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292B1 - 방음벽 - Google Patents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292B1
KR101483292B1 KR1020130081186A KR20130081186A KR101483292B1 KR 101483292 B1 KR101483292 B1 KR 101483292B1 KR 1020130081186 A KR1020130081186 A KR 1020130081186A KR 20130081186 A KR20130081186 A KR 20130081186A KR 101483292 B1 KR101483292 B1 KR 101483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ower frame
frames
sound insulation
scree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1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봉용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건
Priority to KR1020130081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2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8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 E06B3/5807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not adjustable
    • E06B3/5821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not adjustable hooked on or in the frame member, fixed by clips or otherwise elastically fix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음벽은, 기초옹벽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2 베이스플레이트에 각각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1,2 골격프레임 사이에 끼워져 배치되는 방음벽에 있어서, 방음판; 상기 방음판의 저면을 지지하는 하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 및 상기 기초옹벽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의 하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스크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음벽{Soundproof Wall}
본 발명은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초옹벽 위에 방음벽을 설치할 때, 상기 기초옹벽과 방음벽의 하단부의 틈새를 마감하여 방음 효과를 개선하고, 단위방음구조체가 적층되어 시공되는 방음벽에 있어서 방음판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방음벽은 주행하는 자동차 또는 기차 등의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이러한 방음벽의 다양한 형태 및 구조로 제작되고 있다. 도1 및 도2는 종래 방음벽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음벽을 설치하기 위해서 기초옹벽(1)이 타설되고, 상기 기초옹벽(1)에 베이스플레이트(2)를 설치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에 수직으로 H 빔(3)이 세워지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H 빔(3) 사이에 방음벽(4)이 삽입되어 배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방음벽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음벽(4)의 하단부와 기초옹벽(1)이 서로 이격되어 틈이 발생된다. 즉, 베이스플레이트(2)의 두께만큼 방음벽(4)의 하단부와 기초옹벽(1)의 틈이 발생되고, 차량 또는 기차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상기 틈을 통해 그대로 세어나가게 되어 방음 효과를 현저히 감소시킨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862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초옹벽 위에 방음벽을 설치할 때, 상기 기초옹벽과 방음벽의 하단부의 틈새를 스크린부재를 이용하여 마감하여 방음 효과를 개선하고, 방음벽 설치 후 고압 청소시 상기 스크린부재가 이탈 또는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단위방음구조체를 적층하여 시공된 방음벽에 있어서 방음판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방음벽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은, 기초옹벽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2 베이스플레이트에 각각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1,2 골격프레임 사이에 끼워져 배치되는 방음벽에 있어서, 방음판; 상기 방음판의 저면을 지지하는 하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 및 상기 기초옹벽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의 하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스크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부재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크린부재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일단이 상기 연장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기초옹벽에 접촉되며 외력에 의해 압축되고 상기 외력 제거시 복원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중공의 튜브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크린부재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크린부재는 합성 고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음판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방음판의 좌우측에 결합되는 제1,2 측부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 상기 제1,2 측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방음판의 일면을 지지하는 제1,2,3,4 지지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면에 대향하여, 상기 상부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서브프레임; 상기 제2 지지면 또는 제3 지지면에 대향하여, 상기 제1,2 측부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서브프레임; 상기 제4 지지면에 대향하여, 상기 하부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2,3 서브프레임에는 각각 제1,2,3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프레임, 제1,2 측부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제1,2,3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편이 형성되며, 상기 제1,2,3 서브프레임에는 각각 제1,2,3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프레임, 제1,2 측부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제1,2,3 체결홈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1,2,3 후크돌기가 각각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음판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방음판의 좌우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2 측부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프레임, 상기 제1,2 측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 및 상기 방음판은 단위방음구조체를 형성하고, 상기 단위방음구조체는 상기 제1,2 골격프레임 사이에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은, 방음벽과 기초옹벽 사이의 간극을 메워 방음 효과를 개선한다.
또한, 스크린부재는 탄성 변경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방음벽과 기초옹벽 사이의 간극의 크기 변경되더라도 상기 간극을 효과적으로 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프레임에 둘러쌓인 방음판이 단위방음구조체를 형성하고, 상기 단위방음구조체가 적층되어 방음벽을 형성한 상태에서, 방음판이 파손 등을 이유로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적층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방음판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효과에 더하여, 소음 감소로 인하여 민원발생을 줄이고, 유지 보수의 편의성에 의해 인건비 등의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1 및 도2는 종래 방음벽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3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의 정면도,
도4는 도3의 Ⅳ-Ⅳ선 단면도,
도5 및 도6은 도4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7은 제1,2 측부프레임, 제2 서브프레임 및 방음판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의 사용상태도,
도9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의 사시도,
도10을 도9의 요부에 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기초옹벽에 제1,2 베이스플레이트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2 베이스플레이트에 각각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1,2 골격프레임 사이에 끼워져 배치되는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의 정면도이고, 도4는 도3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5 및 도6은 도4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7은 제1,2 측부프레임, 제2 서브프레임 및 방음판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의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은, 방음판(10), 하부프레임(20), 및 스크린부재(60)를 포함한다.
상기 방음판(10)은 소음의 전달을 억제하기 구비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음판(10)은 광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유리,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판형으로 제작되며, 빛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광투광성 재질은 방음판(10)을 경계로 주변 구조물이 그대로 관찰되므로, 불투광성 재질에 비하여 답답함을 해소하는 장점이 있다. 물론, 본 발명에 채용된 방음판(10)은 광투광성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불투광성재질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부프레임(20)은 상기 방음판(10)의 저면을 지지한다. 즉, 상기 방음판(10)은 상기 하부프레임(20)에 안착된다. 상기 하부프레임(20)은 후술하는 상부프레임(30), 제1,2 측부프레임(40,50)과 함께 프레임부를 형성한다. 상기 방음판(10)은 상기 하부프레임(20), 상부프레임(30), 제1,2 측부프레임(40,50)에 끼워진 형태로 하나의 단위방음구조체(120)를 형성한다.
상기 스크린부재(60)는 상기 하부프레임(20) 및 상기 기초옹벽(5)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20)의 하측으로부터 돌출형성된다. 상기 스크린부재(60)는 상기 하부프레임(20)과 상기 기초옹벽(5)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사이 공간으로 소음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구비된다.
상기 스크린부재(60)는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크린부재(60)는 합성 고무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스크린부재(60)의 소재는 상기한 합성 고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스크린부재(60)는 상기 하부프레임(20)과 상기 기초옹벽(5) 사이의 간극을 메울 때, 압축되어 상기 간극을 메운다. 상기 하부프레임(20)과 상기 기초옹벽(5) 사이의 간극이 시공 장소마다 다소 상이하나 상기 스크린부재(60)가 탄성 변형 가능하므로, 그 간극이 상이하더라도 효과적으로 간극을 메우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크린부재(60)는 상기 하부프레임(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결합된다.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부재(60)는 상기 하부프레임(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2개가 결합된다. 물론, 상기 스크린부재(60)의 개수는 하부프레임(20)의 규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단지 1개의 스크린부재(60)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크린부재(60)는, 삽입부(61), 연장부(62), 및 완충부(63)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61)는 상기 하부프레임(20)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하부프레임(20)에 삽입되는 삽입부(61)에 의해 상기 스크린부재(60)가 하부프레임(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방음벽은 시공 후에 청결을 위해 주기적으로 청소된다. 일반적으로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이용하여 방음벽 및 주변 구조물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방식으로 청소가 수행된다. 이때, 상기 삽입부(61)가 하부프레임(20)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스크린부재(60)가 하부프레임(20)으로부터 이탈 또는 탈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연장부(62)는 상기 삽입부(6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상기 삽입부(61)와 완충부(63)를 연결한다.
상기 완충부(63)는 일단이 상기 연장부(62)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기초옹벽(5)에 접촉된다.
상기 완충부(63)는 외력에 의해 압축되어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되도록 탄성 변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완충부(63)는 중공의 튜브형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부(61), 연장부(62), 및 완충부(63)는 일체로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부재(6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완충부(63)를 절단하면, 상기 완충부(63)의 외주면은 개략적으로 타원을 형성하며, 상기 기초옹벽(5)에 접촉하는 상기 완충부(63)의 저면에는 평탄한 구간이 마련된다. 상기 하부프레임(20)의 하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스크린부재(60)가 상기 기초옹벽(5)에 접촉하여 눌리면, 상기 완충부(63)가 압축 변형되면서 상기 하부프레임(20)과 상기 기초옹벽(5)의 간극을 메우게 된다. 한편,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프레임(20)은 상기 완충부(63)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도록 그 하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되는 리브(22)를 구비한다. 도5를 참조하면, 상기 리브(22)는 상기 하부프레임(20)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완충부(63)는 상기 리브(22)의 사이에 배치된다.
한편, 방음판(10)을 외측에서 지지하는 프레임부에 관하여 기술한다.
도5,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방음판(10)의 저면을 지지하는 하부프레임(20) 이외에, 상부프레임(30), 제1,2 측부프레임(40,50), 제1,2,3 서브프레임(70,80,9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프레임(30)은 상기 방음판(10)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2 측부프레임(40,50)은 상기 방음판(10)의 좌우측에 각각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프레임(30), 상기 제1,2 측부프레임(40,50), 및 상기 하부프레임(20)에는 상기 방음판(10)의 일면을 각각 지지지하는 제1,2,3,4 지지면이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방음판(10)은 상기 상부프레임(30), 상기 제1,2 측부프레임(40,50), 및 상기 하부프레임(20)에 형성된 제1,2,3,4 지지면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또한, 상기 제1 서브프레임(70), 제2 서브프레임(80), 및 제3 서브프레임(90)은 상기 방음판(1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구비된다.
상기 제1 서브프레임(70)은 상기 제1 지지면(31)에 대향하여, 상기 상부프레임(3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서브프레임(80)은 상기 제2 지지면(41) 또는 제3 지지면(51)에 대향하여, 상기 제1,2 측부프레임(40,50) 중 적어도 하나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제2 서브프레임(80)은 상기 제2 지지면(41)에 대향하여 결합되거나 상기 제3 지지면(51)에 대향하여 결합되거나 상기 제2,3 지지면 모두에 대향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프레임(80)은 상기 제1 측부프레임(40) 또는 제2 측부프레임(50) 중 적어도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측부프레임(40)에만 결합되거나 상기 제2 측부프레임(50)에만 결합되더라도 방음판(1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서브프레임(80)은 상기 제2 지지면(41) 및 제3 지지면(51)에 대향하여 제1,2 측부프레임(40,50)에 모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3 서브프레임(90)은 상기 제4 지지면(21)에 대향하여 상기 하부프레임(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프레임(30), 제1,2 측부프레임(40,50), 및 하부프레임(20)의 제1,2,3,4 지지면에 상기 방음판(10)이 안착되고, 상기 제1,2,3,4 지지면에 대향하여 제1,2,3 서브프레임(70,80,90)이 결합되므로, 상기 방음판(10)은 상기 제1,2,3,4, 지지면과 상기 제1,2,3 서브프레임(70,80,90)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존재한다.
상기 제1,2,3 서브프레임(70,80,90)에는 각각 제1,2,3 걸림돌기(101,102,10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30), 제1,2 측부프레임(40,50) 중 적어도 하나, 상기 하부프레임(20)에는 상기 제1,2,3 걸림돌기(101,102,103)가 각각 삽입되어 걸리는 제1,2,3 걸림편(111,112,113)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측부프레임(40) 및 상기 제2 측부프레임(50) 모두에 상기 제2 걸림돌기(102)가 형성된 상기 제2 서브프레임(80)이 결합되므로, 상기 제1 측부프레임(40) 및 상기 제2 측부프레임(50) 모두에 제2 걸림돌기(10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2,3 서브프레임(70,80,90)에는 제1,2,3 체결홈(131,132,133)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30), 제1,2 측부프레임(40,50) 중 적어도 하나, 상기 하부프레임(20)에는 상기 제1,2,3 체결홈(131,132,133)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1,2,3 후크돌기(121,122,123)가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측부프레임(40) 및 상기 제2 측부프레임(50) 모두에 상기 제2 서브프레임(80)이 결합되므로, 상기 제1 측부프레임(40) 및 상기 제2 측부프레임(50) 모두에 제2 체결홈(132)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서브프레임(80)이 제1,2 측부프레임(40,50)에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2,3 걸림돌기(101,102,103)와 상기 제1,2,3 걸림편(111,112,113) 및 제1,2,3 체결홈(131,132,133) 및 상기 제1,2,3 후크돌기(121,122,123)에 의해 상기 제1,2,3 서브프레임(70,80,90)이 상기 상부프레임(30), 상기 제1,2 측부프레임(40,50), 및 상기 하부프레임(20)에 간편하게 착탈될 수 있다.
한편, 상부프레임(30), 제1,2 측부프레임(40,50), 하부프레임(20) 및 방음판(10)은 단위방음구조체(120)를 형성하고, 상기 단위방음구조체(120)는 상기 제1,2 골격프레임(8,9) 사이에 적층될 수 있다. 즉, 하부프레임(20)에 스크린부재(60)가 결합되는 형태의 방음벽은 상기 제1,2 골격프레임(8,9)의 최하측에 배치되고, 그 상측으로는 상기 스크린부재(60)가 제거된 형태의 단위방음구조체(120)가 적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의 작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옹벽(5) 위에 설치되는 제1,2 베이스플레이트(6,7) 위에 방음벽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1,2 골격프레임(8,9)이 시공된다. 상기 제1,2 골격프레임(8,9)은 일반적으로 H 빔을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은 상기 제1,2 골격프레임(8,9)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시공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음판(10)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부프레임(20)에 스크린부재(60)가 결합되므로, 상기 기초옹벽(5)과 하부프레임(20) 사이의 간극이 메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프레임(20)의 무게에 의해 상기 스크린부재(60)는 탄성 변형되면서 압축된다. 따라서, 상기 기초옹벽(5)과 하부프레임(20)의 간극이 시공 장소마다 다소 다르더라도 간극을 용이하게 메울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프레임(20)에 스크린부재(60)가 설치되는 형태의 방음벽은 제1,2 골격프레임(8,9)의 최하측에 배치되고, 그 상측으로는 상기 스크린부재(60)가 제거된 형태의 단위방음구조체(12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시공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은, 방음벽(10)과 기초옹벽(5) 사이의 간극을 메워 방음 효과를 개선하고, 스크린부재(60)는 탄성 변경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방음판(10)의 저면과 기초옹벽(5) 사이의 간극의 크기 변경되더라도 상기 간극을 효과적으로 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단위방음구조체(120)가 적층된 상태에서, 방음판(10)이 파손 등을 이유로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적층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방음판(10)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즉, 상부프레임(30), 제1,2 측부프레임(40,50), 하부프레임(20)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3 서브프레임(70,80,90)을 분리하고 방음판(10)을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2 골격프레임(8,9)에 적층된 상태에서도, 그 중간에 게재된 방음판(10)만을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소음 감소로 인하여 민원발생을 줄이고, 유지 보수의 편의성에 의해 인건비 등의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도9 및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을 도시한다.
도9 및 도10에 있어서, 도3의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9를 참조하면, 방음판(10)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부프레임(20)이 구비되고, 상기 방음팜의 좌우측에 제1,2 측부프레임(40,50)이 결합되며, 상기 방음판(10)의 상측에는 상부프레임(30)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20)의 하측으로는 상기 하부프레임(20)의 하부로부터 돌출되는 스크린부재(60)가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도3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도9에 따른 방음벽은 제1,2,3 서브프레임(70,80,90)이 결합되지 않는 것이 도3의 실시예와 다르다.
도10은 하부프레임(20)와 스크린부재(60)를 발췌하여 도시한 것으로, 상기 스크린부재(60)는 삽입부(61), 연장부(62), 및 완충부(63)를 구비하는 것이 도3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그 작용 및 기능에 대하여는 상술한 바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5... 기초옹벽 6,7... 제1,2 베이스플레이트
8,9... 제1,2 골격프레임 10... 방음판
20... 하부프레임 21... 제4 지지면
30... 상부프레임 31... 제1 지지면
40... 제1 측부프레임 41... 제2 지지면
50... 제2 측부프레임 51... 제3 지지면
60... 스크린부재 61... 삽입부
62... 연장부 63... 완충부
70... 제1 서브프레임 80... 제2 서브프레임
90... 제3 서브프레임 101,102,103... 제1,2,3 걸림돌기
111,112,113... 제1,2,3 걸림편 121,122,123... 제1,2,3 후크돌기
131,132,133... 제1,2,3 체결홈 120... 단위방음구조체

Claims (10)

  1. 기초옹벽(5)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2 베이스플레이트(6,7)에 각각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1,2 골격프레임(8,9) 사이에 끼워져 배치되는 방음벽에 있어서,
    방음판(10);
    상기 방음판(10)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30);
    상기 방음판(10)의 좌우측에 결합되는 제1,2 측부프레임(40,50);
    상기 방음판(10)의 저면을 지지하는 하부프레임(20); 및
    상기 하부프레임(20) 및 상기 기초옹벽(5)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20)의 하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결합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스크린부재(60)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부재(60)는 상기 하부프레임(20)에 삽입되는 삽입부(61)와, 상기 삽입부(6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62)와, 일단이 상기 연장부(62)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기초옹벽(5)에 접촉되며 외력에 의해 압축되고 상기 외력 제거시 복원되는 중공 튜브형의 완충부(63)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부재(6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완충부(63)를 절단하면 상기 완충부(63)의 외주면은 타원을 형성하며, 상기 기초옹벽(5)에 접촉하는 상기 완충부(63)의 저면에는 평탄한 구간이 마련되고,
    상기 하부프레임(20)은 상기 완충부(63)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도록 하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되는 리브(22)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프레임(30), 상기 제1,2 측부프레임(40,50), 및 상기 하부프레임(20)에는 상기 방음판(10)의 일면을 지지하는 제1,2,3,4 지지면(31,41,51,2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면(31)에 대향하여, 상기 상부프레임(3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서브프레임(70);
    상기 제2 지지면(41) 또는 제3 지지면(51)에 대향하여, 상기 제1,2 측부프레임(40,50) 중 적어도 하나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서브프레임(80);
    상기 제4 지지면(21)에 대향하여, 상기 하부프레임(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서브프레임(90);을 포함하고,
    상기 제1,2,3 서브프레임(70,80,90)에는 각각 제1,2,3 걸림돌기(101,102,103)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프레임(30), 제1,2 측부프레임(40,50)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하부프레임(20)에는 상기 제1,2,3 걸림돌기(101,102,103)가 삽입되어 걸리는 제1,2,3 걸림편(111,112,113)이 형성되며,
    상기 제1,2,3 서브프레임(70,80,90)에는 각각 제1,2,3 체결홈(131,132,133)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프레임(30), 제1,2 측부프레임(40,50)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하부프레임(20)에는 상기 제1,2,3 체결홈(131,132,133)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1,2,3 후크돌기(121,122,123)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재(60)는 상기 하부프레임(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재(60)는 합성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30), 상기 제1,2 측부프레임(40,50), 상기 하부프레임(20), 및 상기 방음판(10)은 단위방음구조체(120)를 형성하고,
    상기 단위방음구조체(120)는 상기 제1,2 골격프레임(8,9) 사이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KR1020130081186A 2013-07-10 2013-07-10 방음벽 KR101483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186A KR101483292B1 (ko) 2013-07-10 2013-07-10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186A KR101483292B1 (ko) 2013-07-10 2013-07-10 방음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3292B1 true KR101483292B1 (ko) 2015-01-19

Family

ID=52590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1186A KR101483292B1 (ko) 2013-07-10 2013-07-10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32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135B1 (ko) * 2017-09-13 2018-08-02 한인근 광투과성 방음 패널을 갖는 방음벽
CN116289681A (zh) * 2023-02-24 2023-06-23 百盛联合集团有限公司 一种道路降噪隔板安装构造及安装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746Y1 (ko) * 1996-01-12 1998-11-02 이선용 방음벽용 투명방음판
KR200387902Y1 (ko) * 2005-02-03 2005-06-27 이만익 안전 및 내구성이 향상된 목재 미닫이문
KR20050102878A (ko) * 2004-04-23 2005-10-27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조립식 방음벽의 외장패널
KR20100057146A (ko) * 2008-11-21 2010-05-31 퓨어텍인터내셔날 (주) 방음벽의 하단 마감용 패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746Y1 (ko) * 1996-01-12 1998-11-02 이선용 방음벽용 투명방음판
KR20050102878A (ko) * 2004-04-23 2005-10-27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조립식 방음벽의 외장패널
KR200387902Y1 (ko) * 2005-02-03 2005-06-27 이만익 안전 및 내구성이 향상된 목재 미닫이문
KR20100057146A (ko) * 2008-11-21 2010-05-31 퓨어텍인터내셔날 (주) 방음벽의 하단 마감용 패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135B1 (ko) * 2017-09-13 2018-08-02 한인근 광투과성 방음 패널을 갖는 방음벽
CN116289681A (zh) * 2023-02-24 2023-06-23 百盛联合集团有限公司 一种道路降噪隔板安装构造及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861Y1 (ko) 후크 분리형 투명 방음판
KR200485826Y1 (ko) 반사형 방음벽의 탈,부착식 방음판 및 방음패널 결합구조
US9377809B2 (en) Display panel positioning member and display apparatus
KR20140137488A (ko) 패널 후방교체형 방음벽
KR101483292B1 (ko) 방음벽
KR20170123792A (ko) 방음판
JP6938136B2 (ja) 防音パネル及び防音壁
KR102142192B1 (ko) 방음판용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방음패널
KR102036542B1 (ko) 투명 방음 패널
KR101057397B1 (ko) 탈부착 기능을 가진 투명형 흡음유닛
KR200458337Y1 (ko) 방음판
JP6812665B2 (ja) 遮音性を備えたダブルガラスパネル装置
KR101544787B1 (ko) 후방교체형 방음패널 조립체
KR20160001541U (ko) 고차음 방음판 및 이를 갖는 방음벽
KR101419264B1 (ko) 경사 방향 결합용 방음판을 갖는 방음벽
KR200425367Y1 (ko) 흡음형 방음판넬 구조
JP7372502B2 (ja) 間仕切り装置
KR101912711B1 (ko) 내진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042326B1 (ko) 방음패널
KR101493285B1 (ko) 유지보수 패널형 방음판 설치구조
KR20100011032U (ko) 탈부착 기능을 가진 투명형 흡음유닛
KR101352774B1 (ko) 조립식 터널용 방음벽
KR101745993B1 (ko) 흡음성능을 보유한 유지보수형 융복합 방음판
KR101608441B1 (ko) 방음벽 프레임
KR101430164B1 (ko) 차음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