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1572Y1 - 내차판넬 - Google Patents

내차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1572Y1
KR200261572Y1 KR2020010031215U KR20010031215U KR200261572Y1 KR 200261572 Y1 KR200261572 Y1 KR 200261572Y1 KR 2020010031215 U KR2020010031215 U KR 2020010031215U KR 20010031215 U KR20010031215 U KR 20010031215U KR 200261572 Y1 KR200261572 Y1 KR 2002615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runner
support
frame
gypsum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2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선
Original Assignee
내차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내차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내차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12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5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5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572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차판넬에 관한 것이다. 이는 하부러너와, 수직러너와, 상부러너와, 상기 각 러너에 그 테두리부가 지지되는 다수의 판넬을 포함하는 내차판넬에 있어서, 상기 각 판넬은; 상기 하부러너에 지지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연직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의 양단을 연결하며 각각의 외측면에는 일정폭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평평한 지지면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스터드와, 상기 상하부프레임 및 지지스터드가 이루는 내부영역에 구비되는 흡음단열재와, 상기 흡음단열재의 양측면에 위치하는 석고보드와, 상기 석고보드의 외측면을 커버하고 석고보드를 상하부프레임 및 지지스터드에 고정시키는 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판넬을 폭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이웃판넬의 상호 대향하는 개구부에 동시에 끼워져 두 개의 스터드를 상호 고정시키는 연결기둥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판넬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흡음단열재가 내부공간의 구석구석까지 균일한 밀도로 충진될 수 있어 방음 및 단열효율이 판넬의 전체면에서 일정하고, 또한 판넬과 판넬을 연결하는 연결기둥에 가이드부를 형성하여 각 판넬간의 결합이 신속하고 용이하며 판넬간의 조립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내차판넬{Fire and soundproof panel}
본 고안은 경량 칸막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히 열과 소음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내차(耐遮)판넬에 관한 것이다.
경량칸막이는 실내공간을 원하는대로 구획하여 공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건축자재이다. 이는 내차판넬이라고도 하며 그 설치 및 철거가 간단하고 구조적 강도가 칸막이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견고하여 예컨데 각종 사무실이나 연구소 더 나아가 각종 문화공간 등에 널리 사용된다.
공지의 사실과 같이 상기 내차판넬은 강판과 석고보드를 상호 결합하여 구성한 단위 판넬을 옆으로 연속하여 연결함으로써 원하는 넓이의 벽면을 이룬다. 상기 각 단위 판넬은 필요한 크기로 미리 제작하고 바닥면과 벽면 및 천정면에 고정되어있는 러너에 그 테두리부가 지지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내차판넬의 내부에 끼워지는 충진제는 여러 종류가 있다. 상기 충진제는 칸막이의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선택되어지며 두 가지 이상의 종류를 조합하여 구성할 수 도 있다.
상기 충진제중에는 흡음단열재인 유리섬유도 포함된다. 상기 유리섬유는 판넬내에 형성되어 있는 내부공간에 충진되어 칸막이를 가로지르는 열이나 소음을 흡수한다.
그러나 종래의 내차판넬에 있어서 유리섬유나 기타 유리섬유와 유사한 물리적 성질을 갖는 부재(이하, 유리섬유)를 충진제로 사용할 경우 충진제가 상기 내부공간의 구석구석까지 완전히 충진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만일 충진제가 딱딱한 물성을 갖는다면 충진제의 외곽형상을 내부공간의 형상에 맞추어서 미리 성형하면 될 것이지만 유리섬유와 같이 신축성이 많은 충진제는 그 외곽형상을 내부공간에 딱 맞게 맞출 수 가 없는 것이다. 따라서 예컨대 내부공간의 임의의 벽면에 어떤 걸림턱이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면 돌기나 걸림턱의 주위에는 유리섬유가 충진되지 못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내차판넬에서의 각 판넬의 내부구성 및 판넬간의 연결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내차판넬은, 상호 대향하며 이격되어 있는 석고보드(20)와, 상기 석고보드(20)사이에 끼워지는 유리섬유(16)와, 상기 석고보드(20)를 평행하게 유지시키는 지지스터드(12)로 구성되는 판넬(10)과, 상호 마주하는 지지스터드(12)를 연결하여 판넬(10)을 연결시키는 연결기둥(14)과, 상기 판넬(10)의 테두리부를 지지하는 러너(28,32,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각 석고보드(20)의 외측면에는 강판(22)이 결합되어 석고보드(20)를 지지스터드(12)에 고정시킨다. 아울러 수직러너(28)는 고정나사(30)를 통해 벽면에 고정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지지스터드(12)는 각 판넬(10)의 양단에 구비되어 석고보드를 상호 평행하게 유지시킨다. 이를 위하여 각 지지스터드(12)에는 지지판(18)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18)은 일정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서 두 개가 하나의 쌍을 이루며 지지스터드(12)에 고정된 상태로 유리섬유(16)가 충진되는 내부공간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지지판(18)이 내부공간측으로 연장 삽입되어 있으므로 내부공간 양단부의 간격은 다른 부위의 간격보다 좁다. 이는 유리섬유(16)가 상기 지지판(18)에 의해 지지판(18)의 사이에 해당하는 내부공간의 구석구석까지 도달하지 않을 수 도 있음을 의미한다.
즉, 유리섬유(16)의 양단부가 상기 지지판(18)의 선단모서리에 걸릴 경우 유리섬유(16)는 지지판(18)사이의 공간을 균일한 밀도로 채울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한쪽 벽면에 도달한 열이나 소음은 사이 유리섬유(16)의 충진밀도가 적은 부위를 통해 화살표 A방향을 따라 판넬(10)을 고스란히 통과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각 지지스터드(12)의 외측부에는 개구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26)는 그 내부에 연결기둥(14)을 수용하여 연결기둥과의 결합을 이루는 절제부위이다. 상기 연결기둥(14)은 사각기둥으로 외측면 중앙에는 내화고무패킹(24)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연결기둥(14)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연장되어 지지스터드(12)와 같은 높이를 갖는다. 아울러, 상기 개구부(26)의 틈새간격과 이에 삽입되는 연결기둥(14)의 폭은 같도록 하여 개구부(26)에 연결기둥(14)이 꽉 끼일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내차판넬에 있어서, 상기 지지스터드(12)의 개구부(26)내에 연결기둥(14)을 삽입하기가 매우 불편하다. 상기 연결기둥(14)의 폭과 개구부(26)의 틈새간격이 같으므로 개구부(26)에 연결기둥(14)을 삽입하는 동안 개구부(26) 양측부가 찌그러질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연결기둥(14)이 한쪽 판넬(10)에 삽입 고정된 상태로 다른 판넬(10)의 개구부(26)를 상기 연결기둥(14)에 대고 화살표 F방향으로 밀어 조립을 수행할 때에는 상기 다른 판넬의 지지스터드(12)의 상태를 볼 수 가 없어 판넬간의 연결 자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판넬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흡음단열재가 내부공간의 구석구석까지 균일한 밀도로 충진될 수 있어 방음 및 단열효율이 판넬의 전체면에서 일정하고, 또한 판넬과 판넬을 연결하는 연결기둥에 가이드부를 형성하여 각 판넬간의 결합이 신속하고 용이하며 판넬간의 조립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 내차판넬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내차판넬에서의 각 판넬의 내부구성 및 판넬간의 연결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차판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절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차판넬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 보인 평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차판넬에서의 지지스터드와 연결기둥의 결합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차판넬의 하부프레임과 지지스터드의 결합부위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판넬 12:지지스터드
14:연결기둥 16:유리섬유
18:지지판 20:석고보드
22:강판 24:내화고무패킹
26:개구부 28:수직러너
30:고정나사 32:상부러너
34:하부러너 40:상부프레임
42:하부프레임 44:지지스터드
46:연결기둥 48:지지면
50:스토퍼 52:가이드부
54:판넬 56:개구부
58:석고보드지지홈 60:프레임
62:수평면 64:장착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실내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하부러너와, 상기 하부러너의 양단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러너와, 상기 수직러너의 상단에 연결되어 하부러너의 연직상부에 위치하는 상부러너와, 상기 각 러너에 그 테두리부가 지지되며 폭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벽을 이루는 다수의 판넬을 포함하는 내차판넬에 있어서, 상기 각 판넬은; 상기 하부러너에 지지되며 일정폭 및 길이를 가지고 수평면을 제공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연직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의 상부러너에 지지되며 상기 하부프레임과 대향하는 수평면을 제공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여 사각 프레임을 이루는 것으로, 각각의 외측면에는 일정폭의 개구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호 대향하는 내측면에는 일정폭의 평평한 지지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스터드와, 상기 사각 프레임에 이루는 내부영역에 충진되어 위아래의 수평면과 좌우의 지지면에 각각 면접하는 흡음단열재와, 상기 흡음단열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두 장의 석고보드와, 상기 각 석고보드의 외측면을 커버하며 석고보드를 사각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각 판넬을 폭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이웃하는 판넬의 상호 대향하는 개구부에 동시에 끼워져 두 개의 스터드를 상호 고정시키는 연결기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기둥은 일정단면 형상을 갖는 사각기둥으로써 상기 개구부를 향하는 양측면에는 연결기둥의 개구부 내부로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스터드의 내측 지지면의 폭은 흡음단열재의 두께와 같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면의 양측부에는 상기 석고보드의 양단부가 끼워지는 석고보드지지홈이 상호 평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의 대향면의 양단부에는 상하부프레임에 대한 지지스터드의 수평위치를 유지시키는 스토퍼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 프레임은 강판을 절곡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스토퍼는 상하부 프레임의 양단부를 지지스터드측으로 일정폭만큼 접어 올려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차판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절제 분해사시도 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내차판넬은, 실내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하부러너(34)와, 상기 하부러너(34)의 양단에 수직으로 위치하는 수직러너(28) 및 상기 수직러너(28)의 상단에 연결되는 상부러너(32)와, 상기 각 러너(34,28,32)에 그 테두리부가 삽입 지지되는 다수의 판넬(5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판넬(54)은 두 개의 프레임(40,42) 및 두 개의 지지스터드(44)에 의해 구성되는 사각 프레임(60)과, 상기 프레임(60)의 내부영역에 구비되는 유리섬유(16) 및 상기 유리섬유(16)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석고보드(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석고보드(20)의 외측면에는 강판(도 5의 22)이 결합되어석고보드(20)를 상기 프레임(60)에 고정시킨다.
상기 판넬(54)의 적용 개수는 요구되는 칸막이의 넓이에 따라서 달라짐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각 판넬(54)은 연결기둥(46)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벽면을 이룬다.
상기 사각의 프레임(60)을 이루는 하부프레임(42) 및 상부프레임(40)은 상호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서로 대향 설치된다. 상기 상부프레임(40)은 하부프레임(42)의 연직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상부프레임(40) 및 하부프레임(42)은 철판을 절곡시켜 형성한 것으로 일정폭 및 길이를 가지고 그 대향면에는 평평한 수평면(6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42)은 하부러너(34)에 끼워져 지지된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42)의 수평면(62) 양단에는 스토퍼(5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50)는 하부프레임(42) 수평면(62)의 양단부 중앙을 일정폭으로 나란히 절단한 후 상부로 절곡시킨 부위로서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지지스터드(44)의 수평위치를 유지시킨다. 상기 스토퍼(50)의 폭(w1)은 후술하는 지지면(48)의 폭과 같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프레임(40)은 하부프레임(42)과 마찬가지로 상부러너(32)에 끼워져 수평을 유지한다. 상기 상부프레임(40)의 수평면(62)은 하부를 향하여 하부프레임(42)의 수평면과 대향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40)의 양단부에도 스토퍼(50)가 마련되어 상하부 프레임(40,42)에 대한 지지스터드(44)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두 개의 지지스터드(44)는 상호 평행하며 수직으로 위치한다. 상기 지지스터드(44)는 상기 상하부프레임(40,42)의 단부를 각각 연결하여 사각의 프레임(60)을 구성한다.
상기 지지스터드(44)도 철판을 절곡하여 형성할 수 도 있지만 알미늄을 인발하여 제작함이 좋다. 상기 지지스터드(44)를 이와같이 인발가공을 통해 제작하므로 그 단면형상은 일정하다.
상기 양쪽 지지스터드(44)는 상호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또한 각각의 외측면에는 개구부(56)가 마련되어 있고 내측면에는 평평한 지지면(4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56)는 후술하는 연결기둥(46)의 일측부가 압입되어 상호 결합을 이루는 틈새로서 일정폭을 가지며 지지스터드(44)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개구부(56)내에 연결기둥(46)이 끼워짐으로써 상호 고정될 수 있도록 개구부(56)의 틈새폭은 연결기둥(46)의 폭(w2)과 동일하게 형성한다.
상기 지지면(48)은 각 지지스터드(44)의 내측면에 대해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평평한 면이다. 상기 지지면(48)은 일정폭을 가지며 지지스터드(44)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면(48)의 폭은 유리섬유(16)의 두께와 같다.
따라서 결국 프레임(60)이 이루는 사각의 내부 영역에 충진되는 유리섬유(16)의 네 변은 좌우의 지지면(48) 및 상하의 수평면(62)에 고르게 면접한다. 이는 상기 유리섬유(16)가 판넬의 내부공간의 구석구석까지 충진되어 균일한 밀도로 분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울러, 수직으로 구비되어 있는 지지스터드(44)의 수평면(62)상에서의 수평위치는 상기 스토퍼(50)에 의해 유지된다. 즉, 상기 각 지지스터드(44)의 상하단부는 상하부프레임(40,42)의 양단에 위치되되, 상기 스토퍼(50)의 뒤쪽에 위치하여 지지스터드(44)를 도 6의 화살표 k방향으로 밀더라도 안쪽으로 밀리지 않고 그 자리에 수직으로 견고히 위치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면(48)의 양측부에는 석고보드지지홈(58)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석고보드지지홈(58)은 직각으로 절곡된 부위로서 그 내부에 각 석고보드(20)의 양측 수직단부를 수용 지지한다. 이와 같이 양측의 석고보드지지홈(58)내에 석고보드(20)를 끼워 지지시킴에 따라 두 장의 석고보드는 평행을 이루며 상기 지지면(48)의 폭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이격된다.
상기 각 석고보드(20)의 외측면에는 강판(도 4의 22)이 결합된다. 상기 강판(22)은 석고보드(20)의 외측면을 커버하며 석고보드(20)를 상기 프레임(60)에 고정시킨다.
한편, 이웃하는 두 개의 판넬을 상호 연결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연결기둥(46)은 사각의 단면형태를 갖는 파이프로서 양측의 지지스터드(44)와 평행하도록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연결기둥(46)의 개구부(56)를 향하는 면에는 가이드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52)는 연결기둥(46)을 양쪽 개구부(56)내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형성한 가이드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차판넬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 보인 평단면도 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각 판넬(54)을 구성하는 두 개의 석고보드(20)는 양단이 지지스터드(44)의 석고보드지지홈(58)에 삽입 지지됨으로써 상호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다. 상기 석고보드(20)의 외측면에는 강판(22)이 결합되어 있음은 상기한 바와같다.
또한 상기 석고보드(20)의 사이공간에는 유리섬유(16)가 충진되어 있다. 상기 유리섬유(16)는 그 양단부가 지지스터드(44)의 지지면(48)에 면접하고 있다. 이와같이, 상기 석고보드(20)가 제공하는 내부공간에 유리섬유(16)가 균일한 밀도로 고르게 충진됨으로써 설계자가 의도한 만큼의 단열성이나 방음성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두 개의 판넬(54)을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기둥(46)은 알미늄을 인발하여 성형하며 그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차판넬에서의 지지스터드와 연결기둥의 결합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연결기둥(46)의 양측면에는 두 개씩의 가이드부(52)가 형성되되 안쪽으로 오므라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52)의 형상은 실시예에 따라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연결기둥(46)의 다른쪽 측면에는 내화고무패킹(24)이 구비된다. 상기 내화고무패킹(24)은 판넬과 판넬사이의 틈새를 밀폐하기 위한 것임은 물론이다. 상기 내화고무패킹(24)을 끼우기 위하여 연결기둥(46)에는 장착구(64)가 성형되어 있다. 상기 장착구(64)는 연결기둥(46)의 외측면 중앙에 돌출형성된 것으로 그 내부에 형성된 홈에 내화고무패킹을 끼운다.
상기한 바와같이, 지지스터드(44)의 개구부(56)에 연결기둥(46)을 끼워 넣음에 있어서 장착구(64)가 위치한 부위까지 삽입하여 결합을 이룬다. 따라서 상기 지지스터드(44)의 대향면은 상기 장착구(64)에 의해 이격되며 그 사이에는 상기 내화고무패킹(24)이 끼워진다.
한편, 상기 개구부(56)에 연결기둥(46)을 삽입하는 동안 상기 가이드부(52)가 연결기둥(46)의 삽입을 가이드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가이드부(52)는 그 선단이 오므라져 있으므로 개부구(56)에 대한 연결기둥(46)의 삽입을 자연스럽게 유도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차판넬의 하부프레임과 지지스터드의 결합부위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지지스터드(44)의 하단부가 하부프레임(42)의 스토퍼(50)에 지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스토퍼(50)는 하부프레임(42)의 단부를 절곡시켜 상부로 돌출시킨 것으로 상기 지지스터드(44)는 상기 스토퍼(50)의 뒤쪽에 위치하여 있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56)에 연결기둥(도 5의 46)을 압입함으로써 지지스터드(44)가 화살표 k방향으로 가압되더라도 상기 스토퍼(50)에 의해 지지스터드(44)는 움직이지 않고 수직으로 견고히 위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내차판넬은, 판넬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흡음단열재가 내부공간의 구석구석까지 균일한 밀도로 충진될 수 있어 방음 및 단열효율이 판넬의 전체면에서 일정하고, 또한 판넬과 판넬을 연결하는 연결기둥에 가이드부를 형성하여 각 판넬간의 결합이 신속하고 용이하며 판넬간의 조립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실내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하부러너와, 상기 하부러너의 양단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러너와, 상기 수직러너의 상단에 연결되어 하부러너의 연직상부에 위치하는 상부러너와, 상기 각 러너에 그 테두리부가 지지되며 폭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벽을 이루는 다수의 판넬을 포함하는 내차판넬에 있어서,
    상기 각 판넬(54)은; 상기 하부러너(34)에 지지되며 일정폭 및 길이를 가지고 수평면(62)을 제공하는 하부프레임(42)과,
    상기 하부프레임(42)의 연직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의 상부러너(32)에 지지되며 상기 하부프레임(42)과 대향하는 수평면(62)을 제공하는 상부프레임(40)과,
    상기 하부프레임(42)과 상부프레임(40)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여 사각 프레임(60)을 이루는 것으로, 각각의 외측면에는 일정폭의 개구부(56)가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호 대향하는 내측면에는 일정폭의 평평한 지지면(48)이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스터드(44)와,
    상기 사각 프레임(60)이 이루는 내부영역에 충진되어 위아래의 수평면(62)과 좌우의 지지면(48)에 각각 면접하는 흡음단열재와,
    상기 흡음단열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두 장의 석고보드(20)와,
    상기 각 석고보드(20)의 외측면을 커버하며 석고보드를 사각 프레임(60)에 고정시키는 강판(22)을 포함하고,
    상기 각 판넬(54)을 폭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이웃하는 판넬의 상호 대향하는 개구부(56)에 동시에 끼워져 두 개의 지지스터드(44)를 상호 고정시키는 연결기둥(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차판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둥(46)은 일정단면 형상을 갖는 사각기둥으로써 상기 개구부(56)를 향하는 양측면에는 연결기둥(46)의 개구부 내부로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5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차판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스터드(44)의 내측 지지면(48)의 폭은 흡음단열재의 두께와 같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면(48)의 양측부에는 상기 석고보드(20)의 양단부가 끼워지는 석고보드지지홈(58)이 상호 평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차판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40) 및 하부프레임(42)의 대향면의 양단부에는 상하부프레임(40,42)에 대한 지지스터드(44)의 수평위치를 유지시키는 스토퍼(50)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차판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프레임(40,42)은 강판을 절곡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스토퍼(50)는 상하부프레임(40,42)의 양단부를 지지스터드(44)측으로 일정폭만큼 접어 올려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차판넬.
KR2020010031215U 2001-10-12 2001-10-12 내차판넬 KR2002615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215U KR200261572Y1 (ko) 2001-10-12 2001-10-12 내차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215U KR200261572Y1 (ko) 2001-10-12 2001-10-12 내차판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2941A Division KR20020036692A (ko) 2001-10-12 2001-10-12 내차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572Y1 true KR200261572Y1 (ko) 2002-01-23

Family

ID=73110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215U KR200261572Y1 (ko) 2001-10-12 2001-10-12 내차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5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555B1 (ko) * 2006-08-29 2008-04-11 한중열 파티션의 체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555B1 (ko) * 2006-08-29 2008-04-11 한중열 파티션의 체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8796A (en) Wall panel assembly
KR101584036B1 (ko) 화재 확산 차단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
KR100460627B1 (ko) 내차판넬
KR101826888B1 (ko)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지지바 및 이를 구비한 건물구조체
KR20090125780A (ko) 벽패널 유니트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벽구조
KR20020036692A (ko) 내차판넬
JP2024036488A (ja) 建物の遮音構造
KR102013454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조립 구조
JP6463321B2 (ja) パネル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カーテンウォール
KR200261572Y1 (ko) 내차판넬
KR20220013873A (ko) 창호브라켓용 조립식 결로방지패드
KR101866237B1 (ko) 조립식 벽체 패널 구조체
CN211229042U (zh) 隔墙侧边收口组件
WO2021153536A1 (ja) 間仕切壁の遮音構造及び間仕切壁用遮音部材
KR101783849B1 (ko) 공동주택용 차음벽
KR20070080802A (ko) 조립식월칸막이 시공방법
KR100460628B1 (ko) 내차판넬
KR200290614Y1 (ko) 이중벽을 갖는 내화 차음 칸막이
KR200293890Y1 (ko) 내화 경량칸막이
KR200290615Y1 (ko) 경량칸막이용 스터드
CN215483716U (zh) 一种建筑隔音建筑板
ITMI20130135U1 (it) Sistemi di elementi finiti per un sistema di camera all&#39;interno di una camera.
KR200261571Y1 (ko) 내차판넬
KR200261752Y1 (ko) 내차판넬
KR102549727B1 (ko) 화염 및 열차단 구조가 구비된 방화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