가 상승하고, 투명방음판에 조립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코너(CORNER)가 형성된 도로변에 설치 시에는 어느 하나의 프레임과 이웃한 프레임 상에 틈새가 발생하여 틈새를 폐쇄하는 추가작업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면서 투명방음판의 사방 테두리에 결합됨과 아울러 프레임이 적층되어 서로 맞추어지는 연결면 상에는 만곡된 힌지부 및 힌지부가 안착되는 밀착회전부를 형성함으로써, 밀착회전부에 삽입된 힌지부에 의해서 투명방음판이 일정 각도로 굴절되게 적층되더라도 연결면 사이의 틈새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방음판용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통상의 투명방음판의 사방 테두리에 장착되는 프레임에 있어서,
프레임은;
내부에 차음공동이 형성된 긴 관 형상의 본체와,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투명방음판의 테두리가 끼워져 고정되는 삽입홈과, 삽입홈의 대향하는 본체에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또 다른 프레임과 서로 맞추어지는 연결면을 구비하며, 연결면은 삽입홈에 대향하는 본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면서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천장부와, 천정부의 일측 단부에서 본체의 외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됨과 아울러 마찬가지로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힌지부와, 천정부의 타측 단부에서 본체의 내측으로 침강되게 형성되면서 마찬가지로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밀착회전부를 구비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방음판용 프레 임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동일한 형상을 가지면서 투명방음판의 사방 테두리에 결합됨과 아울러 프레임이 적층되어 서로 맞추어지는 연결면 상에는 만곡된 힌지부 및 힌지부가 안착되는 밀착회전부를 형성함으로써, 밀착회전부에 삽입된 힌지부에 의해서 투명방음판이 일정 각도로 굴절되게 적층되더라도 연결면 사이의 틈새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방음판용 프레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방음판용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음판용 프레임을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방음판용 프레임(100)은 통상의 투명방음판(S)의 사방 테두리를 따라 결합된다. 즉, 종래 투명방음판(S)에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진 프레임이 결합되었지만, 본 고안에 따르면 투명방음판(S)에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100)이 투명방음판(S)의 사방 테두리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서, 전술한 프레임(100)은 본체(110)와, 본체(110)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투명방음판(S)의 테두리가 끼워져 고정되는 삽입홈(120)과, 삽입홈(120)의 대향하는 본체(110)에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또 다른 프레임(100)과 서로 맞추어지는 연결면(130)을 구비한다.
먼저, 본체(110)는 내부에 차음공동(遮音空洞; 112)이 형성된 긴 관 형상을 가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체(110)는 사각 관 형상으로 도시되었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함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체(110)에는 삽입홈(120) 및 요철 형상의 연결면(130)이 일체로 형성된다.
삽입홈(120)은 본체(110)의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서 본체(110)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본체(110)를 따라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홈(120)에는 투명방음판(S)의 테두리가 삽입되고, 삽입홈(120)에 삽입된 투명방음판(S)은 실리콘 코킹 처리된다.
한편, 연결면(130)은 삽입홈(120)에 대향하는 본체(110)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면서 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천장부(132)와, 천정부(132)의 일측 단부에서 본체(110)의 외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됨과 아울러 마찬가지로 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힌지부(134)와, 천정부(132)의 타측 단부에서 본체(110)의 내측으로 침강되게 형성되면서 마찬가지로 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밀착회전부(136)를 구비한다.
이때, 힌지부(134)의 끝단은 천정부(132)의 끝단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천정부(132) 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밀착회전부(136)는 본체(110)의 내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데, 힌지부(134)는 또 다른 프레임(100)의 밀착회전부(136)에 맞추어지고, 밀착회전부(136)는 또 다른 프레임(100)의 힌지부(134)에 맞추어지며, 천정부(132)는 또 다른 프레임(100)의 천정부(132)와 서로 밀착된다(도 3a 참조).
바람직하게는 힌지부(134)와, 밀착회전부(136)는 동일한 곡률로 만곡된다.
한편, 연결면(130)은 천정부(132)와 밀착회전부(136) 사이에 힌지부(134)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는 돌출부(138)가 더 구비하는데, 돌출부(138)는 힌지부(134)와 마찬가지로 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138)의 단부는 또 다른 본체(110)에 밀착된다(도 3a 참조).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방음판용 프레임(100)이 투명방음판(S)에 장착되는 상태 및 프레임(100)이 장착된 투명방음판(S)의 연결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프레임(100)을 투명방음판(S)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본체(110)를 투명방음판(S)의 상부 테두리 및 하부 테두리의 길이, 그리고 좌우측 테두리의 길이에 맞추어 절단한다.
이렇게 본체(110)가 절단되어 준비되면, 우선 투명방음판(S)의 사방 테두리에 본체(110)의 삽입홈(120)을 끼운 후, 실리콘 코킹 처리한다. 이때, 투명방음판(S)의 상부 및 하부, 그리고 투명방음판(S)의 좌측 및 우측에 장착된 본체(100)는 서로 엇갈리게 장착된다. 다시 말하면, 투명방음판(S)의 어느 한 면을 정면으로 했을 때, 투명방음판(S)의 상부 테두리에 장착된 프레임(100)의 힌지부(134)가 투명방음판(S)의 정면을 향하도록 장착하며 투명방음판(S)의 하부 테두리에 장착된 프레임(100)은 힌지부(134)가 투명방음판(S)의 배면을 향하도록 장착한다. 마찬가지로 투명방음판(S)의 좌측 및 우측 테두리에 장착된 프레임(100)의 동일한 방법으로 서로 엇갈리게 장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방 테두리에 프레임(100)이 장착된 다수의 투명방음판(S)이 준비되면, 투명방음판(S)을 방음벽(W)을 형성하고자 하는 도로변에 수직하게 적층함과 아울러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연결한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이 장착된 투명방음판들의 적층상태를 보인도면이며, 그리고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이 장착된 투명방음판들이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프레임(100)이 사방 테두리에 장착된 어느 하나의 투명방음판(S)의 상부에는 마찬가지로 프레임(100)이 사방 테두리에 장착된 또 다른 투명방음판(S)이 적층되는데, 이때, 어느 하나의 투명방음판(S)의 상부 테두리에 장착된 프레임(100)의 연결면(130)의 밀착회전부(136) 및 힌지부(134)에는 또 다른 투명방음판(S)의 하부 테두리에 장착된 프레임(100)의 연결면(130)의 힌지부(134) 및 밀착회전부(136)가 서로 맞추어진다. 한편, 어느 하나의 투명방음판(S)의 상부 테두리에 장착된 프레임(100)의 연결면(130)의 천정부(132)와, 또 다른 투명방음판(S)의 하부 테두리에 장착된 프레임(100)의 연결면(130)의 천정부(132)는 서로 밀착되고, 마찬가지로 어느 하나의 투명방음판(S)의 상부 테두리에 장착된 프레임(100)의 연결면(130)의 돌출부(138)의 단부 및 또 다른 투명방음판(S)의 하부 테두리에 장착된 프레임(100)의 연결면(130)의 돌출부(138)의 단부는 각각의 본체(110)에 밀착된다.
한편, 도 3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이 장착된 어느 하나의 투명방음판(S)과, 프레임(100)이 장착된 또 다른 투명방음판(S)이 경사지게 연결되어도 어느 하나의 투명방음판(S)에 장착된 프레임(100)의 밀착회전부(136)와 또 다른 투명방음판(S)에 장착된 프레임(100)의 힌지부(134)가 서로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연결면(130)에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b는 방음벽(W)의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연결된 상태만을 도시하였지만, 방음벽(W)의 상단을 도로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할 때도 적용 가능함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방음판용 프레임(100)은 어느 하나의 프레임(100)과 또 다른 프레임(100)이 맞추어지는 연결면(130) 상에 힌지부(134) 및 힌지부(134)가 안착되는 밀착회전부(136)를 형성함으로써, 밀착회전부(136)에 삽입된 힌지부(134)에 의해서 투명방음판(S)이 일정 각도로 굴절되게 적층되더라도 연결면(130) 사이의 틈새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투명방음판(S)의 사방 테두리에는 동일한 형상의 프레임(100)이 장착되기 때문에, 종래 서로 다른 형상의 프레임이 장착되는 투명방음판(S)에 비하여 투명방음판(S)의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압출금형으로 프레임(100)의 생산할 수 있어 생산성 및 가공, 조립이 용이한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통상의 투명방음판의 사방 테두리에 장착되는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내부에 차음공동이 형성된 긴 관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투명방음판의 테두리가 끼워져 고정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대향하는 상기 본체에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또 다른 상기 프레임과 서로 맞추어지는 연결면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면은 상기 삽입홈에 대향하는 상기 본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천장부와, 상기 천정부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됨과 아울러 마찬가지로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힌지부와, 상기 천정부의 타측 단부에서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침강되게 형성되면서 마찬가지로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밀착회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방음판용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의 끝단은 상기 천정부의 끝단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천정부 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며, 상기 밀착회전부는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와, 상기 밀착회전부는 동일한 곡률로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방음판용 프레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면은 상기 천정부와 상기 밀착회전부 사이에 상기 힌지부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힌지부와 마찬가지로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방음판용 프레임.
KR2020060020407U 2006-07-28 2006-07-28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방음판용 프레임 KR2004292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407U KR200429283Y1 (ko) 2006-07-28 2006-07-28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방음판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407U KR200429283Y1 (ko) 2006-07-28 2006-07-28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방음판용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283Y1 true KR200429283Y1 (ko) 2006-10-19

Family

ID=41777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407U KR200429283Y1 (ko) 2006-07-28 2006-07-28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방음판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28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562B1 (ko) * 2009-07-31 2010-05-10 (주) 케이 이엔씨 투명방음판용 프레임 및 다수의 투명방음판이 적층 설치되어진 방음벽
KR101160490B1 (ko) * 2011-03-08 2012-06-28 알루텍 (주) 방음 패널용 연결 프레임
KR101381964B1 (ko) 2012-04-18 2014-04-10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방음벽 시스템
KR101814195B1 (ko) * 2017-01-20 2018-01-02 주식회사 삼우에이엔씨 방음벽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562B1 (ko) * 2009-07-31 2010-05-10 (주) 케이 이엔씨 투명방음판용 프레임 및 다수의 투명방음판이 적층 설치되어진 방음벽
KR101160490B1 (ko) * 2011-03-08 2012-06-28 알루텍 (주) 방음 패널용 연결 프레임
KR101381964B1 (ko) 2012-04-18 2014-04-10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방음벽 시스템
KR101814195B1 (ko) * 2017-01-20 2018-01-02 주식회사 삼우에이엔씨 방음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3932B1 (ko) 투명 방음판
KR200429283Y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방음판용 프레임
US20040035083A1 (en) Extruded bracket with miter cut
KR20210071345A (ko) 풍하중에 대한 강성이 우수한 방음판
KR200430910Y1 (ko) 방음벽용 가변형 지주 가림판
KR200405934Y1 (ko) 방음벽용 투명 방음패널
JP3155719B2 (ja) パネル組立構造体とこれを用いた防音室
KR200320452Y1 (ko) 투명방음판의 프레임구조
KR101066260B1 (ko) 빔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벽
KR20090021835A (ko) 차음재용 프레임, 그 프레임을 사용하여 조립된 차음판 및차음벽
CN218028333U (zh) 一种安装方便的隔墙板
KR100601140B1 (ko) 도로변의 파형 방음벽
JP2531250Y2 (ja) 透光性防音板
JP3739733B2 (ja) 成形出隅柱およびそれを用いた出隅部施工構造
KR0129232Y1 (ko) 조립식 방음판넬
CN215255594U (zh) 一种门扇框型材
CN218844124U (zh) 一种镶边立体玻璃门
JP2005098066A5 (ko)
KR100526955B1 (ko) 방음벽
KR960009407Y1 (ko) 방음패널의 설치구조
JP4249678B2 (ja) 道路用防眩板
JPH024206Y2 (ko)
KR100838014B1 (ko) 에어컨 모서리 지지대
JP2534710Y2 (ja) 遮音パネル
KR101168996B1 (ko) 장식재 조립형 프레임구조의 투명 방음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20611

Effective date: 2012070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412

Effective date: 20130220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