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302B1 - 플라스틱 방음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방음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302B1
KR100878302B1 KR1020060109604A KR20060109604A KR100878302B1 KR 100878302 B1 KR100878302 B1 KR 100878302B1 KR 1020060109604 A KR1020060109604 A KR 1020060109604A KR 20060109604 A KR20060109604 A KR 20060109604A KR 100878302 B1 KR100878302 B1 KR 100878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late
panel
soundproof panel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9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1476A (ko
Inventor
이원우
Original Assignee
세원에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원에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원에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9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302B1/ko
Priority to CNA2007101662517A priority patent/CN101177935A/zh
Publication of KR20080041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7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open cavities, e.g. for covering sunken roads
    • E01F8/0064Perforated plate or mesh, e.g. as wall facing
    • E01F8/007Perforated plate or mesh, e.g. as wall facing with damp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7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open cavities, e.g. for covering sunken roads
    • E01F8/0052Grate-style, e.g. as wall fa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음벽을 형성하기 위한 플라스틱 방음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음전달을 차단하기 위해 도로변 등에 일정 높이로 적층 설치가 이루어지는 방음패널의 구조를 획기적으로 개량하여 그 작업성 및 시공효율을 향상시키고 방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 플라스틱 방음패널의 개선구조에 그 특징이 있다.
방음, 패널, 플라스틱, 결합부, 흡음재, 흡음공

Description

플라스틱 방음패널{Plastic soundproof panel}
도 1 은 본 발명의 플라스틱 방음패널에 대한 외관 사시도 및 일부 확대도,
도 2 는 도 1 의 정면도 및 그 확대도,
도 3 은 본 발명의 플라스틱 방음패널에 대한 일 측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시공과정을 보여주는 일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대한 개념을 보여주기 위한 일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시공방법에 의해 완성된 방음벽의 일부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방음패널,
2 : 전면판,
3 : 후면판,
4 : 차음판,
5 : 결합부,
6 : 흡음재,
7 : 결합체,
21 : 흡음공,
22, 31 : 결합공
41 : 흡음재고정용 면상돌기,
51, 51' : 직선구간,
52, 52' : 경사구간,
53, 53' : 돌출부,
54, 54' : 요홈부,
71 : 결합돌기
본 발명은 방음벽을 형성하기 위한 플라스틱 방음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음전달을 차단하기 위해 도로변 등에 일정 높이로 적층 설치가 이루어지는 방음패널의 구조를 획기적으로 개량하여 그 작업성 및 시공효율을 향상시키고 방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 플라스틱 방음패널의 개선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음벽은 도로변, 철로변, 공장주변 및 각종 공사현장 등과 같은 소음발생원의 주변을 따라 설치된다.
이 방음벽은 소음발생원에서 발생 되어 전파되는 각종 소음을 차단함으로서 인근 주민들이 소음공해에 시달리지 않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방음벽을 시공함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기초 콘크리트상에 다수의 H 빔을 일정 간격으로 입설하고, 이후 미리 규격화되어 제작된 방음패널의 양측을 이웃하는 H빔의 레일홈에 맞추어 끼우면서 차례로 방음패널을 적층한다.
여기서 상기 H빔들은 지반에 앵커볼트 등에 의해 견고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방음패널은 크레인과 같은 별도의 장비에 의해 옮겨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시공되어 지는 종래의 방음벽은 각각의 방음패널의 양측이 H빔에 의해 지지 되어지는 가운데 단순히 적층 하여 올려놓기만 하기 때문에 상하 방음패널간의 안정적인 적층 조립상태를 이루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공과정에서는 방음패널의 상부가 개방 되어져 있기 때문에 적층시공 완료 후, 우수 등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상단에 지붕형태의 상부커버를 설치해야 하며, 이를 위해 별도의 상부커버를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소정의 적층 높이에 방음 블럭 대신 투명판을 설치 시공하는 경우에도 투명판의 하부에 적층되는 방음 블럭에 상부커버를 설치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그리하여 본 발명자에 의해 선 발명되어 등록된 국내 특허 제10-0412068호 및 국내공개특허 제10-2005-0107687호, 동 제10-2006-0022931호가 개시되고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자의 선 출원 발명의 방음패널들은, 저면에 적층 되어지는 타 방음벽이 조립형태로 끼워져 결합 될 수 있도록 결합홈이 형성되어 지되, 상기 결합홈의 외벽을 이루는 보강리브가 양측에서 일정 높이를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하 향 돌출 형성되어져 있고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에는 내부공간을 복수로 구획하기 위한 격판 및 전,후면판과 수평을 이루는 차음판이 형성되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위에서 언급한 선행기술들은 종래 그것과 비교하여 상 하부로 적층되는 방음패널의 조립구조에 의해 견고히 조립되는 장점이 있고,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에 복수로 구획한 격판과 차음판 사이의 내부공간에 흡음재를 개재하여 방음효과를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방음패널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부재인 텐션편이 H 빔의 내면에 당접 지지 된 채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져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다른 방음패널의 상부에 얹혀지면서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텐션편이 H 빔의 내면에 닿아 압지하는 형태로 끼워짐으로써 조립시공 시 작업자가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하고 작업성 및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내포되어 있다.
또한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에 격판과 차음판으로 구획 형성되는 내부공간이 다수개로 분할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그에 일치해야 하는 흡음재가 다수개로 구비되어야 함으로써 작업공수가 많고 그에 따른 작업성 및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전면판에 형성되는 흡음공은 플라스틱재질인 방음패널의 특성상 형상 유지를 위해 전면판이 세로 형태로 요철을 이루면서 보강살 역할을 하고 있고, 그 요철부 전면에 가로형의 장 공 형태로 흡음공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한 방음패널이 도로변에 시공 설치되어 방음벽을 이룸으로써 차량의 왕복 주행시 발생되 는 소음이 흠음공을 통해 유입되어 제거되는 형태를 띰으로써 가로형으로 이루어진 장공 형태의 흡음공은 소음의 흡음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 기술들이 갖는 제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연구 창출된 것으로, 이를 제공하는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소음전달을 차단하기 위해 도로변 등에 일정 높이로 적층 설치가 이루어지는 방음패널의 구조를 획기적으로 개량하여 그 작업성 및 시공효율을 향상시키고 방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 플라스틱 방음패널의 개선된 조립구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음패널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부 양측면을 직선구간과 경사구간으로 서로 대향되게 구성하고 그 상 하부에는 경사진 돌출부와 그 돌출부가 인입되어 조립결합되는 경사진 요홈부를 상호 대향 되도록 일체 형성하여 H 빔의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지는 작업이 매우 간단 용이하면서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상 하 방음패널 간의 조립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플라스틱 방음패널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음패널의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에 격판과 차음판으로 구획 형성되는 내부공간을 하나로 형성하여 그 공간에 일치되는 흡음재를 하나로 구비함으로써 작업공수를 줄이고 그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시키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전면판에 형성되는 흡음공을 세로형의 장공으로 형성하여 차량의 왕복 주행시 발생 되는 소음의 흡음 효율을 가일층 상승 시킬수 있게 하려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흡음재(6)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전면판(2)과 후면판(3)이 상호간의 사이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내부공간에는 차음판(4)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판(2)에는 다수의 소음유입공(21)이 형성되며, 양측단에는 각각 H 빔(8)에 끼워져 상하 결합되는 결합부(5)가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방음패널(1)을 구성하되,
상기 방음패널(1)의 내부공간에 형성되는 차음판(4)은 그 내부공간을 이루는 전 후면판(2),(3)의 중간부에 형성되고, 상기 차음판(4)과 전면판(2)의 사이에는 흡음재 고정용 면상돌기(41)들이 다수 형성되어 상기 차음판(4)과 흡음재 고정용 면상 돌기(41) 사이에 일정 길이를 갖는 하나로 이루어진 일체형의 흡음재(6)가 끼워져 이루어지고,
상기 방음패널(1)의 전면판(2)에 형성되는 다수의 소음 유입공(21)은 세로형의 장공이 다수 연이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방음패널(1)의 양측단에 구성되는 결합부(5)는 일 측에서 보아 그 양측면이 직선구간(51),(51')과 경사구간(52),(52')으로 서로 좌우 대향 되게 구성되고 그 상 하부면에는 일측을 향해 경사진 돌출부(53),(53')와 그 돌출부(53),(53')가 인입되어 조립결합되는 경사진 요홈부(54),(54')가 상하 대향 되도록 각각 일체 형 성되어 H 빔(8)의 내면 상부에서 하부로 하강하여 상호 조립 결합 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방음패널(1)을 이루는 전면판(2)과 후면판(3)의 상부측 단부에는 다수개의 결합공(22),(31)이 형성되고, 상기 각 결합공(22),(31)에는 하부양측과 중간부에 다수의 결합돌기(71)가 형성된 결합체(7)가 각각 끼워져 전면판(2)과 후면판(3)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지지하되,
상기 결합체(7)의 하부양측에 형성된 결합돌기(71)는 상기 전면판(2)과 후면판(3)에 형성된 결합공(22),(31)의 각 내측에서 부터 밖을 향해 끼워져 그 간격유지와 지지결합력을 보강함과 동시에 상기 결합체(7)의 중간측에 형성된 복수조의 결합돌기(71)는 상기 차음판(4)의 상부 전 후면을 지지하는 형태로 끼워져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 9 은 방음패널(1)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 91 은 그 결합홈(9)내에 형성된 돌출편을 각각 나타낸다.
이와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방음패널(1) 구조는 첨부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저면의 전후면에 좌우 길이방향으로 결합홈(9)이 형성되어 있고, 일정간격으로 돌출편(91)을 형성시킴으로써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공간의 중간측에 좌우 길이방향으로 요철형태를 이룬 차음판(4)을 일체로 형성하고 그 양측에 흡음재 고정용 면상돌기(41)를 일체 형성하여 그 사이에 하나로 된 일체형의 흡 음재(6)를 끼우고 그 상부측에서 전후면판(2),(3)의 결합공(22),(31)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체(7)에 의해 전후면판(2),(3)) 의 일정한 간격유지와 지지결합력을 보강함과 동시에 상기 결합체(7)의 중간 하부측에 형성된 복수조의 결합돌기(71)가 상기 차음판(4)의 상부 전후면을 지지하는 형태로 끼워져 차음판(4)을 직립시키면서 그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흡음재(6)에 외력을 주지 않게 함으로서 흡음 및 차음 효과를 배가시킨다.
특히, 상기 방음패널(1)의 전면판에 상하 길이방향, 즉 세로형의 흡음공(21)에 의해 흡음공간이 넓어진 효과를 줌으로써 그 좌우로 이동하는 차량에서 발생되는 차량소음들을 유효하게 흡음하여 소거시킬 수 있고, 이는 기존 좌우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가로형의 흡음공에 비해 소음의 흡음 효과가 가일층 상승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 구성을 이루는 방음패널(1) 좌우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결합부(5)는 일 측에서 보아 그 양측면이 직선구간(51),(51')과 경사구간(52),(52')으로 서로 좌우 대향 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그 상 하부면에는 일측을 향해 경사진 돌출부(53),(53')와 그 돌출부(53),(53')가 인입되어 조립결합되는 경사진 요홈부(54),(54')가 그 상하부에 상호 대향 되도록 일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타측에 위치한 결합부(5) 역시 같은 방향으로 경사구간(52),(52')과 직선 구간(51),(51')이 서로 좌우 대향 하는 위치에 구성되어 있어, 상기 방음패널(1)이 전후로 일정 각도 유동 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H 빔(8) 내면의 상부에서 상기 방음패널(1)의 양측에 구성 되어 있는 결합부(5)를 동시에 끼워 하부로 하강시킬 때에는 직립형태를 이루고 있는 H 빔(8)의 내면에 상기 결합부(5)의 경사구간(52),(52')이 위치하도록 이를 전면 측으로 약간 경사지게 기울인 상태에서 하강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첨부 도면 도 5 에서 확인되는 바와같이, 결합부(5)의 경사면(52),(52')이 H 빔(8)의 내면에 일정 유격거리를 유지하여 서로 간섭되지 않은 상태로 하강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고, 그 하강이 완료되면 전면측으로 기울어져 있는 방음패널(1)에 약간의 힘을 가해 후면 측으로 밀어 직립시키면서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진 돌출부(53)를 그 하부측에 기 고정되어 있는 타 방음패널(1)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진 요홈부(54')에 일치시켜 하부로 밀어 조립하여준다.
이와같은 조립상태가 되면 결국 상기 결합부(5)의 좌우 양측에 대향 형성되어 있는 직선구간(51),(51')이 H 빔(8)의 양측 각 내면에 접하여 단단히 고정되게 되고, 하부측에서 돌출부(53),(53')와 요홈부(54),(54')가 치합되는 형태로 조립결합되어 유동 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같은 조립 결합작업은 그 상하부에 위치하는 방음패널(1)들이 결합부(5)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직선구간(51),(51')이 H 빔(8)의 내면에 당 접 되면서 전후 및 좌우로의 고정이 이루어지고 상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53),(53') 및 요홈부(54),(54')의 조립결합으로 상하고정이 이루어져 견고하고 신속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부분적인 교체나 보수가 필요하여 이를 해탈하고자 하는 경우, 상부에 위치한 방음패널(1)부터 이를 전면측으로 각도변환시켜 H 빔(8)의 내 면에 결합부(5)의 직선구간(51),(51')이 서로 당접,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경사구간(52),(52')으로 전환시켜 그 고정상태를 해제하고, 상부로 들어올려 교체대상 방음패널(1)을 H 빔(8)으로부터 해탈시켜 제거하고, 순서대로 끼워 전면측으로 당겨주기만 하면 됨으로서 그 교체 및 보수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소음전달을 차단하기 위해 도로변 등에 일정 높이로 적층 설치가 이루어지는 방음패널의 구조를 획기적으로 개량, 개선하여 그 생산성 시공작업성 및 시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고, 방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을뿐만 아니라,
특히, 방음패널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부 양측면을 직선구간과 경사구간으로 서로 대향되게 구성하고 그 상 하부에는 경사진 돌출부와 그 돌출부가 인입되어 조립결합되는 경사진 요홈부를 상호 대향 되도록 일체 형성하여 H 빔의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 적층하는 작업이 매우 간단 용이하면서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상 하 방음패널 간의 조립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었으며,
방음패널의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에 격판과 차음판으로 구획 형성되는 내부공간을 하나로 형성하여 그 공간에 일치되는 흡음재를 하나로 구비함으로써 작업공수를 줄이고 그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시킬수 있게 되었고,
또한 전면판에 형성되는 흡음공을 세로형의 장공으로 형성하여 차량의 왕복 주행시 발생 되는 소음의 흡음 제거효율을 가일층 상승 시킬수 있게 되는등의 여러 유용한 효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는 매우 유익한 발명임이 명백하다.

Claims (2)

  1. 내부에 흡음재(6)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전면판(2)과 후면판(3)이 상호간의 사이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내부공간에는 차음판(4)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판(2)에는 다수의 소음유입공(21)이 형성되며, 양측단에는 각각 H 빔(8)에 끼워져 상하 결합되는 결합부(5)가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방음패널(1)을 구성하되,
    상기 방음패널(1)의 내부공간에 형성되는 차음판(4)은 그 내부공간을 이루는 전 후면판(2),(3)의 중간부에 형성되고, 상기 차음판(4)과 전면판(2)의 사이에는 흡음재 고정용 면상돌기(41)들이 다수 형성되어 상기 차음판(4)과 흡음재 고정용 면상 돌기(41) 사이에 일정 길이를 갖는 하나로 이루어진 일체형의 흡음재(6)가 끼워져 이루어지고,
    상기 방음패널(1)의 전면판(2)에 형성되는 다수의 소음 유입공(21)은 세로형의 장공이 다수 연이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방음패널(1)의 양측단에 구성되는 결합부(5)는 일 측에서 보아 그 양측면이 직선구간(51),(51')과 경사구간(52),(52')으로 서로 좌우 대향 되게 구성되고 그 상 하부면에는 일측을 향해 경사진 돌출부(53),(53')와 그 돌출부(53),(53')가 인입되어 조립결합되는 경사진 요홈부(54),(54')가 상하 대향 되도록 각각 일체 형성되어 H 빔(8)의 내면 상부에서 하부로 하강하여 상호 조립 결합 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방음패널.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방음패널(1)을 이루는 전면판(2)과 후면판(3)의 상부측 단부에는 다수개의 결합공(22),(31)이 형성되고, 상기 각 결합공(22),(31)에는 하부양측과 중간부에 다수의 결합돌기(71)가 형성된 결합체(7)가 각각 끼워져 전면판(2)과 후면판(3)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지지하되,
    상기 결합체(7)의 하부양측에 형성된 결합돌기(71)는 상기 전면판(2)과 후면판(3)에 형성된 결합공(22),(31)의 각 내측에서 부터 밖을 향해 끼워져 그 간격유지와 지지결합력을 보강함과 동시에 상기 결합체(7)의 중간측에 형성된 복수조의 결합돌기(71)는 상기 차음판(4)의 상부 전 후면을 지지하는 형태로 끼워져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방음패널.
KR1020060109604A 2006-11-07 2006-11-07 플라스틱 방음패널 KR100878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604A KR100878302B1 (ko) 2006-11-07 2006-11-07 플라스틱 방음패널
CNA2007101662517A CN101177935A (zh) 2006-11-07 2007-11-07 塑料隔音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604A KR100878302B1 (ko) 2006-11-07 2006-11-07 플라스틱 방음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476A KR20080041476A (ko) 2008-05-13
KR100878302B1 true KR100878302B1 (ko) 2009-01-14

Family

ID=39404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604A KR100878302B1 (ko) 2006-11-07 2006-11-07 플라스틱 방음패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78302B1 (ko)
CN (1) CN1011779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830B1 (ko) * 2012-06-22 2013-05-06 인화건설산업주식회사 방음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방음벽
KR102203666B1 (ko) 2019-10-24 2021-01-18 주식회사 해일 폐플라스틱 소재의 전면패널을 구비한 방음패널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054B1 (ko) * 2008-09-26 2009-04-30 주식회사 누리플랜 방음패널
IT1394452B1 (it) * 2008-11-19 2012-06-15 Angelico Pannello antirumore.
CN103614976A (zh) * 2012-10-15 2014-03-05 厦门嘉达环保建造工程有限公司 一种道路隔声屏障
CN106088374A (zh) * 2016-07-20 2016-11-09 无锡派乐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机房的隔板结构
CN109137768A (zh) * 2018-10-26 2019-01-04 苏州岸肯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角度的隔音屏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871Y1 (ko) * 2001-10-26 2002-02-27 주식회사 이엔피 일체형 플라스틱 청정 방음벽
KR20030092342A (ko) 2002-05-29 2003-12-06 주식회사 이엔피 플라스틱 청정 방음벽
JP2005506478A (ja) * 2001-10-26 2005-03-03 イー エヌ ピ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リミテッド 一体型防音パネル
KR20060022931A (ko) * 2004-09-08 2006-03-13 이원우 플라스틱 청정 방음패널 구조 및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871Y1 (ko) * 2001-10-26 2002-02-27 주식회사 이엔피 일체형 플라스틱 청정 방음벽
JP2005506478A (ja) * 2001-10-26 2005-03-03 イー エヌ ピ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リミテッド 一体型防音パネル
KR20030092342A (ko) 2002-05-29 2003-12-06 주식회사 이엔피 플라스틱 청정 방음벽
KR20060022931A (ko) * 2004-09-08 2006-03-13 이원우 플라스틱 청정 방음패널 구조 및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830B1 (ko) * 2012-06-22 2013-05-06 인화건설산업주식회사 방음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방음벽
KR102203666B1 (ko) 2019-10-24 2021-01-18 주식회사 해일 폐플라스틱 소재의 전면패널을 구비한 방음패널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77935A (zh) 2008-05-14
KR20080041476A (ko) 2008-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8302B1 (ko) 플라스틱 방음패널
KR100861265B1 (ko) 방음벽
KR102279079B1 (ko) 부분 탈부착이 가능한 유지관리형 투명방음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340284B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친환경 고무블록 흡음재, 이를 이용한 친환경 흡음형 방음판, 이의 시공 방법
KR20020005348A (ko)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548161B1 (ko) 전면판의 교체가 용이한 압출형 방음판이 구비된 방음벽
KR101849173B1 (ko) 방수 기능을 구비한 아치형 조립식 터널형 방음벽
KR100645234B1 (ko) 조립식 터널용 방음벽
KR100822065B1 (ko) 지주와 방음패널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방음벽
KR20060115563A (ko) 방음구조물
KR102272087B1 (ko) 투명패널 교체형 방음판
KR100635234B1 (ko) 도로의 조립식 탄성부재 방음벽
KR20020005257A (ko) 방음벽
KR20130088463A (ko) 현장조립형 방음패널 조립체
KR100584163B1 (ko) 건축단지 방음구조물
KR100684358B1 (ko) 방음 판넬 어셈블리
KR100679932B1 (ko) 플라스틱 청정 방음패널 구조 및 시공방법
KR100928568B1 (ko) 목재 프레임형 투명 방음판
KR101244154B1 (ko) 조립식 방음벽용 합성목재 방음패널 설치구조
KR200403377Y1 (ko) 도로용 합성방음벽 설치구조
KR20040032374A (ko) 방음벽용 방음판 결합 구조물
KR101332622B1 (ko) 조립식 확산형 방음판
KR102351079B1 (ko) 조립식 방음벽
KR101354597B1 (ko) 고속철도 터널 시공용 흡음벽체
KR102393820B1 (ko) 방음판 및 이의 보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