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849B1 - 공동주택용 차음벽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차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849B1
KR101783849B1 KR1020150161614A KR20150161614A KR101783849B1 KR 101783849 B1 KR101783849 B1 KR 101783849B1 KR 1020150161614 A KR1020150161614 A KR 1020150161614A KR 20150161614 A KR20150161614 A KR 20150161614A KR 101783849 B1 KR101783849 B1 KR 101783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
studs
sides
piece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1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8000A (ko
Inventor
김성주
최안숙
김종화
Original Assignee
김성주
최안숙
김종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주, 최안숙, 김종화 filed Critical 김성주
Priority to KR1020150161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849B1/ko
Publication of KR20170058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84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공동주택용 차음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발명은 천정 슬라브와 바닥 슬라브 사이에 구비되어지는 공동주택용 차음벽에 있어서, 상기 차음벽은 천정 슬라브와 바닥 슬라브에 상,하부 런너가 각각 설치되어지고, 상기 상,하부 런너 사이에 지지대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지지대는 스터드 클립의 전,후 양측에 스터드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스터드는 전,후방 내측으로 제공되는 스터드 공간부에 흡음재가 삽입되어지고, 상기 스터드의 전,후방 외측에 단열재가 맞대어져 타카핀으로 고정되어지고, 상기 단열재의 외부에 외장판이 맞대어져 타카핀으로 고정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발명은 시공수를 줄여 시공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차음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물막이 커버에 의하여 수분이 단열재와 외장판의 하부로 침투(흡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변형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차음벽{APARTMENT HOUSE RESIDENTIAL SOUNDROOF WALL}
이 발명은 공동주택용 차음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천정 슬라브와 바닥 슬라브에 구비된 상,하부 런너 사이로 스터드 클립의 전,후 양측에 스터드가 결합된 지지대가 설치되도록 하여 시공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스터드의 스터드 공간부에 흡음재가 삽입된 후 스터드의 전,후방 외측에 단열재와 외장판이 타카핀으로 고정되도록 하여 차음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바닥 슬라브가 시공되는 과정에서 수분으로 인하여 단열재와 외장판의 하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음과 방화 성능이 요구되는 건축 구조물의 내부는 벽돌 또는 블록 등을 이용한 습식조적방식에 의한 칸막이벽이 시공 및 사용되어지고 있으나,최근에는 경량화와 건식구조에 의한 석고보드 칸막이벽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습식조적방식에 의한 칸막이벽은 벽돌이나 블록을 쌓아 형성된 내벽면을 모르타르로 미장하여 마감한 것으로써, 단열성능을 위해 별도의 단열재를 부착해야하며, 습식시공으로 인한 시공성이 떨어지고 적지 않은 양생시간이 요구되고, 벽돌과 블록의 무게로 인하여 시공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건식구조에 의한 석고보드 칸막이벽은 천정슬라브와 바닥슬라브에 각각 구비된 찬넬형태를 갖는 런너 사이에 목재나 경량 철골을 이용한 지지대가 일정 간격이 유지되어지도록 한 후 지지대 사이의 내부로 단열재를 삽입하고, 약 9∼12mm를 갖는 석고보드를 지지대의 양측면에 못이나 나사못을 사용하여 고정 한 후 석고보드의 이음부에 석고 플라스터 또는 종이테이프를 붙이고, 벽 전체를 수성페인트로 칠하여 이음부를 알아볼 수 없게 한 것이다.
이러한 석고보드 칸막이벽은 단순한 찬넬형태를 갖는 런너가 사용되어지며, 런너에 삽입되는 지지대 역시 단순한 하나의 바 형태를 가짐으로써, 칸막이벽의 일측 공간과 타측 공간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석고보드와 지지대 및 상하부로 구비된 런너를 통해 여과없이 전달되는 등 차음성능이 낮아져 공간소음 문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바닥슬라브와 천정슬라브에 직접 맞대어진 상태로 구비된 런너를 통해 상부층과 하부층의 소음이 그대로 전달되어 층간소음 문제가 발생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바닥슬라브와 천정슬라브에 맞대어진 런너에 지지대가 바로 삽입된 상태로 있음으로써, 간혹 누수가 발생될 경우에는 물이 지지대를 통해 스며들어 부식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물이 석고보드까지 스며들 경우에는 석고보드의 강도가 낮아지면서 쉽게 부서지는 등 수명이 단축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에 따른 점검과 보수가 필요함에 따라 별도의 비용과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등록특허공보 제10-1487693호(2015.01.23)의 공동주택용 차음벽이 제안되어 차음벽에 의하여 구획되어지는 건축 구조물의 내부 공간에 있어 일측 공간에서 발생된 소음이 타측 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 차음 성능을 높여 쾌적한 내부환경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차음벽이 구획되어지는 바닥슬라브와 천정슬라브를 통해 상부층과 하부층의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층간소음 문제를 막을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누수로 인하여 물이 런너와 지지대를 통해 석고보드까지 스며드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차음벽은 천정 슬라브와 바닥 슬라브에 설치된 상,하부 런너에 스터드가 구비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스터드씩 구비됨으로써, 작업 공정수의 증가로 인하여 작업 효율이 낮아지는 가운데 작업 공기가 지연되거나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터드가 즉, 전,후방으로 위치된 각각의 스터드가 별도의 연결부재 없이 상,하부 런너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는 가운데 일측이 개방된 형태의 엠바를 가짐에 따라 외부의 작은 충격에도 변형이 발생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충분한 강성이 유지되지 못하는 스터드로 인하여 전,후방으로 결합된 각각의 외장판이 들뜨거나 분리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충분한 차음 또는 흡음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또 다른 문제점들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87693호(2015.01.23)
이 발명은 시공수를 줄여 시공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흡음재가 삽입된 스터드의 전,후방 외측에 단열재와 외장판이 구비되어 차음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물막이 커버에 의하여 단열재와 외장판의 하부로 수분이 침투되거나 흡수되는 것을 막아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스터드가 충분한 강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단열재 또는 외장판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발명은 천정 슬라브와 바닥 슬라브 사이에 구비되어지는 공동주택용 차음벽(A)에 있어서, 상기 차음벽(A)은 천정 슬라브와 바닥 슬라브에 상,하부 런너(10)가 각각 설치되어지고, 상기 상,하부 런너(10) 사이에 지지대(S)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지지대(S)는 스터드 클립(20)의 전,후 양측에 스터드(30)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스터드(30)는 전,후방 내측으로 제공되는 스터드 공간부(31)에 흡음재(40)가 삽입되어지고, 상기 스터드(20)의 전,후방 외측에 단열재(50)가 맞대어져 타카핀(P)으로 고정되어지고, 상기 단열재(50)의 외부에 외장판(60)이 맞대어져 타카핀(P)으로 고정되게 설치되되, 상기 스터드 클립(20)은 수평패널(21)의 전,후방에 상기 수평패널(21)의 폭(W) 보다 넓은 폭(W')을 갖는 수직패널(22)이 하부를 향하여 각각 절곡되게 형성되어 좌,우양측으로 스터드 삽입부(23)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스터드 삽입부(23)가 형성된 전,후방 양측단부의 수직패널(22) 내측에 스터드 걸림편(221)이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수평패널(21)은 전,후방을 향하여 흡음홀(211)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흡음홀(211)의 양측에 보강엠보싱부(21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수직패널(22)은 양측단부에 형성된 스터드 걸림편(221)의 입구측에 스터드 삽입 가이드편(22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일측의 스터드 걸림편(221)과 타측의 스터드 걸림편(221) 사이로 수평형태를 갖는 엠보싱 보강부(223)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수직패널(22)의 하단부에 내측 상부를 향하는 보강편(224)이 절곡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런너(10)는 상부만이 개방된 찬넬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며, 상기 찬넬형 상부에 물막이 커버(7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물막이 커버(70)는 웹부편(701)의 상부에 외측으로 직각되게 절곡된 플랜지편(702)이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웹부편(701)의 하단부 외측에 하부가 개방된 절곡편(703)이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절곡편(703)의 내부와 웹부편(701)의 외부 사이에 결합홈(70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터드(30)는 사각바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되, 좌,우측에 고정홈(3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흡음재(40)는 글라스울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단열재(50)는 석고보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카핀(P)은 핀의 표면에 일측 방향으로 경사진 걸림돌기(P')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터드 클립(20)의 전,후 양측으로 결합된 스터드(30)에 다른 스터드(30)가 다른 스터드 클립(20)에 의하여 결합되어 상기 스터드(30)가 3열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터드 클립(20)의 수평패널(21)은 양측 또는 일측에 수직으로 절곡된 결합편(213)이 형성되어 스터드(30)의 내측면에 맞대어져 나사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천정 슬라브와 바닥 슬라브에 구비된 상,하부 런너 사이에 스터드 클립의 전,후 양측에 스터드가 결합된 지지대가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흡음재가 삽입된 스터드의 전,후방 외측에 단열재와 외장판이 타카핀으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차음율을 더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하부 런너에 물막이 커버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바닥 슬라브가 시공되는 과정에서 수분이 침투되는 거을 방지하여 단열재와 외장판의 하부가 변형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스터드가 사각형태를 갖도록 함으로써, 충분한 강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있도록 하여 단열재 또는 외장판이 분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이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차음벽의 내,외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이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차음벽의 종단면도.
도3은 이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차음벽에 있어 스터드 클립을 도시한 사시도.
도4는 이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차음벽에 있어 스터드 클립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5는 이 발명에 따른 차음벽에 있어 지지대가 하부 런너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6은 이 발명에 따른 차음벽에 있어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7은 이 발명에 따른 차음벽에 있어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이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이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차음벽의 내,외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이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차음벽의 종단면도이고, 도3은 이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차음벽에 있어 스터드 클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이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차음벽에 있어 스터드 클립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5는 이 발명에 따른 차음벽에 있어 지지대가 하부 런너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차음벽(A)은 시공성과 차음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가운데 바닥 슬라브가 시공되는 과정에서 침투되는 수분으로 인하여 단열재와 외장판의 하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스터드가 충분한 강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천정 슬라브(US)와 바닥 슬라브(DS)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차음벽(A)은 상,하부 런너(10), 스터드 클립(20) 및 스터드(30)로 이루어진 지지대(S), 흡음재(40), 단열재(50), 외장판(60) 및 타카핀(P)으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상,하부 런너(10)는 각각 천정 슬라브(US)와 바닥 슬라브(DS)에 설치되어지고, 상기 지지대(S)가 상,하부 런너(10) 사이에 수직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 런너(10)는 상부만이 개방된 찬넬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지지대(S)의 하부가 안정된 상태로 지지되는 가운데 시공 과정에서는 상,하부 런너(10) 사이에서 지지대(S)가 직각 즉, 90°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부 런너(10)의 개방된 상부인 양측에는 각각 후술하는 물막이 커버(7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S)는 스터드 클립(20)의 전,후 양측에 스터드(30)가 결합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터드(30)의 전,후방 내측으로 제공되는 스터드 공간부(31)에 흡음재(40)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스터드 클립(20)은 전,후방으로 각각의 스터드(30)가 안정되게 결합되는 가운데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여 단열재(5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스터드 클립(20)은 수평패널(21)의 전,후방에 상기 수평패널(21)의 폭(W) 보다 넓은 폭(W')을 갖는 수직패널(22)이 하부를 향하여 각각 절곡되게 형성되어짐으로써, 스터드(30)가 좌,우 양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스터드 삽입부(23)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스터드 삽입부(23)가 형성된 전,후방 양측단부의 수직패널(22) 내측에 스터드 걸림편(221)이 일체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스터드(30)에 형성된 고정홈(31)이 걸려질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수평패널(21)은 전,후방을 향하여 다수개의 흡음홀(211)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흡음홀(211)의 양측에 보강엠보싱부(212)가 형성되어 수평패널(21)이 높은 강도가 유지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직패널(22)은 양측단부에 형성된 스터드 걸림편(221)의 입구측에 스터드 삽입 가이드편(222)이 형성되어 스터드(3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고, 전면에 다수개의 흡음홀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일측의 스터드 걸림편(221)과 타측의 스터드 걸림편(221) 사이로 수평형태를 갖는 엠보싱 보강부(223)가 형성되어 보다 높은 강도가 유지됨으로써, 스터드(30)가 안정되게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직패널(22)의 하단부에 내측 상부를 향하는 보강편(224)이 절곡되어 개방된 하단부가 더 높은 강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단열재(50)의 일부가 걸려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열재(50)가 하부로 처지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터드(20)의 전,후방 외측에는 단열재(50)가 맞대어져 타카핀(P)으로 고정되어지며, 상기 단열재(50)의 외부에 외장판(60)이 맞대어져 동일한 타카핀(P)으로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터드(30)는 롤포밍으로 형성된 것으로 사각바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충분한 강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좌,우측에 고정홈(3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스터드 클립(20)의 수직패널(22)에 형성된 스터드 걸림편(221)이 삽입됨과 동시에 역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터드(30)는 사각바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 전,후방으로 단열재(50)와 외장판(60)이 타카핀(P)으로 고정되는 과정에서 타카핀(P)이 사각바의 내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시공 후 단열재(50)와 외장판(60)의 자중에 의하여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타카핀(P)이 얇은 두께를 갖는 스터드(30)를 관통하여 2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충분한 고정력이 확보되어 자중에 의하여 쳐짐현상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상기 흡음재(40)는 글라스울로 형성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단열재(50)는 석고보드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물막이 커버(70)는 웹부편(701)의 상부에 외측으로 직각되게 절곡된 플랜지편(702)이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웹부편(701)의 하단부 외측에 하부가 개방된 절곡편(703)이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절곡편(703)의 내부와 웹부편(701)의 외부 사이에 결합홈(704)이 형성되어 하부 런너(10)의 개방된 양측단부가 각각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열재(50)와 외장판(60)이 스터드(20)에 고정되는 상기 타카핀(P)은 핀의 표면에 일측 방향으로 경사걸림돌기(P')가 일체로 형성되어 타카핀(P)이 외장판(60)과 단열재(50) 및 스터드(20)를 관통한 상태에서 스터드(20)에 걸려진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역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공동주택용 차음벽의 시공은 먼저, 천정 슬라브(US)와 바닥 슬라브(DS)에 찬넬형태를 갖는 상부 런너(10)와 하부 런너(10)가 각각 못으로 고정되도록 한 후 하나의 스터드(10)와 다른 하나의 스터드(10)가 각각 상,하부 런너(10)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각각의 스터드(10)에 형성된 고정홈(31)은 도5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 런너(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 위치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다음, 하나의 스터드(10)에 스터드 클립(20)의 일측으로 형성된 스터드 삽입부(23)를 맞대어 가압시키면 스터드 삽입 가이드편(222)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삽입이 시작되고, 이어 스터드 걸림편(221)이 고정홈(311)에 삽입됨과 동시에 역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어 동일한 과정을 통해 스터드 클립(20)의 타측으로 형성된 스터드 삽입부(23)에 다른 스터드(10)를 맞대어 가압시킴과 동시에 스터드 크립(20)의 양측으로 각각 스터드(30)가 결합된 지지대(S)가 구비된다.
다음, 도5의 좌측에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으로 지지대(S)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지지대(S)는 도5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런너(10)의 내부에서 90°회전된 상태가 유지된다.
다음, 하부 런너(10)의 개방된 상부에 물막이 커버(70)의 웹부편(701)에 형성된 결합홈(704)이 결합되도록 한 후 피스(P)로 스터드(30)에 고정되도록 한다.
다음, 지지대(S)의 내부 즉, 스터드(30)와 스터드(30) 사이로 제공되는 스터드 공간부(31)에 흡음재(40)인 글라스울이 삽입되도록 하고, 이어 스터드(30)의 표면에 단열재(50)가 맞대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타카핀(P)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단열재(50)의 하부가 하부 런너(10)의 플랜지편(702)에 얹혀진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바닥 슬라브(US)의 상부로 단열 및 배관이 콘크리트로 매립되게 시공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속에 포함된 수분이 단열재(50)로 흡수 또는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단열재(50)의 표면에 외장판(60)이 맞대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타카핀(P)을 이용하여 스터드(30)에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하부 런너(10) 사이로 구비된 스터드(30)가 하나의 스터드 클립(20)에 의하여 2열로 결합되도록 하였으나,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열의 스터드 클립(30)를 이용하여 스터드(30)가 3열의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내부로 삽입되는 흡음재(40)의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그 만큼의 차음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때, 도6의 좌측에 도시된 사시도와 같이, 스터드 클립(20)의 수평패널(21)은 양측 또는 일측에 수직으로 절곡된 결합편(213)이 형성되어 스터드(30)의 내측면에 맞대어져 나사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차음벽 P:타카핀
S:지지대 10:상,하부 런너
20:스터드 클립 21:수평패널
22:수직패널 23:스터드 삽입부
30:스터드 31:스터드 공간부
40:흡음재 50:단열재
60:외장판 211:흡음홀
212:보강엠보싱부 221:스터드 걸림편
222:스터드 삽입 가이드편 224:보강편

Claims (8)

  1. 천정 슬라브와 바닥 슬라브 사이에 구비되어지는 공동주택용 차음벽(A)에 있어서,
    상기 차음벽(A)은 천정 슬라브와 바닥 슬라브에 상,하부 런너(10)가 각각 설치되어지고, 상기 상,하부 런너(10) 사이에 지지대(S)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지지대(S)는 스터드 클립(20)의 전,후 양측에 스터드(30)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스터드(30)는 전,후방 내측으로 제공되는 스터드 공간부(31)에 흡음재(40)가 삽입되어지고, 상기 스터드(20)의 전,후방 외측에 단열재(50)가 맞대어져 타카핀(P)으로 고정되어지고, 상기 단열재(50)의 외부에 외장판(60)이 맞대어져 타카핀(P)으로 고정되게 설치되되,
    상기 스터드 클립(20)은 수평패널(21)의 전,후방에 상기 수평패널(21)의 폭(W) 보다 넓은 폭(W')을 갖는 수직패널(22)이 하부를 향하여 각각 절곡되게 형성되어 좌,우양측으로 스터드 삽입부(23)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스터드 삽입부(23)가 형성된 전,후방 양측단부의 수직패널(22) 내측에 스터드 걸림편(221)이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차음벽.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패널(21)은 전,후방을 향하여 흡음홀(211)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흡음홀(211)의 양측에 보강엠보싱부(21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수직패널(22)은 양측단부에 형성된 스터드 걸림편(221)의 입구측에 스터드 삽입 가이드편(22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일측의 스터드 걸림편(221)과 타측의 스터드 걸림편(221) 사이로 수평형태를 갖는 엠보싱 보강부(223)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수직패널(22)의 하단부에 내측 상부를 향하는 보강편(224)이 절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차음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런너(10)는 상부만이 개방된 찬넬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며, 상기 찬넬형 상부에 물막이 커버(7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물막이 커버(70)는 웹부편(701)의 상부에 외측으로 직각되게 절곡된 플랜지편(702)이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웹부편(701)의 하단부 외측에 하부가 개방된 절곡편(703)이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절곡편(703)의 내부와 웹부편(701)의 외부 사이에 결합홈(70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차음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30)는 사각바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되, 좌,우측에 고정홈(3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흡음재(40)는 글라스울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단열재(50)는 석고보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차음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카핀(P)은 핀의 표면에 일측 방향으로 경사진 걸림돌기(P')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차음벽.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 클립(20)의 전,후 양측으로 결합된 스터드(30)에 다른 스터드(30)가 다른 스터드 클립(20)에 의하여 결합되어 상기 스터드(30)가 3열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차음벽.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 클립(20)의 수평패널(21)은 양측 또는 일측에 수직으로 절곡된 결합편(213)이 형성되어 스터드(30)의 내측면에 맞대어져 나사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차음벽.
KR1020150161614A 2015-11-18 2015-11-18 공동주택용 차음벽 Active KR101783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614A KR101783849B1 (ko) 2015-11-18 2015-11-18 공동주택용 차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614A KR101783849B1 (ko) 2015-11-18 2015-11-18 공동주택용 차음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000A KR20170058000A (ko) 2017-05-26
KR101783849B1 true KR101783849B1 (ko) 2017-10-10

Family

ID=59052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1614A Active KR101783849B1 (ko) 2015-11-18 2015-11-18 공동주택용 차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8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181B1 (ko) 2021-12-09 2022-11-01 백성열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274B1 (ko) * 2019-10-02 2021-12-01 주식회사 한성케이 건식벽체용 고 차음 스터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844B1 (ko) * 2011-11-09 2012-05-04 롯데건설 주식회사 고차음 방범 건식벽체
KR101467936B1 (ko) * 2013-08-08 2014-12-02 주식회사 대한강재 Mp-bar 클립을 이용한 벽체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844B1 (ko) * 2011-11-09 2012-05-04 롯데건설 주식회사 고차음 방범 건식벽체
KR101467936B1 (ko) * 2013-08-08 2014-12-02 주식회사 대한강재 Mp-bar 클립을 이용한 벽체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181B1 (ko) 2021-12-09 2022-11-01 백성열 공기순환이 가능한 벽체를 가지는 주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000A (ko) 201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59970A1 (en) Method for providing a fire safe penetration in building element
KR101783849B1 (ko) 공동주택용 차음벽
KR100655890B1 (ko) 패널형 스터드를 이용한 건식벽체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0604411B1 (ko) 복합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이중벽 칸막이의 시공 방법
KR20090003503U (ko) 레실리언트 채널을 이용한 건식벽체
JP2010095956A (ja) 外断熱パネルおよび外断熱構造
KR200373829Y1 (ko) 비내력 건식벽체 조립세트
KR102562436B1 (ko) 내구성과 품질안정성이 개선된 내화 칸막이 벽체
KR101680738B1 (ko) 공동주택용 차음벽
CN212176196U (zh) 一种装配式轻质隔墙
CN111636592B (zh) 一种具有窗口的装配式墙体及其安装方法
JP7266385B2 (ja) 間仕切壁構造、及びこの間仕切壁構造の施工方法
JP7222746B2 (ja) 間仕切りユニット、及びこの間仕切りユニットを用いた間仕切り構造
RU92054U1 (ru) Панельная стена или перекрытие
KR101922216B1 (ko)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
KR101927987B1 (ko) 철골 조립식 중공벽 패널구조
KR101487693B1 (ko) 공동주택용 차음벽
JP4918333B2 (ja) 間仕切壁構造
KR100584513B1 (ko) 건축용 칸막이 패널
JP6043072B2 (ja) 耐震断熱改修構造
CN218149097U (zh) 一种装配式一体化多腔静音隔墙
KR102560365B1 (ko) 건축물 벽체 마감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10103632A (ko) 건식벽체 및 그 시공 방법
JP7074534B2 (ja) 仮設建物の壁構造とその施工方法
KR100639882B1 (ko) 설비관 통로가 형성된 경량콘크리트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9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9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