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792B1 -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792B1
KR102258792B1 KR1020200068447A KR20200068447A KR102258792B1 KR 102258792 B1 KR102258792 B1 KR 102258792B1 KR 1020200068447 A KR1020200068447 A KR 1020200068447A KR 20200068447 A KR20200068447 A KR 20200068447A KR 102258792 B1 KR102258792 B1 KR 102258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late
coupling
plate
holder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양운
Original Assignee
이양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양운 filed Critical 이양운
Priority to KR1020200068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7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clamping, e.g. friction, means on lateral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건물을 건축하는 기본 재료인 조립식 판넬과, 판넬들을 연속 연결하여 건물 벽체 또는 지붕체를 건축하여 용이하고 신속하게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건물을 보호하고 건물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사용되는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Light weight panel using concrete structure}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고 등을 건축할 시 건축물의 내장재나 벽체로 사용되는 경량이면서도 뛰어난 견고성 및 단열 기능을 갖는 건축용 경량 판넬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고층건물 즉 고층아파트나, 고층상업용 건물 등에 있어서는 건물 내측의 실내를 구획하는 내벽을 경량 단열 판넬을 이용하여 벽체를 구성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건물의 내벽 특히 힘을 지탱하지 않으며 공간만을 구획하는 비내력벽은 시멘트 블럭을 하나하나 쌓아 올려 벽체를 조성하는 습식공법과, 미리 제작된 일정 크기를 갖는 경량 단열 판넬로 벽체를 조성하는 건식 공법이 있다.
시멘트 블럭을 쌓아 올리는 습식 공법은 사람이 일일이 벽돌을 쌓아 올려 축조함에 따라 많은 노력과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양생이 되기까지 일정 시간 기다린 후 벽에 미장 공사를 하여 벽체를 마감하는 등 공사 기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을 가지며, 건축비가 많이 소요되는 비경제적이며, 무게가 무거워 건물의 자중을 증가하는 단점을 갖게 된다.
이에 반해 경량 단열 판넬을 이용한 건식공법은 공기가 짧으며, 시공이 용이하며, 가벼워 취급이 용이하며 건물의 자중 감소 등의 많은 장점을 갖게 되나, 조적벽에 비해 견고하지 못하며, 방음성이나 차음성이 뛰어나지 못하며, 충격에 약하며, 표면이 견고하지 못해 벽체에 거울이나 액자 등과 같은 부착물의 부착이 용이하지 못하며, 특히 차음성 내지 방음성이 뛰어나지 못해, 충격이나 진동이 용이하게 전달되어 개인의 사생활 보호에 문제점을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종래 건물의 내벽용으로 사용되는 경량 단열 판넬의 구성을 내측에 암면이나 유리 섬유 등으로 된 흡음 및 단열재층을 가지며, 그 위에 일정 두께의 판상으로 된 석고보드나 마그네슘보드, CRC보드와 같은 단열 및 불연재로 된 표면 마감재층으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였다.
일 예로, 국내 출원 특허 제 10-2013-0056150호에 의하면, 구조적으로 경량화되고 견고하며 생산성이 개선된 조립식 판넬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조립식 판넬장치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조립식 판넬장치(100')는 상기 외판 부재(20')의 내부에 불연성의 상기 불연보드 내장재(10')가 구비되며, 불연보드 내장재(10'), 외판 부재(20') 그리고 조인트부재(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건축물과 같은 구조물 내외부의 구역을 나누어 주거공간, 화장실, 창고 등과 같이 용도에 따른 공간을 형성하거나 상기 공간에 구비되는 옷장, 책상 등의 가구를 제작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벽면체, 천장, 바닥재 및 가구용 판넬을 의미하며 복수개의 상기 판넬장치(100)를 연결하여 다양한 공간 및 가구를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건물 내벽용 경량 단열 판재는, 경량을 주안으로 하여 제작됨으로 인해 고음 영역의 소음은 용이하게 차단하는 것을 볼 수 있으나, 저음영역의 소음은 용이하게 차단하지 못해 방음성 및 차음성이 뛰어나지 못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종래 건물의 내벽용으로 사용되는 경량 단열 판넬의 구성을 내측에 암면이나 유리 섬유 등으로 된 흡음 및 단열재층을 가지며, 그 위에 일정 두께의 판상으로 된 석고보드나 마그네슘보드, CRC보드와 같은 단열 및 불연재로 된 표면마감재층으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건물 내벽용 경량 단열 판재는, 내측의 암면이나 유리섬유 등과 같은 흡음 및 단열층은 지지력이 약함으로 인해 표면 보강재 또는 차단재로 석고보드나 마그네슘보드 또는 CRC보드 등의 표면 마감재를 부착하게 되나, 이와 같은 표면 마감재는 경량으로 취급이 용이하며, 가공이 용이한 장점을 가지나 충격을 받을시 쉽게 부서지며, 지지력이 약해 벽체 위에 거울이나 액자 등과 같은 벽 치장물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없는 단점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벽체로 사용되는 종래의 경량 단열 판넬의 단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시공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며, 가벼워 취급이 용이하고 빠른 시간 내에 벽체를 조성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하여 판넬에 강성을 갖도록 하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의 구조에 의해, 저음 영역대의 진동이나 충격음을 차단할 수 있고, 방음성이나 차음성을 증대시켜 사생활 보호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경량 판넬을 이용하여 형성한 벽체 표면에 액자나 거울 등과 같은 부착물을 용이하며 견고하게 부착 가능한 경량 판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개의 블록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결합체와, 하나 이상의 결합체 테두리에 결합되어, 각각의 결합체를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는 홀더로 이루어지며, 결합체는 결합체의 제1테두리 및, 제1테두리와 수직으로 구비된 제2테두리 각각의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 요입되는 두 개의 요입홈과, 제1테두리에 마주보는 제3테두리 및, 제2테두리에 마주보는 제4테두리 각각의 중앙에서 요입홈의 폭과 깊이가 일치하도록 돌출형성되는 두개의 돌출간을 포함한다. 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하나의 결합체 요입홈에 다음 연결되는 결합체의 돌출간을 삽설하여 결합하고, 이어서 서로 결합 된 복수의 결합체의 또다른 요입홈 또는/및 돌출간을 홀더에 결합하여 조립하거나, 또는, 하나의 결합체 돌출간을 다음 연결되는 결합체의 요입홈에 삽설하여 결합하고, 이어서 서로 결합 된 복수의 결합체의 또다른 요입홈 또는/및 돌출간을 홀더에 결합하여 조립한다. 홀더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홀더는 상면과, 상면과 반대방향에 구비되는 하면과, 4개의 측면을 포함하는 기둥 형상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에 있어서, 마주보도록 구비된 두 개의 선단에서 각각 홀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돌출부와, 한 쌍의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홈을 포함한다. 결합체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결합체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제1 블록 플레이트와, 제1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되는 제2 블록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제1 블록 플레이트와 제2 블록플레이트는 제1결합부와 제2 결합부의 끼움결합구조에 의해 고정되며, 제1 블록플레이트에는 1개 내지 2개의 제2 블록플레이트가 결합 될 수 있으며, 2개의 제2 블록 플레이트가 결합 될 경우, 상기 제2 블록 플레이트의 크기는, 제1 블록 플레이트 바닥판의 크기의 1/2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블록 플레이트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1 블록 플레이트는 네 개의 변을 포함하는 사각판재 형상의 바닥판과, 바닥판의 일면에서 바닥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바닥판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사각 프레임 형상의 상부틀을 포함한다. 상부틀은 제1 블록플레이트와 엇갈려 배치됨에 따라 제1 블록 플레이트 일면을 내려다 보았을 때, 바닥판의 제1변 및, 제1변과 수직으로 구비된 제2변이 각각 상부틀보다 일정 간격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1 결합부는 상부틀의 내측에 위치하며, 행과 열을 이뤄 복수개 형성되고, 원통형상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외측격벽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측 격벽 내측에 구비되며, 원통형상으로 돌출되는 내측격벽을 포함하고, 외측격벽의 내경은, 내측격벽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외측격벽과 내측격벽 사이에 격벽공간부가 형성된다. 또한, 제2 블록 플레이트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2 블록 플레이트는 제1블록 플레이트의 바닥판과 크기가 일치하는 사각판재 형상을 가지며, 제2 블록 플레이트에 관통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핀홀을 포함하고, 제2결합부는 제2 블록 플레이트의 일면에서 원통형상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행과 열을 이뤄 복수개 형성되고, 제2결합부의 내측에는 핀홀이 위치하고, 제2결합부는 제1결합부의 격벽 공간부에 수용되도록 끼움결합된다.
상기에서 기술한 제1 블록플레이트와 제2 블록플레이트의 결합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1 결합부 및 제2결합부에 의해 제1 블록 플레이트와 제2 블록 플레이트가 수직으로 결합되었을 때, 제2 블록 플레이트의 위치는 제1 블록플레이트의 바닥판의 위치와 일치함에 따라, 제1 블록플레이트의 제1변 및 제2변과, 제2 블록플레이트의 일측 테두리부 사이에는 요입홈이 형성되고, 제1 블록플레이트의 제1변에 마주보는 제3변, 제2변에 마주보는 제4변에서 각각 상부틀이 돌출간을 형성한다. 제1 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위치 및 개수가 각각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제1 블록플레이트에 한 개의 제2 블록플레이트가 결합 될 경우, 제 1결합부 및 제2결합부는 각각 3개의 행과 3개의 열을 가진다. 이때, 내측격벽은 1행 1열, 1행 3열, 2행 2열, 3행 1열, 3행 3열에 각각 위치하는 것이 좋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제1 블록플레이트에 두 개의 제2 블록플레이트가 결합 될 경우, 제 1결합부 및 제2결합부는 각각 4개의 행과 4개의 열을 갖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상기 홀더는 복수의 측면에 돌출부 및 오목홈이 형성됨에 따라, 복수의 결합체를 "-"자(1방향) 형태 또는 "ㄱ"자나 "ㄴ"자(2방향) 형태 또는 "T"자(3방향) 형태 또는 "+"자(4방향) 형태 등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홀더와 결합체 또는, 결합체와 결합체 사이의 조립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고정수단은 홀더의 한 쌍의 돌출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1결합공과, 결합체의 돌출간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결합공과, 제2 블록플레이트의 테두리부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제3결합공과, 제1블록플레이트의 바닥판에 있어서, 제1변 및 및 제2변을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4결합공과, 제1결합공, 제2결합공, 제3결합공, 제4결합공 중 하나 이상에 끼워지는 고정용 리벳을 포함한다. 결합체의 돌출간이 홀더의 오목홈에 삽설되었을때, 고정용 리벳은, 제1결합공 및 제2결합공을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끼워져 고정하고, 상기 결합체의 돌출간이 또다른 결합체의 요입홈에 삽설되었을 때, 제3결합공과, 제2결합공과, 제4결합공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끼워져 고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에 있어서, 중앙에서 홀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돌출돌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에서 기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수단은 홀더의 돌출돌기를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 5결합공을 더 포함하고, 고정용 리벳은, 제2블록 플레이트의 제3결합공과, 홀더의 제5결합공과, 제1블록 플레이트의 제4결합공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끼워져 고정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결합체를 결합하여 천장 또는 벽체를 형성할 수 있되, 이때 사용되는 결합체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제1 블록 플레이트와, 제1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되는 제2 블록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제1 블록 플레이트는 직사각형 형상의 판재인 바닥판과, 바닥판의 일면에서 바닥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바닥판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사각 프레임 형상의 상부틀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틀은 상기 제1 블록플레이트와 엇갈려 배치됨에 따라 제1 블록 플레이트 일면을 내려다 보았을 때, 바닥판의 제1변 및, 상기 제1변과 수직으로 구비된 제2변이 각각 상부틀보다 일정 간격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제1변의 길이는 제2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됨에 따라, 벽체뿐만 아니라 특히 천장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가진다. 제2 블록 플레이트는 상기 제1블록 플레이트의 바닥판과 크기가 일치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결합부는 상부틀의 일면에서 소정의 깊이를 가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홈이고, 오목홈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개 형성된다. 또한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블록플레이트의 일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직사각형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개 형성된다. 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상기 제1 결합부에 상기 제2결합부가 삽설되어 제1 블록 플레이트와 제2 블록 플레이트를 고정하되, 상기 제1 결합부의 크기는 상기 제2결합부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1 결합부 및 제2결합부에 의해 제1 블록 플레이트와 제2 블록 플레이트가 수직으로 결합되었을 때, 제2 블록 플레이트의 위치는 제1 블록플레이트의 바닥판의 위치와 일치함에 따라, 제1 블록플레이트의 제1변 및 제2변과, 제2 블록플레이트의 일측 테두리부 사이에는 요입홈이 형성되고, 제1 블록플레이트의 제1변에 마주보는 제3변, 제2변에 마주보는 제4변에서 각각 상부틀이 돌출간을 형성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와 결합체 또는, 결합체와 결합체 사이의 조립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수단은 홀더의 한 쌍의 돌출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1결합공과, 상기 결합체의 돌출간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결합공과, 상기 제2 블록플레이트의 테두리부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제3결합공과, 상기 제1블록플레이트의 바닥판에 있어서, 제1변 및 및 제2변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4결합공과, 제1블록 플레이트 중앙에 오목하게 형성되면서 동시에 제1블록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나열된 복수의 제6 결합공과, 상기 제1결합공, 제2결합공, 제3결합공, 제4결합공, 제6 결합공 중 하나 이상에 끼워지는 고정용 리벳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건축용 경량 판넬에 비해 방음성 및 차음성이 우수하며, 거울이나 액자, 시계와 같은 벽 부착물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나사못 등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동이나 충격에 강해 외력에 의해 쉽게 깨지거나 부서지지 않는 견고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조립식 판넬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의 홀더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의 홀더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의 홀더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의 홀더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의 결합체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의제1 블록 플레이트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의 제2 블록 플레이트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의 제1 블록플레이트와 제2 블록플레이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블록플레이트와 제2 블록플레이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블록플레이트와 제2 블록플레이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결합 상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의 홀더와 결합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의 홀더와 결합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의 제1 블록플레이트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의 제2 블록플레이트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의 결합체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블록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결합체(10)와, 하나 이상의 결합체(10) 테두리에 결합되어, 각각의 결합체(10)를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는 홀더(300)로 이루어진다.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체(10)의 평면을 도시한 것으로써, 도 2의 (b)를 참조하면 결합체(10)는 결합체(10)의 제1 테두리(10a) 및, 제1 테두리(10a)와 수직으로 구비된 제2 테두리(10b) 각각의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 요입되는 두 개의 요입홈(11)과, 제1 테두리(10a)에 마주보는 제3 테두리(10c) 및, 제2 테두리(10b)에 마주보는 제4 테두리(10d) 각각의 중앙에서 요입홈(11)의 폭과 깊이가 일치하도록 돌출형성되는 두개의 돌출간(12)을 포함한다. 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하나의 결합체(10) 요입홈(11)에 다음 연결되는 결합체(10)의 돌출간(12)을 삽설하여 결합하고, 이어서 서로 결합 된 복수의 결합체(10)의 또다른 요입홈(11) 또는/및 돌출간(12)을 홀더(300)에 결합하여 조립하거나, 또는, 하나의 결합체(10) 돌출간(12)을 다음 연결되는 결합체(10)의 요입홈(11)에 삽설하여 결합하고, 이어서 서로 결합 된 복수의 결합체(10)의 또다른 요입홈(11) 또는/및 돌출간(12)을 홀더(300)에 결합하여 조립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의 홀더(300)의 구조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홀더(300)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홀더는 상면과, 상면과 반대방향에 구비되는 하면과, 4개의 측면을 포함하는 기둥 형상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에 있어서, 마주보도록 구비된 두 개의 선단에서 각각 홀더(300)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돌출부(310)와, 한 쌍의 돌출부(310)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홈(320)을 포함한다. 상기 홀더(300)는 복수의 측면에 돌출부(310) 및 오목홈(320)이 형성됨에 따라, 복수의 결합체(10)를 "-"자(1방향) 형태 또는 "ㄱ"자나 "ㄴ"자(2방향) 형태 또는 "T"자(3방향) 형태 또는 "+"자(4방향) 형태 등으로 연결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3의 (a)는 홀더(300)의 단면부분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의 (b)는 홀더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의 (c)는 홀더의 전체적인 형태를 내려다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인접하게 수직으로 구비된 2개의 홀더 측면에는, 한 쌍의 돌출부(310)와, 오목홈(320)이 각각 형성된다. 기술한 홀더의 구조에 따르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홈(320)에 도 2에 도시된 결합체의 돌출간(12)이 수용됨에 따라, 두 개의 결합체(10)를 수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4의 (a)는 홀더(300)의 단면부분을 도시한 것이고, 도 4의 (b)는 홀더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4의 (c)는 홀더의 전체적인 형태를 내려다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 2개의 홀더 측면에는, 한 쌍의 돌출부(310)와, 오목홈(320)이 각각 형성된다. 기술한 홀더의 구조에 따르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홈(320)에 도 2에 도시된 결합체의 돌출간(12)이 수용되에 따라, 두 개의 결합체(10)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5의 (a)는 홀더(300)의 단면부분을 도시한 것이고, 도 5의 (b)는 홀더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5의 (c)는 홀더의 전체적인 형태를 내려다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3개의 홀더 측면에는, 한 쌍의 돌출부(310)와, 오목홈(320)이 각각 형성된다. 기술한 홀더의 구조에 따르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홈(320)에 도 2에 도시된 결합체의 돌출간(12)이 수용되에 따라, 세 개의 결합체(10)를 수직, 수평 방향으로 동시에 연결할 수 있다.
도 6의 (a)는 홀더(300)의 단면부분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의 (b)는 홀더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의 (c)는 홀더의 전체적인 형태를 내려다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홀더 일 측면에는, 한 쌍의 돌출부(310)와, 오목홈(320)이 형성된다. 기술한 홀더의 구조에 따르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홈(320)에 도 2에 도시된 결합체의 돌출간(12)이 수용됨에 따라, 하나의 결합체(10) 테두리를 평평하게 마감함으로써 결합체(10)가 바닥에서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의 결합체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여 결합체(10)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결합체(10)는 제1 결합부(110)가 형성되는 제1 블록 플레이트(100)와, 제1 결합부(110)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210)가 형성되는 제2 블록 플레이트(200)를 포함하고, 제1 블록 플레이트(100)와 제2 블록 플레이트(200)는 제1 결합부(110)와 제2 결합부(210)의 끼움결합구조에 의해 고정되며, 제1 블록 플레이트(100)에는 1개 내지 2개의 제2 블록 플레이트(200)가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제1 블록 플레이트(100)에, 2개의 제2 블록 플레이트(200)가 결합 될 경우, 결합된 제2 블록 플레이트의 크기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블록 플레이트 바닥판의 크기의 1/2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의제1 블록 플레이트(100)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8의을 참조하여 제1 블록 플레이트(100)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1 블록 플레이트(100)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변을 포함하는 사각판재 형상의 바닥 판(101)과, 바닥 판(101)의 일면에서 바닥 판(101)과 일체로 형성되며 바닥 판(101)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사각 프레임 형상의 상부 틀(102)을 포함한다. 상부 틀(102)은 제1 블록 플레이트(100)와 엇갈려 배치됨에 따라,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블록 플레이트(100) 일면을 내려다 보았을 때, 바닥 판(101)의 제1변(101a) 및, 제1변(101a)과 수직으로 구비된 제2변(101b)이 각각 상부 틀(102)보다 일정 간격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1 결합부(110)는 상부 틀(102)의 내측에 위치하며, 행과 열을 이뤄 복수개 형성되고, 도 8의 (b)와 도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외측격벽(111)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측격벽(111) 내측에 구비되며, 원통형상으로 돌출되는 내측격벽(112)을 포함하고, 외측격벽(111)의 내경은, 내측격벽(11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외측격벽(111)과 내측격벽(112) 사이에 격벽 공간부(113)가 형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의 제2 블록 플레이트(200)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제2 블록 플레이트(200)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블록 플레이트(200)는 상기 도 8에 도시된 제1 블록 플레이트(100)의 바닥 판(101)과 크기가 일치하는 사각판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블록 플레이트(200)에 관통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핀홀(220)을 포함하고, 제2 결합부(210)는 제2 블록 플레이트(200)의 일면에서 원통형상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행과 열을 이뤄 복수개 형성되고, 제2 결합부(210)의 내측에는 핀홀(220)이 위치하고, 제2 결합부(210)는 상기 도 7에 도시된 제1 결합부(110)의 격벽 공간부(113)에 수용되도록 끼움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블록 플레이트의 행과 열은 각각 짝수로 형성되어(미도시) 도 7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바닥판(101)의 1/2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의 제1 블록 플레이트(100)와 제2 블록 플레이트(200)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기술한 제1 블록 플레이트(100)와 제2 블록 플레이트(200)의 결합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210)에 의해 제1 블록 플레이트(100)와 제2 블록 플레이트(200)가 수직으로 결합되었을 때, 제2 블록 플레이트(200)의 위치는 제1 블록 플레이트(100)의 바닥 판(101)의 위치와 일치함에 따라, 도 10의 (a)에 도시된 제1 블록 플레이트(100)의 제1변(101a) 및 제2변(101b)과, 제2 블록 플레이트(200)의 일측 테두리부 사이에는 eh 10의 (b)와 같이 요입홈(11)이 형성되고, 제1 블록 플레이트(100)의 제1변(101a)에 마주보는 제3변(101c), 제2변(101b)에 마주보는 제4변(101d)에서 각각 상부 틀(102)이 돌출간(12)을 형성한다. 제1 결합부(110)와 제2 결합부(210)는 위치 및 개수가 각각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블록 플레이트(100)와 제2 블록 플레이트(200)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하나의 제1 블록 플레이트(100)에 한 개의 제2 블록 플레이트(200)가 결합 될 경우,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210)는 각각 3개의 행과 3개의 열을 가진다. 이때, 내측격벽(112)은 1행 1열, 1행 3열, 2행 2열, 3행 1열, 3행 3열에 각각 위치하는 것이 좋다.
도 12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블록 플레이트와 제2 블록 플레이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결합상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하나의 제1 블록 플레이트(100)에 두 개의 제2 블록 플레이트(200)가 결합 될 경우,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210)는 각각 4개의 행과 4개의 열을 갖는다.
도 13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의 홀더(300)와 결합체(10)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의 (a)를 참조하면, 홀더(300)와 결합체(10) 또는, 결합체(10)와 결합체(10) 사이의 조립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한다. 고정수단은 홀더(300)의 한 쌍의 돌출부(310)를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1 결합공(311)과,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체(10)의 돌출간(12)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결합공(12')과, 제2 블록 플레이트(200)의 테두리부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제3 결합공(230)과, 제1 블록 플레이트(100)의 바닥 판(101)에 있어서, 제1변(101a) 및 및 제2변(101b)을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4 결합공(101')과, 제1 결합공(311), 제2 결합공(12'), 제3 결합공(230), 제4 결합공(101') 중 하나 이상에 끼워지는 고정용 리벳(400)을 포함한다.
결합체(10)의 돌출간(12)이 홀더(300)의 오목홈(320)에 삽설되었을 때, 고정용 리벳(400)은, 제1 결합공(311) 및 제2 결합공(12')을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끼워져 고정하고,
상기 결합체(10)의 돌출간(12)이 또다른 결합체(10)의 요입홈(11)에 삽설되었을때, 제3 결합공(230)과, 제2 결합공(12')과, 제4 결합공(101')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끼워져 고정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300)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홀더(300)는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 2개의 홀더 측면에는, 한 쌍의 돌출부(310)와, 오목홈(320)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하나의 측면에는, 중앙에서 홀더(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돌출 돌기(330)를 더 포함한다. 기술한 홀더의 구조에 따르면,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홈(320)에 도 2에 도시된 결합체의 돌출간이 수용되고, 돌출돌기(330)가 결합체의 요입홈에 삽입됨에 따라, 두 개의 결합체를 수평으로 연결하고, 또 다른 하나의 결합체를 수직으로 더 연결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300)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홀더(300)는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 한 개의 홀더 측면에는, 한 쌍의 돌출부(310)와, 오목홈(320)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와 오목홈이 형성된 측면과 인접하도록 수직으로 구비된 한개의 측면에는, 중앙에서 홀더(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돌출 돌기(330)가 더 형성된다. 기술한 홀더의 구조에 따르면,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홈(320)에 도 2에 도시된 결합체의 돌출간이 수용되고, 돌출돌기(330)가 결합체의 요입홈에 삽입됨에 따라, 두 개의 결합체를 수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의 홀더와 결합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기술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은 홀더(300)의 돌출 돌기(330)를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 5결합공(330')을 더 포함한다.
도 16의 (a)을 참조하면, 결합체(10)의 요입홈(11)에 홀더(300)의 돌출 돌기(330)가 삽설되었을 때,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용 리벳(400)은, 제2 블록 플레이트(200)의 제3 결합공(230)과, 홀더(300)의 제5결합공(330')과, 제1 블록 플레이트(100)의 제4 결합공(101')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끼워져 고정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의 제1 블록플레이트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17의 (b)와 (c)를 참조하면, 복수의 결합체를 결합하여 천장 또는 벽체를 형성할 수 있되, 이때 사용되는 결합체의 제1 블록 플레이트(100)는 직사각형 형상의 판재인 바닥판(101)과, 바닥판의 일면에서 바닥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바닥판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사각 프레임 형상의 상부틀(10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틀은 상기 제1 블록 플레이트(100)와 엇갈려 배치됨에 따라 e도 17의 (b)와 같이 제1 블록 플레이트(100) 일면을 내려다 보았을 때, 바닥판(101)의 제1변(101a) 및, 상기 제1변(101a)과 수직으로 구비된 제2변(101b)이 각각 상부틀(102)보다 일정 간격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제1변(101a)의 길이는 제2변(101b)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됨에 따라, 벽체뿐만 아니라 특히 천장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가진다.
도 17의 (a)와 (c)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결합부(110)는 상부틀의 일면에서 소정의 깊이를 가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홈이고, 상기 오목홈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개 형성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의 제2 블록플레이트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제2 블록 플레이트(200)로써, 제2 블록 플레이트는 상기 도 17에 도시된 제1 블록 플레이트(100)의 바닥판(101)과 크기가 일치하는 구조를 가지며, 제2 결합부(210)는 상기 제2 블록플레이트의 일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직사각형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개 형성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의 결합체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도 17 및 도 18에서 기술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결합체(10)를 도시한 것으로써, 도 19의 (b)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110)에 제2결합부(210)가 삽설되어 제1 블록 플레이트(100)와 제2 블록 플레이트(200)의 결합상태를 고정하되, 상기 제1 결합부(110)의 크기는 상기 제2결합부(21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1 결합부 및 제2결합부에 의해 제1 블록 플레이트(100)와 제2 블록 플레이트가 수직으로 결합되었을 때, 제2 블록 플레이트(200)의 위치는 도 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블록 플레이트(100)의 바닥판(101)의 위치와 일치한다.
또한, 도 19의 (c)와, 도 17의 (b)를 참조하면 제1 블록 플레이트(100)의 제1변(101a) 및 제2변(101b)과, 제2 블록플레이트의 일측 테두리부 사이에는 요입홈(11)이 형성되고, 제1 블록 플레이트(100)의 제1변(101a)에 마주보는 제3변(101c), 제2변(101b)에 마주보는 제4변(101d)에서 각각 상부틀(102)이 돌출간(12)을 형성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홀더와 결합체(10) 또는, 결합체와 또다른 결합체 사이의 조립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수단은 도 3 내지 도 6과, 도 14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300)의 한 쌍의 돌출부(310)를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1결합공(311)과, 상기 결합체(10)의 돌출간(12)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결합공(12')과, 도 19의 (b)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블록플레이트(200)의 테두리부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제3결합공(230)과, 도 1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블록 플레이트(100)의 바닥판에 있어서, 제1변(101a) 및 및 제2변(101b)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4결합공(101')과, 제1 블록 플레이트(100) 중앙에 오목하게 형성되면서 동시에 제1 블록 플레이트(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나열된 복수의 제6 결합공(102')과, 상기 제1결합공, 제2결합공, 제3결합공, 제4결합공, 제6 결합공중 하나 이상에 끼워지는 고정용 리벳(400)을 포함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 : 결합체 10a : 제1 테두리
10b : 제2 테두리 10c : 제3 테두리
10d : 제4 테두리 11 : 요입홈
12 : 돌출간 12' : 제2 결합공
100 : 제1 블록 플레이트 101 : 바닥판
101' : 제4 결합공 101a : 제1변
101b : 제2변 101c : 제3변
101d : 제4변 102 : 상부틀
102' : 제6 결합공 110 : 제1 결합부
111 : 외측격벽 112 : 내측격벽
113 : 격벽 공간부 200 : 제2 블록 플레이트
210 : 제2 결합부 220 : 핀홀
230 : 제3 결합공 300 : 홀더
310 : 돌출부 311 : 제1 결합공
320 : 오목홈 330 : 돌출 돌기
330' : 제5 결합공 400 : 고정용 리벳

Claims (16)

  1. 복수개의 블록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결합체와,
    하나 이상의 결합체 테두리에 결합되어, 각각의 결합체를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는 홀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체는 결합체의 제1테두리 및, 제1테두리와 수직으로 구비된 제2테두리 각각의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 요입되는 두 개의 요입홈과,
    상기 제1테두리에 마주보는 제3테두리 및, 제2테두리에 마주보는 제4테두리 각각의 중앙에서 요입홈의 폭과 깊이가 일치하도록 돌출형성되는 두개의 돌출간을 포함하여
    하나의 결합체 요입홈에 다음 연결되는 결합체의 돌출간을 삽설하여 결합하고, 이어서 서로 결합 된 복수의 결합체의 또다른 요입홈 또는/및 돌출간을 상기 홀더에 결합하여 조립하거나,
    또는, 하나의 결합체 돌출간을 다음 연결되는 결합체의 요입홈에 삽설하여 결합하고, 이어서 서로 결합 된 복수의 결합체의 또다른 요입홈 또는/및 돌출간을 상기 홀더에 결합하여 조립하며,
    상기 홀더는 상면과, 상면과 반대방향에 구비되는 하면과, 4개의 측면을 포함하는 기둥 형상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에 있어서, 마주보도록 구비된 두 개의 선단에서 각각 홀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돌출부와,
    한 쌍의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체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제1 블록 플레이트와,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되는 제2 블록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제1 블록 플레이트와 제2 블록플레이트는 제1결합부와 제2 결합부의 끼움결합구조에 의해 고정되며, 제1 블록플레이트에는 1개 내지 2개의 제2 블록플레이트가 결합 될 수 있으며, 2개의 제2 블록 플레이트가 결합 될 경우, 상기 제2 블록 플레이트의 크기는, 제1 블록 플레이트 바닥판의 크기의 1/2로 형성될 수 있는는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제1 블록 플레이트는
    네 개의 변을 포함하는 사각판재 형상의 바닥판과,
    바닥판의 일면에서 바닥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바닥판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사각 프레임 형상의 상부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틀은 상기 제1 블록플레이트와 엇갈려 배치됨에 따라 제1 블록 플레이트 일면을 내려다 보았을 때,
    바닥판의 제1변 및, 상기 제1변과 수직으로 구비된 제2변이 각각 상부틀보다 일정 간격 외측으로 돌출되는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부틀의 내측에 위치하며, 행과 열을 이뤄 복수개 형성되며, 원통형상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외측격벽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측 격벽 내측에 구비되며, 원통형상으로 돌출되는 내측격벽을 포함하고, 외측격벽의 내경은, 내측격벽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외측격벽과 내측격벽 사이에 격벽공간부가 형성되는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
  6. 제 5항에 있어서
    제2 블록 플레이트는 상기 제1블록 플레이트의 바닥판과 크기가 일치하는 사각판재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블록 플레이트에 관통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핀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제2 블록 플레이트의 일면에서 원통형상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행과 열을 이뤄 복수개 형성되고, 제2결합부의 내측에는 핀홀이 위치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의 격벽 공간부에 수용되도록 끼움결합되는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
  7. 제 6항에 있어서
    제1 결합부 및 제2결합부에 의해 제1 블록 플레이트와 제2 블록 플레이트가 수직으로 결합되었을 때,
    제2 블록 플레이트의 위치는 제1 블록플레이트의 바닥판의 위치와 일치함에 따라,
    제1 블록플레이트의 제1변 및 제2변과, 제2 블록플레이트의 일측 테두리부 사이에는 요입홈이 형성되고,
    제1 블록플레이트의 제1변에 마주보는 제3변, 제2변에 마주보는 제4변에서 각각 상부틀이 돌출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
  8. 제 7항에 있어서,
    제1 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위치 및 개수가 각각 대응되도록 구비되고,
    하나의 제1 블록플레이트에 한 개의 제2 블록플레이트가 결합 될 경우,
    제 1결합부 및 제2결합부는 각각 3개의 행과 3개의 열을 갖으며, 하나의 제1 블록플레이트에 두 개의 제2 블록플레이트가 결합 될 경우,
    제 1결합부 및 제2결합부는 각각 4개의 행과 4개의 열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복수의 측면에 돌출부 및 오목홈이 형성됨에 따라,
    복수의 결합체를 "-"자(1방향) 형태 또는 "ㄱ"자나 "ㄴ"자(2방향) 형태 또는 "T"자(3방향) 형태 또는 "+"자(4방향) 형태 등으로 연결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
  10. 제 9항에 있어서,
    홀더와 결합체 또는, 결합체와 결합체 사이의 조립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홀더의 한 쌍의 돌출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1결합공과, 상기 결합체의 돌출간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결합공과, 상기 제2 블록플레이트의 테두리부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제3결합공과, 상기 제1블록플레이트의 바닥판에 있어서, 제1변 및 및 제2변을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4결합공과, 상기 제1결합공, 제2결합공, 제3결합공, 제4결합공 중 하나 이상에 끼워지는 고정용 리벳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체의 돌출간이 홀더의 오목홈에 삽설되었을때, 고정용 리벳은, 제1결합공 및 제2결합공을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끼워져 고정하고,
    상기 결합체의 돌출간이 또다른 결합체의 요입홈에 삽설되었을때, 제3결합공과, 제2결합공과, 제4결합공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끼워져 고정하는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에 있어서, 중앙에서 홀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돌출돌기를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홀더의 돌출돌기를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 5결합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용 리벳은, 제2블록 플레이트의 제3결합공과, 홀더의 제5결합공과, 제1블록 플레이트의 제4결합공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끼워져 고정하는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
  13. 삭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제1 블록 플레이트와,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되는 제2 블록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복수의 결합체를 결합하여 천장 또는 벽체를 형성할 수 있되, 제1 블록 플레이트는 직사각형 형상의 판재인 바닥판과, 바닥판의 일면에서 바닥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바닥판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사각 프레임 형상의 상부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틀은 상기 제1 블록플레이트와 엇갈려 배치됨에 따라 제1 블록 플레이트 일면을 내려다 보았을 때, 바닥판의 제1변 및, 상기 제1변과 수직으로 구비된 제2변이 각각 상부틀보다 일정 간격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제1변의 길이는 제2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됨에 따라, 특히 천장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
  15. 제 14항에 있어서
    제2 블록 플레이트는 상기 제1블록 플레이트의 바닥판과 크기가 일치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결합부는 상부틀의 일면에서 소정의 깊이를 가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홈이고, 상기 오목홈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블록플레이트의 일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직사각형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 결합부에 상기 제2결합부가 삽설되어 제1 블록 플레이트와 제2 블록 플레이트를 고정하되, 상기 제1 결합부의 크기는 상기 제2결합부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1 결합부 및 제2결합부에 의해 제1 블록 플레이트와 제2 블록 플레이트가 수직으로 결합되었을 때, 제2 블록 플레이트의 위치는 제1 블록플레이트의 바닥판의 위치와 일치함에 따라, 제1 블록플레이트의 제1변 및 제2변과, 제2 블록플레이트의 일측 테두리부 사이에는 요입홈이 형성되고,
    제1 블록플레이트의 제1변에 마주보는 제3변, 제2변에 마주보는 제4변에서 각각 상부틀이 돌출간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와 결합체 또는, 결합체와 결합체 사이의 조립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홀더의 한 쌍의 돌출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1결합공과, 상기 결합체의 돌출간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결합공과, 상기 제2 블록플레이트의 테두리부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제3결합공과, 상기 제1블록플레이트의 바닥판에 있어서, 제1변 및 및 제2변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4결합공과, 제1블록 플레이트 중앙에 오목하게 형성되면서 동시에 제1블록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나열된 복수의 제6 결합공과, 상기 제1결합공, 제2결합공, 제3결합공, 제4결합공, 제6 결합공 중 하나 이상에 끼워지는 고정용 리벳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
KR1020200068447A 2020-06-05 2020-06-05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 KR102258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447A KR102258792B1 (ko) 2020-06-05 2020-06-05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447A KR102258792B1 (ko) 2020-06-05 2020-06-05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8792B1 true KR102258792B1 (ko) 2021-05-31

Family

ID=76149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447A KR102258792B1 (ko) 2020-06-05 2020-06-05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7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6150A (ko) * 2011-12-28 2013-07-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결구의 조립에 의한 압출성형 내부칸막이 벽체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50092982A (ko) * 2014-02-06 2015-08-17 비아이피 주식회사 조립식 방음 판넬장치
KR20160092838A (ko) * 2015-01-28 2016-08-05 주식회사 연 경량 블록을 이용한 건식 벽체의 구조
KR20170000716A (ko) * 2015-06-24 2017-01-03 배지훈 모듈형 벽체 블록 및 벽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6150A (ko) * 2011-12-28 2013-07-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결구의 조립에 의한 압출성형 내부칸막이 벽체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50092982A (ko) * 2014-02-06 2015-08-17 비아이피 주식회사 조립식 방음 판넬장치
KR20160092838A (ko) * 2015-01-28 2016-08-05 주식회사 연 경량 블록을 이용한 건식 벽체의 구조
KR20170000716A (ko) * 2015-06-24 2017-01-03 배지훈 모듈형 벽체 블록 및 벽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6682B2 (ja) 壁構造物用建築ブロック
MXPA06014879A (es) Sistema, metodo y aparato para conjunto de armazon y edificacion.
EP0075001B1 (en) Post and beam building
CN112127659A (zh) 便于快速拆装的多层建筑
EP2481868B1 (en) Sound-attenuation element
KR102258792B1 (ko)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경량 판넬
KR20060012888A (ko) 조립식 건물의 벽체구조
KR20190001270U (ko) 건축용 벽체 블록 및 건축용 벽체 모듈 조립체
NL2016206B1 (nl) Constructiepaneel voor een huisvesting, wand opgebouwd uit dergelijke constructiepanelen en een huisvesting voorzien van een dergelijk constructiepaneel.
KR101680738B1 (ko) 공동주택용 차음벽
KR20210158536A (ko) 조립식 마감 패널
JP6637283B2 (ja) ユニット建物
JP5501725B2 (ja) ユニット式建物
KR100460628B1 (ko) 내차판넬
JP2020023802A (ja) 間仕切耐力壁
EP2927385B1 (en) Construction panel of corrugated cardboard, assembly with this panel and method for assembling
KR200369252Y1 (ko) 건식벽용 내벽 서포트프레임
JP3244983U (ja) 軽量耐火レンガ壁構造
JP2604447Y2 (ja) 建物の小屋裏界壁構造
JP7334384B2 (ja) ユニット建物
KR102480357B1 (ko) 건축용 고단열 벽체패널
US20240068229A1 (en) Structural load-bearing wall
JP2526111B2 (ja) 不燃性間仕切りパネル
JP3875069B2 (ja) 床部の支持構造、床部の施工方法
JPH1150569A (ja) 住宅の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