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6520A - 조립식 터널용 방음벽 - Google Patents

조립식 터널용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6520A
KR20130046520A KR1020110110969A KR20110110969A KR20130046520A KR 20130046520 A KR20130046520 A KR 20130046520A KR 1020110110969 A KR1020110110969 A KR 1020110110969A KR 20110110969 A KR20110110969 A KR 20110110969A KR 20130046520 A KR20130046520 A KR 20130046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proof wall
detachable
tunnel
transparent plate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0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2774B1 (ko
Inventor
박춘종
Original Assignee
에스에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에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0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774B1/ko
Publication of KR20130046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38Waterproofing; Heat insulating; Soundproofing; Electric insulat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4Traff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판과, 상기 투명판의 외곽에 탈부착가능하게 조립되는 상·하·좌·우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단위 셀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조립식 터널용 방음벽은 상기 상하좌우프레임은 판상의 횡방형 연장부와 종방향 연장부로 이루어진 분리형 커버부재와 분리형 지지부재의 탈착가능한 결합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터널용 방음벽{ASSEMBLED SOUNDPROOF WALL FOR A TUNNEL}
본 발명은 조립식 터널용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분리형 상하부 부재의 탈부착가능한 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상·하·좌·우프레임과 투명판을 조립하여 단위 셀 방음벽을 형성하고, 이들 단위 셀 방음벽의 상하단 적층 및 좌우 연결을 통해 형성하는 조립식 터널용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변이나 철로변 등에는 차량의 통행에 따른 소음이 도로변이나 철로변 등에 건축된 건물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흡음벽 또는 방음벽이 설치되다.
이들 흡음벽 또는 방음벽은 적어도 한 쌍의 H 빔형 지주 사이에 다수의 흡음공이 형성된 판상부재를 적어도 1 이상 적층하여 이루어져 도로나 철로 위를 운행하는 차량들의 소음과 진동을 흡수하여 도로변이나 철로변 등에 건축된 건물에 미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흡음벽 또는 방음벽은 흡음 또는 방음을 위하여 소정 두께를 갖는 콘크리트, 금속재 등의 판상부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매우 무겁기 때문에 그 시공 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또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대부분 시공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흡음벽 또는 방음벽은 불투명하기 때문에 터널 내 조명을 확보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터널은 안전을 위해서 1년에 한번씩은 터널 내벽에 발생한 크랙 등을 육안 검사를 하여야 하나 이를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흡음벽 또는 방음벽은 흡음공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하더라도 흡음작용이 확실하지 못하여 방음보다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기능밖에 할 수 없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소음과 진동을 확실하게 흡수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흡음벽 또는 방음벽으로는 터널의 아치형을 따라 설치되기 위해서 아치형을 위한 복잡한 별도의 수단이 요구되었으며, 다양한 형상의 흡음 및 방음벽을 형성할 수 없기 때문에 최근 터널내 자전거 도로를 형성하기 위한 방음벽 등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지나, 이에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위 셀 방음벽들을 적층 및 연결을 통해 터널용 방음벽을 형성하여 터널용 방음벽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조립식 터널용 방음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분리형 상하부 절곡형 판상부재의 탈부착가능한 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상·하·좌·우프레임과 투명판을 리벳 조립하여 단위 셀 방음벽을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에 따라 변형될 수 있고 시공비 및 시공시간을 줄일 수 있는 조립식 터널용 방음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음판 및 흡음재를 통해 소음을 감쇠시킬 뿐만 아니라 투명판을 통해 조명을 제공할 수 있으며, 터널 내벽의 육안 조사를 방해하지 않을 수 있는 조립식 터널용 방음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판과, 상기 투명판의 외곽에 탈부착가능하게 조립되는 상·하·좌·우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단위 셀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조립식 터널용 방음벽은 상기 상하좌우프레임은 판상의 횡방형 연장부와 종방향 연장부로 이루어진 분리형 커버부재와 분리형 지지부재의 탈착가능한 결합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터널용 방음벽은 단위 셀 방음벽들을 적층 및 연결을 통해 터널용 방음벽을 형성함으로써 터널용 방음벽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터널용 방음벽은 분리형 상하부 절곡형 판상부재의 탈부착가능한 결합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상·하·좌·우프레임과 투명판을 이용함으로써 시공비 및 시공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터널용 방음벽은 흡음판 및 흡음재를 포함하여 흡음 및 방음 효과가 우수하며, 다양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고, 투명판을 통해 조명을 제공할 수 있으며, 터널 내벽의 육안 조사를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셀 방음벽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셀 방음벽의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A부 확대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셀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셀 방음벽의 적층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셀 방음벽의 적층구조로 수직형을 제공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셀 방음벽의 적층구조로 아치형을 제공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셀 방음벽의 평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터널용 방음벽의 단위 셀(100)은 투명판(105)과, 상기 투명판의 외곽에 탈부착가능하게 조립되는 상·하·좌·우프레임(101, 102, 103, 104)로 구성된다.
상기 투명판(105)은 완전투명이나 반투명일 수도 있으며, 유리, 합성수지, 유리와 합성수지의 복합소재, 합성수지 필름이 부착된 강화유리일 수도 있으며, 상기 투명판(105)을 통하여 도로의 이면에서 도로 방향을 투시할 수 있어서 터널 내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조명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터널 내부 조명의 이용할 수도 있는 등 터널 내부를 보다 밝게 할 수 있고, 터널 내벽의 육안 조사를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a 및 도 3b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01, 102, 103, 104)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셀 방음벽의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A부 확대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셀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a 및 도 3b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셀 방음벽의 상하좌우프레임(101, 102, 103, 104)은 분리형 커버부재(110)와 분리형 지지부재(130)가 상호 끼임결합 등에 의하여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최소 개수의 나사, 볼트, 리벳 등의 체결수단(106)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분리형 커버부재(110) 또는 상기 분리형 지지부재(130)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형 커버부재(110)는 내부를 가리는 커버부재로서 이용되며, 도로 또는 차로를 주행하는 차량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흡음할 수 있도록 표면에 적어도 1 이상의 흡음공(110a)이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합성수지재로 다양한 색깔과 형상으로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교체가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형 커버부재(110)는 판형태로 연장된 횡방향 상부연장부(111)와 종방향 상부연장부(113)을 구비하며,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횡방향 상부연장부(111)와 상기 종방향 하부연장부(113) 사이의 모서리는 직각일 수도 있으며, 다양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도록 라운드져 있을 수도 있고, 상기 분리형 지지부재(130)에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기 횡방향 상부연장부(111)의 선단으로부터 단면이 ㄴ자형으로 꺽인 제 1 체결부(111a)와, 상기 종방향 상부연장부(113)의 말단에 단면이 l자형으로 꺽인 제 2 체결부(113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분리형 지지부재(130)도 판형태가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분리형 지지부재(130)는 투명판(105)의 지지부재 및 흡음부재의 수용부재로서 이용되는 것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하부연장부(131)와, 상기 횡방향 하부연장부(131)의 일단으로부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상부연장부(133)을 포함하며, 상기 투명판(105)을 지지하고 그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상기 횡방향 하부연장부(131)와 상기 종방향 하부연장부(133)은 수직하게 구성된다.
상기 분리형 지지부재(130)의 상기 횡방향 하부연장부(131)의 끝단에는 ㄷ자형 끼임결합부(135)가 형성되며, 상기 ㄷ자형 끼임결합부(135)는 상단부(135a)보다 하단부가 길게 연장되며, 적어도 2 회 이상 절곡되어 탄성연장부(135a)를 형성하여 상기 분리형 커버부재(110)의 상기 종방향 하부연장부(113)의 제 2 체결부(113a)가 패킹(140) 등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끼임결합되어 소음을 잘 흡수하면서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횡방향 하부연장부(131)에는 흡음부재(150)가 안착되는 흡음부재 안착부(137)와, 상기 흡음부재 안착부(137)와 상기 ㄷ자형 끼임결합부(135) 사이에 Π자형으로 절곡 형성된 공기수용부(138)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수용부(138)는 상기 분리형 커버부재(110)의 흡음공(110a)을 통해 유입된 소음 및 진동을 감쇠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와 같이 감쇠된 소음 및 진동이 흡음부재(150)에 의하여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분리형 지지부재(130)의 상기 종방향 하부연장부(133)의 끝단에는 U자형으로 형성된 투명판 지지부(1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판 지지부(139)의 일단에서 ㄱ자형으로 구브러진 제 1 안착부(139a)에는 실리콘 또는 패킹(140)이 수용될 수 있으며, 투명판(101)은 상기 제 1 안착부(139a)와 대향하는 제 2 안착부(139a) 사이에 탄성적으로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투명판 지지부(139)의 하부에는 상기 분리형 커버부재(110)의 상기 횡방향 상부연장(111)의 제 1 체결부(111a)가 수용 결합되는 ㅡ자형 끼임결합부(133a)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종방향 하부연장부(133)가 투명판(105)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그 하부에는 내향으로 돌출 절곡된 보강부(133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판상부재로 이루어진 분리형 커버부재(110)와 분리형 지지부재(130)는 이들 사이의 끼임결합 후 패킹(140) 등으로 단단히 고정되거나, 최소의 리벳 등의 체결수단을 몇 개 체결함으로써 그 내부에 흡음부재(150)를 수용하면서, 상기 분리형 커버부재(130)의 일단에 의해서 투명판(105)을 단단히 고정할 수 있으며, 흡음효과를 높일 수 있고, 상기 분리형 커버부재(130)의 용이한 교체에 의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셀 방음벽을 적층하여 조립식 터널형 방음벽을 구성하는 지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셀 방음벽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셀 방음벽의 적층구조로 수직형을 제공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셀 방음벽의 적층구조로 아치형을 제공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투명판(105)는 상하 대칭되게 배치된 상부프레임(101)과 하부프레임(102) 사이에, 상기 상부프레임(101)의 상기 분리형 지지부재(130)의 상기 종방향 하부연장부(133)의 끝단에는 U자형으로 형성된 투명판 지지부(139)와 상기 상부프레임(101)의 상기 분리형 지지부재(130)의 상기 종방향 하부연장부(133)의 끝단에는 U자형으로 형성된 투명판 지지부(139) 사이에 끼임결합되고, 상기 투명판 지지부(139)의 일단에서 ㄱ자형으로 구브러진 제 1 안착부(139a)에는 실리콘 또는 패킹(140)이 수용될 수 있으며, 투명판(101)은 상기 제 1 안착부(139a)와 대향하는 제 2 안착부(139a) 사이에 탄성적으로 고정 지지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부프레임(101)과 ·하부프레임(102)의 조립으로 연결 조립부 주위에 소정 공간이 마련되고, 각각의 공기수용부(138)가 배후공기층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분리형 커버부재(110) 조립 전 상·하프레임(101, 102)의 분리형 지지부재(130)의 상기 횡방향 하부연장부(131)에 형성된 흡음부재 안착부(137)에 배치되는 폴리에스터 재질의 흡음부재(15)와, 이들의 공기수용부(138) 의해서 생기는 배후공기층을 통해 소음을 저감시킨다.
따라서, 상기 분리형 커버부재(110)의 흡음공을 통해 유입된 소음은 흡음부재(150)로 인해 1차 저감되고, 상기 흡음부재(150)에서 제거되지 않은 소음은 다시 배후공기층으로 인해 2차 완전 제거되게 된다.
한편, 상기 분리형 지지부재(130)의 상기 종방향 하부연장부(133)의 끝단에는 U자형으로 형성된 투명판 지지부(139) 사이에 끼임결합되고, 상기 투명판 지지부(139)의 일단에서 ㄱ자형으로 구브러진 제 1 안착부(139a)에는 실리콘 또는 패킹(140)이 수용될 수 있으며, 투명판(101)은 상기 제 1 안착부(139a)와 대향하는 제 2 안착부(139a) 사이에 탄성적으로 고정 지지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셀 방음벽의 상하좌우프레임(101, 102, 103, 104)은 분리형 지지부재(130)가 판형태로 이루어져 그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하부연장부(131)와, 상기 횡방향 하부연장부(131)의 일단으로부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하부연장부(133)를 조금씩 구부려줌으로써 상부프레임(101)과 ·하부프레임(102)의 조립으로 연결 조립부 주위에 소정 공간이 마련되고, 각각의 공기수용부(138)가 배후공기층으로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별도의 추가 수단 없이 아치형을 형성할 수 있다.
101, 102, 103, 104 : 상하좌우 프레임
105 : 투명판
110 : 분리형 커버부재
130 : 분리형 지지부재

Claims (9)

  1. 투명판과, 상기 투명판의 외곽에 탈부착가능하게 조립되는 상·하·좌·우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단위 셀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조립식 터널용 방음벽에 있어서,
    상기 상하좌우프레임은 판상의 횡방형 연장부와 종방향 연장부로 이루어진 분리형 커버부재와 분리형 지지부재의 탈착가능한 결합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조립식 터널용 방음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커버부재 또는 상기 분리형 지지부재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에 의하여 형성되는 조립식 터널용 방음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커버부재는 표면에 다수의 흡음공을 구비하며, 상기 횡방향 상부연장부와 상기 종방향 하부연장부 사이의 모서리는 직각 또는 라운드진 조립식 터널용 방음벽.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상부연장부의 선단으로부터 단면이 ㄴ자형으로 꺽인 제 1 체결부와, 상기 종방향 하부연장부의 말단에 단면이 l자형으로 꺽인 제 2 체결부를 구비하는 조립식 터널용 방음벽.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지지부재의 상기 횡방향 하부연장부의 끝단에는 ㄷ자형 끼임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ㄷ자형 끼임결합부는 상단부보다 하단부가 길게 연장되며, 적어도 2 회 이상 절곡된 탄성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분리형 커버부재의 상기 종방향 하부연장부의 제 2 체결부와 결합되는 조립식 터널용 방음벽.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하부연장부에는 흡음부재가 안착되는 흡음부재 안착부와, 상기 흡음부재 안착부와 상기 ㄷ자형 끼임결합부 사이에 Π자형으로 절곡 형성된 공기수용부를 구비하는 조립식 터널용 방음벽.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지지부재의 상기 종방향 하부연장부의 끝단에는 U자형으로 형성된 투명판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터널용 방음벽.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 지지부는 그 일단에서 ㄱ자형으로 구브러진 제 1 안착부와 상기 제 1 안착부에 대향하는 제 2 안착부를 포함하는 조립식 터널용 방음벽.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 지지부의 하부에는 상기 분리형 커버부재의 상기 횡방향 상부연장부의 제 1 체결부가 수용 결합되는 ㅡ자형 끼임결합부가 더 형성되는 조립식 터널용 방음벽.
KR1020110110969A 2011-10-28 2011-10-28 조립식 터널용 방음벽 KR101352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969A KR101352774B1 (ko) 2011-10-28 2011-10-28 조립식 터널용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969A KR101352774B1 (ko) 2011-10-28 2011-10-28 조립식 터널용 방음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520A true KR20130046520A (ko) 2013-05-08
KR101352774B1 KR101352774B1 (ko) 2014-01-15

Family

ID=48658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0969A KR101352774B1 (ko) 2011-10-28 2011-10-28 조립식 터널용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7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729B1 (ko) * 2013-09-11 2015-03-31 주식회사 태건 방음벽 프레임
CN110195415A (zh) * 2018-02-27 2019-09-03 西藏中驰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整体式吸声帽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3932B1 (ko) 2005-05-11 2005-12-07 신세계산업(주) 투명 방음판
KR100645234B1 (ko) * 2006-04-19 2006-11-15 에스에이 주식회사 조립식 터널용 방음벽
KR100991260B1 (ko) * 2010-05-06 2010-11-04 케이솔 주식회사 소음의 회절 및 간섭기능을 갖는 프레임이 구비된 방음벽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729B1 (ko) * 2013-09-11 2015-03-31 주식회사 태건 방음벽 프레임
CN110195415A (zh) * 2018-02-27 2019-09-03 西藏中驰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整体式吸声帽
CN110195415B (zh) * 2018-02-27 2023-12-22 西藏中驰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整体式吸声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2774B1 (ko) 201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5826Y1 (ko) 반사형 방음벽의 탈,부착식 방음판 및 방음패널 결합구조
KR100869337B1 (ko) 방음터널용 철골지주와 방음판의 연결장치
KR101406099B1 (ko) 방음판 고정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방음벽.
KR101108127B1 (ko) 방음패널의 보수가 용이한 방음벽
KR20170123792A (ko) 방음판
KR100724761B1 (ko) 안전 복합 프레임
KR101548642B1 (ko) 분리형 방음판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시공 방법
KR101352774B1 (ko) 조립식 터널용 방음벽
JP6204760B2 (ja) 透光性遮音壁
KR101904479B1 (ko) 소음 유도를 이용한 회절저감형 방음판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082076B1 (ko) 투명 방음판의 방음패널 결합장치
KR101119831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벽
KR20160001541U (ko) 고차음 방음판 및 이를 갖는 방음벽
KR100928568B1 (ko) 목재 프레임형 투명 방음판
KR101419264B1 (ko) 경사 방향 결합용 방음판을 갖는 방음벽
KR101544787B1 (ko) 후방교체형 방음패널 조립체
KR20120000236U (ko) 내구성을 강화시킨 방음벽 프레임
KR101483292B1 (ko) 방음벽
KR101066260B1 (ko) 빔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벽
KR20110095516A (ko) 방음패널
KR200473052Y1 (ko) 흡음기능을 가진 일체형 방음패널
KR20100117297A (ko) 중앙 지지대를 갖는 조립형 방음판
KR101394374B1 (ko) 투명방음판 유지보수 방법
KR101608441B1 (ko) 방음벽 프레임
KR101745993B1 (ko) 흡음성능을 보유한 유지보수형 융복합 방음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