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6260B1 - 빔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벽 - Google Patents

빔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6260B1
KR101066260B1 KR1020090104997A KR20090104997A KR101066260B1 KR 101066260 B1 KR101066260 B1 KR 101066260B1 KR 1020090104997 A KR1020090104997 A KR 1020090104997A KR 20090104997 A KR20090104997 A KR 20090104997A KR 101066260 B1 KR101066260 B1 KR 101066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oundproof
sides
fixing
soundproof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4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8260A (ko
Inventor
김진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더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더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더맥스
Priority to KR1020090104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6260B1/ko
Publication of KR20110048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8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빔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방음판을 지지하는 빔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빔과 방음판의 결속을 위한 구조를 단순화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빔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벽은, 도로 변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빔(1)과; 상기 빔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방음판(2)과; 상기 빔을 막아 상기 빔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10)와; 상기 빔의 연결부(1b)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커버가 조립되는 제1,2고정구(20,30)를 포함하며, 상기 제1,2고정구는 상기 빔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제1,2고정구 몸체(21,31), 상기 제1,2고정구 몸체에서 연장되며 상기 빔의 전면부(1a)를 감싸 고정하는 빔 슬롯(22,32), 상기 빔 슬롯에서 연장되며 상기 커버의 양측이 끼워 고정되는 커버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방음벽, 방음판, 빔, 커버

Description

빔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벽{SOUNDPROOF WALL FOR PREVENTING EXPOSURE OF BEAM}
본 발명은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방음판을 횡방향을 따라 일렬로 설치할 때 방음판들 사이에 설치되어 방음판을 지지하는 금속 재질의 빔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방음판과 빔간의 결속을 겸할 수 있는 빔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산업 발달에 따른 교통수단의 다양화 및 교통량의 증가와 함께 사회 기반 시설(도로, 철도, 공항)의 확충에 따라 도로, 공항, 철도, 학교 아파트 주변 등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각종 차량들의 소음으로 큰 고통을 받고 있다. 이러한 소음 공해는 문명 이기의 부작용으로 현대 생활을 살아가는 도시민에 있어 큰 고충 거리이며 급기야 각종 민원의 한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여러 형태의 방음벽이 설치되고 있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종래 방음벽은 I빔 또는 H빔을 일정 등간격으로 도로를 따라 세워지고, 그 빔(1)들 사이의 공간에 다수의 방음판(2)이 종횡방향으로 끼워 설치되는데, 방음판(2)에서의 방음 또는 흡음을 위한 구조는 여러 가지가 있다.
방음판(2)은 투명판 등이 사용 가능하다.
빔(1)은 "I" 형 또는 "H"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기성품이 사용되고 있다.
방음판(2)은 양측 단부가 빔(1)의 내부에 삽입되어 별도의 고정브래킷(3) 등을 통해 빔(2)에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방음판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빔(1)은 방음판(2)이 쓰러지지 않도록 강도가 큰 금속을 재질로 하고 있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삭막함 분위기를 연출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수분 등에 의해 부식이 일어나면서 시각적으로 불쾌감을 주고 있으며, 도색막이 벗겨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색의 페인트를 도색하는 경우도 있지만, 단지 색상만을 달리할 것이어서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었고, 역시 도색막이 벗겨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소음과 관련하여 종래 방음판에 대해 부연설명, 통상적으로 방음판은 소음의 흡음여부에 따라 흡음형 방음판과 차음형 방음판으로 구분되며 종래의 투명 방음판은 대부분 소음의 흡음기능이 없는 차음형 방음판으로 구분된다. 종래의 투 명 방음판, 즉 차음형 방음판은 배후의 보호하고자 하는 정온지역으로 유입되는 소음을 차단하고 이를 원래의 소음원 방향으로 되돌리는 반사기능만을 가지고 있으므로 소음원을 중심으로 양쪽에 정온지역이 분포하는 경우에는 반사음으로 인한 또 다른 소음의 발생이 문제가 되므로 사용을 자재해야 한다. 하지만, 투명 방음판은 기존의 통상적인 흡음형 방음판이 확보하지 못하는 채광, 일조권, 조망권 등을 확보할 수 있어 도심지 주택가를 통과하는 경우 자주 사용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며 이런 경우 방음판의 반사음 발생으로 인해 정온지역내의 소음저감효율은 떨어지게 마련이다.
여기, 빔(1)은 단순히 방음판(2)을 지지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어서 빔(1)에 부딪치는 소음이 그대로 도로측으로 반사되어 도로를 운행하는 차량 내 탑승자에게 심한 소음이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성품인 빔을 이용하여 방음판을 지지하여 바람 등에 의해 쓰러지지 않도록 함은 물론, 빔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다채로운 분위기의 연출이 용이하도록 한 빔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빔의 노출을 막는 구조를 이용하여 빔과 방음판을 결합하려는데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빔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벽은, 도로 변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빔과; 상기 빔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방음판과; 상기 빔을 막아 상기 빔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와; 상기 빔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커버가 조립되는 제1,2고정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2고정구는 상기 빔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제1,2고정구 몸체, 상기 제1,2고정구 몸체에서 연장되며 상기 빔의 전면부를 감싸 고정하는 빔 슬롯, 상기 빔 슬롯에서 연장되며 상기 커버의 양측이 끼워 고정되는 커버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빔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벽은, 도로 변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빔과; 상기 빔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방음판과; 상기 빔을 막아 상기 빔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빔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빔의 전면부를 감싸는 제1,2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적용된 고정구 몸체 또는 커버몸체는 방음판이 고정되는 방음판 슬롯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로측의 소음을 방음판으로 유도하는 회절안내부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빔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벽에 의하면,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는 커버가 빔의 전면 및/또는 배면을 막아 외부에서는 빔이 보이지 않고 커버만 보이게 되므로 빔으로 인한 삭막한 분위기를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커버는 재질의 특성상 형상과 색상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다채로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또는 커버의 고정을 위한 몰딩에 방음판이 직접 결합되어 방음판을 빔에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자재 수량을 줄일 수 있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도로측에서 전달되는 소음이 도로로 반사되지 않고 커버를 통해 방음판으로 유도되므로 도로를 향하는 소음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1>
도 3과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빔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벽은, 도로 변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지면에 지지되는 빔(1)의 사이에 1단 이상으로 방음판(2)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빔(1)의 전면 또는 배면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덮는 커버(10)가 포함된다.
커버(10)는, 도로측의 소음을 상하부 방음판(2-1,2-2)으로 유도하도록 곡선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상하부 방음판(2-1,2-2)에 고정되어 상하부 프레임(3-1,3- 2) 사이를 폐쇄한다.
커버(10)는 도면에서 평평한 판상으로 도시되었지만, 다양한 형상 및 색상으로 제조 가능하며, 이를 위하여 합성수지를 재질로 한다.
커버(10)는 다양한 구조를 통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예컨대, 좌우 양측에 제1,2끼움부(11,12)가 구비되어, 제1,2끼움부(11,12)가 빔(1)의 양측에 결합될 수도 있고, 다르게는 방음판(2)의 결합을 겸할 수 있도록 별도의 제1,2고정구(20,30)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도면에서 제1,2끼움부(11,12)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절곡된 레일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평평한 형태일 수도 있고 다수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도 있다.
커버(10)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도로측에서 전달되는 소음을 좌우 양측의 방음판(2)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중앙부가 볼록한 형태의 회절안내부(13)가 포함될 수 있다. 회절안내부(13)는 도면에서처럼 커버(10)의 전면부가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고, 커버(10)의 전면부가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2고정구(20,30)는 빔(1)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어 커버(10)의 양측 제1,2끼움부(11,12)를 지지함과 아울러 각각 대응되는 방음판(2)을 고정한다.
제1고정구(20)는 빔(1)의 내부에 삽입 지지되는 고정구 몸체(21), 고정구 몸체(21)에서 연장 형성되어 빔(1)의 전면부(1a)를 감싸는 빔 슬롯(22), 빔 슬롯(22)에서 연장 형성되며 커버(10)의 끼움부(11)가 결합되는 커버고정부(23)로 이루어진다.
고정구 몸체(21)는 내부가 중공인 박스 형태이며 빔(1)의 내부에 삽입되어 빔 슬롯(22)을 통해 고정된다.
빔 슬롯(22)은 고정구 몸체(21)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빔(1)의 전면부(1a)에 외측에서부터 끼워짐으로써 빔(1)에 고정된다.
커버 고정부(23)는 빔 슬롯(22)의 전면부에 외측을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된 홈의 형태이며, 커버(10)의 제1끼움부(11)(내부를 향해 절곡된 형태)가 끼워지도록 한다.
빔 슬롯(22)의 단부에는 빔(1)의 전면부(1a)에 밀착되어 커버고정부(23)가 벌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보강리브(24)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의 구성은 커버(10) 및 커버(10)를 고정하기 위한 제1고정구(20)에 관한 것이며, 별도의 고정수단없이 커버(10)를 고정하는 제1고정구(20)를 통하여 방음판(2)을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구 몸체(21)에는 방음판(2)이 결합될 수 있도록 방음판 슬롯(25)이 형성된다.
방음판 슬롯(25)은 방음판(2)이 흔들리지 않도록 안쪽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쐐기형태일 수 있다.
제2고정구(30)는 제1고정구와 동일한 구조로서 빔(1)의 연결부(1b)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설치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며, 제1고정구(20)와 동일한 방식으로 부호를 부여한다.
이와 같은 커버(10)와 제1,2고정구(20,30)의 결속 구조에 따르면 제1,2고정구(20,30)를 빔(1)에서 분리하지 않고 커버(10)만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커버(10) 를 저렴하고 용이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빔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벽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방음벽의 시공시 빔(1)을 도로 변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세워 설치하고, 빔(1)의 양측에 제1,2고정구(20,30)를 조립한다.
제1,2고정구(20,30)는 빔 슬롯(22,32)을 통해 빔(1)에 고정될 수 있다.
방음판(2)의 양측을 제1,2고정구(20,30)의 방음판 슬롯(24,34)에 각각 끼워 결합한다. 방음판(2)은 방음판 슬롯(24,34)의 위에서부터 아래로 슬라이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어서, 커버(10)의 양측의 제1,2끼움부(11,12)를 제1,2고정구(20,30)의 커버고정부(23,33)에 끼워 결합한다. 커버(10)는 커버고정부(23,33)에 슬라이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지만, 자체 탄성력이 있기 때문에 제1,2끼움부(11,12)를 벌려 커버고정부(23,33)에 끼운 후 손을 놓으면 제1,2끼움부(11,12)가 커버고정부(23,33)에 탄력적으로 끼워짐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이상의 공정을 통해 방음벽의 시공이 완료되며, 빔(1)의 전면부(1a)는 커버(10)에 의해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탑승자 또는 단지 내의 거주자는 방음판(2)과 커버(10)만을 보게 되며, 이때, 방음판(2)은 대개 투명이고 커버(10)는 형상과 색상이 친환경적으로 표현되거나 부드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것이므로 빔(1)으로 인 한 삭막한 느낌을 주지 않는다.
커버(10)에 회절안내부(13)가 적용된 경우 도로측의 소음은 커버(10)의 회절안내부(13)의 곡면을 따라 좌우의 방음판(2)으로 이동하면서 감쇄될 수 있다.
커버(10)가 훼손되어 교체가 필요한 경우 커버(10)를 위쪽으로 당겨 슬라이딩식으로 분리할 수 있고, 또는 커버(10)의 제1,2끼움부(11,12)를 강제로 벌려 커버(10)를 분리할 수 있다. 즉, 제1,2고정구(20,30)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 커버(10)만을 분리할 수 있고, 새로운 커버(10)를 전술한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빔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벽은,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커버(10)의 조립 구조를 변경한 것으로, 커버고정부(26,36)는 제1,2고정구(20,30)의 빔 슬롯(22,32)의 전방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방된 것이다.
커버고정부(26,36)는 제1,2고정구(20,30)에 전체적으로 레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수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커버고정부(26,36) 사이에 커버(10)가 설치되는 것이며, 커버(10)의 좌우 양측은 각각 커버고정부(26,36)에 삽입되어 조립된다.
커버(10)는 도 6과 같이 전체적으로 평평한 판상일 수도 있지만, 도 7에서처럼, 좌우 양측이 각각 절곡 내지 벤댕되어 전면이 커버고정부(26,36)의 전면과 동일 내지 돌출되는 곡선형 단면일 수 있다. 커버(10)가 곡선형 단면인 것은 커 버(10)를 향하는 소음을 좌우 방음판(2)으로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3>
실시예 1,2는 커버(10), 제1,2고정구(20,30)를 통해 빔(1)을 밀폐하고 방음판(2)을 고정하는 것이지만, 도 8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빔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벽은, 커버(10)와 제1,2고정구(20,30)를 병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도 8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는 제1,2커버(40,50)로 구성된다.
제1,2커버(40,50)는 동일한 구조로서 하나의 금형을 통해 제조되고 빔(1)의 수직부(1b)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설치되는 것이므로 제1커버(40)만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커버(40)는 빔(1)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박스형의 제1커버몸체(41), 제1커버몸체(41)의 전방에 연장 형성되어 빔(1)의 수평부(1a)를 감싸 덮는 제1커버부(42) 및 제1커버몸체(41)에 형성되며 방음판(2)이 삽입되는 제1방음판 슬롯(43)으로 구성된다.
제1방음판 슬롯(43)은 실시예 1,2의 방음판 슬롯(25)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커버부(42)에 의해 빔(1)의 전면부(1a)를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커버부(42)는 빔(1)의 전면부(1a)의 절반을 막는 크기이다.
즉, 제1커버부(42)와 제2커버부(52)가 빔(1)의 전면부(1a)를 덮어 빔(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는, 실시예 1,2와 비교할 때 별도의 커버(10)를 사용하지 않고 제1,2커버(40,50)에 일체로 형성된 제1,2커버부(42,52)를 통하여 빔(1)의 노출을 막는 동시에 방음판(2)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구조적으로 매우 단순해지고, 시공이 빨라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2커버부(42,52)에는 각각 곡선형 단면의 회절안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절안내부는 제1,2커버(40,50)가 빔(1)에 결합되면 단부가 서로 맞닿아 반원형을 이루게 된다.
도 1과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방음벽의 정면도와 측면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빔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벽의 분해 사시도와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빔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벽에 회절안내부가 적용된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빔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벽의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빔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벽에 회절안내부가 적용된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빔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벽의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빔, 1a : 전면부
2 : 방음판, 10 : 커버
11,12 : 끼움부, 13 : 회절안내부
20,30 : 고정구, 21,31 : 고정구 몸체
22.32 : 빔 슬롯, 23,33 : 커버 고정부
24,34 : 보강리브, 25,35,43,53 : 방음판 슬롯
26,36 : 커버 고정부, 40,50 : 제1,2커버
41,51: 커버몸체, 42,52 : 커버부

Claims (8)

  1. 도로 변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빔(1)과;
    상기 빔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방음판(2)과;
    상기 빔을 막아 상기 빔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10)와;
    상기 빔의 연결부(1b)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커버가 조립되는 제1,2고정구(20,30)를 포함하며,
    상기 제1,2고정구는 상기 빔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제1,2고정구 몸체(21,31), 상기 제1,2고정구 몸체에서 연장되며 상기 빔의 전면부(1a)를 감싸 고정하는 빔 슬롯(22,32), 상기 빔 슬롯에서 연장되며 상기 커버의 양측이 끼워 고정되는 커버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고정부(23,33)는 상기 빔 슬롯에서 각각 외부를 향해 개방 형성되며, 상기 커버는 양측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고정부(23,33)에 끼워지는 끼움부(11,12)로 구성되며,
    상기 빔 슬롯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빔 슬롯과 커버고정부의 휨을 지지하는 보강리브(24,34)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벽.
  2. 삭제
  3. 삭제
  4. 도로 변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빔(1)과;
    상기 빔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방음판(2)과;
    상기 빔을 막아 상기 빔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10)와;
    상기 빔의 연결부(1b)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커버가 조립되는 제1,2고정구(20,30)를 포함하며,
    상기 제1,2고정구는 상기 빔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제1,2고정구 몸체(21,31), 상기 제1,2고정구 몸체에서 연장되며 상기 빔의 전면부(1a)를 감싸 고정하는 빔 슬롯(22,32), 상기 빔 슬롯에서 연장되며 상기 커버의 양측이 끼워 고정되는 커버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고정부(26,36)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양측이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벽.
  5. 도로 변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빔(1)과;
    상기 빔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방음판(2)과;
    상기 빔을 막아 상기 빔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빔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빔의 전면부(1a)를 감싸는 제1,2커버(40,50)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커버(40,50)는, 상기 빔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는 제1,2커버몸체(41,51), 상기 제1,2커버몸체의 전면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빔의 전면부(1a)의 전면을 감싸면서 덮는 제1,2커버부(42,52), 상기 제1,2커버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방음판의 양측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방음판 슬롯(43,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벽.
  6. 삭제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2고정구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방음판의 양측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방음판 슬롯(25,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벽.
  8. 삭제
KR1020090104997A 2009-11-02 2009-11-02 빔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벽 KR101066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997A KR101066260B1 (ko) 2009-11-02 2009-11-02 빔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997A KR101066260B1 (ko) 2009-11-02 2009-11-02 빔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260A KR20110048260A (ko) 2011-05-11
KR101066260B1 true KR101066260B1 (ko) 2011-09-20

Family

ID=44239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4997A KR101066260B1 (ko) 2009-11-02 2009-11-02 빔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62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024B1 (ko) * 2012-11-08 2014-06-12 에스에이 주식회사 지지 빔을 갖는 지주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KR101609382B1 (ko) * 2014-12-09 2016-04-05 박춘종 디자인이 우수하고 시공이 간편한 방음벽 리모델링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305Y1 (ko) * 2003-02-08 2003-05-14 이근식 방음판 고정장치
KR100442081B1 (ko) * 2004-04-08 2004-07-30 이우춘 지주가림판
KR100653317B1 (ko) * 2005-10-12 2006-12-01 이근식 요철결합을 이용한 형강 부착용 클램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305Y1 (ko) * 2003-02-08 2003-05-14 이근식 방음판 고정장치
KR100442081B1 (ko) * 2004-04-08 2004-07-30 이우춘 지주가림판
KR100653317B1 (ko) * 2005-10-12 2006-12-01 이근식 요철결합을 이용한 형강 부착용 클램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024B1 (ko) * 2012-11-08 2014-06-12 에스에이 주식회사 지지 빔을 갖는 지주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KR101609382B1 (ko) * 2014-12-09 2016-04-05 박춘종 디자인이 우수하고 시공이 간편한 방음벽 리모델링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260A (ko) 201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47833Y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클립형 투명 방음판넬
KR101548642B1 (ko) 분리형 방음판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시공 방법
KR101066260B1 (ko) 빔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벽
KR20100005838U (ko) 방음벽 설치구조
KR101904479B1 (ko) 소음 유도를 이용한 회절저감형 방음판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272087B1 (ko) 투명패널 교체형 방음판
KR101784471B1 (ko) 반사 소음 억제형 조립식 방음벽
KR101352774B1 (ko) 조립식 터널용 방음벽
KR200394301Y1 (ko) 방음패널 및 방음패널의 설치구조
KR101185783B1 (ko) 흡음형 방음벽
KR101238328B1 (ko) 방음벽 결합구조
KR100941985B1 (ko) 투명방음판 조립체
KR200430910Y1 (ko) 방음벽용 가변형 지주 가림판
KR101075499B1 (ko) 가변형 방음판
JP2005030116A (ja) 移動音源用可視型防音壁及び防音ユニット
KR20080001809U (ko) 투명 방음판넬을 이용한 방음벽
KR102142072B1 (ko) 전체 탈부착이 가능하고 흡음성능이 향상된 버드세이프 흡음 투명 방음판 및 그 설치 공법
KR200252855Y1 (ko) 조립식 방음판넬
KR100372327B1 (ko) 도로용 방음판
JP5046701B2 (ja) 塀及び塀の形成方法
KR200407837Y1 (ko) 도로의 조립식 탄성부재 방음벽
KR0129232Y1 (ko) 조립식 방음판넬
KR20100070424A (ko) 도로 방음벽용 흡음패널 및 그 흡음패널을 이용한 방음벽
KR101269661B1 (ko) 조립식 방음벽
KR200272000Y1 (ko) 도로 및 터널용 조립식 방음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