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161B1 - 전면판의 교체가 용이한 압출형 방음판이 구비된 방음벽 - Google Patents

전면판의 교체가 용이한 압출형 방음판이 구비된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161B1
KR101548161B1 KR1020150023747A KR20150023747A KR101548161B1 KR 101548161 B1 KR101548161 B1 KR 101548161B1 KR 1020150023747 A KR1020150023747 A KR 1020150023747A KR 20150023747 A KR20150023747 A KR 20150023747A KR 101548161 B1 KR101548161 B1 KR 101548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oundproof
pressing
support
soundproof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문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리텍
유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리텍, 유문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리텍
Priority to KR1020150023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1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7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open cavities, e.g. for covering sunken roads
    • E01F8/0064Perforated plate or mesh, e.g. as wall facing
    • E01F8/007Perforated plate or mesh, e.g. as wall facing with damp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1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motorways, e.g. integrated with sound barri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판의 교체가 용이한 압출형 방음판이 구비된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에 장착되는 전면판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 차량 충돌로 인한 부분 손상 발생시 신속한 교체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주빔(200) 사이에 다수의 방음판(100)이 적층 설치되는 방음벽에 있어서, 상기 방음판(100)은 전면측이 개방된 형태로 압출 제작이 이루어진 방음판 본체(10)와, 상기 방음판 본체(10)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끼워져 조립되는 보강프레임(20)과, 상기 방음판 본체(10)의 전면 개방부위에 조립 체결되는 전면판(30)으로 구성되며; 상기 방음판(100) 양단부에는 지주빔(200)에 지지되어질 수 있도록 압출 제작된 지지프레임(40)이 구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40)을 지주빔에 가압 지지하기 위한 가압볼트(50)가 지지프레임(40)에 연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면판의 교체가 용이한 압출형 방음판이 구비된 방음벽{SOUND BARRIER STRUCTURE WITH EXTRUDING TYPE PANEL}
본 발명은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음벽을 이루는 방음판의 전면판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차량 충돌에 따른 파손 발생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와 인접한 학교를 비롯하여 차량의 통행이 빈번한 도로주변의 주거지역에는 경음기의 소음이나 차량의 주행과정에서 발생한 소음이 주택가로전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쾌적한 주거환경을 유지시키도록 한 방음벽이 설치된다.
이와같은 방음벽의 종류로는 도로상에서 발생한 소음을 다시 도로방향으로 반사시켜 소음이 도로의 외부로 전파되는것을 차단시키는 반사형의 방음벽과 도로상에서 발생한 소음을 흡수하여 소멸시키는 흡음형의 방음벽이 알려져 있는데, 반사형의 방음벽은 저가인 반면 소음차단효과가 저조하므로 도로변에는 소음효과가 우수한 흡음형 방음판이 널리 사용된다.
상기한 흡음형 방음판은 내부에 블럭형태의 흡음재가 내장됨으로써 도로상에서 발생한 소음을 상기한 흡음재를 통해 흡수시키는 한편, 캐비티 내부의 공명을 통해 소음을 감소시키는 원리를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방음판은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변에 설치되기 때문에 도로상의 작은 돌이 튀거나 교통사고 등으로 인해 방음벽의 일부가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파손이 발생된 경우 파손된 방음판 전체를 교체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실용신안등록 제446591호에서는 전면판의 탈착이 용이한 흡음형 방음판에 관련된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방음판 본체의 제작시 철판을 절곡하여 성형제작이 이루어짐으로서 제작비용 및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며, 이에 따른 대량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방음판을 압출형태로 제작함으로서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보다 신속하고 용이한 전면판 교체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방음벽의 유지보수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지주빔 사이에 방음판이 적층 설치되는 방음벽에 있어서, 상기 방음판은 전면측이 개방된 형태로 압출 제작이 이루어진 방음판 본체와, 상기 방음판 본체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끼워져 조립되는 보강프레임과, 상기 방음판 본체의 전면 개방부위에 조립 체결되는 전면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방음판 양단부에는 지주빔에 지지되어질 수 있도록 압출 제작된 지지프레임이 구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을 지주빔에 가압 지지하기 위한 가압볼트가 지지프레임에 연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음판은, 전면에 장착되는 전면판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 차량 충돌로 인한 부분 손상 발생시 신속한 교체작업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방음판의 압출 제작이 가능하게 됨으로 제품의 대량 생산이 가능한 이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음판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방음판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음판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방음판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방음판 분해상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방음판 결합상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방음벽 설치상태 평면도.
도 8은 도 7의 A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방음벽 설치상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방음벽 설치상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방음벽 전면판 교체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설치 상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장식 무늬판 설치 상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와이어 설치 상태 평면 구조도.
도 15는 도 14의 B부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음벽의 구조를 도 1 내지 도 11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주빔(200) 사이에 적층 설치되는 본 발명의 방음판(100)은, 전면측이 개방된 형태로 압출 제작이 이루어진 방음판 본체(10)와, 상기 방음판 본체(10)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끼워져 조립되는 보강프레임(20)과, 상기 방음판 본체(10)의 전면 개방부위에 조립 체결되는 전면판(3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방음판(100) 양단부에는 지주빔(200)에 지지되어질 수 있도록 압출 제작된 지지프레임(40)이 구성되고, 지지프레임(40)을 지주빔(200)에 가압 지지하기 위한 가압볼트(50)가 지지프레임(40)에 연결 구성된다.
즉, 지지프레임(40) 일측에는 가압볼트(50)의 볼트머리부(51)가 안내되어질 수 있는 볼트안내홈(42)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발포고무 재질의 탄성블럭(43)이 결합됨으로서 탄성블럭(43)에 의한 지주빔(200)과의 밀착이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볼트(50)의 선단에는 가압력 조절을 위한 조절너트(52)가 체결되며, 상기 조절너트(52)에는 지주빔(200)과의 접촉을 위한 일정 탄력성의 접시스프링(53)이 용접 고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방음판 본체(10)의 내부 중앙에는 가이드돌부(11)가 상부와 하부에 각각 돌출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돌부(11)와 대응되는 보강프레임(20)의 상면과 저면에는 가이드홈(21)이 형성되며, 전면 개방부위에는 전면판(30)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탈착홈(12)이 형성되고, 가이드돌부(11)를 기준으로 전,후 양측에는 흡음재(60)가 끼워져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방음판 본체(10)의 양단부에는 일부 보강프레임(20)이 돌출된 형태로 결합 구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40)에는 돌출된 보강프레임(20)이 끼워져 지지될 수 있는 끼움홈(41)이 형성되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3은 방음벽의 후면에 장식판의 조립을 위한 후면판 체결홈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방음벽의 설치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방음벽의 설치시에는 양측 지주빔(200)에 지지프레임(40)을 고정 설치하고, 지지프레임(40)의 끼움홈(41)에 방음판(100)을 끼움방식으로 끼워서 적층 설치하게 된다.
즉, 지지프레임(40)은 가압볼트(50)에 체결된 조절너트(52)를 돌려줌으로서 접시스프링(53)의 탄성 가압 작용에 의해 지주빔(200)에 밀착 결합이 이루어지게 됨과 함께 반대측은 탄성블럭(43)이 밀착되어짐으로서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지지프레임(40)의 설치가 완료되면 방음판(100)을 적층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방음판(100) 양단부에 돌출 구비된 보강프레임(20)이 지지프레임(40)의 끼움홈(41)에 끼워짐으로서 슬라이딩 형태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설치가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방음벽은 방음판(100)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보강프레임(20)이 구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하중 지지력이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되며, 사용 과정에서 차량충돌 등으로 인한 전면판(30)의 파손 발생시 파손부위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전면판(30)의 교체시에는 도 11에서와 같이 탈착홈(12)에 끼워져 있는 전면판(30)을 상승시키게 되면 전면판(30)의 하부가 하부 탈착홈(12)에서 탈거되어지게 됨으로서 신속하고 용이한 교체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방음판 본체(10)의 후면측에는 후면판 체결홈(13)이 형성되며, 상기 후면판 체결홈(13)에는 태양광 패널(14) 또는 외관 향상을 위한 장식용 무늬판(15)이 구성되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태양광 패널(14)이 구성되어지게 되면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저장하여 가로등과 같은 도로시설물의 에너지원으로 활용이 가능하게 되어 방음벽의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음벽의 일측 평면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지지프레임(40)에는 외부 충격시 전도를 방지하기 위한 지지 와이어(70)가 수직방향으로 연결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지지 와이어(70)의 상단부는 지주빔(200) 상단부에 결합되는 마감판(미도시)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베이스플레이트(미도시)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지프레임(40)에는 지지와이어(70)의 가이드를 위한 와이어 가이드(71)가 구성되되, 상기 와이어 가이드(71)는 탄성스프링(72)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구성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지지 와이어(70)가 수직방향으로 구성되어지게 되면, 차량충돌에 의해 방음판 본체(10)가 파손되어지더라도 지지프레임(40)이 전도되는 것을 지지와이어(70)가 방지하게 됨으로서 방음판 본체(10)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 와이어(70)가 와이어 가이드(71) 및 탄성스프링(72)에 의해 일정 탄성력으로 지지되어짐으로서 지지 와이어(70)가 일정 장력으로의 지지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 방음판 본체 11 : 가이드돌부
12 : 탈착홈 13 : 후면판 체결홈
14 : 태양광 패널 15 : 장식용 무늬판
20 : 보강프레임 21 : 가이드홈
30 : 전면판 31 : 타공
40 : 지지프레임 41 : 끼움홈
42 : 볼트안내홈 43 : 탄성블럭
50 : 가압볼트 51 : 볼트머리부
52 : 조절너트 53 : 접시스프링
60 : 흡음재 70 : 지지와이어
100 : 방음판 200 : 지주빔

Claims (8)

  1. 지주빔(200) 사이에 다수의 방음판(100)이 적층 설치되는 방음벽에 있어서,
    상기 방음판(100)은 전면측이 개방된 형태로 압출 제작이 이루어진 방음판 본체(10)와, 상기 방음판 본체(10)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끼워져 조립되는 보강프레임(20)과, 상기 방음판 본체(10)의 전면 개방부위에 조립 체결되는 전면판(30)으로 구성되며;
    상기 방음판(100) 양측에는 보강프레임(20)이 돌출 구비되고;
    상기 방음판(100) 양단부에는 가압볼트(50)에 의해 지주빔(200)에 지지되어질 수 있도록 압출 제작된 지지프레임(40)이 구성되되, 상기 지지프레임(40)에는 돌출된 보강프레임(20)이 끼워져 지지될 수 있는 끼움홈(41)이 형성됨과 함께 지지프레임(40) 일측에는 지주빔(200) 내벽면과 가압 지지가 이루어지는 가압볼트(50)의 볼트머리부(51)가 안내되어질 수 있는 볼트안내홈(42)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탄성블럭(43)이 결합됨으로서 탄성블럭(43)이 지주빔(200)과 밀착이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볼트(50)의 선단에는 가압력 조절을 위한 조절너트(52)가 체결됨과 함께 조절너트(52)에는 지주빔(200)과의 접촉을 위한 일정 탄력성의 접시스프링(53)이 용접 고정되며;
    상기 방음판 본체(10)는 전면측 개방부위에는 전면판(30)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탈착홈(12)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40)에는 외부 충격시 전도를 방지하기 위한 지지 와이어(70)가 수직방향으로 연결 구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40)에는 지지와이어(70)의 가이드를 위한 와이어 가이드(71)가 구성되되, 상기 와이어 가이드(71)는 탄성스프링(72)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상기 방음판 본체(10)의 후면측에는 후면판 체결홈(13)이 형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판의 교체가 용이한 압출형 방음판이 구비된 방음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 체결홈(13)에는 태양광 패널(14)이 체결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판의 교체가 용이한 압출형 방음판이 구비된 방음벽.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 체결홈(13)에는 장식용 무늬판(15)이 체결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판의 교체가 용이한 압출형 방음판이 구비된 방음벽.
KR1020150023747A 2015-02-17 2015-02-17 전면판의 교체가 용이한 압출형 방음판이 구비된 방음벽 KR101548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747A KR101548161B1 (ko) 2015-02-17 2015-02-17 전면판의 교체가 용이한 압출형 방음판이 구비된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747A KR101548161B1 (ko) 2015-02-17 2015-02-17 전면판의 교체가 용이한 압출형 방음판이 구비된 방음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8161B1 true KR101548161B1 (ko) 2015-08-31

Family

ID=54062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747A KR101548161B1 (ko) 2015-02-17 2015-02-17 전면판의 교체가 용이한 압출형 방음판이 구비된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16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514B1 (ko) * 2017-08-10 2018-04-10 솔로몬산업 주식회사 태양광기판과 태양광모듈유니트 그리고 방음 및 흡음 패널의 호환성 결합이 가능한 멀티형 프레임
JP2020084481A (ja) * 2018-11-20 2020-06-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パネル構造体
CN111287103A (zh) * 2020-02-24 2020-06-16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城市规划的高速路使用的隔音墙
KR102387910B1 (ko) * 2021-04-06 2022-04-25 주식회사 동성진흥 방탄 기능을 갖는 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081Y1 (ko) * 2002-09-09 2002-12-12 윤미진 방음벽을 이루는 방음판 고정용 아답터
KR100856557B1 (ko) * 2007-05-22 2008-09-04 (주) 케이 이엔씨 방음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구조
KR101129488B1 (ko) * 2011-07-16 2012-03-28 김명호 지주 및 방음패널의 이탈방지 및 내진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081Y1 (ko) * 2002-09-09 2002-12-12 윤미진 방음벽을 이루는 방음판 고정용 아답터
KR100856557B1 (ko) * 2007-05-22 2008-09-04 (주) 케이 이엔씨 방음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구조
KR101129488B1 (ko) * 2011-07-16 2012-03-28 김명호 지주 및 방음패널의 이탈방지 및 내진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514B1 (ko) * 2017-08-10 2018-04-10 솔로몬산업 주식회사 태양광기판과 태양광모듈유니트 그리고 방음 및 흡음 패널의 호환성 결합이 가능한 멀티형 프레임
JP2020084481A (ja) * 2018-11-20 2020-06-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パネル構造体
JP7067436B2 (ja) 2018-11-20 2022-05-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パネル構造体
CN111287103A (zh) * 2020-02-24 2020-06-16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城市规划的高速路使用的隔音墙
KR102387910B1 (ko) * 2021-04-06 2022-04-25 주식회사 동성진흥 방탄 기능을 갖는 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8161B1 (ko) 전면판의 교체가 용이한 압출형 방음판이 구비된 방음벽
KR101406099B1 (ko) 방음판 고정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방음벽.
KR101475028B1 (ko) 패널 후방교체형 방음벽
KR100878302B1 (ko) 플라스틱 방음패널
KR200493250Y1 (ko) 터널 방음벽의 상부판 고정용 클램프 구조물
KR100757984B1 (ko) 방음벽
KR101906286B1 (ko) 교체가 간편한 돌기 걸이형 방음벽
KR100989890B1 (ko) 방음판
KR102159470B1 (ko) 전면 탈부착이 가능한 유지보수형 투명 방음판
KR200458337Y1 (ko) 방음판
KR20200103985A (ko) 건축용 단열패널 시공시스템
KR200313301Y1 (ko) 방음판 고정장치
KR100942313B1 (ko) 수평방향 착탈식 방음벽
KR101904479B1 (ko) 소음 유도를 이용한 회절저감형 방음판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507751B1 (ko) 방음판 고정장치
KR20190048277A (ko) 방음벽
KR101395743B1 (ko) 방음패널 조립체
KR101544787B1 (ko) 후방교체형 방음패널 조립체
KR200428133Y1 (ko) 유지보수형 방음벽
KR100941985B1 (ko) 투명방음판 조립체
KR101906278B1 (ko) 교체가 간편한 핀 걸이형 방음벽
KR101394374B1 (ko) 투명방음판 유지보수 방법
JP2007031935A (ja) 防音パネルの取付構造
KR102518872B1 (ko) 방음터널의 상부판 고정장치
KR102380658B1 (ko) 전체 및 부분 유지보수가 가능하고 폐고무를 활용한 흡음부재와 차음부재를 포함하는 친환경 방음판, 이의 설치방법, 및 이의 유지보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