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0628B1 - 내차판넬 - Google Patents

내차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0628B1
KR100460628B1 KR10-2001-0062939A KR20010062939A KR100460628B1 KR 100460628 B1 KR100460628 B1 KR 100460628B1 KR 20010062939 A KR20010062939 A KR 20010062939A KR 100460628 B1 KR100460628 B1 KR 100460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runner
bent
bent portions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2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6690A (ko
Inventor
이은선
Original Assignee
내차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내차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내차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2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0628B1/ko
Publication of KR20020036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6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6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09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special measures for sound or thermal insulation, including fire protection
    • E04B2/7411Details for fire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 E04B1/61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with protrusions on the one frontal surface co-operating with recesses in the other frontal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4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Abstract

본 발명은 내차판넬에 관한 것이다. 이는 하부러너와, 수직러너와, 상부러너와, 상기 각 러너에 그 테두리부가 지지되는 다수의 판넬을 포함하는 내차판넬에 있어서, 상기 각 판넬은; 상호 이격되어 마주하고 서로에 대해 대칭을 이루는 두 장의 강판과, 상기 각 강판의 대향면에 구비되는 석고보드와, 상기 석고보드 사이에 위치하는 내화단열재와, 상기 각 강판의 일측단부를 상호 연결하여 강판 일측단부의 간격을 고정시키고 고정된 일측단부로 하여금 이웃 판넬 강판의 타측단부를 수용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각 판넬의 강판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칸막이를 구성하는 판넬을 연결함에 있어서 고정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그대신 끼워맞춤식으로 연결하므로 현장 시공작업이 간단하여 작업능률이 높고 고정나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판넬에 나사구멍 등의 흠이 없어 판넬의 재활용성이 높으며, 각 판넬과 판넬의 수직측면 전체가 끼움 결합하므로 결합구조가 견고하고 전체면이 평활하며 특히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결합부위가 벌어지지 않아 화염이나 연소가스가 통과하지 못한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내차판넬{Fire and soundproof panel}
본 발명은 경량 칸막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히 열과 소음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내차(耐遮)판넬에 관한 것이다.
경량칸막이는 실내공간을 원하는 대로 구획하여 공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건축자재이다. 이는 내차판넬이라고도 하며 그 설치 및 철거가 간단하고 구조적 강도가 칸막이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견고하여 예컨데 각종 사무실이나 연구소 더 나아가 각종 문화공간 등에 널리 사용된다.
공지의 사실과 같이 상기 내차판넬은 강판과 석고보드를 상호 결합하여 구성한 단위 판넬을 옆으로 연속하여 연결함으로써 원하는 넓이의 벽면을 이룬다. 상기각 단위 판넬은 필요한 크기로 미리 제작하고 바닥면과 벽면 및 천정면에 고정되어 있는 러너에 그 테두리부가 지지되도록 한다.
한편 종래의 내차판넬에 있어서, 상기 단위 판넬간의 연결은 다수의 고정나사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호 연결할 판넬의 강판을 상호 겹치고 겹친부위를 고정나사로 뚫어 내부의 지지기둥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의 내차판넬은 판넬을 연결하기 위하여 반드시 고정나사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높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판넬을 연결할 때 겹쳐있는 강판을 다수의 고정나사로 뚫어야 하므로 그만큼 조립하는데 시간 및 노력이 소요되는 것이다. 더욱이 경우에 따라 판넬의 높이가 높을 경우에는 더 많은 개수의 고정나사를 사용하여야 하고 또한 윗부분의 나사작업을 위해서는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불편하고 위험이 따를 수 도 있다.
또한 필요에 의해 판넬간의 상대 위치를 변경하거나 또는 작업의 미숙으로 한번 고정된 판넬의 위치를 변경하여야 할 경우 매번 고정나사를 다시 뽑고 다른 위치에 다시 고정나사를 관통시켜야 하므로 이 또한 귀찮고 작업 자체도 힘들다.
아울러 상기 판넬간의 결합력이 고정나사에 의해 유지되므로 화재시 판넬이 열변형될 경우 고정나사가 관통한 부위의 강판이 뜯겨져 판넬사이가 벌어질 수 있다. 판넬이 벌어지면 틈새로 화염이나 유독가스가 통과하고 경우에 따라 판넬이 무너저 내릴 수 도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같이 종래의 판넬을 상호 결합하기 위해서는 각 판넬의 테두리부를 일단 겹쳐야 하므로 겹친 부위 중 하부에 위치한 강판과 상부에 위치한강판의 돌출정도가 달라 칸막이의 외벽면이 전체적으로 평활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칸막이를 구성하는 판넬을 연결함에 있어서 고정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그대신 끼워맞춤식으로 연결하므로 현장 시공작업이 간단하여 작업능률이 높고 고정나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판넬에 나사구멍 등의 흠이 없어 판넬의 재활용성이 높으며, 각 판넬과 판넬의 수직측면 전체가 끼움 결합하므로 결합구조가 견고하고 전체면이 평활하며 특히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결합부위가 벌어지지 않아 화염이나 연소가스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구성된 내차판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내차판넬를 분해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내차판넬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내차판넬의 판넬간의 연결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내차판넬에 적용할 수 있는 경량콘크리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내차판넬를 개략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내차판넬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내차판넬에 적용할 수 있는 경량콘크리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하부러너 13,14:수직러너
15:상부러너 17,41:강판
19:석고보드 21,51:경량콘크리트
23,53:어깨부 27:절곡시트
29,45:제 1절곡부 31:연장삽입부
32,50:제 2절곡부 33:가이드면
35,47:삽입홈 43:절곡시트
49:연장삽입부 57:내화고무패킹
61:고정나사 63:판넬
65:삽입부 67:지지부
w:벽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내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하부러너와, 상기 하부러너의 양단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러너와, 상기 수직러너의 상단에 연결되어 하부러너의 연직상부에 위치하는 상부러너와, 상기 각 러너에 그 테두리부가 지지되며 폭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벽을 이루는 다수의 판넬을 포함하는 내차판넬에 있어서, 상기 각 판넬은; 상호 이격되어 마주하고 서로에 대해 대칭을 이루는 두 장의 강판과, 상기 각 강판의 대향면에 구비되는 석고보드와,
상기 석고보드 사이에 위치하는 내화단열재와, 상기 각 강판의 일측단부를 상호 연결하여 강판 일측단부의 간격을 고정시키고 고정된 일측단부로 하여금 이웃 판넬 강판의 타측단부를 수용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각 판넬의 강판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강판의 일측수직선단은 판넬의 내측으로 두 번 절곡되어 그 내부에는 삽입홈을 가지고 외측절곡면으로 가이드면을 제공하는 제 1절곡부를 이루되 상기 가이드면은 상호 대응하고, 상기 각 강판의 타측수직선단에는 이웃 판넬의 제 1절곡부 사이에 끼워져 가이드면에 의해 오므라지는 방향으로 지지력을 제공받는 제 2절곡부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수단은, 양단부가 상호 이격되어 있는 제 1절곡부의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어 제 1절곡부간의 상대위치를 고정시키고 그에 따라 양측의 가이드면으로 하며금 제 2절곡부를 오므라지는 방향으로 지지토록 하는 절곡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2절곡부는 각 강판의 타측수직선단을 내측 직각으로 한번 절곡시킨 후 상기 제 1절곡부의 사이로 연장시켜 제 1절곡부의 가이드면과 각각 면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화단열재는 양측의 석고보드와 접하는 경량콘크리트로서 그 일측단부는 상기 절곡시트와 면접하고 타측단부는 상기 제 2절곡부와 면접하며, 상기 각 석고보드의 일측단부는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되 절곡시트의 단부가 끼워진 다음 끼워지고 타측단부는 상기 제 2절곡부에 면접하도록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절곡부의 제 1절곡부 사이로 삽입되는 연장삽입부는 강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강판에 대해 예각의 사이각을 갖도록 경사져 연장될수록 상호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내차판넬를 분해하여 일부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도면에서는 판넬(63)을 두 개를 도시하였지만 상기 판넬의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짐은 당연하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내차판넬는, 실내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하부러너(11)와, 상기 하부러너(11)의 양단부에 연결되며 수직 상부로 연장되는 수직러너(13,14)와, 상기 수직러너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상부러너(15)와, 상기 각 러너(11,13,14,15)에 지지되고 폭방향으로 상호 끼움결합하여 벽을 이루는 다수의 판넬(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러너(11)와 수직러너(13,14) 및 상부러너(15)는 각각 실내의 바닥면과 벽면 및 천정면에 고정되며 상기 판넬(63)의 테두리부를 내부에 포함함으로써 판넬(63)을 수직으로 지지한다. 상기 각 러너(11,13,14,15)의 단면형상은 실시예에 따라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다수의 판넬(63)은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각 판넬(63)은 동일한 형태로 대칭을 이루는 두 장의 강판(17)과, 상기 강판(17)의 내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석고보드(19)와, 상기 석고보드(19) 사이에 위치하는 경량콘크리트(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내차판넬는 일정두께의 다수의 판넬(63)을 옆으로 끼워 맞춤하여 벽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끼워맞춤을 위하여 각 판넬(63)의 일측단부에는 지지부(67)가 마련되고 타측단부에는 삽입부(65)가 마련된다. 상기 삽입부(65)는 지지부(67)의 내부에 끼워짐으로써 판넬(63)이 상호 이어지도록 한다.
상기 강판(17)은 경량콘크리트(21)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칭을 이룬다. 상기 각 강판(17)의 일측 수직선단부는 판넬(63)의 내측으로 일단 직각 절곡된 후 다시 한번 직각 절곡됨으로써 대략 ㄷ자의 형태를 취하여 제 1절곡부(29)를 이룬다. 이와같이 제 1절곡부(29)가 ㄷ자의 형태를 취하므로 제 1절곡부(29)는 내부로는 삽입홈(35)을 가지게 되고 외측절곡면에는 가이드면(33)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면(33)은 상호 평행하며 마주한다.
아울러 상기 강판(17)은 상호 이격되어 대칭을 이루므로 상기 삽입홈(35)의 내부에 절곡시트(27)의 단부 및 석고보드(19)의 일측단부를 삽입할 수 있다.
상기 각 강판(17)의 타측 수직선단부에는 제 2절곡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제 2절곡부(32)는 강판(17)의 타측 수직선단부를 내측 직각방향으로 절곡 한 후 다시 바깥쪽으로 직각 절곡하여 연장시킨 부위이다.
상기 연장시킨 부위는 연장삽입부(31)로서 상호 평행하다. 상기 연장삽입부(31)의 외면의 폭(w1)은 상기 제 1절곡부(29)의 가이드면(33)간의 폭(w2)과 같도록 한다. 즉, 상기 연장삽입부(31)의 외측면이 제 1절곡부(29)의 가이드면(33)과 접하며 끼워 맞춤 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하나의 판넬(63)을 설치하고 다른 판넬의 지지부(67)를 먼저 설치되어 있는 판넬 수직측면의 삽입부(65)에 대고 압입하면 상기 제 1절곡부(29)의 내부에 제 2절곡부(32)의 연장삽입부(31)가 끼워져 결합을 이룬다. 압입되는 판넬을 반대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제 1절곡부(29)로부터 연장삽입부(31)가 빠져 판넬이 분리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두 장의 강판(17)이 서로에 대해 벌어지지 않도록 절곡시트(27)가 구비된다. 상기 절곡시트(27)는 두 장의 강판(17) 사이에 직각방향으로 끼워지는 일정단면을 갖는 부재이다. 상기 절곡시트(27)의 양단부는 대략 ㄴ자로 절곡되어 각 삽입홈(35)의 내부에 끼워져 지지된다. 이와같이 양측의 삽입홈(35)내에 절곡시트(27)의 단부가 끼워짐에 따라 결국 이격된 상태의 강판(17)은 벌어지지 않고 오므라지지도 않게 된다.
또한, 판넬(63)의 제 2절곡부(32)가 이웃 판넬의 제 1절곡부(29)의 가이드면(33)에 지지되어 끼워지므로 결국 판넬(63)의 타측단부도 벌어지지 않는다. 아울러 한 판넬(63)내부의 두 장의 강판(17) 사이에는 석고보드(19) 및 경량콘크리트(21)가 상호 접한 상태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판넬의 타측단부는 제 1절곡부(29)에 끼워진 상태로 오므라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다수의 판넬(63)의 수직측면을 서로에 대해 끼워 맞춤으로써 판넬이 일직선으로 위치하며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일 마지막 판넬(63)의 제 2절곡부(32)는 수직러너(14)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내차판넬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평단면도 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양측의 수직러너(13,14)는 각각 고정나사(61)에 의해 벽면(w)에 고정된 상태로 판넬(63)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각 판넬(63)과 판넬(63)의 사이에는 내화고무패킹(57)이 끼워진다. 상기 내화고무패킹(57)은 판넬과 판넬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는 부재이다.
아울러 각 판넬(63)의 강판(17) 내측면에는 석고보드(19)가 고정되며 상기 석고보드(19)의 사이에는 경량콘크리트(21)가 끼워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석고보드(19)는 일정두께를 가지는 공지의 부재로서 일측단부가 상기 삽입홈(35)의 내부에 끼워지고 타측단부는 상기 제 2절곡부(32)에 의해 지지된다.
이 때 상기 제 1절곡부(29)의 삽입홈(35) 내부에는 절곡시트(27)의 단부가 먼저 삽입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석고보드(19)의 타측단부가 제 2절곡부(32)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 지지되므로 결국 상기 절곡시트(27)의 양단부는 삽입홈(35)의 내부로 지지되어 삽입홈(35)으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경량콘크리트(21)의 도면상 좌측단부는 절곡시트(27)와 면접하고 우측단부는 연장삽입부(31)의 사이공간까지 채워 이웃판넬의 절곡시트(27)에 도달한다.
도 1을 통해 상기한 바와같이 제 1절곡부(29)의 가이드면(33)간의 간격(w2)과 연장삽입부(31)의 외측면간의 간격(w1)이 같으므로 석고보드(19) 사이에 채워지는 경량콘크리트(21)에는 어깨부(도 4의 23)가 형성된다. 상기 어깨부(도 4의 23)의 폭(w3)은 강판(17) 두께의 두 배 만큼의 폭을 가지며 상기 제 2절곡부(32)에 걸려 화살표 F방향으로 지지력을 제공받는다.
결국 상기 절곡시트(27)는 두 장의 석고보드(19) 및 경량콘크리트(21)에 의해 화살표 F방향으로 지지되어 삽입홈(35)로부터 절대 빠지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내차판넬의 판넬간의 연결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양측 강판(17)의 제 1절곡부(29)는 절곡시트(27)에 의해 상호 고정되어 있다. 즉, 상기 절곡시트(27)의 양단부는 제 1절곡부(29)의 삽입홈(35)내에 삽입되어 제 1절곡부(29)의 가이드면(33)을 화살표 C방향으로 지지하여 상기 가이드면(33)에 접하고 있는 연장삽입부(31)를 화살표 C방향으로 지지한다. 상기 연장삽입부(31)의 사이에 경량콘크리트(21)가 위치하므로 연장삽입부(31)는 실제로 오므라지지 않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두 장의 석고보드(19) 및 경량콘크리트(21)는 상기 제 2절곡부(32)의 내측면에 걸려 화살표 B방향으로 지지되고 절곡시트(27)를 화살표 F방향으로 지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내차판넬에 적용할 수 있는 경량콘크리트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경량콘크리트(21)는 일정두께 및 높이를 가지며 일측부에는 어깨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어깨부(23)는 제 2절곡부(32)에 걸려 지지되는 부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내차판넬를 개략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또한 제 2실시예의 내차판넬는 상기 제 1실시예와 기본적인 구성이 동일하다.
도시한 바와같이, 각 강판(41)의 일측 수직 선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제 1절곡부(45)를 이룬다. 상기 제 1절곡부(45)는 강판의 일측 선단부를 내측 직각방향으로 한 번 절곡시킨 후 예각의 각으로 다시 한 번 절곡한 것이다. 상기 제 1절곡부(45)는 제 1실시예의 절곡부(도 1의 29)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삽입홈(47)을 갖는다.
상기 제 1절곡부(45)의 외측면은 가이드면(33)이다. 상기 가이드면(33)은 각각 경사져 있으며 이웃 판넬의 연장삽입부(49)의 외측면과 면접한다. 상기 제 1절곡부(45)의 가이드면(33)의 강판에 대한 사이각은 90도 보다 작게 하여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30도 내지 60도 정도가 되도록 한다.
상기 각 삽입홈(47)의 내부에는 절곡시트(43)의 단부가 각각 삽입되고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석고보드(19)의 일단부가 끼워진다.
한편, 상기 강판(41)의 타측 수직 선단부에는 제 2절곡부(50)가 마련된다. 상기 제 2절곡부(50)는 강판(41)을 내측으로 직각 절곡시킨 후 다시 바깥쪽으로 일정각도로 절곡시켜 연장한 부위이다. 상기 연장부위는 연장삽입부(49)로서 상기 가이드면(33)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져 상호 면접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내차판넬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평단면도 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각각의 판넬(63)은 폭방향으로 끼움결합하고 있다. 즉, 임의 판넬의 제 2절곡부(50)가 이웃 판넬의 제 1절곡부(45)의 내부에 삽입되어 가이드면(도 5의 33)에 연장삽입부(49)의 외측면이 접하고 있는 것이다.
아울러 석고보드(19)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는 경량콘크리트(51)는 상기 연장삽입부(49)의 내측면과도 면접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절곡시트(43)은 두 장의 석고보드(19) 및 경량콘크리트(51)에 의해 화살표 F방향으로 지지되어 삽입홈(도 5의 47)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각 판넬(63)의 가이드면(33)이 연장삽입부(49)의 외측면과 면접하며 또한 가이드면(33)의 간격이 절곡시트(43)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결국 각 판넬(63)은 일직선으로 견고히 결합 상태를 유지한다.
도면상 가장 우측에 위치한 판넬(63)의 제 2절곡부(50)는 수직러너(14)에 의해 벌어지지 않도록 지지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내차판넬에 적용할 수 있는 경량콘크리트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경량콘크리트(51)는 전체적으로 일정한 두께 및 높이를 갖는다. 아울러 일측부에는 어깨부(53)가 형성되고 반대측부에는 가압면(55)이 마련된다.
상기 어깨부(53)는 제 2절곡부(50)의 연장삽입부(도 5의 49)의 내측면에 접하여 지지력을 제공받는 부위이며, 가압면(55)은 상기 절곡시트(43)와 면접하며 절곡시트(43)를 삽입홈(47) 측으로 지지하는 부위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내차판넬는, 칸막이를 구성하는 판넬을 연결함에 있어서 고정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그대신 끼워맞춤식으로 연결하므로 현장 시공작업이 간단하여 작업능률이 높고 고정나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판넬에 나사구멍 등의 흠이 없어 판넬의 재활용성이 높으며, 각 판넬과 판넬의 수직측면 전체가 끼움 결합하므로 결합구조가 견고하고 전체면이 평활하며 특히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결합부위가 벌어지지 않아 화염이나 유독가스가 통과하지 못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실내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하부러너와, 상기 하부러너의 양단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러너와, 상기 수직러너의 상단에 연결되어 하부러너의 연직상부에 위치하는 상부러너와, 상기 각 러너에 그 테두리부가 지지되며 폭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벽을 이루는 다수의 판넬을 포함하는 내차판넬에 있어서,
    상기 각 판넬(63)은; 상호 이격되어 마주하고 서로에 대해 대칭을 이루는 두 장의 강판(17,41)과,
    상기 각 강판(17,41)의 대향면에 구비되는 석고보드(19)와,
    상기 석고보드(19) 사이에 위치하는 내화단열재와,
    상기 각 강판(17,41)의 일측단부를 상호 연결하여 강판 일측단부의 간격을 고정시키고 고정된 일측단부로 하여금 이웃 판넬 강판의 타측단부를 수용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각 판넬의 강판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차판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강판(17,41)의 일측수직선단은 판넬의 내측으로 두 번 절곡되어 그 내부에는 삽입홈(35,47)을 가지고 외측절곡면으로 가이드면(33)을 제공하는 제 1절곡부(29,45)를 이루되 상기 가이드면(33)은 상호 대응하고, 상기 각 강판(17,41)의 타측수직선단에는 이웃 판넬의 제 1절곡부(29,45) 사이에 끼워져 가이드면(33)에 의해 오므라지는 방향으로 지지력을 제공받는 제 2절곡부(32,50)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수단은, 양단부가 상호 이격되어 있는 제 1절곡부(29,45)의 삽입홈(35,47)에 각각 삽입되어 제 1절곡부(29,45)간의 상대위치를 고정시키고 그에 따라 양측의 가이드면(33)으로 하며금 제 2절곡부(32,50)를 오므라지는 방향으로 지지토록 하는 절곡시트(27,4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차판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절곡부(32,50)는 각 강판(17,41)의 타측수직선단을 내측 직각으로 한번 절곡시킨 후 상기 제 1절곡부(29,45)의 사이로 연장시켜 제 1절곡부(29,45)의 가이드면(33)과 각각 면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차판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단열재는 양측의 석고보드(19)와 접하는 경량콘크리트(21)로서 그 일측단부는 상기 절곡시트(27,43)와 면접하고 타측단부는 상기 제 2절곡부(32,50)와 면접하며,
    상기 각 석고보드(19)의 일측단부는 상기 삽입홈(35,47)에 끼워지되 절곡시트(27,43)의 단부가 끼워진 다음 끼워지고 타측단부는 상기 제 2절곡부(32,50)에 면접하도록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차판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절곡부(32,50)의 제 1절곡부(29,45) 사이로 삽입되는 연장삽입부(31,49)는 강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강판에 대해 예각의 사이각을 갖도록 경사져 연장될수록 상호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차판넬.
KR10-2001-0062939A 2001-10-12 2001-10-12 내차판넬 KR100460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939A KR100460628B1 (ko) 2001-10-12 2001-10-12 내차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939A KR100460628B1 (ko) 2001-10-12 2001-10-12 내차판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216U Division KR200261752Y1 (ko) 2001-10-12 2001-10-12 내차판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6690A KR20020036690A (ko) 2002-05-16
KR100460628B1 true KR100460628B1 (ko) 2004-12-17

Family

ID=19715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2939A KR100460628B1 (ko) 2001-10-12 2001-10-12 내차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06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315B1 (ko) * 2011-07-11 2012-06-28 주식회사 세원엔테크 워크-인 타입 변전실용 방화패널 및 그 방화패널의 조립방법
KR20230144229A (ko) * 2022-04-07 2023-10-16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고정용 볼트부재를 이용한 방화구획 비내력벽 단위모듈 및 이를 이용한 비내력벽 건식화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106B1 (ko) * 2009-06-22 2011-04-05 한국과학기술원 모바일 하버용 데크
US10781585B2 (en) 2018-06-11 2020-09-22 Quality Electrical Systems, Inc. Removable wall panel for portable electrical building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315B1 (ko) * 2011-07-11 2012-06-28 주식회사 세원엔테크 워크-인 타입 변전실용 방화패널 및 그 방화패널의 조립방법
KR20230144229A (ko) * 2022-04-07 2023-10-16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고정용 볼트부재를 이용한 방화구획 비내력벽 단위모듈 및 이를 이용한 비내력벽 건식화공법
KR102623315B1 (ko) 2022-04-07 2024-01-10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고정용 볼트부재를 이용한 방화구획 비내력벽 단위모듈 및 이를 이용한 비내력벽 건식화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6690A (ko) 200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8796A (en) Wall panel assembly
US5803653A (en) Telescopic mount for temporary walls
WO2010114221A1 (ko) 조립식 건물의 구조
US6314698B1 (en) Cladding panels of sheet metal or similar material for forming a coffered ceiling and a method for assembling of such panels
KR20070072097A (ko)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
EP2121427B1 (en) Wall structure produced with wall panel units
KR100460628B1 (ko) 내차판넬
CN110206196A (zh) 装配式隔墙结构及隔墙模块与墙面的连接节点结构
CN112814216A (zh) 一种可容纳管道的卡卧式墙体及施工方法
KR200261752Y1 (ko) 내차판넬
KR102192046B1 (ko) 칸막이 연결구조
KR20200050182A (ko) 조립식 내화 칸막이
KR101835071B1 (ko) 내화성을 갖는 조립식 경량 칸막이
KR20020036692A (ko) 내차판넬
CN110206138B (zh) 墙体模块与角柱的连接节点结构及装配式建筑
KR101783849B1 (ko) 공동주택용 차음벽
CN210263536U (zh) 装配式隔墙结构及隔墙模块
KR20220099609A (ko) 내구성과 품질안정성이 개선된 내화 칸막이 벽체
KR200293890Y1 (ko) 내화 경량칸막이
JP4980836B2 (ja) 間仕切り空間の天井構造
KR200378474Y1 (ko) 조립식 벽체의 코너 고정장치
EP4290033A1 (en) A tubular smoke shaft section and a smoke shaft
KR200261572Y1 (ko) 내차판넬
KR102258792B1 (ko)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
KR20010068484A (ko) 차음성을 향상한 조립식 벽체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