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2855Y1 - 조립식 방음판넬 - Google Patents

조립식 방음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2855Y1
KR200252855Y1 KR2020010022580U KR20010022580U KR200252855Y1 KR 200252855 Y1 KR200252855 Y1 KR 200252855Y1 KR 2020010022580 U KR2020010022580 U KR 2020010022580U KR 20010022580 U KR20010022580 U KR 20010022580U KR 200252855 Y1 KR200252855 Y1 KR 2002528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plate
post
frame
gu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5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광수
Original Assignee
문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광수 filed Critical 문광수
Priority to KR20200100225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28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28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2855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나 철도 또는 공사현장과 같이 소음이 발생되는 소음원 주변에 설치되는 방음벽체를 구성하는 조립식 방음판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조립식 방음판넬은 전면과 배면의 상하단부에 제1 그릴포스트 가이드(2)(2')와 제2 그릴포스트 가이드(3)(3')가 전체 길이에 걸쳐 일체로 형성된 판상의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의 제1 그릴포스트 가이드(2)(2') 및 제2 그릴포스트 가이드(3)(3')에 안내되어 삽입 지지되는 적어도 2개의 제1 그릴포스트(4) 및 제2 그릴포스트(5)와, 제1 그릴포스트(4)와 제1 그릴포스트 가이드(2)(2')의 전면에 분리 가능하게 밀착 결합되는 사각판상의 전면 그릴판(6) 및 프레임(1)과 전면 그릴판(6) 사이의 공간부에 채워지는 통상의 흡음재(7)와, 제2 그릴포스트(5)와 제2 그릴포스트 가이드(3)(3')의 전면에 분리 가능하게 밀착 결합되는 사각판상의 배면 그릴판(8)으로 이루어진 구조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조립식 방음판넬은 그 재질이 FRP를 비롯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부식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의 우려가 배제되고 중량이 가벼우므로 운반 및 설치시공 작업이 손쉬우면서도 특히 방음판넬의 조립공정이 간단하여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프레임의 배면에 별도의 배면 그릴판이 구비되므로써 전면 뿐만 아니라 배면의 미려함이 도모되고 전면 및 배면 그릴판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그 색상 및 무늬의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여 주택가나 학교 주변에 설치시 미관을 고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방음판넬{Fabricated soundproofing panel}
본 고안은 도로나 철로 또는 소음발생이 심한 각종 건축공사 현장 등의 주변에 설치되어 소음의 전파를 차단하는 방음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순차적인 적층에 의해서 방음벽체를 구성하는 조립식 방음판넬의 구조 및 재질을 개선하여 생산단계에서의 조립성과 시공현장에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시공후 부분적인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조립식 방음판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가와 인접한 도로나 철로 및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는 공사현장 등에서는 그 주변에 방음벽체를 설치하여 주위로 소음이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소음발생원은 날로 증가되는 추세이고 이같은 소음공해에 노출된 피해자들로부터의 시정요구가 환경권 보호차원에서 점차 거세어짐에 따라 소음발생원 주변에 대한 방음벽체의 설치 필요성은 급격히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방음벽체는 그 설치장소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긴 하나 주로 콘크리트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단위 방음판넬을 도로나 공사장 주변에 일정간격으로 세워진 지주 사이에 상하로 적층 조립하여 방음벽체를 구성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콘크리트 재질의 방음판넬은 강도의 보강을 목적으로 내부에 금속재 보강심재가 매입된 구조로서 강도나 제작비용 면에서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긴하나 자체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운반 및 설치작업에 어려움이 따르며, 또한 설치후 방음벽체의 부분적인 훼손시에 이를 보수하기가 까다로운 한편 방음효과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종래 금속재질의 방음판넬은 주로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며 그 구조는 전면에 다수개의 슬릿홈이 조밀하게 형성된 그릴이 형성되고 본체 내부에는 통상의 흡음재가 내장된 형태로서 방음효과면에서는 상기 콘크리트재 방음판넬에 비해서 우수하긴 하나 강도가 약해서 외부충격 등에 의해 쉽게 변형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방음벽체 중 일부 변형이나 손상된 부분의 방음판넬만에 대하여 부분적인 보수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까다로움은 물론 금속재질 특성상 매연 등이 심한 곳에서 부식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들 두 종류의 방음판넬은 재질 특성상 외관이 흰색 또는 회색 계통의 단색을 띰에 따라 설치후 보는 이로 하여금 단조로운 느낌이 들도록 하는 것이어서 특히 도심지나 주택가 등에 설치시에는 도시미관을 해치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상기 종래 콘크리트재 및 금속재 방음판넬에서 지적되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원인은 방음판넬 자체를 강화플래스틱(FRP) 재질로 제작한 조립식 방음판넬을 고안하여 이를 실용신안등록출원하였고, 동 출원건은 실용신안 제175890호로 등록되어 있다. 상기 선등록 방음판넬은 전면에 다수개의 횡간 그릴을 설치하고 이들 횡간 그릴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그릴포스트와 패널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한편 그릴의 안쪽에는 일반적인 흡음재를 내장시킨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FRP 재질의 방음판넬은 종래의 방음판넬에 비해 가볍고 현장에서의 조립설치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방음효과가 뛰어나다는 장점과 함께 방음벽체가 설치되는 주변환경을 고려하여 적절한 색상으로서의 제작이 가능하여 도시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FRP 방음판넬은 특히 주택가 등에 설치되는 경우 주택이나 아파트 등이 방음벽체의 뒷편에 위치되고 있기 때문에 방음벽체의 배면 미관이 중요시되는 반면, 종래의 방음판넬 배면은 단순한 무모양의 평면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미관상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조립식 방음판넬에서 지적되고 있는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면과 배면의 상하단부에 그릴포스트 가이드가 구비된 프레임의 전면에 다수개의 통공을 구비한 그릴판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그릴판과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는 통상의 흡음재를 삽입하며, 프레임의 배면에 장식용 그릴판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방음효율의 극대화 및 생산성의 증진과 배면의 장식적 미려함을 도모한 조립식 방음판넬은 제공함에 고안의 목적을 두고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그릴판이 프레임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므로써 방음벽체로의 시공후 일부 그릴판에 손상이 발생된 때에 그 손상된 그릴판만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그릴판의 색상에 변화를 주어 방음벽체를 모자이크 식으로 구성하거나 일종의 벽화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도1은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방음판넬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방음판넬의 평면도.
도3은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방음판넬의 저면도.
도4는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방음판넬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5는 도2의 A-A선 단면도.
도6은 본 고안 방음판넬의 전면 그릴판에 대한 부분 배면도.
도7은 본 고안 방음판넬의 그릴판 고정구조를 보인 확대 단면도.
도8은 본 고안 방음판넬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프레임 2,3. 그릴포스트 가이드
4,5. 그릴포스트 6,8. 그릴판
7. 흡음재 9. 지주
10. 방음판넬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FRP 재질로서 인발성형 공법으로 판상으로 성형됨에 있어 전면과 배면의 상하단부에 그릴포스트의 삽입을 위한 그릴포스트 가이드가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면과 배면의 상하 그릴포스트 가이드의 사이에서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제1 그릴포스트 및 제2 그릴포스트와, 사각판상으로서 요철곡면을 띠며 그 요철곡면상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형태로서 상기 제1 그릴포스트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전면 그릴판과, 상기 전면 그릴판과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는 통상의 흡음재와, 상기 제2 그릴포스트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요철곡면을 띄는 사각판상의 배면 그릴판으로 이루어진 방음판넬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1은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방음판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2는 평면도이며, 도3은 저면도이고, 도4는 도1에 도시된 방음판넬에 대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립식 방음판넬은 좌우 횡방향으로 길다란 직사각형의 판체로 이루어지고 그 전면과 배면의 상단 및 하단 주연부를 따라 제1 그릴포스트 가이드(2)(2') 및 제2 그릴포스트 가이드(3)(3')가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의 제1 그릴포스트 가이드(2)(2') 및 제2 그릴포스트 가이드(3)(3')에 안내되어 수직으로 지지되는 제1 그릴포스트(4) 및 제2 그릴포스트(5)와, 일정간격을 두고 세워진 제1 그릴포스트(4) 및 제2 그릴포스트(5)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전면과 배면의 그릴판(6)(8) 및 상기 프레임(1)과 전면 그릴판(6)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통상의 흡음재(7)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은 FRP 재질로서 인발성형 공법으로 제작되며, 상부 제1 그릴포스트 가이드(2)의 내면 중앙부에는 요입홈(2a)이 전길이에 걸쳐 형성되고 하부 제1 그릴포스트 가이드(2')의 내면 중앙부에는 돌조(2a')가 전길이에 걸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그릴포스트(4) 및 제2 그릴포스트(5)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그 상하단부가 프레임(1)의 상하부 제1 그릴포스트 가이드(2)(2') 및 제2 그릴포스트 가이드(3)(3')에 안내되어 지지될 수 있는 상하길이를 갖도록 설계되며, 이를 위해 제1 그릴포스트(4)의 상단부에는 상기 상부 제1 그릴포스트 가이드(2)의 요입홈(2a)에 형합하는 돌기(4a)가 구비되고, 그 하단부에는 하부 제1 그릴포스트 가이드(2')의 돌조(2a')에 형합하는 요홈부(4b)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프레임(1)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하부 제1 그릴포스트 가이드(2)(2') 및 제2 그릴포스트 가이드(3)(3') 내부로 삽입되는 제1 그릴포스트(4)와 제2 그릴포스트(5)는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프레임(1)상에 지지된다.
한편, 상기 제1 그릴포스트(4)의 전면 상하부에는 단턱부(4c)(4c')를 형성하여 프레임(1)에의 결합시 상하부 제1 그릴포스트 가이드(2)(2')의 전면과 이들 가이드(2)(2')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그릴포스트(4)의 전면은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그릴포스트(4)의 전면에는 전면 그릴판(6)의 고정을 위한 다수개의 고정홈(4d)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그릴포스트(5)의 배면에도 배면 그릴판(8)의 고정을 위한 다수개의 고정홈(도면 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 본 고안 조립식 방음판넬의 전면 그릴판(6)과 배면 그릴판(8)은 대략 정사각형의 판체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일정폭을 갖는 평면부로서의 테두리부(6a)(8a)와 그 테두리부(6a)(8a) 안쪽에 형성된 격자상 요철곡면(6b)(8b)으로 이루어지고, 전면 그릴판(6)의 격자상 요철곡면(6b) 상에는 다수개의 통공(6c)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전면 그릴판(6) 및 배면 그릴판(8)은 도1에서와 같이 프레임(1)에의 결합시 상하 테두리부(6b)(8b)는 프레임(1)의 상하부 제1 그릴포스트 가이드(2)(2') 및 제2 그릴포스트 가이드(3)(3')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고, 양측 테두리부(6b)(8b)는 그릴 포스트(4)(5)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된다.
이어서,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본 고안 방음판넬의 조립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5는 도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6은 본 고안 방음판넬의 전면 그릴판에 대한 부분 배면도이며, 도7은 본 고안 방음판넬의 그릴판 고정구조를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방음판넬을 구성하는 전면 그릴판(6)과 배면 그릴판(8)의 테두리부(6b)(8b) 배면중 상하부에는 'ㄱ'자 형태의 고정편(6d)(8c)이 돌출 형성되고, 양측부에는 고정후크(6e)(8d)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편(6d)(8c)은 도5에서와 같이 그 내부로 프레임(1)의 제1 그릴포스트 가이드(2)(2') 및 제2 그릴포스트 가이드(3)(3')의 단부와 결합되어 전면 그릴판(6) 및 배면 그릴판(8)의 상하부를 프레임(1)에 고정시키게 되고, 고정후크(6e)(8d)는 도5에서와 같이 그릴포스트(4)의 전면에 형성된 고정홈(4d)에 결합되어 그릴판(6)의 양측부를 프레임(1)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전면 그릴판(6) 및 배면 그릴판(8)의 고정후크(6e)(8d)는 그 외측 단부면이 경사면을 이루고, 고정후크(6e)(8d)가 삽입 결합되는 제1 그릴포스트(4) 및 제2 그릴포스트(5)의 고정홈(4d)(도면미도시)의 일측면 역시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함에 있어 고정홈(4d)의 최소폭이 고정후크(6e)의 수평부 최대폭에 비해서 약간 적은 크기를 유지하도록 설계함으로써 고정후크(6e)와 고정홈(4d) 간의 결합시 외부로부터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그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조립식 방음판넬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레임(1)의 일외측으로부터 상하부 제1 그릴포스트 가이드(2)(2')의내부로 제1 그릴포스트(4)를 삽입하여 제1 그릴포스트(4)간의 간격을 조절한 다음, 제1 그릴포스트(4) 사이의 공간부로 흡음재(7)를 위치시킨다. 이어서, 전면 그릴판(6)의 상하부를 잡고 그 중앙부가 전방을 향하여 불거지게 힘을 가한 상태에서 전면 그릴판(6)의 상하 테두리부(6a) 배면에 형성된 고정편(6d)을 프레임(1)의 제1 그릴포스트 가이드(2)(2') 단부에 결합시킨다.
다음, 제2 그릴포스트 가이드(3)(3')는 프레임(1)의 일외측으로부터 상하부 제2 그릴포스트 가이드(3)(3')의 내부로 제2 그릴포스트(5)를 삽입하고 상기 전면 그릴판(6)의 조립방법과 마찬가지로 배면 그릴판(8)의 배면 고정편(8c)을 제2 그릴포스트 가이드(3)(3') 단부에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의 방음판넬을 분해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조립순서에 대한 역순으로 분해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프레임(1)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세개의 그릴포스트(4)(5)를 이용하여 전면과 배면에 각각 두개의 전면 그릴판(6) 및 배면 그릴판(8)이 고정되는 구조의 방음판넬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고안의 방음판넬은 그 프레임(1)의 좌우길이를 변화시켜 단일 프레임상에 두개 이상의 전면 그릴판(6) 및 배면 그릴판(8)이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도8은 본 고안의 방음판넬을 이용하여 방음벽체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방음벽체는 'H'형 단면을 갖는 지주(9)를 등간격으로 수직으로 세워 고정시킨 상태에서 이들 지주(9) 사이의 공간에 본 고안의 방음판넬(10)을 상하로 순차 적층하여 이루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상기 방음판넬(10) 간의 적층시에는 인접하는 프레임의 일측에는 돌조가 형성되고 타측 프레임상에는 상기 돌조에 형합하는 요홈부가 형성되어 이들 돌조와 요홈부 간의 결합에 의해서 안정적인 적층구조를 이루게 되며, 또한 적층 이음부가 요철결합에 의해서 밀착상태로 결합되어 틈새의 발생이 방지되기 때문에 적층이음부를 통한 소음의 전파가 차단되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의 조립식 방음판넬은 그 재질이 FRP를 비롯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부식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의 우려가 배제되고 중량이 가벼우므로 운반 및 설치시공 작업이 손쉬우면서도 특히 방음판넬의 조립공정이 간단하여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방음판넬은 소음원과 일차적으로 접촉하는 전면 그릴판이 다수의 통공을 갖는 요철곡면을 이루고 있어 요철곡면에 부딪히거나 통공을 그대로 통과하는 소음의 경로차에 의한 상호간섭을 유도하여 소음의 세기를 대폭적으로 감쇄시키는 한편 전면 그릴판을 통과한 소음이 다시 흡음재에 흡수되어 제거되거나 약화되도록 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음에 따라 방음 또는 소음의 차단 효과면에서 종래의 방음판넬에 비하여 월등히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
그리고, 본 고안의 방음판넬은 프레임의 배면에 전면 그릴판과 유사한 구조의 배면 그릴판이 구비되므로써 전면 뿐만 아니라 배면의 미려함이 도모되며 전면 및 배면 그릴판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그 색상 및 무늬의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여 주택가나 학교 주변에 설치시 미관을 고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배면 그릴판으로 인하여 방음효과가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3)

  1. 전면과 배면의 상하단부에 제1 그릴포스트 가이드(2)(2')와 제2 그릴포스트 가이드(3)(3')가 전체 길이에 걸쳐 일체로 형성된 판상의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의 그릴포스트 가이드(2)(3)에 안내되어 삽입 지지되는 적어도 2개의 제1 그릴포스트(4) 및 제2 그릴포스트(5)와, 제1 그릴포스트(4)와 제1 그릴포스트 가이드(2)(2')의 전면에 분리가능하게 밀착 결합되는 사각판상의 전면 그릴판(6) 및 프레임(1)과 전면 그릴판(6) 사이의 공간부에 채워지는 통상의 흡음재(7)와, 제2 그릴포스트(5)와 제2 그릴포스트 가이드(3)(3')의 전면에 분리가능하게 밀착 결합되는 사각판상의 배면 그릴판(8)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음판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그릴판(6)은 평면상의 테두리부(6a)와 그 안쪽의 다수의 통공(6c)을 구비한 요철곡면(6b)으로 이루어지고, 그 테두리부(6a) 배면 상하부에는 고정편(6d)이 구비되고 양측부에는 고정후크(6e)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그릴포스트(4)의 전면에는 전면 그릴판(6)의 고정후크(6e)가 결합되는 고정홈(4d)이 구비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음판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그릴판(8)은 평면상의 테두리부(8a)와 요철곡면(8b)으로 이루어지고, 그 테두리부(8a) 배면 상하부에는 고정편(8c)이 구비되고 양측부에는 고정후크(8d)가 구비되며, 상기 제2 그릴포스트(5)의 배면에는 배면 그릴판(8)의 고정후크(8d)가 결합되는 고정홈이 구비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음판넬.
KR2020010022580U 2001-07-25 2001-07-25 조립식 방음판넬 KR2002528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580U KR200252855Y1 (ko) 2001-07-25 2001-07-25 조립식 방음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580U KR200252855Y1 (ko) 2001-07-25 2001-07-25 조립식 방음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2855Y1 true KR200252855Y1 (ko) 2001-11-23

Family

ID=73105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580U KR200252855Y1 (ko) 2001-07-25 2001-07-25 조립식 방음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285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2450A (ko) * 2004-09-07 2006-03-10 주식회사 은강건설산업 방음판넬
KR101001929B1 (ko) * 2008-04-23 2010-12-17 주식회사 부림이엔씨 문양의 고정 및 이탈을 방지하는 수단이 구비된 투명방음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2450A (ko) * 2004-09-07 2006-03-10 주식회사 은강건설산업 방음판넬
KR101001929B1 (ko) * 2008-04-23 2010-12-17 주식회사 부림이엔씨 문양의 고정 및 이탈을 방지하는 수단이 구비된 투명방음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021B1 (ko) 멀티형 방음패널을 갖는 방음벽
KR101388799B1 (ko) 지주가림판과 블록식 프레임을 구비한 투명방음벽
KR101039875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조립식 방음벽
KR101220882B1 (ko) 비해체 방음벽에서의 외관 개선용 방음패널 설치 구조물
KR200425642Y1 (ko) 일체형 방음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구조
KR20040070910A (ko) 도심 도로용 방음 판넬
KR200252855Y1 (ko) 조립식 방음판넬
KR100729345B1 (ko) 원통형 방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KR200175890Y1 (ko) 조립식 방음판넬
KR100790804B1 (ko) 방음판
KR100990354B1 (ko) 방음벽용 방음패널
KR100963493B1 (ko) 파형무늬 조립식 방음판
KR100986316B1 (ko) 흡음형 투명 동심원 경관조명 방음벽
KR100978784B1 (ko) 투시 겸용 조립식 방음판
KR101177825B1 (ko) 흡음형 유지 보수 방음판
KR100560436B1 (ko) 금속재 방음판과 목재 방음판으로 마감 처리한 방음벽
KR101238328B1 (ko) 방음벽 결합구조
KR101244154B1 (ko) 조립식 방음벽용 합성목재 방음패널 설치구조
KR101255216B1 (ko) 방음블럭 연결구조
KR101263206B1 (ko) 소음 차단용 지주 방음덮개
KR101066260B1 (ko) 빔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음벽
KR100679932B1 (ko) 플라스틱 청정 방음패널 구조 및 시공방법
KR200430910Y1 (ko) 방음벽용 가변형 지주 가림판
KR20060071376A (ko) 커버 결합형 방음판 프레임
KR200405934Y1 (ko) 방음벽용 투명 방음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