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8536A - 조립식 마감 패널 - Google Patents

조립식 마감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8536A
KR20210158536A KR1020200076972A KR20200076972A KR20210158536A KR 20210158536 A KR20210158536 A KR 20210158536A KR 1020200076972 A KR1020200076972 A KR 1020200076972A KR 20200076972 A KR20200076972 A KR 20200076972A KR 20210158536 A KR20210158536 A KR 20210158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base member
frame
prefabricated
fin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콘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콘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콘에스티
Priority to KR1020200076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8536A/ko
Priority to PCT/KR2021/004308 priority patent/WO2021261717A1/ko
Publication of KR20210158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85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마감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판넬 연결 부재 및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판넬 연결 부재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판넬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판넬 연결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면을 감싸는 제1 보강 프레임과, 상기 제1 보강 프레임에 결합하는 제1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판넬 연결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면에 대향되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타측면을 감싸는 제2 보강 프레임과, 상기 제2 보강 프레임에 결합하며 상기 제1 연결 프레임에 끼워 맞춰지도록 형성되는 제2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조립식 마감 패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마감 패널{Prefabricated finish insulation panel}
본 발명은 조립식 마감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오피스텔, 단독주택 등과 같은 주택의 욕실은 목욕과 세면 그리고 용변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공간이다. 종래에 벽돌과 시멘트 등을 이용하여 욕실을 만들고 내외부를 마감하는 습식 공정을 주로 이용하여 욕실을 시공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습식 공정의 경우,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소음과 진동 및 분진 등이 다량 발생되고, 전문인력이 반드시 확보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습식 공정의 숙련도에 의존한 품질 관리를 해소하기 위한 조립식 마감 패널을 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마감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판넬 연결 부재 및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판넬 연결 부재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판넬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판넬 연결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면을 감싸는 제1 보강 프레임과, 상기 제1 보강 프레임에 결합하는 제1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판넬 연결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면에 대향되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타측면을 감싸는 제2 보강 프레임과, 상기 제2 보강 프레임에 결합하며 상기 제1 연결 프레임에 끼워 맞춰지도록 형성되는 제2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조립식 마감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은 조립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프레임은 상기 돌출 블록이 끼워지는 수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 블록 또는 상기 수용홈에 배치되며, 상기 돌출 블록과 상기 수용홈의 사이 공간을 밀폐시키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는 조립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프레임은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의 상기 돌출 블록을 상기 수용홈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조립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보강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을 감싸는'ㄷ'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의 모서리는 상기 제1 보강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보강 프레임의 단부보다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면에 평행한 상기 마감 부재의 일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1 걸림턱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타측면에 평행한 상기 마감 부재의 타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2 걸림턱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프레임은 벽체 또는 바닥면에 부착되는 일면에 하나 이상의 돌기를 포함하는 제1 요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은 벽체 또는 바닥면에 부착되는 일면에 하나 이상의 돌기를 포함하는 제2 요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식 마감 패널은 조립식 구조로 이루어져 작업자의 숙련도와 상관없이 균일한 품질의 시공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식 마감 패널은 보강 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베이스 부재를 보강하여 패널의 휨 현상을 방지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식 마감 패널은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함으로써, 조립식 마감 패널들 간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감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식 마감 패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조립식 마감 패널의 제1 판넬 연결 부재 및 제2 판넬 연결 부재를 발취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감 패널을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조립된 상태의 제1 판넬 연결 부재와 제2 판넬 연결 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실링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감 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보강 코어부재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감 패널을 이용한 시공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조립식 마감 패널을 조립할 때 사용되는 코너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조립식 마감 패널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감 패널(10)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식 마감 패널(10)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조립식 마감 패널(10)의 제1 판넬 연결 부재(310) 및 제2 판넬 연결 부재(320)를 발취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감 패널(10)은 베이스 부재(100), 하나 이상의 마감 부재(200), 제1 판넬 연결 부재(310) 및 제2 판넬 연결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00)는 조립식 마감 패널(10)의 골격을 구성할 수 있다. 조립식 마감 패널(10)은 골격을 이루는 하나의 베이스 부재(100) 상에 하나 이상의 마감 부재(200)가 배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 부재(100)는 보드 형태로 이루어지며, 무기질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 부재(100)는 무기질 보드일 수 있다.
여기서, 무기질 보드는 마그네슘(Mg), 규소(Si) 등의 무기질 성분을 주 재료로 이용하여 제조된 보드로서, 강도 및 경도가 우수하고 난연성이며 환경 친화적인 성질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베이스 부재(100)는 무기질 보드 또는 플라스틱 보드 외 조립식 마감 패널(10)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는 어떠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마감 부재(200)는 베이스 부재(100)의 일면(101)에 부착될 수 있다. 마감 부재(200)는 건축물의 내, 외장 공사시 벽체, 천장 또는 바닥에 사용되는 다양한 재질의 마감재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기, 세라믹, 석재, 테라코타 패널, 타일과 같은 마감재일 수 있다. 마감 부재(200)는 베이스 부재(100)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조립식 마감 패널(10)은 하나의 마감 부재(200)를 구비할 수도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되는 복수의 마감 부재(200)를 구비할 수 있다. 조립식 마감 패널(10)은 복수의 마감 부재(20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4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조립식 마감 패널(10)은 스페이서(400)를 더 구비하는 것에 의해 마감 부재(200)들 간의 간격 정밀도 및 추후 유지보수 시 마감 부재(200) 파손 후 접착제 도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제1 판넬 연결 부재(310)는 베이스 부재(1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판넬 연결 부재(320)는 베이스 부재(200)의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제1 판넬 연결 부재(310)와 제2 판넬 연결 부재(320)는 서로 결합가능하게 형성되므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조립식 마감 패널(10)의 제2 판넬 연결 부재(320)가 다른 조립식 마감 패널(10)의 제1 판넬 연결 부재(310)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벽체 등을 시공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더 참조하면, 제1 판넬 연결 부재(310)는 제1 보강 프레임(311) 및 제1 연결 프레임(312)을 구비하고, 제2 판넬 연결 부재(320)는 제2 보강 프레임(321) 및 제2 연결 프레임(322)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보강 프레임(311)은 베이스 부재(100)의 일측면(110)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제2 보강 프레임(321)은 베이스 부재(100)의 타측면(120)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강 프레임(311) 및 제2 보강 프레임(321)은 베이스 부재(100)보다 강성(stiffness)이 큰 재질로 이루어지며, 베이스 부재(100)의 제1 방향(y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에 의해 베이스 부재(100)를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보강 프레임(311) 및 제2 보강 프레임(321)은 베이스 부재(100)를 보강함으로써, 조립식 마감 패널(10)의 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보강 프레임(311) 및 제2 보강 프레임(321)은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베이스 부재(100)의 일측면(110)과 타측면(120)을 감쌀 수 있다.
제1 연결 프레임(312)은 제1 보강 프레임(311)에 결합하고, 제2 연결 프레임(322)은 제2 보강 프레임(32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결 프레임(312)은 제1 보강 프레임(311)과 결합하는 제1 결합부(3124)를 구비하고, 제2 연결 프레임(322)은 제2 보강 프레임(321)과 결합하는 제2 결합부(322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 프레임(312)은 제1 고정부(3125)를 더 포함하여, 제1 결합부(3124)와 제1 고정부(3125) 사이에 제1 보강 프레임(311)의 일단을 끼워넣는 것에 의해 제1 보강 프레임(311)과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연결 프레임(322)은 제2 고정부(3225)를 더 포함하여, 제2 결합부(3225)와 제2 결합부(3224) 사이에 제2 보강 프레임(321)과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연결 프레임(322)은 조립 방향인 제2 방향(x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블록(3221)을 포함하고, 제1 연결 프레임(312)은 상기 돌출 블록(3221)이 끼워지는 수용홈(31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 프레임(322)의 돌출 블록(3221) 및 제1 연결 프레임(312)의 수용홈(3121)은 조립가능하게 대응되는 어떠한 형상이든 형성가능하나, 일 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로서, 돌출 블록(3221) 및 수용홈(3121)이 정사각형 단면이 아닌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1 연결 프레임(312)은 제2 연결 프레임(322)의 돌출 블록(3221)을 수용홈(3121)으로 안내하도록 조립 방향(x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3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립식 마감 패널(10)은 상기한 가이드부(3122)를 구비함으로써, 숙련된 전문가가 아닌 누구라도 손쉽게 조립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제1 연결 프레임(312)은 베이스 부재(100)의 일측면(110)에 평행한 마감 부재(200)의 일측면(210)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1 걸림턱부(312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제2 연결 프레임(322)은 베이스 부재(100)의 타측면(120)에 평행한 타측면(220)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2 걸림턱부(322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걸림턱부(3123) 또는 제2 걸림턱부(3223)는 조립식 마감 패널(10)이 조립될 시 서로 다른 패널의 마감 부재(20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제1 연결 프레임(312) 및 제2 연결 프레임(322)은 사출 공정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감 패널(10)을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조립된 상태의 제1 판넬 연결 부재(310)와 제2 판넬 연결 부재(320')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실링 부재(5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복수개의 조립식 마감 패널들을 이용하여 벽체, 천장 또는 바닥의 마감을 시공할 수 있다. 이때, 제1 판넬 연결 부재(310)는 나사(T)와 같은 고정수단을 통해 벽체 등에 고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판넬 연결 부재(310)는 조립 방향(x방향, 도 1 참조)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3122)에 고정수단을 체결하여 고정될 수 있다.
하나의 조립식 마감 패널(10)이 고정되면, 사용자는 고정된 조립식 마감 패널(10)의 제1 판넬 연결 부재(310)에 다른 조립식 마감 패널(10')의 제2 판넬 연결 부재(320')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마감 패널들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조립식 마감 패널(10')의 제2 판넬 연결 부재(320)를 인접한 조립식 마감 패널(10)의 제1 판넬 연결 부재(310)에 끼우는 작업을 통해, 시공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여기서, 조립식 마감 패널(10)은 돌출 블록(3221) 또는 수용홈(3121)에 배치되며, 돌출 블록(3221)과 수용홈(3121) 사이 공간을 밀폐시키는 실링 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 부재(500)는 유연한(flexibl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링 부재(500)는 조립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실링 부재(500)는 돌출 블록(3221)과 수용홈(3121) 사이 공간 또는 사이 간격보다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링 부재(500)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제1 판넬 연결 부재(310)와 제2 판넬 연결 부재(320)가 조립되면 일부가 접히는 폴딩 구조로 이루어져 밀폐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감 패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보강 코어부재(323')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감 패널은 보강 코어부재(323)를 더 포함한다는 점을 제외하고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감 패널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감 패널은 베이스 부재(100), 하나 이상의 마감 부재(200), 제1 판넬 연결 부재(310) 및 제2 판넬 연결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00)는 조립식 마감 패널(10)의 골격을 구성할 수 있다. 조립식 마감 패널(10)은 골격을 이루는 하나의 베이스 부재(100) 상에 하나 이상의 마감 부재(200)가 배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감 부재(200)는 베이스 부재(100)의 일면(101)에 부착될 수 있다. 마감 부재(200)는 건축물의 내, 외장 공사시 벽체, 천장 또는 바닥에 사용되는 다양한 재질의 마감재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기, 세라믹, 석재, 테라코타 패널, 타일과 같은 마감재일 수 있다. 마감 부재(200)는 베이스 부재(100)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제1 판넬 연결 부재(310)는 제1 보강 프레임(311), 제1 연결 프레임(312) 및 제1 보강 코어부재(313)를 구비하고, 제2 판넬 연결 부재(320)는 제2 보강 프레임(321), 제2 연결 프레임(322) 및 제2 보강 코어부재(32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보강 코어부재(313)는 베이스 부재(100)의 일측면과 제1 보강 프레임(311) 사이에 배치되어, 패널 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제1 보강 프레임(311)의 기능을 보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보강 코어부재(323)는 베이스 부재(100)의 타측면과 제2 보강 프레임(321) 사이에 배치되어, 패널 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제2 보강 프레임(321)의 기능을 보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보강 코어부재(313) 및 제2 보강 코어부재(32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00)의 일측면을 따라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제1 보강 코어부재(313) 및 제2 보강 코어부재(323)는 중공을 포함하는 정육각기둥 형상의 단위 구조체가 연속되게 연결되는 허니콤 구조(honeycomb structure)를 포함할 수 있다. 허니콤 구조는, 내각의 크기가 120°인 정육각형의 꼭지점이 3개씩 모이는 단면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허니콤 구조는, 복수의 정육각기둥이 연속되게 연결되기 때문에, 일정한 옆면의 넓이를 가지는 상태에서 최대의 부피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허니콤 구조는 동일한 양의 재료를 통해서 가장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경량이면서도 높은 공간 확보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허니콤 구조는 수직방향에 대한 내구도가 높기 때문에, 수직 방향의 압력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제1 보강 코어부재(313) 및 제2 보강 코어부재(323)는 제1 보강 프레임(311) 및 제2 보강 프레임(321)과 같이 베이스 부재(100)에 높은 지지 보강력을 부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 보강 코어부재(313) 및 제2 보강 코어부재(32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하게 배치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체 사이를 지그재그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허니 코어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9 및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감 패널을 이용한 시공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조립식 마감 패널을 조립할 때 사용되는 코너부재(5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감 패널(10)은 베이스 부재(100)의 코너 부위를 사전에 절단하여, 절단된 영역과 보강 프레임 사이에 홀(H)을 형성하고, 홀(H)에 별도의 체결 부재(20, 30)를 결합함으로써 인접한 조립식 마감 패널(10')과의 연결을 더욱 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다른 실시예의 베이스 부재(100)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의 모서리는 제1 보강 프레임(311) 또는 제2 보강 프레임(321)의 단부보다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00)의 코너 부위(A)는 체결 부재(20, 30)의 다리부(21, 3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단될 수 있다. 절단된 코너 부위(A)는 결합되는 제1 보강 프레임(311) 또는 제2 보강 프레임(321)과 결합 공간인 홀(H)을 형성할 수 있다.
체결 부재(20, 30)는 인접하게 배치되어 조립된 2개의 조립식 마감 패널(10, 10')을 더욱 견고하게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체결 부재(20, 30)는 2개의 조립식 마감 패널(10, 10') 각각에 끼워지는 2개의 다리부(21, 31)를 포함하며, 2개의 다리부(21, 31)는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체결 부재(20, 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렬로 배치되는 조립식 마감 패널(10, 10')을 결합하기 위한 일자형 체결 부재(20)와, 도 10과 같이, 건물의 코너 부분에서 'ㄱ'자 형태로 결합되는 조립식 마감 패널(10, 10')을 결합하기 위한 코너형 체결 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조립식 마감 패널(10, 10')을 코너에 시공하는 경우, 별도의 코너 부재(50)를 구비하여 조립식 마감 패널(10, 1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코너 부재(50)는 조립식 마감 패널(10, 10')의 제2 판넬 연결 부재(320, 320')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코너 부재(50)는 건물의 코너를 따라 길이가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코너 런너(51)와, 상기 코너 런너(51)와 결합되되 코너 런너(51)보다 길이가 짧은 코너 연결 가이드(5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너 부재(50)는 하나의 코너 런너(51)와 복수 개의 코너 연결 가이드(52)들을 이용하여 조립식 마감 패널(10, 10')들과 결합될 수 있다.
도 12는 조립식 마감 패널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1 판넬 연결부재(310) 및 제2 판넬 연결부재(320')는 건축물의 내, 외장 공사시 벽체, 천장 또는 바닥에 접하는 접촉영역에 하나 이상의 돌기를 포함하는 제1 요철부(3129) 및 제2 요철부(3229)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 프레임(312)은 벽체 또는 바닥면에 부착되는 일면에 하나 이상의 돌기를 포함하는 제1 요철부(3129)를 구비하고, 제2 연결 프레임(322)은 벽체 또는 바닥면에 부착되는 일면에 하나 이상의 돌기를 포함하는 제2 요철부(3229)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제1 요철부(3129) 및 제2 요철부(3229)는 가공면인 벽체에 요철이 존재하는 경우, 요철에 대응하여 평탄화된 가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벽체에 시멘트 몰탈 또는 접착제와 같은 유동성 재질을 적용되는 경우, 상기한 제1 요철부(3129) 및 제2 요철부(3229)는 접착면적을 증대시켜 부착력을 높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판넬 연결부재(310)의 제1 요철부(3129)와 제2 판넬 연결부재(320')의 제2 요철부(3229)의 돌출 높이가 동일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돌출 높이를 갖는 돌기들이 교번적으로 배치되거나, 불규칙적인 돌기들이 배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연결 프레임(312) 및 제2 연결 프레임(322')는 상기 제1 요철부(3129) 및 제2 요철부(3229)가 형성된 면과 다른 면에 배치되며 마감부재(200)를 바라보는 상부면에도 하나 이상의 돌기들을 배치시켜 마감부재(200)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연결 프레임(312) 및 제2 연결 프레임(322')은 베이스 부재(100)와 연결되는 영역에도 하나 이상의 돌기들을 배치시켜 베이스 부재(100)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식 마감 패널은 조립식 구조로 이루어져 작업자의 숙련도와 상관없이 균일한 품질의 시공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식 마감 패널은 보강 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베이스 부재를 보강하여 패널의 휨 현상을 방지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식 마감 패널은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함으로써, 조립식 마감 패널들 간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조립식 마감 패널
100 : 베이스 부재
200 : 마감 부재
310 : 제1 판넬 연결 부재
320 : 제2 판넬 연결 부재

Claims (10)

  1.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마감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판넬 연결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판넬 연결 부재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판넬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판넬 연결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면을 감싸는 제1 보강 프레임과, 상기 제1 보강 프레임에 결합하는 제1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판넬 연결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면에 대향되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타측면을 감싸는 제2 보강 프레임과, 상기 제2 보강 프레임에 결합하며 상기 제1 연결 프레임에 끼워 맞춰지도록 형성되는 제2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조립식 마감 패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은 조립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프레임은 상기 돌출 블록이 끼워지는 수용홈을 더 포함하는, 조립식 마감 패널.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블록 또는 상기 수용홈에 배치되며, 상기 돌출 블록과 상기 수용홈의 사이 공간을 밀폐시키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마감 패널.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는 조립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조립식 마감 패널.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프레임은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의 상기 돌출 블록을 상기 수용홈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조립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마감 패널.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보강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을 감싸는'ㄷ'형상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마감 패널.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의 모서리는 상기 제1 보강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보강 프레임의 단부보다 내부로 인입되는, 조립식 마감 패널.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면에 평행한 상기 마감 부재의 일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1 걸림턱부를 더 구비하는, 조립식 마감 패널.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타측면에 평행한 상기 마감 부재의 타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2 걸림턱부를 더 구비하는, 조립식 마감 패널.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프레임은 벽체 또는 바닥면에 부착되는 일면에 하나 이상의 돌기를 포함하는 제1 요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은 벽체 또는 바닥면에 부착되는 일면에 하나 이상의 돌기를 포함하는 제2 요철부를 구비하는, 조립식 마감 패널.
KR1020200076972A 2020-06-24 2020-06-24 조립식 마감 패널 KR2021015853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972A KR20210158536A (ko) 2020-06-24 2020-06-24 조립식 마감 패널
PCT/KR2021/004308 WO2021261717A1 (ko) 2020-06-24 2021-05-04 조립식 마감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972A KR20210158536A (ko) 2020-06-24 2020-06-24 조립식 마감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536A true KR20210158536A (ko) 2021-12-31

Family

ID=79177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972A KR20210158536A (ko) 2020-06-24 2020-06-24 조립식 마감 패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58536A (ko)
WO (1) WO202126171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0296B1 (ja) * 1998-03-30 1999-08-03 元旦ビューティ工業株式会社 複合内外装建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68460B1 (ko) * 2002-06-29 2005-01-27 주식회사 씨알에스 시스템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
KR200377961Y1 (ko) * 2004-12-01 2005-03-11 주식회사기린산업 보강부재를 구비한 건축용 복합 판넬
KR102203227B1 (ko) * 2017-12-11 2021-01-14 박구현 건축용 콘크리트 패널 및 건축용 마감 패널을 포함하는 조립식 주택
KR102059768B1 (ko) * 2019-01-18 2019-12-26 임창섭 건축 마감용 패널 및 코너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61717A1 (ko) 202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9512B1 (ko) 조립식건축물
EP3318686A1 (en)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assembly and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method using same
CA2602765A1 (en) Permanent standardised pre-fastening system for civil construction
KR20090003503U (ko) 레실리언트 채널을 이용한 건식벽체
KR100683633B1 (ko) 건축용 내벽체 및 이 내벽체의 시공방법
KR20210158536A (ko) 조립식 마감 패널
KR20120114080A (ko) 조적조 건축물용 내진 보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20000702A (ko) 경량 성형재를 구비한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20120002908U (ko) 조립식 타일마감재
KR20010091455A (ko) 벽체용 패널의 접합구조 및 조립시공방법
KR200265927Y1 (ko) 조립식 단열벽돌
KR200373829Y1 (ko) 비내력 건식벽체 조립세트
KR200418414Y1 (ko) 건축용 칸막이 패널
KR101478306B1 (ko) 양면 일체형 단위벽체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위벽체의 연결구조
KR101377647B1 (ko) 건축물 외장재 결합장치
KR101776783B1 (ko) 건축 시공용 일체형 모듈블록
KR101250680B1 (ko) 건식욕실건조방법
KR200389820Y1 (ko) 건축용 내벽체
KR100354717B1 (ko) 일체형 벽을 사용한 조립식 욕실
KR101125552B1 (ko) 건축구조물의 벽체 시공용 단위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시공방법
KR20120140284A (ko) 욕실용 덕트마감재의 시공방법
KR102408249B1 (ko) 내진 성능을 가진 건축외장용 복합패널
KR950009610B1 (ko) 조립식 벽체구조물용 패널과 그 시공방법
KR102664470B1 (ko) 조립식 패널 조립체
KR20070079709A (ko) 조립식 타일 외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