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5054B1 - 방음패널 - Google Patents

방음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5054B1
KR100895054B1 KR1020080094505A KR20080094505A KR100895054B1 KR 100895054 B1 KR100895054 B1 KR 100895054B1 KR 1020080094505 A KR1020080094505 A KR 1020080094505A KR 20080094505 A KR20080094505 A KR 20080094505A KR 100895054 B1 KR100895054 B1 KR 100895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coupling
soundproof panel
opening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4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덕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리플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리플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리플랜
Priority to KR1020080094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50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404Sound-absorbing elements block-shap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57Solid slabs or blocks
    • E04B2001/8476Solid slabs or blocks with acoustical cavitie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 E04B2001/848Solid slabs or blocks with acoustical cavitie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the cavities opening onto the face of the element
    • E04B2001/8485Solid slabs or blocks with acoustical cavitie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the cavities opening onto the face of the element the opening being restricted, e.g. forming Helmoltz reson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57Solid slabs or blocks
    • E04B2001/8476Solid slabs or blocks with acoustical cavitie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 E04B2001/848Solid slabs or blocks with acoustical cavitie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the cavities opening onto the face of the element
    • E04B2001/849Groove or slot type openings

Abstract

본 발명은 방음 및 흡음효과가 우수하고, 경량이며, 제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신속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패널은 소음을 차음하기 위해 상기 소음발생장소를 향하는 제1폐쇄부 내지 제3폐쇄부(10;20;30); 소음을 흡입하기 위해 상기 제1폐쇄부(10)와 제2폐쇄부(20)사이 및 제2폐쇄부(20)와 제3폐쇄부(30) 사이에 소음발생장소를 향하는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40;50); 상기 제1개구부(40)를 통해 유입되는 소음을 흡입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공간을 형성하는 제1흡음공간부(60); 상기 제2개구부(50)를 통해 유입되는 소음을 흡입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소음 순환공간을 형성하는 제2흡음공간부(70); 상기 방음패널의 강성을 유지하고 전체적인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보강부재(80); 상기 방음패널의 전방에 대응하며 후방을 형성하는 배면부(90); 상기 방음패널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100); 상기 방음패널의 상부면을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100)에 해제 가능하게 접속 결합되는 제2결합부(110); 및 상기 방음패널의 양 측을 형성하며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나부(裸部)를 형성하는 양 측부(120;130)로 구성된다.
방음패널, 폐쇄부, 개구부, 흡음공간부, 보강부

Description

방음패널{A soundproofing panel}
본 발명은 공사장, 건설현장, 도로 등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방음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음 및 흡음효과가 우수하고, 경량이며, 제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사현장, 건설현장과 같은 산업현장에는 다양한 건설장비를 사용하고 또한 작업자들의 작업공구를 사용함으로 인해 소음이 심하게 발생되고 있으며, 또한 도로에서도 교통수단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고 있다. 이 같은 소음을 차단하고, 공사현장 또는 도로를 외부로부터 차폐하며, 민원의 발생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그 둘레에는 방음벽이 가설되거나 고정 설치되고 있다.
방음벽은 대부분 산업현장 주변 또는 도로가에 지주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 후 이들 각각의 지주 사이에 단품으로 형성된 방음패널을 적층시켜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음벽에 사용되는 방음패널들 중 하나의 방음패널이 등록실용신안 제20-275008호에 개시되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275008호의 방음패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공사현장의 주위에 시공되는 방음벽의 방음패널로서, 다수의 슬롯(1a)이 형성되는 몸체(1B)의 하단에 그 몸체(1b)와의 사이에 소정 폭의 채널(1c)을 형성하도록 L자형 가이드(1d)가 안쪽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단에 상기 가이드(1d)의 형성방향으로 소정 폭의 스커트(1e)가 절곡 형성됨과 동시에 스커트의 선단에 채널형상의 결합돌기(1f)가 바깥쪽으로 절곡 형성된 전면판(1); 다수의 슬롯(2a)이 형성되는 몸체(2b)의 상단에 그 몸체(2b)와의 사이에 소정 폭의 채널(2c)을 형성하며 상기 전면판(1)의 결합돌기(1f)를 삽입하는 L자형 가이드(2d)가 안쪽으로 절곡 형성되며, 하단에 상기 가이드(2d)의 형성방향으로 소정 폭의 스커트(2e)가 절곡 형성됨과 동시에 스커트(2e)의 선단에 상기 전면판(1)의 가이드(1d)에 삽입되는 채널형상의 결합돌기(2f)가 바깥쪽으로 절곡형성된 배면판(2); 상호 끼워 맞춤된 상기 전면판(1)과 배면판(2)사이에 위치되는 흡음재(3); 및 상호 조립된 상기 전면판(1)과 배면판(2)의 양측 개구를 각 가이드(1d;2d)가 노출되도록 감싸서 복수의 스크류(4)에 의해 체결되는 채널형상의 두 측면판(5)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에 따라, 등록실용신안 제20-275008호의 방음패널은 전면판(1)과 배면판(2)을 별도의 용접 등에 의해 접합하지 않고 방음패널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고, 전면판(1)과 배면판(2)을 1개의 금형으로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등록실용신안 제20-275008호의 방음패널은 전면판 및 후면판의 각각의 결합돌기와 채널을 결합시키기가 용이하지 않고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고, 이들 전면판과 후면판을 결합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채널형 측면판이 필요함은 물 론, 전면판, 후면판 및 측면판을 상호 결합시키기 위해 다수의 스크류가 필요하므로, 조립작업이 간단하지 않으며, 전체적인 구성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체적인 중량이 무겁고, 제조가 복잡하며, 제조,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다른 하나의 공지된 종래예로서 등록특허 제782,161호에 공지된 방음부재는, 상부 방음부재 및 하부 방음부재와의 적층구조에 의해 방음벽을 형성하는 방음부재에 있어서, 본체, 상기 상부 방음부재의 하측 경사 결합부에 결합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상측 경사 결합부, 상기 하부 방음부재의 상측 경사 결합부에 결합하도록, 상기 본체의 하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하측 경사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경사 결합부 및 하측 경사 결합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상측 경사 결합부 및 하측 경사 결합부는 도로의 외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측 경사 결합부는 내측에 형서오딘 내측 홈부, 외측에 형성된 외측 돌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 제782,161호는 본체의 장착부의 공간의 단면이 사각형 또는 장방형을 이룸으로써 상기 장착부로 유입되는 소음이 상기 장착부의 내측벽에 의해 순환됨이 없이 차단되고 단지 상기 흡음부재에 의해 흡음되어 방음되는 구조를 지니므로 만족한 방음효과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른 하나의 종래예로서, 공개특허 제2008-41,176호에 공지된 플라스틱 방음패널은 내부에 흡음재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전면판과 후면판이 상호간의 사이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내부공간에는 차음판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판에는 다수의 소음유입공이 형성되며, 양측단에는 각각 H빔에 끼워져 상하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방음패널을 구성하되, 상기 방음패널의 내부공간에 형성되는 차음판은 그 내부공간을 이루는 전 후면판의 중간부에 형성되고, 상기 차음판과 전면판의 사이에는 흡음재 고정용 면상돌기들이 다수 형성되어 상기 차음판과 흡음재 고정용 면상 돌기 사이에 일정 길이를 갖는 하나로 이루어진 일체형의 흡음재가 끼워져 이루어지고, 상기 방음패널의 전면판에 형성되는 다수의 소음 유입공은 세로형의 장공이 다수 연이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방음패널의 양측단에 구성되는 결합부는 일측에서 보아 그 양측면이 직선구간과 경사구간으로 서로 좌우 대향되게 구성되고 그 상,하부면에는 일측을 향해 경사진 돌출부와 그 돌출부가 인입되어 조립결합되는 경사진 요홈부가 상,하 대향되도록 각각 일체 형성되어 H빔의 내면 상부에서 하부로 하강하여 상호 조립 결합 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져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 제2008-41,476호는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에 흡음재가 설치되고 상기 전면판에 세로형 소음 유입공이 다수 형성됨으로써, 소음은 상기 전면판, 상기 흡음재 및 후면판에 의해 방음되며, 일부의 소음은 상기 전면판에 형성된 소음 유입공에 의해 흡입되어 방음되는 구조를 지녀, 이 또한 단순하게 소음을 차단하고 흡입하여 방음함으로써 만족한 방음효과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음의 차음과 소음의 흡입, 순환 및 흡음에 의한 방음효과가 우수하고, 경량이며, 제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소음발생장소의 주변에 설치되어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방음벽에 적층 설치되는 방음패널에 있어서, 상기 소음발생장소를 향하여 소음을 차음하도록, 일정 높이로 형성된 제1폐쇄부; 상기 제1폐쇄부와 하방으로 이격 형성되고, 소음을 차음하도록 상기 소음발생장소를 향하며, 상기 제1폐쇄부의 높이와 다른 높이로 형성된 제2폐쇄부; 상기 제2폐쇄부와 하방으로 이격 형성되고, 소음을 차음하도록 상기 소음발생장소를 향하며, 상기 제1폐쇄부의 높이 및 상기 제2폐쇄부의 높이와 다른 높이로 형성된 제3폐쇄부; 상기 제1폐쇄부와 상기 제2폐쇄부사이에 형성되며, 소음을 흡입하도록 상기 소음발생장소를 향해 형성된 제1개구부; 상기 제2폐쇄부와 상기 제3폐쇄부사이에 형성되며, 소음을 흡입하도록 상기 소음발생장소를 향해 형성된 제2개구부;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소음을 흡입하여 순환시켜 방음하도록, 상기 제1개구부와 연통하는 소음 순환공간을 형성하는 제1흡음공간부;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소음을 흡입하여 순환시켜 방음하도록, 상기 제2개구부와 연통하는 소음 순환공간을 형성하는 제2흡음공간부; 상기 제1, 2, 3폐쇄부 및 상기 제1, 2개구부에 의해 이루어진 전방에 대응하며 후방을 형성하는 배면부; 상기 제1, 2, 3폐쇄부 및 상기 제1, 2개구부에 의해 이루어진 전방의 하부와 상기 배면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방음벽 설치장소의 최하부를 형성하는 기부 또는 지면에 접하거나 또는 다른 하나의 방음패널의 상부에 적층식으로 설치될 때 결합되는 제1결합부; 상기 제1, 2, 3폐쇄부 및 상기 제1, 2개구부에 의해 이루어진 전방의 상부와 상기 배면부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방음벽 설치시 다른 하나의 방음패널의 상기 제1결합부가 해제 가능하게 접속 결합되는 제2결합부; 상기 제1, 2, 3폐쇄부, 상기 제1, 2개구부, 상기 제1, 2흡음공간부, 상기 배면부,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강성을 유지하고 전체적인 중량을 감소시키도록 형성된 보강부;및상기 제1, 2, 3폐쇄부, 상기 제1, 2개구부, 상기 제1, 2흡음공간부, 상기 배면부,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를 양 측방으로 노출시키도록 나부(裸部)를 형성하는 양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 3폐쇄부, 상기 제1, 2개구부, 상기 제1, 2흡음공간부, 상기 보강부, 상기 배면부, 상기 제1, 2결합부 및 상기 양 측부는 압출성형에 의해 동시에 성형되며:
상기 제1흡음공간부는,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소음을 후방 및 상방으로 안내하고 먼지 또는 빗물을 흘러내리게 하도록 후, 상방을 향해 예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면과, 상기 가이드면의 후단에 연접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면에 의해 안내되는 소음을 상방으로 안내하도록 수직 형성된 후방면과, 상기 후방면의 상단에 연접 형성되며 상기 후방면을 통해 안내되는 소음의 방향을 다시 전방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된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의 전방부에 연접 형성되며 상기 상부면을 통해 안내되는 소음의 방향을 하방으로 안내하여 순환시키도록 형성된 전방면을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패널에 의하면, 소음발생장소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일부는 폐쇄부에 의해 차단되고 나머지는 흡음공간부로 흡입되어 순환 및 흡음방식으로 상쇄되어 방음됨으로써 방음효율이 향상되고, 경량의 재질로 압출 성형하여 제조됨으로써 전체적인 중량이 감소하고 제조가 간단하고 제조비가 저렴하며, 측방을 폐쇄하기 위한 별도의 폐쇄수단이 생략될 수 있어 볼트 또는 다른 고정수단 없이 각각의 방음패널을 끼움방식으로 결합하여 방음벽을 설치함으로서 설치가 신속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패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방음패널이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방음패널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방음패널의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패널이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패널을 이용한 방음벽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는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을 간략하면, 먼저 경량을 위해 PVC, 합성수지, 하이샤시, 알루미늄과 등과 같은 경량 재질로 형성된다는 점과, 제조의 용이성 및 제품성의 향상을 위해 압출성형에 의해 제조된다는 점이다.
도 2 내지 도 7에 있어서, 부호 10은 산업현장 또는 도로와 같은 소음발생지역을 향하는 정면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폐쇄부이다. 상기 제1폐쇄부(10)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시공위치 및 설계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폐쇄부(10)는 일정 높이(h1)로 형성되며, 소음발생지역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부호 20은 산업현장 또는 도로와 같은 소음발생지역을 향하는 정면부의 대체로 중앙 하부에 상기 제1폐쇄부(10)와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폐쇄부이다. 상기 제2폐쇄부(20)는 상기 제1폐쇄부(10)의 높이(h1)와 다른 일정 높이(h2)로 형성되며, 역시 소음발생지역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부호 30은 산업현장 또는 도로와 같은 소음발생지역을 향하는 정면부의 대체로 중앙 하부에 상기 제2폐쇄부(20)와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3폐쇄부이 다. 상기 제3폐쇄부(20)는 상기 제1폐쇄부(10)의 높이(h1) 및 제2폐쇄부(20)의 높이(h2)와 다른 일정 높이(h3)로 형성되며, 소음발생지역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주요 특징에 따르면, 다수의 방음패널을 적층하여 방음벽을 설치하는 경우 차음면적이 일정한 간격으로 동일면적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이웃하는 방음패널에서 상호 겹쳐지는 제1폐쇄부(10)의 높이(h1)와 제3폐쇄부(30)의 높이(h3)의 합(h1 + h3)은 제2폐쇄부(20)의 높이(h2)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부호 40은 산업현장 또는 도로와 같은 소음발생지역을 향하는 정면부에 형성되는 제1개구부이다. 상기 제1개구부(40)는 상기 제1폐쇄부(10)와 제2폐쇄부(20)사이에 형성되고, 일정한 개방높이(h4)로 형성되며, 소음발생지역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흡음하는 역할을 한다.
부호 50은 산업현장 또는 도로와 같은 소음발생지역을 향하는 정면부에 형성되는 제2개구부이다. 상기 제2개구부(50)는 상기 제2폐쇄부(20)와 제3폐쇄부(30)사이에 형성되고, 일정한 개방높이(h5)로 형성되며, 소음발생지역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흡음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1개구부(40)의 개방높이(h4)와 제2개구부(50)의 개방높이(h5)는 동일하게 설정되는 바, 이는 다수의 방음패널을 적층하여 방음벽을 설치하는 경우 흡음면적을 일정 간격으로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각각의 상기 폐쇄부(10;20;30)의 전체 표면적(M1)에 대한 상기 개구부(40;50)의 전체 개방면적(M2)의 비(M1;M2)는 1.4 : 1.1 내지 1.6 : 0.9로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폐쇄부(10;20;30)의 표면적(M1)의 비례상수가 1.6이상으로 되면 차음효과 및 강도는 향상되지만 흡음효과가 저하될 수 있는 반면, 1.4이하로 되면 흡음효과는 향상되지만 차음효과 및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가장 이상적인 면적 비(M1:M2)는 1.5:1.0이다.
부호 60은 방음패널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개구부(40)를 통해 유입되는 소음을 흡입하여 순화하는 방식으로 감쇠시키기 위한 제1흡음공간부이다. 상기 제1흡음공간부(60)는 상기 제1개구부(40)와 연통하며 상기 제1폐쇄부(10)의 후방 내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1흡음공간부(60)는 상기 제1개구부(10)를 통해 유입되는 소음을 후방 및 상방으로 유연하게 안내하도록 후, 상방을 향해 예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면(62)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면(62)의 후단에는, 상기 가이드면(62)에 의해 안내되는 소음을 상방으로 안내하기 위해 수직 형성되는 후방면(64)이 연접하여 형성된다. 상기 후방면(64)의 상부에는, 상기 후방면(64)을 통해 안내되는 소음의 방향을 다시 전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상부면(66)이 연접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면(66)의 전방부에는, 상기 상부면(66)을 통해 안내되는 소음의 방향을 하방으로 안내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전방면(68)이 연접하여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라 제1흡음공간부(60)는 소음의 순환공간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1개구부(40)를 통해 유입되는 소음을 순환시키며 이와 같은 순환 중에 소음이 상쇄되어 방음할 수 있는 것이다.
부호 70은 방음패널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개구부(50)를 통해 유입되는 소음을 흡입하여 순환시키는 방식으로 감쇠시키기 위한 제2흡음공간부이다. 상기 제2흡음공간부(70)는 상기 제2개구부(50)와 연통하며 상기 제2폐쇄부(20)의 후방 에 형성된다.
상기 제2흡음공간부(70)는 상기 제1흡음공간부(60)와 동일 내지 유사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2흡음공간부(70)는 상기 제2개구부(50)를 통해 유입되는 소음을 후방 및 상방으로 유연하게 안내하도록 후, 상방을 향해 예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면(72)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면(72)의 후단에는, 상기 가이드면(72)에 의해 안내되는 소음을 상방으로 안내하기 위해 수직 형성되는 후방면(74)이 연접하여 형성된다. 상기 후방면(74)의 상부에는, 상기 후방면(74)을 통해 안내되는 소음의 방향을 다시 전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상부면(76)이 연접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면(76)의 전방부에는, 상기 상부면(76)을 통해 안내되는 소음의 방향을 하방으로 안내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전방면(78)이 연접하여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라 상기 제2흡음공간부(70)는, 상기 제1흡음공간부(60)와 같이 소음의 순환공간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2개구부(50)를 통해 유입되는 소음을 순환시켜 흡음 내지 상쇄시켜 방음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흡음공간부(60)의 가이드면(62) 과 상기 제2흡음공간부(70)의 가이드면(72)이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 있어, 빗물 또는 먼지가 상기 제1개구부(40) 및 제2개구부(50)를 통해 침입하더라도 자연적으로 하방으로 낙하되어 제거되는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 다.
부호 80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패널의 전체적인 중량을 감소시킴은 물론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보강부이다. 상기 보강부(80)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패널의 전체에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80)는 방음패널의 전방으로부터 또는 후방으로부터 가해지는 풍압 또는 외압을 견딜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1보강편(82)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80)는 방음패널의 설치시 상기 방음패널의 적층에 의한 하중 또는 설치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2보강편(84)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80)는 방음패널의 후방으로부터 가해지는 외압 및 설치수단(미도시)에 의한 압력을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3차원적으로 견디기 위한 다수의 제3보강편(86)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보강부(80)를 형성하는 각각의 보강편(82;84;86)들 사이에는 자연적으로 공간부(88)가 형성되는바, 각각의 상기 공간부(88)들은 상기 방음패널의 중량을 가볍게 함은 물론 재료의 소모를 최대로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부호 90은 방음패널의 전방에 대응하며 후방을 형성하는 배면부이다. 상기 배면부(90)는 평탄형으로 형성된다.
부호 100은, 방음패널의 하부면을 형성하며 설치시 방음벽 설치장소의 최하부를 형성하는 기부 또는 지면에 접하거나 또는 하나의 방음패널의 상부에 적층식으로 설치될 때 후술되는 제2결합부에 접속되는 제1결합부이다.
상기 제1결합부(100)는 2개의 결합홈(102)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 기 제1결합부(100)는 2개의 결합홈(102)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상기 결합홈(102)의 개수는 후술되는 제2결합부의 결합편의 개수에 상응하게 설정되며, 물론 방음패널의 사이즈 또는 결합강도를 고려하여 하나 또는 2개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부호 110은, 방음패널의 상부면을 형성하며 설치시 다른 하나의 방음패널의 상기 제1결합부(100)가 해제 가능하게 접속 결합되는 제2결합부이다.
상기 제2결합부(110)는 돌기 또는 레일형으로 형성되는 2개의 결합편(112)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결합부(110)는 상기 제1결합부(100)의 각각의 결합홈(102)에 대응하도록 2개의 결합편(112)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상기 결합편(112)은 상기 제1결합부(100)의 결합홈(102)의 개수 및 방음패널의 사이즈 또는 결합강도를 고려하여 하나 또는 2개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부호 120 및 130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패널의 측부이다. 각각의 상기 측부(120;130)에는 별도의 마감부재 또는 폐쇄부재가 구비될 필요가 없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로 개방된 나부(裸部)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인 구성 및 조립이 간단할 뿐 아니라 전체적인 중량의 감소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방음패널의 작용모드 및 그 방음패널을 이용한 방음벽의 설치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패널을 제조 및 준비하기 위해, 먼저 작업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방음패널의 형상 및 구조에 상응하는 금형을 성형한 후, 상기 금형을 압출장치에 설치하고, 용융된 알루미늄 또는 경량금속을 상기 금형을 통해 압출 하여 상술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방음패널(P)을 준비한다.
이와 같이 준비된 각각의 방음패널(P)들을, 방음벽이 설치될 지면에 콘크리트로 기부(B)를 형성한 후 그 기부(B)에 상기 방음패널(P)의 폭에 상응하게 연속 반복적으로 복수의 지주(PO)를 설치한 상태에서, 정면부의 각각의 폐쇄부(10;20;30) 및 개구부(40;50)가 소음이 발생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끼움방식으로 적층시켜 방음벽(W)을 완성한다(도 7참조).
여기서, 최하부에 설치되는 방음패널(P)은 그것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1결합부(100)가 기부(B)에 접하는 반면, 상부를 형성하는 제2결합부(110)는 상부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최하부의 방음패널(P)의 상부에는 다른 하나의 방음패널(P)이 적층 결합되어 설치되는 바, 최하부의 방음패널(P)의 제2결합부(110)의 각각의 결합편(112)이 다른 하나의 방음패널(P)의 제1결합부(100)의 각각의 결합홈(102)에 삽입 결합되어 적층 설치되는 것이다. 물론,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 또는 다수의 방음패널(P)을 설정된 높이로 설치하여 방음벽(W)을 완성하는 것이다.
물론, 일정 높이까지만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패널(P)을 적층설치하고, 그 상부에는 투명 방음패널 또는 스크린 방음패널(SP)을 설치하여 변화를 줄 수 있다. 또한, 방음패널(P)을 모두 설치한 후에는 각각의 방음패널(P)을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상기 지주(PO)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브래킷(미도시)을 상기 지주(PO)의 설치홈(H)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방음벽(W)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방음벽(W)의 전방에서 발생되는 소음은 각각의 방음패널(P)에 의한 소음의 흡입, 순환 및 차음에 의해 완전히 방음 및 차단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방음벽(W)의 전방에서 발생되는 소음 중 일부는 각각의 상기 방음패널(P)의 상기 제1폐쇄부(10), 제2폐쇄부(20) 및 제3폐쇄부(30)에 의해 차음되며, 나머지 소음은 상기 제1개구부(40)를 통해 상기 제1흡음공간부(60)로 흡입되고 상기 제2개구부(50)를 통해 상기 제2흡음공간부(70)로 흡음된다.
각각의 상기 흡음공간부(60;70)로 흡입된 소음은 상, 후방으로 경사진 각각의 가이드면(62;72)을 통해 상방으로 안내되고, 이어서 각각의 후방면(64;74)에 의해 상방으로 안내되며, 다음으로 각각의 상부면(66;76)에 의해 다시 전방으로 안내되고, 이후 다시 각각의 전방면(68;78)에 의해 하방으로 안내되며, 이와 같은 소음의 순환이 연속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소음이 상쇄되어 흡음 또는 방음되는 것이다.
또한, 우천시 또는 먼지가 많이 발생되는 현장인 경우, 각각의 상기 제1개구부(40) 및 제2개구부(50)를 통해 상기 제1흡음공간부(60) 및 제2흡음공간부(70)로 흡입될 수 있는 빗물 또는 먼지는, 상기 제1흡음공간부(60)의 경사진 가이드면(62) 및 제2흡음공간부(70)의 경사진 가이드면(72)에 의해 하방으로 흘러내리거나 낙하하여 제거됨으로써, 각각의 상기 흡음공간부(60;70) 내부로의 침입을 완전 방지할 수 있어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방음벽(W)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가해지는 풍압 또는 외압은 각각의 방음패널(P)의 보강부(80)의 제1보강편(82)들에 의해 지지되고, 각각의 상기 방음패널(P)들의 적층으로 인한 설치압 또는 하중은 제2보강편(84)들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3보강편(86)들에 의해 다양한 방향에서의 하중이 지지됨으로써 상기 방음패널(P)들의 내구성이 보장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방음패널을 간단하게 제조하여 설치할 수 있고, 소음을 차단할 뿐 아니라, 소음의 흡입, 순환 및 흡음을 연속 반복적으로 행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방음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등록실용신안 제20-275008호의 방음패널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패널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방음패널이 정면도.
도 4는 도 2의 방음패널의 배면도.
도 5는 도 2의 방음패널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패널이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패널을 이용한 방음벽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1폐쇄부 20: 제2폐쇄부
30: 제3폐쇄부 40: 제1개구부
50: 제2개구부 60: 제1흡음공간부
70: 제2흡음공간부 80: 보강부
90: 배면부 100: 제1결합부
110: 제2결합부 120, 130: 측부

Claims (6)

  1. 소음발생장소의 주변에 설치되어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방음벽에 적층 설치되는 방음패널에 있어서,
    상기 소음발생장소를 향하여 소음을 차음하도록, 일정 높이(h1)로 형성된 제1폐쇄부(10);
    상기 제1폐쇄부(10)와 하방으로 이격 형성되고, 소음을 차음하도록 상기 소음발생장소를 향하며, 상기 제1폐쇄부(10)의 높이(h1)와 다른 높이(h2)로 형성된 제2폐쇄부(20);
    상기 제2폐쇄부(20)와 하방으로 이격 형성되고, 소음을 차음하도록 상기 소음발생장소를 향하며, 상기 제1폐쇄부(10)의 높이(h1) 및 상기 제2폐쇄부(20)의 높이(h2)와 다른 높이(h3)로 형성된 제3폐쇄부(30);
    상기 제1폐쇄부(10)와 상기 제2폐쇄부(20)사이에 형성되며, 소음을 흡입하도록 상기 소음발생장소를 향해 형성된 제1개구부(40);
    상기 제2폐쇄부(20)와 상기 제3폐쇄부(30)사이에 형성되며, 소음을 흡입하도록 상기 소음발생장소를 향해 형성된 제2개구부(50);
    상기 제1개구부(40)를 통해 유입되는 소음을 흡입하여 순환시켜 방음하도록, 상기 제1개구부(40)와 연통하는 소음 순환공간을 형성하는 제1흡음공간부(60);
    상기 제2개구부(50)를 통해 유입되는 소음을 흡입하여 순환시켜 방음하도록, 상기 제2개구부(50)와 연통하는 소음 순환공간을 형성하는 제2흡음공간부(70);
    상기 제1, 2, 3폐쇄부(10, 20, 30) 및 상기 제1, 2개구부(40, 50)에 의해 이루어진 전방에 대응하며 후방을 형성하는 배면부(90);
    상기 제1, 2, 3폐쇄부(10, 20, 30) 및 상기 제1, 2개구부(40, 50)에 의해 이루어진 전방의 하부와 상기 배면부(9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방음벽 설치장소의 최하부를 형성하는 기부 또는 지면에 접하거나 또는 다른 하나의 방음패널의 상부에 적층식으로 설치될 때 결합되는 제1결합부(100);
    상기 제1, 2, 3폐쇄부(10, 20, 30) 및 상기 제1, 2개구부(40, 50)에 의해 이루어진 전방의 상부와 상기 배면부(9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방음벽 설치시 다른 하나의 방음패널의 상기 제1결합부(100)가 해제 가능하게 접속 결합되는 제2결합부(110);
    상기 제1, 2, 3폐쇄부(10, 20, 30), 상기 제1, 2개구부(40, 50), 상기 제1, 2흡음공간부(60, 70), 상기 배면부(90), 상기 제1결합부(100) 및 상기 제2결합부(11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강성을 유지하고 전체적인 중량을 감소시키도록 형성된 보강부(80);및
    상기 제1, 2, 3폐쇄부(10, 20, 30), 상기 제1, 2개구부(40, 50), 상기 제1, 2흡음공간부(60, 70), 상기 배면부(90), 상기 제1결합부(100) 및 상기 제2결합부(110)를 양 측방으로 노출시키도록 나부(裸部)를 형성하는 양 측부(120;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 3폐쇄부(10, 20, 30), 상기 제1, 2개구부(40, 50), 상기 제1, 2흡음공간부(60, 70), 상기 보강부(80), 상기 배면부(90), 상기 제1, 2결합부(100, 110) 및 상기 양 측부(120, 130)는 압출성형에 의해 동시에 성형되며:
    상기 제1흡음공간부(60)는, 상기 제1개구부(40)를 통해 유입되는 소음을 후방 및 상방으로 안내하고 먼지 또는 빗물을 흘러내리게 하도록 후, 상방을 향해 예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면(62)과, 상기 가이드면(62)의 후단에 연접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면(62)에 의해 안내되는 소음을 상방으로 안내하도록 수직 형성된 후방면(64)과, 상기 후방면(64)의 상단에 연접 형성되며 상기 후방면(64)을 통해 안내되는 소음의 방향을 다시 전방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된 상부면(66)과, 상기 상부면(66)의 전방부에 연접 형성되며 상기 상부면(66)을 통해 안내되는 소음의 방향을 하방으로 안내하여 순환시키도록 형성된 전방면(68)을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방음패널을 적층하여 방음벽을 설치하는 경우 차음면적이 일정한 간격으로 동일면적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폐쇄부(10)의 높이(h1)와 상기 제3폐쇄부(30)의 높이(h3)의 합(h1 + h3)은 상기 제2폐쇄부(20)의 높이(h2)와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패널.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흡음공간부(70)는, 상기 제2개구부(50)를 통해 유입되는 소음을 후방 및 상방으로 안내하고 먼지 또는 빗물을 흘러내리도록 하기 위해 후, 상방을 향해 예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면(72)과, 상기 가이드면(72)의 후단에 연접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면(72)에 의해 안내되는 소음을 상방으로 안내하도록 수직 형성되는 후방면(74)과, 상기 후방면(74)의 상단에 연접 형성되며 상기 후방면(74)을 통해 안내되는 소음의 방향을 전방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상부면(76)과, 상기 상부면(76)의 전방단에 연접되며 상기 상부면(76)을 통해 안내되는 소음의 방향을 하방으로 안내하여 순환시키도록 형성되는 전방면(78)을 일체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80)는, 상기 방음패널의 전, 후방으로부터 가해지는 풍압 또는 외압을 견딜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1보강편(82)과, 상기 방음패널의 설치시 상기 방음패널의 적층에 의한 하중 또는 설치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2보강편(84)과, 상기 방음패널의 여러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 및 하중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제3보강편(86)과, 상기 방음패널의 전체적인 중량을 감소시키고 재질의 소모를 감소시키도록 각각의 상기 보강편(82;84;86)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8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100)는 2개의 결합홈(102)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부(110)는 상기 제1결합부(100)의 각각의 결합홈(102)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2개의 결합편(112)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패널.
KR1020080094505A 2008-09-26 2008-09-26 방음패널 KR100895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505A KR100895054B1 (ko) 2008-09-26 2008-09-26 방음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505A KR100895054B1 (ko) 2008-09-26 2008-09-26 방음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5054B1 true KR100895054B1 (ko) 2009-04-30

Family

ID=40758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4505A KR100895054B1 (ko) 2008-09-26 2008-09-26 방음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50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935B1 (ko) * 2010-08-26 2011-08-18 김정식 조립식 방음벽
KR101269661B1 (ko) 2010-09-06 2013-06-04 김정식 조립식 방음벽
KR20210137712A (ko) * 2020-05-11 2021-11-18 윈텍이앤씨 주식회사 양방향 강성 구조 가설 방음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34800C1 (en) 1991-10-22 1992-12-03 Dr. Spiess Kunststoff-Recycling Gmbh & Co, 6719 Kleinkarlbach, De Recycled plastics sound barrier wall - has triangular cross=section with pockets to receive plants
KR100466410B1 (ko) 2004-07-13 2005-01-13 정낙경 방음벽용 수지 방음판
KR100782161B1 (ko) * 2006-08-24 2007-12-06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방음부재
KR20080041476A (ko) * 2006-11-07 2008-05-13 세원에스에스 주식회사 플라스틱 방음패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34800C1 (en) 1991-10-22 1992-12-03 Dr. Spiess Kunststoff-Recycling Gmbh & Co, 6719 Kleinkarlbach, De Recycled plastics sound barrier wall - has triangular cross=section with pockets to receive plants
KR100466410B1 (ko) 2004-07-13 2005-01-13 정낙경 방음벽용 수지 방음판
KR100782161B1 (ko) * 2006-08-24 2007-12-06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방음부재
KR20080041476A (ko) * 2006-11-07 2008-05-13 세원에스에스 주식회사 플라스틱 방음패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935B1 (ko) * 2010-08-26 2011-08-18 김정식 조립식 방음벽
KR101269661B1 (ko) 2010-09-06 2013-06-04 김정식 조립식 방음벽
KR20210137712A (ko) * 2020-05-11 2021-11-18 윈텍이앤씨 주식회사 양방향 강성 구조 가설 방음벽
KR102386397B1 (ko) * 2020-05-11 2022-04-14 윈텍이앤씨 주식회사 양방향 강성 구조 가설 방음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1273B1 (ko) 방음패널
KR101730976B1 (ko) 가설 방음벽용 스마트 방음·방진 패널
KR101609382B1 (ko) 디자인이 우수하고 시공이 간편한 방음벽 리모델링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266440B1 (ko) 터널형 방음시설
KR100895054B1 (ko) 방음패널
CA2538828C (en) Window subassembly for use with insulated concrete forms
KR100741737B1 (ko) 다면 흡음 일체형 압출식 에코우드 방음 패널
KR100892872B1 (ko) 방음패널
KR20080068177A (ko) 교량안전점검통로
WO2010041297A1 (ja) 雨水貯留浸透施設用構造部材、雨水貯留浸透施設用構造体、及び、これらを用いた雨水貯留浸透施設
KR100684358B1 (ko) 방음 판넬 어셈블리
KR101163383B1 (ko) 조립식 방음벽
KR101784471B1 (ko) 반사 소음 억제형 조립식 방음벽
KR101104997B1 (ko) 중앙 지지대를 갖는 조립형 방음판
KR101852009B1 (ko) 유지보수성, 차음성 및 흡음성이 우수한 방음벽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KR20130088463A (ko) 현장조립형 방음패널 조립체
KR200412606Y1 (ko) 방음 판넬 어셈블리
KR101309180B1 (ko) 방음벽 설치구조
KR200175890Y1 (ko) 조립식 방음판넬
KR200430910Y1 (ko) 방음벽용 가변형 지주 가림판
KR100679932B1 (ko) 플라스틱 청정 방음패널 구조 및 시공방법
KR200386864Y1 (ko) 공사현장의 가설펜스
KR102203666B1 (ko) 폐플라스틱 소재의 전면패널을 구비한 방음패널 조립체
KR200401091Y1 (ko) 조립식 방음패널
KR101332622B1 (ko) 조립식 확산형 방음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