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8177A - 교량안전점검통로 - Google Patents

교량안전점검통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8177A
KR20080068177A KR1020070005530A KR20070005530A KR20080068177A KR 20080068177 A KR20080068177 A KR 20080068177A KR 1020070005530 A KR1020070005530 A KR 1020070005530A KR 20070005530 A KR20070005530 A KR 20070005530A KR 20080068177 A KR20080068177 A KR 20080068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upport
fixing member
bridg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70005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8177A/ko
Publication of KR20080068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81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05Nails, pi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6Ice-gripp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ice-spurs, ice-cleats, ice-creepers, crampons; Climb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mountain climbing irons
    • A43C15/061Ice-gripp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ice-cleats, ice-creep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0Non-skid attachments made of wire, chain, or other meshed material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화가 가능해 제작 및 설치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통로의 유효폭과 핸드레일포스트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중량을 현저히 감소시키며 외관을 미려하게 개선한 교량안전점검통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정간격으로 교각에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위에 설치되는 발판을 포함하는 교량안전점검통로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교각에 고정되며 일측면과 상하면이 개방된 채널형 단면구성을 갖는 고정브라켓과, 핸드레일을 끼워 설치할 수 있도록 상하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구멍을 형성한 핸드레일포스트와, 상기 고정브라켓과 핸드레일포스트의 하부를 서로 연결시키고 발판을 지지하며 하면과 양측면이 개방된 채널형 단면구성을 갖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과 지지브라켓이 서로 연결되는 하부에 설치되어 지지브라켓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브라켓으로 구성되고, 상기 발판은, 복수의 구멍이 천공된 타공판으로 구성되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안전점검통로를 제공한다.
교량안전점검통로, 지지대, 발판, 핸드레일, 경량

Description

교량안전점검통로{Passage for inspection of brid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안전점검통로를 교각에 설치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안전점검통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안전점검통로의 결합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안전점검통로의 고정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안전점검통로의 측면 덮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안전점검통로의 상면 덮개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안전점검통로의 캡핸드레일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안전점검통로의 마개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안전점검통로의 지지브라켓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안전점검통로의 처짐방지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11a는 발판의 사시도이고, 도 11b는 그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안전점검통로의 제 1 고정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안전점검통로의 제 2 고정부재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지지대
110 : 고정브라켓
120 : 측면 덮개
130 : 상면 덮개
140 : 핸드레일포스트
150 : 캡핸드레일
155 : 핸드레일
160 : 마개
170 : 지지브라켓
180 : 처짐방지브라켓
200 : 발판
210 : 제 1 고정부재
220 : 제 2 고정부재
본 발명은 교량안전점검통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듈화로 제작 및 설치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통로의 유효폭과 핸드레일포스트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중량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외관을 미려하게 개선한 교량안전점검통로에 관한 것이다.
교량안전점검통로는 교량의 유지관리용 부대시설로서, 고소용 접근장비를 이 용하여 접근이 불가능한 교량부재의 점검 및 유지관리를 위해서 설치하는 통로식 접근시설을 말한다.
교량안전점검통로는 교각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과, 핸드레일을 끼워 설치할 수 있도록 상하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구멍을 형성한 핸드레일포스트와, 상기 고정브라켓과 핸드레일포스트의 하부를 서로 연결시키고 발판을 지지하는 지지브라켓으로 구성된 교량안전점검통로용 지지대에 발판을 부설하고 핸드레일포스트에 핸드레일을 끼워 구성된다.
지지대는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서 스테인리스나 알루미늄이 사용되며 염해 우려지역에 가설된 교량에 설치하는 점검통로는 염해에 문제가 없는 재질로 제작한다.
지지대를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작할 경우 구성품을 용접하여 제작하였으나 용접부에서의 부식 등의 문제가 있어 현재는 주물제작방법으로 고정브라켓과 핸드레일포스트 및 지지브라켓을 일체로 만들거나 이들을 분리하여 주물 제작한 후 조립하는 방법으로 제작한다.
그러나 알루미늄 주물제작방법의 경우 지지대의 중량이 스테인리스 재질에 비해 가볍기는 여전히 무거운 점이 있고, 주물작업은 기피업종으로서 제작이 원활하지 않으며, 외관이 매끈하지 못하고 다소 거칠어 미려하지 못한 점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중량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외관을 미려하게 개선한 교량안전점검통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듈화가 가능해 제작 및 설치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교량안전점검통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로의 유효폭과 핸드레일포스트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교량안전점검통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정간격으로 교각에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위에 설치되는 발판을 포함하는 교량안전점검통로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교각에 고정되며 일측면과 상하면이 개방된 채널형 단면구성을 갖는 고정브라켓과, 핸드레일을 끼워 설치할 수 있도록 상하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구멍을 형성한 핸드레일포스트와, 상기 고정브라켓과 핸드레일포스트의 하부를 서로 연결시키고 발판을 지지하며 하면과 양측면이 개방된 채널형 단면구성을 갖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과 지지브라켓이 서로 연결되는 하부에 설치되어 지지브라켓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브라켓으로 구성되고, 상기 발판은, 복수의 구멍이 천공된 타공판으로 구성되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안전점검통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고정브라켓에는 강도보강을 위해 내부에 T자형 격벽이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브라켓에는 강도보강을 위해 내부에 T자형 격벽을 형성하고 이 격벽에 의해 내부에 2개의 안내요철면이 형성된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처짐방지브라켓은 속빈 관체로서 내부에는 대각선으로 격벽을 형성하여 강성을 보강하고 내측 모서리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의 측면 개방부에는 측면 덮개가 결합되고 상면 개방부에는 상면 덮개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고정브라켓 쪽에 설치되는 제 1 고정부재와, 핸드레일포스트 쪽에 설치되는 제 2 고정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고정부재는 발판의 일측이 끼워지는 삽입홈이 형성된 L형강이고, 상기 제 2 고정부재는 발판의 타측이 끼워지는 삽입홈이 형성된 T형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핸드레일포스트의 상부에는 캡핸드레일이 결합되고 하부에는 마개가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핸드레일은 중공부가 형성된 원형파이프 형태이고 하면에는 핸드레일포스트의 상단이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개는 상기 핸드레일포스트의 하단에 삽입되는 결합돌부와 상기 제 2 고정부재의 하부 및 핸드레일포스트의 하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안전점검통로를 교각에 설치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안전점검통로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안전점검통로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안전점검통로는, 교각(p)에 일 정간격으로 고정된 지지대(100)에 발판(200)을 부설하고 캡핸드레일(150)과 핸드레일(155)을 끼워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110), 핸드레일포스트(140), 지지브라켓(170) 및 처짐방지브라켓(180)으로 구성되며 이들 부재는 별개의 부재로 제작한 후 조립하여 구성되며, 특히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각 부재를 채널형상 또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발판(200)을 면이 평활한 타공판으로 구성하여 점검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안전점검통로(이하 간단히 '점검통로'라고도 한다)의 구성요소 중 먼저 지지대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안전점검통로의 고정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안전점검통로의 측면 덮개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안전점검통로의 상면 덮개의 사시도이다.
고정브라켓(110)은 점검통로를 교각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길이방향으로는 교각에 매입된 앵커볼트가 삽입되는 복수의 구멍(11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양측벽에는 처짐방지브라켓(180)을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가 삽입되는 구멍(112)이 형성되어 있다.
단면형상은, 도 4에서 보듯이,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일측면과 상하면이 개방된 채널 형상으로 하고, 강도보강을 위해 내부에 격벽을 형성하되 중량을 증가시키지 않기 위해 2개의 중공부(114)가 형성되도록 T자형 격벽(113)을 형성한다.
이때, 고정브라켓(110)의 측면 개방부에는 측면 덮개(120)를 결합하고 상면 개방부에는 상면 덮개(130)를 결합하여 고정브라켓(110)의 개방부를 가려 외관을 미려하게 한다.
상기 측면 덮개(120)는 판형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에는 고정브라켓(110)에 끼워지는 끼움편(1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면 덮개(1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에는 고정브라켓(110)의 상면에 끼워지는 끼움돌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안전점검통로의 캡핸드레일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안전점검통로의 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2, 3을 참조하면, 핸드레일포스트(140)에는 핸드레일(155)을 끼워 설치할 수 있도록 상하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구멍(1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각파이프로 구성하고 그 상단에는 캡핸드레일(150)을 하단에는 마개(160)를 각각 결합한다.
캡핸드레일(15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151)가 형성된 원형파이프 형태로서 하면에는 핸드레일포스트(140)의 상단이 삽입되는 공간부(152)가 형성되어 있다.
마개(16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레일포스트(140)의 하단에 삽입되는 결합돌부(161)와 후술하는 제 2 고정부재(220)의 하부 및 핸드레일포스트(140)의 하단이 삽입되는 삽입홈(162)이 형성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안전점검통로의 지지브라켓(170)의 사시도이다.
지지브라켓(170)은 발판(200)을 지지하고 고정브라켓(110)과 핸드레일포스트(140)를 서로 연결시키는 부재로서,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일단은 상기 고정브라켓(110)의 측면 개방부로 삽입되어 볼트로 고정브라켓(110)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핸드레일포스트(140)의 하단부에 볼트로 결합된다.
단면형상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하면과 양측면이 개방된 채널 형상으로 하고, 강도보강을 위해 내부에 격벽을 형성하되 중량을 증가시키지 않기 위해 2개의 중공부(172)가 형성되도록 T자형 격벽(171)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중공부(172)에는 핸드레일포스트(140)와 결합시키는 볼트를 안내하는 안내요철면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제 1 고정부재(210)를 볼트로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구멍(173)이 형성되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안전점검통로의 처짐방지브라켓(180)의 사시도이다.
처짐방지브라켓(180)은 지지브라켓(170)의 하부에 결합되어 지지브라켓(170)이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단면형상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빈 관체로서 내부에는 대각선으로 격벽(181)을 형성하여 강성을 보강하고, 내측 모서리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홈(182)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지지대에 발판을 조립하게 되는데 발판의 구성과 발판이 지지대에 조립되는 구조는 아래와 같다.
먼저 발판은 도 11a,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면이 평활하고 다수개의 구멍(201)이 천공된 타공판으로 구성되며, 그 양측 단부에는 각각 걸림턱(202)(203)이 형성되어 있어, 제 1 고정부재(210) 및 제 2 고정부재(220)에 삽입되며, 또한 발판을 겹쳐 설치할 경우 인접하는 발판 사이의 접합부분이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안전점검통로의 제 1 고정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안전점검통로의 제 2 고정부재의 단면도이다.
발판(200)을 지지대(100)에 조립할 때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2 고정부재(210)(220)를 이용한다.
제 1 고정부재(210)는 고정브라켓(110) 쪽에 설치되어 발판(200)의 일측 단부를 지지브라켓(170)에 고정시키며, 제 2 고정부재(220)는 핸드레일포스트(140) 쪽에 설치되어 발판(200)의 타측 단부를 지지브라켓(170)에 고정시킨다.
제 1 고정부재(21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200)의 일측 단부가 끼워지는 삽입홈(211)이 형성된 L형강으로 구성하고, 제 2 고정부재(22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200)의 타측 단부가 끼워지는 삽입홈(221)이 형성된 T형강으로 구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점검통로를 구성하는 모든 부재를 내식성이 우수하고 경량인 알루미늄을 이용해 압출가공으로 길이재를 제작한 후 소정길이로 절단하여 제작한다.
따라서 종래 주물제작방식에 비해 표면이 매끈하여 외관이 미려하고 압출재를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최종 부재를 제작하므로 길이 가변이 보다 자유로워 다 양한 크기로 모듈화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점검통로를 교각에 설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교각에 선매입된 앵커볼트 또는 세트 앵커볼트를 고정브라켓(110)에 형성된 구멍(111)에 삽입한 후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브라켓(110)을 교각에 고정시킨다.
다음, 고정브라켓(110)의 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지지브라켓(170)을 볼트를 이용해 고정시키고, 지지브라켓(170)의 하부에 처짐방지브라켓(180)을 볼트로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고정브라켓(110), 지지브라켓(170) 및 처짐방지브라켓(180)을 교각(p)에 일정 간격으로 조립해 나가며 적어도 2개가 조립된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교각(p)의 둘레에 모두 설치한 다음, 그 양측에 제 1 고정부재(210)와 제 2 고정부재(220)가 결합된 발판(200)을 지지브라켓(170) 위에 설치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발판(200)에 제 1 고정부재(210)와 제 2 고정부재(220)를 공장에서 미리 결합한 상태에서 운반하여 현장에서는 간단히 지지브라켓(170)에 고정하면 된다.
다음, 제 2 고정부재(220)에 핸드레일포스트(140)를 면접시킨 후 마개(160)의 삽입홈(162)에 핸드레일포스트(140)의 하단부와 제 2 고정부재(220)의 하단부가 삽입되게 마개(160)를 핸드레일포스트(140)의 하단에 결합한 상태에서 볼트를 이용해 핸드레일포스트(140)를 지지브라켓(170)과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지지대(100)에 발판(200)을 고정시키면서 핸드레일포스트(140)에 핸드레일(155)을 끼우고 핸드레일포스트(140)의 상부에는 캡핸드레일(150)을 끼운다.
마지막으로, 고정브라켓(110)에 측면 덮개(120)와 상면 덮개(130)가 각각 결합시키면 단위 길이에 대한 설치작업이 완료되고 위와 같은 방법으로 교각 둘레에 걸쳐 작업을 진행하면 설치작업이 모두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점검통로는 중량이 현저히 감소되고 외관이 미려하며 모듈화가 가능해 제작 및 설치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고 통로의 유효폭과 핸드레일포스트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일정간격으로 교각(p)에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대(100)와 상기 지지대(100) 위에 설치되는 발판(200)을 포함하는 교량안전점검통로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0)는,
    교각(p)에 고정되며 일측면과 상하면이 개방된 채널형 단면구성을 갖는 고정브라켓(110)과, 핸드레일(155)을 끼워 설치할 수 있도록 상하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구멍(141)을 형성한 핸드레일포스트(140)와, 상기 고정브라켓(110)과 핸드레일포스트(140)의 하부를 서로 연결시키고 발판(200)을 지지하며 하면과 양측면이 개방된 채널형 단면구성을 갖는 지지브라켓(170)과, 상기 고정브라켓(110)과 지지브라켓(170)이 서로 연결되는 하부에 설치되어 지지브라켓(170)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브라켓(180)으로 구성되고,
    상기 발판(200)은,
    복수의 구멍(201)이 천공된 타공판으로 구성되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대(10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안전점검통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100)에는 강도보강을 위해 내부에 T자형 격벽(113)이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브라켓(180)에는 강도보강을 위해 내부에 T자형 격벽(171)을 형성 하고 이 격벽(171)에 의해 내부에 2개의 안내요철면이 형성된 중공부(172)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처짐방지브라켓(180)은 속빈 관체로서 내부에는 대각선으로 격벽(181)을 형성하여 강성을 보강하고 내측 모서리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홈(182)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안전점검통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110)의 측면 개방부에는 측면 덮개(120)가 결합되고 상면 개방부에는 상면 덮개(13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안전점검통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고정브라켓(110) 쪽에 설치되는 제 1 고정부재(210)와, 핸드레일포스트(140) 쪽에 설치되는 제 2 고정부재(220)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고정부재(210)는 발판(200)의 일측이 끼워지는 삽입홈(211)이 형성된 L형강이고,
    상기 제 2 고정부재(220)는 발판(200)의 타측이 끼워지는 삽입홈(221)이 형성된 T형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안전점검통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포스트(140)의 상부에는 캡핸드레일(150)이 결합되고 하부에는 마개(16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안전점검통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캡핸드레일(150)은 중공부(151)가 형성된 원형파이프 형태이고 하면에는 상기 핸드레일포스트(150)의 상단이 삽입되는 공간부(15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안전점검통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160)는 상기 핸드레일포스트(150)의 하단에 삽입되는 결합돌부(161)와 상기 제 2 고정부재(220)의 하부 및 핸드레일포스트(150)의 하단이 삽입되는 삽입홈(16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안전점검통로.
KR1020070005530A 2007-01-18 2007-01-18 교량안전점검통로 KR200800681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530A KR20080068177A (ko) 2007-01-18 2007-01-18 교량안전점검통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530A KR20080068177A (ko) 2007-01-18 2007-01-18 교량안전점검통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177A true KR20080068177A (ko) 2008-07-23

Family

ID=39822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530A KR20080068177A (ko) 2007-01-18 2007-01-18 교량안전점검통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817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321B1 (ko) * 2014-10-28 2015-07-13 김순례 교량 점검대
KR101709111B1 (ko) * 2016-08-10 2017-02-22 주식회사 세진기술개발 하중 분산 기능이 개선된 교량 점검통로
CN109025241A (zh) * 2018-06-14 2018-12-18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装配式走道板装置及其施工方法
KR102379541B1 (ko) 2021-03-22 2022-03-28 (주)이알코리아 매립 앵커의 위치에 따라 가변 설치되는 교량 점검시설 결속 시스템
KR102401684B1 (ko) * 2021-06-29 2022-05-25 (주)이알코리아 수직 및 수평으로 강도 보상이 발휘되는 교량 점검시설 설치용 복합 이종소재 난간지지장치
KR102537075B1 (ko) * 2023-02-28 2023-05-30 (주)승조이앤씨 교량용 주탑의 거치식 내부점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321B1 (ko) * 2014-10-28 2015-07-13 김순례 교량 점검대
KR101709111B1 (ko) * 2016-08-10 2017-02-22 주식회사 세진기술개발 하중 분산 기능이 개선된 교량 점검통로
CN109025241A (zh) * 2018-06-14 2018-12-18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装配式走道板装置及其施工方法
CN109025241B (zh) * 2018-06-14 2021-10-26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装配式走道板装置及其施工方法
KR102379541B1 (ko) 2021-03-22 2022-03-28 (주)이알코리아 매립 앵커의 위치에 따라 가변 설치되는 교량 점검시설 결속 시스템
KR102401684B1 (ko) * 2021-06-29 2022-05-25 (주)이알코리아 수직 및 수평으로 강도 보상이 발휘되는 교량 점검시설 설치용 복합 이종소재 난간지지장치
KR102537075B1 (ko) * 2023-02-28 2023-05-30 (주)승조이앤씨 교량용 주탑의 거치식 내부점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68177A (ko) 교량안전점검통로
KR100850862B1 (ko) 건물의 벽체 패널 설치용 프레임 구조체를 사용한 벽체 패널 설치 장치
MX2011003007A (es) Sistema de construccion de unidades modulares.
ITVA20070053A1 (it) Manufatto composito per la costruzione di solai
US8448387B2 (en) Wall panel and method
ITRM20100693A1 (it) Componente innovativo per la realizzazione di tribune per impianti sportivi e tribuna per impianti sportivi realizzata per mezzo di detto componente innovativo
KR101550058B1 (ko) 확장인도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410766B1 (ko)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의 시공이 가능한 가변형 시스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격벽의 시공 방법
KR101356245B1 (ko) 층고절감형 3층 4단 콘크리트 슬래브 장스판 공작물 주차장
JP5572100B2 (ja) パネル化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547540B1 (ko) 이형플랜지를 갖는 하이브리드 h형강 빔
DE202006011801U1 (de) Rahmenkonstruktion für die Montage eines Sanitärgegenstandes
JP6300563B2 (ja) 防水板
EP1477400B1 (en) Balcony or the like
KR100381724B1 (ko) 교각 점검대
CN103492648A (zh) 构筑物系统及其方法
AU2018232939A1 (en) Walkway
JP2019148156A (ja) 排水溝ユニット及びその施工方法
AU2017268495A1 (en) Scaffolding System
KR20110094426A (ko) 조립식 물탱크
NL2007399C2 (en) Floor element for floor construction in a building.
KR100901016B1 (ko) 건축물의 외벽 비계 안전 브라켓
KR100402030B1 (ko) 층고저감을위한철골콘크리트조의거푸집장착구조
KR101021832B1 (ko) 확장 인도용 바닥 패널
EP1245748B1 (de) Tragvorrichtung für sanitäre Einrichtung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