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1964B1 - 방음벽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음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1964B1
KR101381964B1 KR1020120040239A KR20120040239A KR101381964B1 KR 101381964 B1 KR101381964 B1 KR 101381964B1 KR 1020120040239 A KR1020120040239 A KR 1020120040239A KR 20120040239 A KR20120040239 A KR 20120040239A KR 101381964 B1 KR101381964 B1 KR 101381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unit
circular curved
curved surface
circula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7247A (ko
Inventor
김동익
Original Assignee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0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1964B1/ko
Publication of KR20130117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시스템은, 그 상부는 상부방음유닛과 체결되고, 그 하부에는 제1원형곡면이 형성되는 상부연결유닛, 그 하부는 하부방음유닛과 체결되고, 그 상부에는 상기 제1원형곡면과 대응하여 제2원형곡면이 형성되는 하부연결유닛, 및 상부는 상기 제1원형곡면에 슬라이딩되도록 밀착되고, 하부는 상기 제2원형곡면에 슬라이딩되도록 밀착되는 원형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원형파이프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연결유닛과 상기 하부연결유닛의 경사각을 조절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상부연결유닛과 하부연결유닛이 원형파이프를 기초로 경사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연결유닛의 제1하부면과 상기 하부연결유닛의 제1상부면 사이의 거리를 길게 형성하여 상기 상부연결유닛과 상기 하부연결유닛의 경사각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하부면과 상기 하부연결유닛의 제2상부면을 밀착시키고, 상기 상부연결유닛의 제2하부면과 상기 제1상부면을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상부연결유닛과 상기 하부연결유닛을 별도의 원형파이프 없이 이들을 직선형으로 배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음벽 시스템{WALL SYSTEM FOR ABSORBING SOUND}
본 발명은 도로를 따라서 설치되어 차량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주변의 주거공간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여 도로주변의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방음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음벽은 소음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소음을 감소시켜 전반적인 소음분포를 일정기준 이하로 낮추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방음벽의 종류에는 음파의 대부분을 흡수하는 흡음형, 음파의 대부분을 반사하는 반사형, 입사되는 음파와 반사되는 음파를 서로 간섭시키는 간섭형, 음파를 공명에 의해서 감소시키는 공명형 등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한 실시예에 따라서 도로 주변에 설치된 방음벽 시스템의 일부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시스템의 개략적인 측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보여주는 부분 상세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방음벽 시스템(10)은 도로를 따라서 일정간격을 두고 지면에서 상부로 설치되는 빔(20), 및 상기 빔(20) 사이에 설치되어 하부에서 상부로 배열되는 방음유닛(100)을 포함한다.
상기 방음유닛(100)은 서로 상하 방향으로 체결되어 도로측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주택가로 전달되는 강도를 줄인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도로에 인접한 부분에서 하부는 상기 방음유닛(100)이 서로 상하 직선형태로 설치되는 부분이고, 상부쪽으로 올라갈수록 상기 방음유닛(100)은 도로쪽으로 굽어지는 곡선형태로 체결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두 개의 방음유닛(100a, 100b)이 접합되는 부분에는 홈(130)과 돌기(120) 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방음유닛(100a, 100b)이 곡선형으로 설치됨에 따라서 접합되는 부분에는 미세틈이 형성되어 체결구조가 불안전할 뿐만 아니라 소음이 정상적으로 차단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방음시스템이 방음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디자인 관점에서 원형 타원형 등 곡선형태로 설계되고 있으며 이러한 곡선형태를 따라서 방음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부분에 체결구조를 안정적으로 하고, 미세틈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소음을 정상적으로 차단시키는 방음벽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시스템은, 그 상부는 상부방음유닛과 체결되고, 그 하부에는 제1원형곡면이 형성되는 상부연결유닛, 그 하부는 하부방음유닛과 체결되고, 그 상부에는 상기 제1원형곡면과 대응하여 제2원형곡면이 형성되는 하부연결유닛, 및 상부는 상기 제1원형곡면에 슬라이딩되도록 밀착되고, 하부는 상기 제2원형곡면에 슬라이딩되도록 밀착되는 원형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원형파이프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연결유닛과 상기 하부연결유닛의 경사각을 조절가능하게 한다.
상기 상부연결유닛의 하부면에서, 상기 제1원형곡면이 끝나는 일측에는 제1하부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원형곡면이 끝나는 타측에는 제2하부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하부면은 상기 제1하부면보다 더 낮은 곳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연결유닛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연결유닛의 상부면에서, 상기 제1하부면과 대응하여 제1상부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하부면에 대응하여 제2상부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상부면은 상기 제1상부면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연결유닛이 형성된다.
상기 제1하부면과 상기 제1상부면이 가까워지도록 상기 상부연결유닛과 상기 하부연결유닛이 경사지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시스템은, 그 상부는 상부방음유닛과 체결되고, 그 하부에는 제1원형곡면이 형성되는 상부연결유닛, 그 하부는 하부방음유닛과 체결되고, 그 상부에는 상기 제1원형곡면과 대응하여 제2원형곡면이 형성되는 하부연결유닛, 상기 상부연결유닛의 하부면에서, 상기 제1원형곡면이 끝나는 일측에는 제1하부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원형곡면이 끝나는 타측에는 제2하부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하부면은 상기 제1하부면보다 더 낮은 곳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연결유닛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연결유닛의 상부면에서, 상기 제1하부면과 대응하여 제1상부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하부면에 대응하여 제2상부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상부면은 상기 제1상부면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연결유닛이 형성된다.
상부는 상기 제1원형곡면에 슬라이딩되도록 밀착되고, 하부는 상기 제2원형곡면에 슬라이딩되도록 밀착되는 원형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형파이프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연결유닛과 상기 하부연결유닛을 설정각도 범위에서 경사지게 배치한다.
상기 제1하부면과 상기 제1상부면이 가까워지도록 상기 상부연결유닛과 상기 하부연결유닛이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상부연결유닛의 상기 제1하부면과 상기 하부연결유닛의 상기 제2상부면이 접하고, 상기 상부연결유닛의 상기 제2하부면과 상기 하부연결유닛의 상기 제1상부면이 접하도록 상기 상부연결유닛과 상기 하부연결유닛을 체결하여, 상기 상부연결유닛과 상기 하부연결유닛이 직선형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시스템은, 상부연결유닛과 하부연결유닛이 원형파이프를 기초로 경사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연결유닛의 제1하부면과 상기 하부연결유닛의 제1상부면 사이의 거리를 길게 형성하여 상기 상부연결유닛과 상기 하부연결유닛의 경사각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하부면과 상기 하부연결유닛의 제2상부면을 밀착시키고, 상기 상부연결유닛의 제2하부면과 상기 제1상부면을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상부연결유닛과 상기 하부연결유닛을 별도의 원형파이프 없이 이들을 직선형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한 실시예에 따라서 도로 주변에 설치된 방음벽 시스템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시스템의 개략적인 측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보여주는 부분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시스템에서 연결유닛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시스템에서 연결유닛이 직선형으로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시스템에서 연결유닛이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3에서 기재된 방음벽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미 공지된 모든 실시예에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시스템에서 연결유닛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연결유닛(410a)의 상부에는 제1홈(420a)이 형성되고, 하부연결유닛(410b)의 하부에는 제2홈(420b)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연결유닛(410a)은 상기 제1홈(420a)을 통해서 상부방음유닛(400a)과 체결되고, 상기 하부연결유닛(410b)은 상기 제2홈(420b)을 통해서 하부방음유닛(400b)과 체결된다.
상기 상부연결유닛(410a)의 하부 중심에는 원형의 단면모양을 갖는 제1원형곡면(430a)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연결유닛(410b)의 상부 중심에는 원형의 단면모양을 갖는 제2원형곡면(430b)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원형곡면(430a)과 상기 제2원형곡면(430b)은 서로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부연결유닛(410a)에서, 상기 제1원형곡면(430a)이 끝나는 부분의 그 일측에는 제1하부면(440a)이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제2하부면(450a)이 형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연결유닛(410a)이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하부면(440a)과 상기 제2하부면(450a) 사이에는 거리차(d)가 형성되어, 상기 제1하부면(440a)이 상기 제2하부면(450a)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한다.
아울러, 하부연결유닛(410b)에서, 상기 제2원형곡면(430b)이 끝나는 부분의 그 일측에는 제1상부면(440b)이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제2상부면(450b)이 형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연결유닛(410b)이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상부면(440b)과 상기 제2상부면(450b) 사이에는 거리차(d)가 형성되어, 상기 제1상부면(440b)이 상기 제2상부면(450b)보다 더 낮은 곳에 위치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시스템에서 연결유닛이 직선형으로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연결유닛(410a)의 상기 제1하부면(440a)은 상기 하부연결유닛(410b)의 상기 제2상부면(450b)과 밀착되고, 상기 상부연결유닛(410a)의 상기 제2하부면(450a)은 상기 하부연결유닛(410b)의 상기 제1상부면(440b)과 밀착된다.
즉, 상기 상부연결유닛(410a)과 하부연결유닛(410b)은 경사지지 않고, 수직한 직선형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하부면(440a)과 상기 제2하부면(450a) 사이의 상기 거리차(d)와 상기 제1상부면(440b)과 상기 제2상부면(450b) 사이의 거리차가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상부연결유닛(410a)과 상기 하부연결유닛(410b)을 엇갈리게 배치하여 이들을 직선형으로 배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시스템에서 연결유닛이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연결유닛(410a)과 상기 하부연결유닛(410b) 사이에는 원형파이프(600)가 개재된다.
상기 원형파이프(600)의 상부외주면은 상기 상부연결유닛(410a)의 상기 제1원형곡면(430a)에 슬라이딩되도록 밀착되고, 상기 원형파이프(600)의 하부외주면은 상기 하부연결유닛(410b)의 상기 제2원형곡면(430b)에 슬라이딩되도록 밀착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연결유닛(410a)의 상기 제1하부면(440a)과 상기 하부연결유닛(410b)의 상기 제1상부면(440b)이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상부연결유닛(410a)의 상기 제2하부면(450a)과 상기 하부연결유닛(410b)의 상기 제2상부면(450b)이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상부연결유닛(410a)과 상기 하부연결유닛(410b)은 상기 원형파이프(6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원형파이프(600)의 외주면을 따라서 슬라이딩되어 그 경사각이 조절된다.
특히, 상기 제1하부면(440a)과 상기 제1상부면(440b)이 가까워지도록 상기 상부연결유닛(410a)과 상기 하부연결유닛(410b)은 경사지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연결유닛(410a)과 상기 하부연결유닛(410b)이 상기 원형파이프(600)를 기초로 경사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하부면(440a)과 상기 제1상부면(440b) 사이의 거리를 길게 형성하여 상기 상부연결유닛(410a)과 상기 하부연결유닛(410b)의 경사각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하부면(440a)과 상기 제2상부면(450b)을 밀착시키고, 상기 제2하부면(450a)과 상기 제1상부면(440b)을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상부연결유닛(410a)과 상기 하부연결유닛(410b)을 별도의 원형파이프(600) 없이 이들을 직선형으로 배치할 수 있다.
도 6에서, 상기 원형파이프는 내부가 빈 중공의 구조이나, 내부가 채워진 봉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원형파이프의 외주면과 상기 제1,2원형곡면 사이에 체결구조를 강화하기 위해서 홈과 돌기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400a: 상부방음유닛
400b: 하부방음유닛
410a: 상부연결유닛
410b: 하부연결유닛
420a: 제1홈
420b: 제2홈
430a: 제1원형곡면
430b: 제2원형곡면
440a: 제1하부면
450a: 제2하부면
440b: 제1상부면
450b: 제2상부면
600: 원형파이프

Claims (7)

  1. 그 상부는 상부방음유닛과 체결되고, 그 하부에는 제1원형곡면이 형성되는 상부연결유닛;
    그 하부는 하부방음유닛과 체결되고, 그 상부에는 상기 제1원형곡면과 대응하여 제2원형곡면이 형성되는 하부연결유닛; 및
    상부는 상기 제1원형곡면에 슬라이딩되도록 밀착되고, 하부는 상기 제2원형곡면에 슬라이딩되도록 밀착되는 원형파이프; 를 포함하고,
    상기 원형파이프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연결유닛과 상기 하부연결유닛의 경사각을 조절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상부연결유닛의 하부면에서,
    상기 제1원형곡면이 끝나는 일측에는 제1하부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원형곡면이 끝나는 타측에는 제2하부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하부면은 상기 제1하부면보다 더 낮은 곳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연결유닛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연결유닛의 상부면에서,
    상기 제1하부면과 대응하여 제1상부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하부면에 대응하여 제2상부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상부면은 상기 제1상부면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연결유닛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시스템.
  3. 제2항에서,
    상기 제1하부면과 상기 제1상부면이 가까워지도록 상기 상부연결유닛과 상기 하부연결유닛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시스템.
  4. 그 상부는 상부방음유닛과 체결되고, 그 하부에는 제1원형곡면이 형성되는 상부연결유닛;
    그 하부는 하부방음유닛과 체결되고, 그 상부에는 상기 제1원형곡면과 대응하여 제2원형곡면이 형성되는 하부연결유닛;
    상기 상부연결유닛의 하부면에서,
    상기 제1원형곡면이 끝나는 일측에는 제1하부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원형곡면이 끝나는 타측에는 제2하부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하부면은 상기 제1하부면보다 더 낮은 곳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연결유닛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연결유닛의 상부면에서,
    상기 제1하부면과 대응하여 제1상부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하부면에 대응하여 제2상부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상부면은 상기 제1상부면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연결유닛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시스템.
  5. 제4항에서,
    상부는 상기 제1원형곡면에 슬라이딩되도록 밀착되고, 하부는 상기 제2원형곡면에 슬라이딩되도록 밀착되는 원형파이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형파이프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연결유닛과 상기 하부연결유닛을 설정각도 범위에서 경사지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시스템.
  6. 제5항에서,
    상기 제1하부면과 상기 제1상부면이 가까워지도록 상기 상부연결유닛과 상기 하부연결유닛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시스템.
  7. 제4항에서,
    상기 상부연결유닛의 상기 제1하부면과 상기 하부연결유닛의 상기 제2상부면이 접하고, 상기 상부연결유닛의 상기 제2하부면과 상기 하부연결유닛의 상기 제1상부면이 접하도록 상기 상부연결유닛과 상기 하부연결유닛을 체결하여,
    상기 상부연결유닛과 상기 하부연결유닛이 직선형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시스템.
KR1020120040239A 2012-04-18 2012-04-18 방음벽 시스템 KR101381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239A KR101381964B1 (ko) 2012-04-18 2012-04-18 방음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239A KR101381964B1 (ko) 2012-04-18 2012-04-18 방음벽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247A KR20130117247A (ko) 2013-10-25
KR101381964B1 true KR101381964B1 (ko) 2014-04-10

Family

ID=49636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239A KR101381964B1 (ko) 2012-04-18 2012-04-18 방음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19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82205B (zh) * 2021-03-08 2022-03-04 山东高速高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调节安装的全铝隔音装饰墙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0571A (ko) * 2003-11-04 2003-11-28 김순자 차음패널 지지장치
KR200410322Y1 (ko) 2005-12-03 2006-03-07 주식회사 세화폴리텍 투명방음판 조립체
KR200429283Y1 (ko) 2006-07-28 2006-10-19 이흥룡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방음판용 프레임
KR101218343B1 (ko) 2012-04-27 2013-01-03 주식회사 에코프랜 누음 방지와 진동 흡수가 가능한 방음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0571A (ko) * 2003-11-04 2003-11-28 김순자 차음패널 지지장치
KR200410322Y1 (ko) 2005-12-03 2006-03-07 주식회사 세화폴리텍 투명방음판 조립체
KR200429283Y1 (ko) 2006-07-28 2006-10-19 이흥룡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방음판용 프레임
KR101218343B1 (ko) 2012-04-27 2013-01-03 주식회사 에코프랜 누음 방지와 진동 흡수가 가능한 방음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247A (ko) 201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4322C2 (ru) Звукоизол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CN206328674U (zh) 一种用于桥梁伸缩缝的降噪保护装置
KR101381964B1 (ko) 방음벽 시스템
JP2011074823A (ja) オイルパン構造
KR20130115817A (ko) 방음벽 시스템
KR20150040883A (ko) 차량 휠 림
KR102276820B1 (ko) 방음벽 패널
KR20130116726A (ko) 방음벽 시스템
KR20130115816A (ko) 방음벽 시스템
EP1355006A1 (en) An acoustic insulation barrier for railway lines
KR101542547B1 (ko) 회절소음 감소를 위한 방음판넬 조립체
KR100782161B1 (ko) 방음부재
JP7058169B2 (ja) 防音壁
KR101473302B1 (ko) 흡음형 방음판
JP2017115570A (ja) 防音壁用防音装置
JP4251969B2 (ja) 防音装置および防音壁
KR101280408B1 (ko) 감쇠부재를 구비하는 방음벽
JP6305716B2 (ja) ガードパイプ用端部緩衝具及びそれを用いたガードパイプ
CN105378239A (zh) 油底壳以及油底壳装置
KR100803944B1 (ko) 방음용 중앙분리대
JP5636027B2 (ja) 遮音性ベランダ構造
JP4170196B2 (ja) 防音装置
CN103419848A (zh) 车辆用配管固定部结构
JP3290333B2 (ja) 防音装置およびそれが取付けられた防音壁
KR200436219Y1 (ko) 방음벽용 소음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