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3890Y1 - 내화 경량칸막이 - Google Patents

내화 경량칸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890Y1
KR200293890Y1 KR2020020021299U KR20020021299U KR200293890Y1 KR 200293890 Y1 KR200293890 Y1 KR 200293890Y1 KR 2020020021299 U KR2020020021299 U KR 2020020021299U KR 20020021299 U KR20020021299 U KR 20020021299U KR 200293890 Y1 KR200293890 Y1 KR 2002938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block
lightweight concrete
runner
block wall
gypsum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2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선
Original Assignee
내차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내차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내차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212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38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8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890Y1/ko

Links

Landscapes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화 경량칸막이에 관한 것이다. 이는 바닥면에 고정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하부러너와; 상기 하부러너의 양단부에 그 하단이 연결되고 상부로 연장되며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수직러너와; 상기 양 수직러너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하부러너의 연직 상부에 위치하고 천장면에 고정되는 상부러너와; 상기 하부러너와 수직러너 및 상부러너에 그 테두리가 끼워져 벽을 이루는 경량콘크리트블록벽과; 상기 경량콘크리트블록벽의 양면을 커버하되 경량콘크리트블록벽에 대해 접촉하는 석고보드와; 상기 석고보드를 경량콘크리트블록벽 측으로 지지하여 석고보드가 경량콘크리트블록벽에 대해 접촉 설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상부러너 및 수직러너에 각각 고정되며 석고보드의 상단 및 측단 테두리를 그 내부에 수용하여 석고보드를 경량콘크리트블록벽측으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각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지지프레임에 끼워져 있는 석고보드를 상부로 받치는 수평의 지지턱을 갖는 걸레받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경량콘크리트블록벽의 양 벽면에 석고보드를 위치시키되 석고보드를 경량콘크리트블록벽에 접촉지지 시킴으로써 화재시 칸막이에 석고보드가 변형될 정도의 열이 가해지더라도 석고판이 경량콘크리트블록벽에 지지된 상태로 그 자리에 계속 남아 있어 단열효율이 저하하지 않는다.

Description

내화 경량칸막이{Fire proof partition wall}
본 고안은 내화(耐火) 경량칸막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시에도 변형되지 않아 신뢰성 있는 단열능력을 제공하는 내화 경량칸막이에 관한 것이다.
경량칸막이는 실내공간을 원하는 대로 구획하여 공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건축자재의 하나이다. 이는 그 설치 및 철거가 간단하고 구조적 강도도 비교적 견고하여 예컨데 각종 사무실이나 연구실 또는 문화공간이나 전시장등에 널리 사용된다.
한편, 상기 경량칸막이는 공간을 구획하되 칸막이를 사이에 두고 이웃하는 공간 상호간의 소음 및 열의 전달을 어느 정도 이상 차단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특히 경량칸막이의 단열능력은 화재시에 인명사고와 직결되므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종래 대부분의 경량칸막이는 내화성에 있어서 한국공업규격에서 규정하는 내화기준을 현실적으로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상기 종래의 경량칸막이들은 칸막이 벽면에 화염을 가했을 때 석고보드의 철판과 석고판이 분리되어 변형되고 그에 따라 칸막이의 조립부위는 조립부위대로 벌어져 전체적인 구조적 강도가 현저히 떨어짐은 물론 경우에 따라 화염이 칸막이를 그대로 통과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경량콘크리트블록벽의 양 벽면에 석고보드를 위치시키되 석고보드를 경량콘크리트블록벽에 접촉지지 시킴으로써 화재시 칸막이에 석고보드가 변형될 정도의 열이 가해지더라도 석고판이 경량콘크리트블록벽에 지지된 상태로 그 자리에 계속 남아 있어 단열효율이 저하하지 않도록 구성된 내화 경량칸막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화 경량칸막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 절제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내화 경량칸막이에 사용하는 러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1의 내화 경량칸막이에 사용하는 스터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화 경량칸막이가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화 경량칸막이가 설치된 상태의 평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화 경량칸막이에 적용되는 경량콘크리트블록을 일부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내화경량칸막이 12:경량콘크리트블록벽
14:하부러너 16:수직러너
18:상부러너 20:석고보드
22:석고판 24:철판
32:걸레받이 33:석고판
34,56:연결편 35:나사구멍
36:지지프레임 38:스터드
40:삽입공간 42:상부러너홈
44:하부러너홈 46:제 1절곡홀더
48:제 2절곡홀더 50:제 1절곡기둥
52:제 2절곡기둥 58:고정나사
60:삼각홈 62:삼각돌기
64:수직러너홈 65:스터드홈
66:내화고무패킹 68:고정나사
70:지지턱 72:경량콘크리트블록
74:수직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바닥면에 고정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하부러너와; 상기 하부러너의 양단부에 그 하단이 연결되고 상부로 연장되며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수직러너와; 상기 양 수직러너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하부러너의 연직 상부에 위치하고 천장면에 고정되는 상부러너와; 상기 하부러너와 수직러너 및 상부러너에 그 테두리가 끼워져 벽을 이루는 경량콘크리트블록벽과; 상기 경량콘크리트블록벽의 양면을 커버하되 경량콘크리트블록벽에 대해 접촉하는 석고보드와; 상기 석고보드를 경량콘크리트블록벽 측으로 지지하여 석고보드가 경량콘크리트블록벽에 대해 접촉 설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상부러너 및 수직러너에 각각 고정되며 석고보드의 상단 및 측단 테두리를 그 내부에 수용하여 석고보드를 경량콘크리트블록벽측으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각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지지프레임에 끼워져 있는 석고보드를 상부로 받치는 수평의 지지턱을 갖는 걸레받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량콘크리트블록벽은 다수의 경량콘크리트블록으로 조립 구성되고, 상기 경량콘크리트블록의 수직 인접부 사이에는 상하부러너에 그 상하단부가 연결 고정되어 경량콘크리트블록벽을 지지하는 스터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러너와 수직러너 및 하부러너는 상호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경량콘크리트블록벽의 테두리부 모서리를 각각 그 내부에 포함하도록 직각으로 절곡되며 모서리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호 평행한 제 1절곡홀더 및 제 2절곡홀더와, 상기 제 1절곡홀더에 대해 제 2절곡홀더를 연결하며 그 간격을 유지하는 다수의 연결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스터드는; 상호 인접한 경량콘크리트블록의 수직경계선을 포함하도록 일정폭을 가지며 경량콘크리트블록벽 양면에 각각 밀착하는 제 1절곡기둥 및 제 2절곡기둥과, 상기 제 1절곡기둥 및 제 2절곡기둥을 상호 연결하여 제 1절곡기둥에 대한 제 2절곡기둥의 간격을 유지하는 다수의 연결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경량콘크리트블록의 양면 수직 테두리부에는 수직러너 또는 스터드가 석고보드를 향하여 경량콘크리트블록벽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깊이를 제공하는 수직홈이 형성되어 있고, 최상층 경량콘크리트블록의 양면 상단 테두리부에는 상부러너가 석고보드를 향하여 경량콘크리트블록벽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깊이를 제공하는 상부러너홈이 형성되며, 최하층 경량콘크리트블록의 양면 하단 테두리부에는 하부러너가 걸레받이를 향하여 경량콘크리트블록벽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깊이를 제공하는 하부러너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경량콘크리트블록의 상단면에는 삼각형태의 빗면을 갖는 삼각돌기가 하부러너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단면에는 다른 경량콘크리트블록의 삼각돌기가 삽입 가능한 삼각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화 경량칸막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 절제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내화 경량칸막이(10)는, 바닥면에 고정되며 일정폭의 끼움공간을 제공하는 하부러너(14)와, 상기 하부러너(14)의 양단부에 고정되며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수직러너(16, 도 1에는 한쪽 수직러너만 도시)와, 상기 수직러너(16)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하부러너(14)의 연직상부에 위치하는 상부러너(18)와, 상기 각 러너(14,16,18)에 그 테두리부가 끼워져 벽을 이루는 경량콘크리트블록벽(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경량콘크리트블록벽(12)의 양면에는 석고보드(20)가 구비된다. 상기 석고보드(20)는 경량콘크리트블록벽(12)의 벽면에 접촉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직러너(16) 및 상부러너(18)의 양측면에는 지지프레임(36)이 고정되고, 하부러너(14)의 양측에 걸레받이(32)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프레임(36)은 대략 ㄷ 자로 절곡되어 삽입공간(40)을 가지며 러너와 평행하게 연장된 부재로서 삽입공간(40)에 석고보드(20)의 테두리를 수용하여 지지한다. 상기 하부러너(14)와 수직러너(16) 및 상부러너(18)는 상호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상기 하부러너(14)와 수직러너(16) 및 상부러너(18) 자체에 관해서는 도 2를 통해 후술된다.
상기 하부러너(14)와 바닥면과의 사이에는 일정폭을 가지며 양면에 접착력을 갖는 공지의 접착시트(미도시)를 개재시켜 바닥면에 대해 하부러너(14)가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한다. 아울러 후술하는 수직러너(16)와 벽면의 사이, 상부러너(18)와 천장면의 사이에도 접착시트를 개재시켜 설치한다.
상기 상부러너(18)와 하부러너(14)의 사이에는 복수의 스터드(38)가 구비된다. 상기 스터드(38)는 상호 평행하며 수직으로 고정된 지지기둥으로서 그 상단부가 상부러너(18)에 고정되고 하단부는 하부러너(14)에 고정된다.
상기 스터드(38)는 대략 I빔의 형태를 취하며 경량콘크리트블록벽(12)을 지지하고 양쪽 석고보드(20)와도 결합한다. 상기 스터드(38)에 관해서는 도 3을 통해 후술된다.
한편, 상기 수직러너(16)와 그에 근접한 스터드(38) 및 상호 이웃하는 스터드(38)의 사이에는 세 개씩의 경량콘크리트블록(72)이 축조되어 벽을 이룬다. 상기 각 경량콘크리트블록(72)은 일정 폭 및 두께를 가지며 그 양측단부가 스터드(38)나 수직러너(16)에 끼워져 지지된다.
상기 경량콘크리트블록(72)은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양면 테두리부에 홈(42,44,64,65)을 갖는다. 상기 홈(42,44,64,65)은 각 러너(14,16,18) 및 스터드(38)의 석고보드와 접하는 부위가 삽입되는 홈으로서 러너(14,16,18) 및 스터드(38)가 경량콘크리트블록벽(12)으로부터 석고보드(20)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석고보드(20)는 공지의 석고보드로서 일정두께의 석고판(22)과 상기 석고판(22)의 테두리 및 한쪽면을 커버하는 철판(24)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석고보드(20)의 상부 및 양측 테두리부는 상기 지지프레임(36)의 삽입공간(40)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이 때 석고보드(20)의 중앙부는 경량콘크리트블록벽(12)양면에 접촉한다.
아울러 상기 석고보드(20)의 폭은 수직러너(16)와 스터드(38)의 간격 및 스터드(38)간의 간격만큼의 폭을 가지며 그 연결부위는 스터드(38)에 고정나사(도 5의 68)를 통해 고정한다.
상기 석고보드(20)는 걸레받이(32)에 의해 상부로 지지된다. 상기 걸레받이(32)는 일정폭의 석고판(33)과 상기 석고판(33)을 감싸는 철판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걸레받이(32)에는 상기 지지프레임(36)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의 석고보드(20)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지지턱(70)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상기 도 1의 내화 경량칸막이에 사용하는 러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하부러너(14)와 수직러너(16) 및 상부러너(18)는 그 형태가 동일하므로 그 중 하부러너(14)를 선택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같이, 하부러너(14)는 ㄱ 자로 절곡되며 일정간격 이격된 제 1절곡홀더(46) 및 제 2절곡홀더(48)와, 상기 제 1절곡홀더(46)와 제 2절곡홀더(48)를 연결하여 제 1,2절곡홀더(46,48)가 경량콘크리트블록벽(12)의 테두리부를 수용 지지하도록 하는 다수의 연결편(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 1,2절곡홀더(46,48) 및 연결편(34)은 강철로 제작하며 용접을 통해 고정된다. 상기 제 1절곡홀더(46) 및 제 2절곡홀더(48)는 경량콘크리트블록벽(12)의 테두리부 모서리를 그 내부에 수용하도록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편(34)은 제 1절곡홀더(46)에 대해 제 2절곡홀더(48)를 평행하게 이격시키는 띠형 철판으로서 그 중심에는 고정나사(도 5의 58)의 나사산이 통과하는 나사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 1절곡홀더(46)와 제 2절곡홀더(48)는 상기 연결편(34)을 제외하고는 상호 분리되어 있으므로 그만큼 제 1절곡홀더(46)로부터 제 2절곡홀더(48)로 이동하는 열유동 단면적이 좁다. 즉 제 1절곡홀더(46)에 화살표 a방향으로 가해진 열이 제 2절곡홀더(48)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상기 연결편(34)을 거쳐야하는데 연결편(34)의 단면적이 그만큼 좁으므로 하부러너(14)를 통한 칸막이 두께방향 연전달율이 낮은 것이다.
도 3은 상기 도 1의 내화 경량칸막이에 사용하는 스터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스터드(38)는 상호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 1절곡기둥(50) 및 제 2절곡기둥(52)과, 상기 제 1절곡기둥(50)에 대해 제 2절곡기둥(52)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편(5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절곡기둥(50) 및 제 2절곡기둥(52)은 일정폭의 철판을 철판의 길이방향의 절곡선을 중심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것으로 각각 대략 T자의 종단면형태를 갖는다. 상기 제 1절곡기둥(50) 및 제 2절곡기둥(52)은 상하부러너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경량콘크리트블록(72)의 수직 연접부위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연결편(56)은 경량콘크리트블록벽(12)을 두께방향으로 통과하여 제 1절곡기둥(50)에 대해 제 2절곡기둥(52)을 연결하여 스터드(38)를 사이에 두고 이웃하는 경량콘크리트블록벽(12)이 스터드(38)에 지지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화 경량칸막이가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하부러너(14)가 고정나사(58)에 의해 바닥면(G)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러너(18)는 고정나사(58)로 천장면(C)에 고정된다.
상기 하부러너(14)의 상부에는 경량콘크리트블록벽(12)이 위치한다. 상기 경량콘크리트블록벽(12)은 세 개의 경량콘크리트블록(72)을 쌓아 이루어짐은 상기와같다. 아울러 상기 경량콘크리트블록(72)에 있어서 하측 두 개의 경량콘크리트블록(72)에는 삼각돌기(62)와 삼각홈(60)이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하나의 경량콘크리트블록(72)에는 삼각홈(6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삼각돌기(62)는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삼각 빗면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선형돌기이고 상기 삼각홈(60)은 상기 삼각돌기(62)를 수용할 수 있는 홈이다. 상기와 같이 삼각홈(60) 및 삼각돌기(62)를 갖는 경량콘크리트블록(72)을 적층하면 각 삼각홈(60)내에 삼각돌기(62)가 삽입되어 횡방향 가압력이 가해지더라도 경량콘크리트블록이 어긋나지 않는다.
또한 최상측 경량콘크리트블록(72)에는 삼각돌기(62)가 형성되지 않는데 이는 경량콘크리트블록(72)을 상부러너(18)에 보다 깊이 삽입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경량콘크리트블록(72)에 있어서 최하측 경량콘크리트블록(72)의 양면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러너홈(44)에 하부러너(14)의 석고보드를 향하는 부위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하부러너홈(44)의 깊이는 최소한 하부러너(14)를 이루는 철판의 두께와 같아 하부러너(14)가 경량콘크리트블록(72)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최상층 경량콘크리트블록(72)의 양면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러너홈(42)내에는 상부러너(18)의 석고보드를 향하는 부위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상부러너홈(42)의 깊이는 최소한 상부러너(18)를 이루는 철판의 두께와 같아 상기 상부러너(18)는 경량콘크리트블록(72)의 석고보드를 향하는 외측면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상기 석고보드(20)는 상부 및 측부로는 지지프레임(36)의 삽입공간(40)에 삽입되고 하부로는 걸레받이(32)의 지지턱(70)에 지지된 상태로 경량콘크리트블록벽(12)의 양벽면에 접촉한다.
이 때 엄밀히 말하면 석고보드(20)의 하단부는 걸레받이(32)의 철판의 두께에 해당하는 간격만큼 경량콘크리트블록벽(12)으로부터 벌어져 있고, 상단 및 측단 테두리부는 상기 지지프레임(36)을 이루는 철판의 두께만큼 블록벽(12)으로부터 벌어져 있지만, 상기 지지프레임(36)이나 걸레받이(32)를 이루는 철판의 두께는 대개 0.5mm 이하이고 이는 경량콘크리트블록벽(12)의 표면거칠기에 비해 무시할 수 있어 결국 경량콘크리트블록벽(12)과 석고보드(20)의 내측면은 반드시 접촉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석고보드를 경량콘크리트블록벽(12)에 지지시키는 것은 화재시 석고보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상기 석고보드(20)가 경량콘크리트블록벽(12)에 전체적으로 강하게 밀착할 필요는 없다.
더 나아가 상기 경량콘크리트블록벽(12)의 표면거칠기를 지지프레임(36)이나 걸레받이(32)나 각 러너(14,16,18)나 스터드(38)를 이루는 철판의 두께와 비교할 때 상기 러너홈(42,44,64) 및 스터드홈(65)을 굳이 형성하지 않아도 충분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화 경량칸막이가 설치된 상태의 평단면 형상을 일부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내화 경량칸막이(10)의 양측 수직러너(16)는 고정나사(58)를 통해 양측 벽면(W)에 고정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수직러너(16)의 사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스터드(38)가 구비되어 경량콘크리트블록벽(12)을 지지한다.
상기 경량콘크리트블록(72)에 있어서, 양측 수직러너(16)에 삽입되는 양면 테두리 부위에는 수직러너홈(64)이 형성되어 있고, 스터드(38)에 끼워지는 테두리부위 양면에는 스터드홈(6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러너홈(64)의 깊이는 수직러너(16)를 이루는 철판의 두께에 대응하며 스터드홈(65)의 깊이는 스터드(38)의 제 1,2절곡기둥(50,52)의 최대 두께에 대응하는 깊이를 갖는다. 이와 동시에 상기 석고보드(20)의 최외곽부는 지지프레임(36)의 삽입공간(40)에 삽입되고 폭방향으로 이어지는 이음부위는 고정나사(68)를 통해 스터드(38)에 고정되어, 결국 상기 석고보드(20)의 내측면은 경량콘크리트블록벽(12)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도면부호 66은 내화패킹이다. 이는 이웃하는 석고보드(20)의 이음부의 틈새에 끼워지는 선형 고무부재로서 상기 고정나사(68)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화 경량칸막이에 적용되는 경량콘크리트블록을 일부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한쪽 수직러너와 그에 인접하는 스터드 사이에 위치하는 경량콘크리트블록을 도시하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각 경량콘크리트블록(72)의 저면에는 삼각홈(60)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삼각돌기(6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삼각돌기(62)는 상부의 경량콘크리트블록(72)의 삼각홈(60)에 삽입된다.
한편, 상기 경량콘크리트블록(72)의 일측 테두리부 양면에는 수직러너홈(64)이 형성되어 있고 반대측 테두리부 양면에는 스터드홈(65)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최상측 경량콘크리트블록(72)의 상단 테두리 양면에는 상부러너홈(42)이 형성되어 있고, 최하측 경량콘크리트블록(72)의 하단 테두리 양면에는 하부러너홈(4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러너홈(44)과 수직홈(74) 및 상부러너홈(42)은 상기 각 러너 및 스터드가 석고보드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그 깊이 및 폭은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고 경량콘크리트블록벽(12)의 표면거칠기를 고려하여 아예 형성하지 않을 수 도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내화 경량칸막이는, 경량콘크리트블록벽의 양 벽면에 석고보드를 위치시키되 석고보드를 경량콘크리트블록벽에 접촉지지 시킴으로써 화재시 칸막이에 석고보드가 변형될 정도의 열이 가해지더라도 석고판이 경량콘크리트블록벽에 지지된 상태로 그 자리에 계속 남아 있어 단열효율이 저하하지 않는다.

Claims (6)

  1. 바닥면에 고정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하부러너(14)와;
    상기 하부러너(14)의 양단부에 그 하단이 연결되고 상부로 연장되며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수직러너(16)와;
    상기 양 수직러너(16)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하부러너(14)의 연직 상부에 위치하고 천장면에 고정되는 상부러너(18)와;
    상기 하부러너(14)와 수직러너(16) 및 상부러너(18)에 그 테두리가 끼워져 벽을 이루는 경량콘크리트블록벽(12)과;
    상기 경량콘크리트블록벽(12)의 양면을 커버하되 경량콘크리트블록벽(12)에 대해 접촉하는 석고보드(20)와;
    상기 석고보드(20)를 경량콘크리트블록벽(12) 측으로 지지하여 석고보드(20)가 경량콘크리트블록벽(12)에 대해 접촉 설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상부러너(18) 및 수직러너(16)에 각각 고정되며 석고보드(20)의 상단 및 측단 테두리를 그 내부에 수용하여 석고보드(20)를 경량콘크리트블록벽(12)측으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6)과;
    상기 각 지지프레임(36)의 하부에 설치되며 지지프레임(36)에 끼워져 있는 석고보드(20)를 상부로 받치는 수평의 지지턱(70)을 갖는 걸레받이(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경량칸막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콘크리트블록벽(12)은 다수의 경량콘크리트블록(72)으로 조립 구성되고,
    상기 경량콘크리트블록(72)의 수직 인접부 사이에는 상하부러너(18,14)에 그 상하단부가 연결 고정되어 경량콘크리트블록벽(12)을 지지하는 스터드(38)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경량칸막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러너(18)와 수직러너(16) 및 하부러너(14)는 상호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경량콘크리트블록벽(12)의 테두리부 모서리를 각각 그 내부에 포함하도록 직각으로 절곡되며 모서리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호 평행한 제 1절곡홀더(46) 및 제 2절곡홀더(48)와,
    상기 제 1절곡홀더(46)에 대해 제 2절곡홀더(48)를 연결하며 그 간격을 유지하는 다수의 연결편(3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경량칸막이.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38)는;
    상호 인접한 경량콘크리트블록(72)의 수직경계선을 포함하도록 일정폭을 가지며 경량콘크리트블록벽(12) 양면에 각각 밀착하는 제 1절곡기둥(50) 및 제 2절곡기둥(52)과,
    상기 제 1절곡기둥(50) 및 제 2절곡기둥(52)을 상호 연결하여 제 1절곡기둥(50)에 대한 제 2절곡기둥(52)의 간격을 유지하는 다수의 연결편(56)을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경량칸막이.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경량콘크리트블록(72)의 양면 수직 테두리부에는 수직러너(16) 또는 스터드(38)가 석고보드(20)를 향하여 경량콘크리트블록벽(12)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깊이를 제공하는 수직홈(74)이 형성되어 있고,
    최상층 경량콘크리트블록(72)의 양면 상단 테두리부에는 상부러너(18)가 석고보드(20)를 향하여 경량콘크리트블록벽(12)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깊이를 제공하는 상부러너홈(42)이 형성되며,
    최하층 경량콘크리트블록(72)의 양면 하단 테두리부에는 하부러너(14)가 걸레받이(32)를 향하여 경량콘크리트블록벽(12)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깊이를 제공하는 하부러너홈(4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경량칸막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경량콘크리트블록(72)의 상단면에는 삼각형태의 빗면을 갖는 삼각돌기(62)가 하부러너(14)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단면에는 다른 경량콘크리트블록(72)의 삼각돌기(62)가 삽입 가능한 삼각홈(6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경량칸막이.
KR2020020021299U 2002-07-16 2002-07-16 내화 경량칸막이 KR2002938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299U KR200293890Y1 (ko) 2002-07-16 2002-07-16 내화 경량칸막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299U KR200293890Y1 (ko) 2002-07-16 2002-07-16 내화 경량칸막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3890Y1 true KR200293890Y1 (ko) 2002-11-04

Family

ID=73126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299U KR200293890Y1 (ko) 2002-07-16 2002-07-16 내화 경량칸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389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729B1 (ko) 2006-10-02 2006-12-20 (주)종합건축사사무소동우건축 건축물의 블록 조립식 내부벽체
KR101180090B1 (ko) * 2010-01-27 2012-09-05 이필렬 에너지 절감형 주택의 벽체구조 및 벽체시공방법
KR101840637B1 (ko) * 2016-12-01 2018-03-21 주식회사 포스코 내화벽돌 및 이를 구비하는 도어장치
KR20230132034A (ko) * 2022-03-08 2023-09-15 김태진 고정와이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경량칸막이벽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729B1 (ko) 2006-10-02 2006-12-20 (주)종합건축사사무소동우건축 건축물의 블록 조립식 내부벽체
KR101180090B1 (ko) * 2010-01-27 2012-09-05 이필렬 에너지 절감형 주택의 벽체구조 및 벽체시공방법
KR101840637B1 (ko) * 2016-12-01 2018-03-21 주식회사 포스코 내화벽돌 및 이를 구비하는 도어장치
KR20230132034A (ko) * 2022-03-08 2023-09-15 김태진 고정와이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경량칸막이벽
KR102645027B1 (ko) * 2022-03-08 2024-03-06 김태진 고정와이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경량칸막이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47811B1 (en) Wall or lining structure
KR20070072097A (ko)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
EP0437903B1 (en) Relocatable vertical or horizontal wall system
KR200293890Y1 (ko) 내화 경량칸막이
KR200290614Y1 (ko) 이중벽을 갖는 내화 차음 칸막이
WO2021153536A1 (ja) 間仕切壁の遮音構造及び間仕切壁用遮音部材
KR200186188Y1 (ko) 차음성을 향상한 조립식 벽체패널
JP7475629B2 (ja) 連結金具および天井下地
MXPA03003358A (es) Rejilla para un techo suspendido.
JP4154530B2 (ja) 間仕切及びパネル要素の取付構造
KR200283656Y1 (ko) 경량칸막이용 스터드
KR100460628B1 (ko) 내차판넬
KR200290615Y1 (ko) 경량칸막이용 스터드
CN215888883U (zh) 一种平接凸面土字件
CN219431095U (zh) 竖龙骨及装配式隔墙
CN214220126U (zh) 一种隔断墙体结构
KR200261572Y1 (ko) 내차판넬
CN114991352B (zh) 一种模块化墙体玻璃隔断的安装结构和安装方法
JP5074776B2 (ja) パネル体における天井用固定具
JP7176851B2 (ja) 建物の壁構造
CN112695973A (zh) 挂装式墙板安装结构及安装方法
KR200261752Y1 (ko) 내차판넬
JPH1052329A (ja) 積層式棚
GB2364335A (en) Stud wall construction
JP2580333B2 (ja) 間仕切壁を形成する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