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2161B1 - 방음부재 - Google Patents

방음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2161B1
KR100782161B1 KR1020060080588A KR20060080588A KR100782161B1 KR 100782161 B1 KR100782161 B1 KR 100782161B1 KR 1020060080588 A KR1020060080588 A KR 1020060080588A KR 20060080588 A KR20060080588 A KR 20060080588A KR 100782161 B1 KR100782161 B1 KR 100782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proof
plate
coupling portion
soundproof member
sound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0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익
Original Assignee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0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21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2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2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7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open cavities, e.g. for covering sunken roads
    • E01F8/0052Grate-style, e.g. as wall facing
    • E01F8/0058Grate-style, e.g. as wall facing with damping material, e.g. rockwool, san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9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porous surfaces, e.g. concrete with porous fi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1Free-standing grates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방음부재(100a) 및 하부 방음부재(100b)와의 적층구조에 의해 방음벽을 형성하는 방음부재(100)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110), 상부 방음부재(100a)의 하측 경사 결합부(130a)에 결합하도록, 본체(110)의 상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상측 경사 결합부(120), 하부 방음부재(100b)의 상측 경사 결합부(120b)에 결합하도록, 본체(110)의 하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하측 경사 결합부(130)를 포함하는 방음부재(100)를 제시한다.
이는 별도의 메인 프레임이 없더라도 방음벽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편한 시공이 가능하고, 방음부재의 보수 또는 교체가 용이하면서도, 시공 비용을 저렴하게 한다는 효과를 얻도록 한다.
방음부재, 방음벽, 경사

Description

방음부재{SOUNDPROOF MEMBER}
도 1,2는 종래의 방음부재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방음부재에 의해 형성된 방음벽의 사시도.
도 2는 단면도.
도 3 내지 6은 본 발명에 의한 방음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은 제1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제2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제2실시예에 의해 형성된 방음벽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00a,100b : 방음부재 110 : 본체
111 : 외측판 112 : 흡음부재 장착부
113 : 반사판 지지부 1131 : 상측 반사판 지지부
1132 : 하측 반사판 지지부 114 : 반사판
1141 : 상측 반사판 1142 : 하측 반사판
115 : 흡음부재 장착턱 120,120a,120b : 상측 경사 결합부
121 : 내측 홈부 122 : 외측 돌부
123 : 상측 경사판 130,130a,130b : 하측 경사 결합부
131 : 내측 돌부 132 : 외측 홈부
133 : 하측 경사판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방음부재 상호의 적층구조에 의해 방음벽을 형성하는 방음부재에 관한 것이다.
방음벽이란, 소음의 전달과정에서 소음을 감쇠시켜 주변지역의 전반적인 소음분포를 일정기준 이하로 낮추어 주는 소음저감대책용 구조물을 말한다.
방음벽의 종류에는 흡음형(음파의 대부분을 흡수함), 반사형(방음판에 의해 음파의 대부분을 반사함), 간섭형(입사되는 음파와 반사되는 음파가 섞여 감쇠됨), 공명형(방음판에 구멍이 뚫려 있고 내부에 공동이 있어 음파가 공명에 의해 감쇠됨) 등이 있다.
도 1,2는 종래의 방음벽 및 이를 구성하는 방음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방음벽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지지대(20) 사이에 복수의 방음부재(10)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됨으로써 구성된다.
여기서, 방음부재(10)란, 방음블럭 및 방음판넬과 같이 방음벽을 구성하는 일단위 구조물을 통칭한 것으로서, 흡음부재(11)와 반사판(12)에 의해 구성되는 것 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흡음부재(11)와 반사판(12)은 서로 다른 재질에 의해 형성되고, 방음부재(10) 내부의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되는 것이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비대칭 구조를 취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를 취하는 방음부재(10) 만의 결합구조로는 많은 풍압에 저항하여 안정성이 확보되기 어려우므로, 반드시 별도의 메인 프레임에 방음부재(10)가 장착된 구조를 채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별도의 메인 프레임을 이용하여 방음벽을 설치하는 종래의 구조는, 시공이 번거롭다는 점, 방음부재의 보수 또는 교체를 위한 해체작업이 어렵다는 점, 시공 비용이 비싸다는 점 등에서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메인 프레임이 없더라도 방음벽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편한 시공이 가능하고, 방음부재의 보수 또는 교체가 용이하면서도, 시공 비용이 저렴하도록 하는 구조의 방음부재를 제시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부 방음부재(100a) 및 하부 방음부재(100b)와의 적층구조에 의해 방음벽을 형성하는 방음부재(100)에 있어서, 본체(110), 상기 상부 방음부재(100a)의 하측 경사 결합부(130a)에 결합하도록, 상기 본체(110)의 상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상측 경사 결합부(120), 상기 하부 방음부재(100b)의 상측 경사 결합부(120b)에 결합하도록, 상기 본체(110)의 하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하측 경사 결합부(130)를 포함하는 방음부재(100)를 제시한다.
상기 상측 경사 결합부(120) 및 하측 경사 결합부(130)는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측 경사 결합부(120) 및 하측 경사 결합부(130)는 도로의 외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측 경사 결합부(120)는 내측에 형성된 내측 홈부(121), 외측에 형성된 외측 돌부(12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측 경사 결합부(130)는 상기 하부 방음부재(100b)의 상기 내측 홈부(121b)에 결합하도록, 내측에 형성된 내측 돌부(131), 상기 하부 방음부재(100b)의 상기 외측 돌부(122b)에 결합하도록, 외측에 형성된 외측 홈부(13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측 경사 결합부(120)는 상기 내측 홈부(121) 및 외측 돌부(122) 사이에 상측 경사판(123)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측 경사 결합부(130)는 상기 하부 방음부재(100b)의 상기 상측 경사판(123b)과 면접촉되도록, 상기 내측 돌부(131) 및 외측 홈부(132) 사이에 하측 경사판(133)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10)는 외측에 형성된 외측판(111), 흡음부재(30)가 장착되도록, 상기 외측판(111)의 내측에 형성된 흡음부재 장착부(11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10)는 상기 외측판(111)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복수의 반사판 지지부(113), 상기 반사판 지지부(113)의 단부에 설치된 반사판(114)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반사판 지지부(113)의 상하면에는 흡음부재 장착턱(115)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흡음부재 장착부(112)는 상기 복수의 반사판 지지부(113) 사이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10)는 외측에 형성된 외측판(111), 상기 외측판(111)의 상측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상측 경사판(123)의 하단에 연결되는 상측 반사판 지지부(1131), 상기 상측 반사판 지지부(1131)의 단부에 설치된 상측 반사판(1141), 상기 외측판(111)의 하측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하측 경사판(133)의 상단에 연결되는 하측 반사판 지지부(1132), 상기 하부 방음부재(100b)의 상기 상측 반사판(1141b)과 결합하도록, 상기 하측 반사판 지지부(1132)의 단부에 설치된 하측 반사판(1142)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측 반사판 지지부(1131)의 하면 및 상기 하측 반사판 지지부(1132)의 상면에는 흡음부재 장착턱(115)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상측 반사판 지지부(1131) 및 하측 반사판 지지부(1132)의 사이에는 흡음부재 장착부(112)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10)는 목분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상부 방음부재(100a) 및 하부 방음부재(100b)와의 적층구조에 의해 방음벽을 형성하는 방음부재(100)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110), 상부 방음부재(100a)의 하측 경사 결합부(130a)에 결합하도록, 본체(110)의 상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상측 경사 결합부(120), 하부 방음부재(100b)의 상측 경사 결합부(120b)에 결합하도록, 본체(110)의 하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하측 경사 결합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방음부재(10)를 구성하는 흡음부재(11)와 반사판(12)이 서로 다른 재질에 의해 형성되고, 방음부재(10) 내부의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되어, 전체적으로 비대칭 구조를 취함에 따라, 종래의 방음벽 구조물은 반드시 별도의 메인 프레임에 방음부재(10)가 장착된 구조를 취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되었다.
도 3은 방음부재(100)가 흡음부재(30)와 반사판(114)에 의해 구성된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의한 경사 결합구조가 채용되지 않은 경우를 가정하고 살펴보면, 비교적 가벼운 재질에 의한 흡음부재(30)가 좌측(도로의 외측)에 장착되고, 이에 비해 무거운 재질에 의한 반사판(114)이 우측(도로의 내측)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기본적으로 우측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예측할 수 있다.
반대로, 방음부재(100)가 좌우대칭을 이루고 있다고 가정하고, 본 발명에 의한 경사 결합구조가 채용된 경우를 살펴보면, 그 경사 결합구조로 인하여 방음부재(100)들이 좌측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2가지 현상을 상호 상쇄하여, 전체적으로 대칭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별도의 메인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고, 단지 방음부재(100)들이 상호 적층된 구조를 취하더라도, 풍압 기타 외부하중에 대한 저항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를 얻도록 하는 것이다.
상측 경사 결합부(120) 및 하측 경사 결합부(130)는 상호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동일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방음부재(100)가 일정한 형상으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므로, 이들 경사 결합부(120,130)도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사판(114)과 같이 무거운 부재는 도로의 내측에 설치되고 방음부재(30)와 같이 가벼운 부재는 도로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무게중심을 도로의 외측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상측 경사 결합부(120) 및 하측 경사 결합부(130)는 도로의 외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측 경사 결합부(120) 및 하측 경사 결합부(130)의 구체적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들 경사 결합부(120,130)는 기본적으로 상하 방음부재(100)를 결합하는 구조로서, 그 결합부가 소정 경사를 갖도록 하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관계없으며, 도 4 내지 6은 이들 중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측 경사 결합부(120)는 내측에 형성된 내측 홈부(121), 외측에 형성된 외측 돌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측 경사 결합부(130)는 하부 방음부재(100b)의 내측 홈부(121b)에 결합하도록, 내측에 형성된 내측 돌부(131), 하부 방음부재(100b)의 외측 돌부(122b)에 결합하도록, 외측에 형성된 외측 홈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기본적으로 돌부와 홈부에 의한 끼움식 결합구조이나, 상측 경사 결합부(120) 또는 하측 경사 결합부(130)에 돌부 또는 홈부를 모두 형성하지 않고, 그 각각의 결합부(120,130)가 각각 돌부 및 홈부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안정된 결합을 이룰 수 있다는 효과를 얻도록 한 것이다.
나아가, 경사로 인한 응력집중이 예상되는 지점인 방음부재(100)의 결합부 좌측(도로의 외측) 하단에는, 상측 경사 결합부(120)의 외측 돌부(122)가 하측 경사 결합부(130)의 외측 홈부(132)에 장착되는 구조가 형성되므로, 더욱 안정된 구조의 방음벽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측 경사 결합부(120) 및 하측 경사 결합부(130)가 위와 같은 돌부, 홈부 구조를 취하는 것만에 의해서도 본 발명의 기본적인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나, 후술하는 바와 같은 경사판(123,133)의 면접촉 구조를 추가하는 경우, 더욱 안정된 결합을 얻을 수 있다.
즉, 상측 경사 결합부(120)의 내측 홈부(121) 및 외측 돌부(122) 사이에 상측 경사판(123)이 형성되고, 하측 경사 결합부(130)는 하부 방음부재(100b)의 상측 경사판(123b)과 면접촉되도록, 내측 돌부(131) 및 외측 홈부(132) 사이에 하측 경사판(133)이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그것이다.
본체(110)는 흡음부재, 반사판 등이 장착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관계없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외측(도로의 외측)에 형성된 외측판(111), 흡음부재(30)가 장착되도록, 외측판(111)의 내측에 형성된 흡음부재 장착부(112)를 포함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본체(110)는 외측판(111)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복수의 반사판 지지부(113), 반사판 지지부(113)의 단부에 설치된 반사판(11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복수의 반사판 지지부(113)의 상하면에는 흡음부재 장착턱(115)이 돌출형성되고, 흡음부재 장착부(112)는 복수의 반사판 지지부(113)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흡음부재(30)가 위 장착턱(115)에 의해 장착된 구조를 취하도록 하는 것이 구조의 효율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반사판 지지부(113)는 위 상측 경사 결합부(120) 및 하측 경사 결합부(130)에 인접한 구조로서 형성될 수도 있는데, 그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본체(110)는 외측에 형성된 외측판(111), 그 외측판(111)의 상측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측 경사판(123)의 하단에 연결되는 상측 반사판 지지부(1131), 상측 반사판 지지부(1131)의 단부에 설치된 상측 반사판(1141), 외측판(111)의 하측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되고, 하측 경사판(133)의 상단에 연결되는 하측 반사판 지지부(1132), 하부 방음부재(100b)의 상측 반사판(1141b)과 결합하도록, 하측 반사판 지지부(1132)의 단부에 설치된 하측 반사판(1142)을 포함하는 구조가 그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취하는 경우, 상측 반사판(1141)과 하측 반사판(1142)의 결합에 의해 타 반사판(114)과 동일한 구조를 이룰 수 있으므로, 안정된 결합을 취하면서도 우수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는 효과를 추가로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측 반사판 지지부(1131)의 하면 및 하측 반사판 지지부(1132)의 상면에는 흡음부재 장착턱(115)이 돌출형성되고, 상측 반사판 지지부(1131) 및 하측 반사판 지지부(1132)의 사이에는 흡음부재 장착부(112)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술한 흡음부재(30)의 장착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방음부재(100)는 강재, 목재 기타 종래의 방음벽, 방음부재를 구성하던 모든 재질에 의해 구현되더라도 그 목적을 달성함에 영향이 없으나, 특히 폐목재의 분말을 가공하는 작업에 의해 형성되는 목분 재질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소요 강도를 만족하면서도 우수한 흡음성, 외관 등을 얻을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별도의 메인 프레임이 없더라도 방음벽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편한 시공이 가능하고, 방음부재의 보수 또는 교체가 용이하면서도, 시공 비용이 저렴하도록 하는 구조의 방음부재를 제시한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상부 방음부재(100a) 및 하부 방음부재(100b)와의 적층구조에 의해 방음벽을 형성하는 방음부재(100)에 있어서,
    본체(110),
    상기 상부 방음부재(100a)의 하측 경사 결합부(130a)에 결합하도록, 상기 본체(110)의 상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상측 경사 결합부(120),
    상기 하부 방음부재(100b)의 상측 경사 결합부(120b)에 결합하도록, 상기 본체(110)의 하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하측 경사 결합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경사 결합부(120) 및 하측 경사 결합부(130)는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상측 경사 결합부(120) 및 하측 경사 결합부(130)는 도로의 외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측 경사 결합부(120)는 내측에 형성된 내측 홈부(121), 외측에 형성된 외측 돌부(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부재(10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경사 결합부(130)는
    상기 하부 방음부재(100b)의 상기 내측 홈부(121b)에 결합하도록, 내측에 형성된 내측 돌부(131),
    상기 하부 방음부재(100b)의 상기 외측 돌부(122b)에 결합하도록, 외측에 형성된 외측 홈부(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부재(10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경사 결합부(120)는
    상기 내측 홈부(121) 및 외측 돌부(122) 사이에 상측 경사판(1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부재(10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경사 결합부(130)는
    상기 하부 방음부재(100b)의 상기 상측 경사판(123b)과 면접촉되도록, 상기 내측 돌부(131) 및 외측 홈부(132) 사이에 하측 경사판(13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부재(100).
  8. 삭제
  9.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는
    외측에 형성된 외측판(111),
    상기 흡음부재(30)가 장착되도록, 상기 외측판(111)의 내측에 형성된 흡음부재 장착부(112),
    상기 외측판(111)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복수의 반사판 지지부(113),
    상기 반사판 지지부(113)의 단부에 설치된 상기 반사판(1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부재(10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사판 지지부(113)의 상하면에는 흡음부재 장착턱(115)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흡음부재 장착부(112)는 상기 복수의 반사판 지지부(113)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부재(100).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는
    외측에 형성된 외측판(111),
    상기 외측판(111)의 상측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상측 경사판(123)의 하단에 연결되는 상측 반사판 지지부(1131),
    상기 상측 반사판 지지부(1131)의 단부에 설치된 상측 반사판(1141),
    상기 외측판(111)의 하측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하측 경사판(133)의 상단에 연결되는 하측 반사판 지지부(1132),
    상기 하부 방음부재(100b)의 상기 상측 반사판(1141b)과 결합하도록, 상기 하측 반사판 지지부(1132)의 단부에 설치된 하측 반사판(11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부재(100).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반사판 지지부(1131)의 하면 및 상기 하측 반사판 지지부(1132)의 상면에는 흡음부재 장착턱(115)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상측 반사판 지지부(1131) 및 하측 반사판 지지부(1132)의 사이에는 흡음부재 장착부(1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부재(100).
  13.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는 목분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부재(100).
KR1020060080588A 2006-08-24 2006-08-24 방음부재 KR100782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588A KR100782161B1 (ko) 2006-08-24 2006-08-24 방음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588A KR100782161B1 (ko) 2006-08-24 2006-08-24 방음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2161B1 true KR100782161B1 (ko) 2007-12-06

Family

ID=39139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0588A KR100782161B1 (ko) 2006-08-24 2006-08-24 방음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21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054B1 (ko) * 2008-09-26 2009-04-30 주식회사 누리플랜 방음패널
KR101001303B1 (ko) * 2010-04-15 2010-12-15 (주)벽성이앤지 펜스구조물
JP2020122271A (ja) * 2019-01-29 2020-08-13 宮地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防音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128A (ja) * 1992-07-09 1994-02-01 Yakumo Kk 組立式防音建屋の防音パネル
JPH07189361A (ja) * 1993-12-26 1995-07-28 Ig Tech Res Inc 耐火、防音パネル
KR20010092803A (ko) * 2000-03-27 2001-10-27 최유창 인공목재 차량 방음벽
KR100499730B1 (ko) 2003-03-14 2005-07-05 부광산업 주식회사 방음벽용 외장재 및 그를 이용한 방음벽 외장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128A (ja) * 1992-07-09 1994-02-01 Yakumo Kk 組立式防音建屋の防音パネル
JPH07189361A (ja) * 1993-12-26 1995-07-28 Ig Tech Res Inc 耐火、防音パネル
KR20010092803A (ko) * 2000-03-27 2001-10-27 최유창 인공목재 차량 방음벽
KR100499730B1 (ko) 2003-03-14 2005-07-05 부광산업 주식회사 방음벽용 외장재 및 그를 이용한 방음벽 외장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054B1 (ko) * 2008-09-26 2009-04-30 주식회사 누리플랜 방음패널
KR101001303B1 (ko) * 2010-04-15 2010-12-15 (주)벽성이앤지 펜스구조물
JP2020122271A (ja) * 2019-01-29 2020-08-13 宮地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防音壁
JP7079449B2 (ja) 2019-01-29 2022-06-02 宮地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防音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9002B2 (en) Acoustic panel
KR200485826Y1 (ko) 반사형 방음벽의 탈,부착식 방음판 및 방음패널 결합구조
KR100782161B1 (ko) 방음부재
KR100514122B1 (ko) 방음블록 및 그것을 사용한 방음벽
KR101069716B1 (ko) 공명판을 이용한 다중의 공기층을 구비한 공명형 방음블럭
KR100878302B1 (ko) 플라스틱 방음패널
KR102142192B1 (ko) 방음판용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방음패널
JP6605811B2 (ja) 遮音壁
KR100645234B1 (ko) 조립식 터널용 방음벽
KR100990354B1 (ko) 방음벽용 방음패널
KR200425367Y1 (ko) 흡음형 방음판넬 구조
KR101042326B1 (ko) 방음패널
KR100956562B1 (ko) 투명방음판용 프레임 및 다수의 투명방음판이 적층 설치되어진 방음벽
KR101051125B1 (ko) 흡음효과와 구조성능이 개선된 방음패널 구조
KR200401091Y1 (ko) 조립식 방음패널
KR100673624B1 (ko) 방음블록 및 그를 가지는 방음구조물
JP6780295B2 (ja) 天井パネル及び組立式防音室
KR100472529B1 (ko) 방음블록 및 그것을 사용한 방음벽
KR100626679B1 (ko) 방음판넬 및 이를 구비한 방음벽
JPH07150525A (ja) 防音壁用板壁部材
JP6226686B2 (ja) 遮音床構造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セメント板床材
KR20130046520A (ko) 조립식 터널용 방음벽
KR100500055B1 (ko) 방음유닛, 방음판넬 및 이를 구비한 방음벽
KR200194971Y1 (ko) 방음벽 구조
KR102199762B1 (ko) 흡음 방음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