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8460B1 -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 - Google Patents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8460B1
KR100468460B1 KR10-2002-0037176A KR20020037176A KR100468460B1 KR 100468460 B1 KR100468460 B1 KR 100468460B1 KR 20020037176 A KR20020037176 A KR 20020037176A KR 100468460 B1 KR100468460 B1 KR 100468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ior
base
siding
coupl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7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2886A (ko
Inventor
심재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알에스 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알에스 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알에스 시스템
Priority to KR10-2002-0037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8460B1/ko
Publication of KR20020062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4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장 공사에 사용되는 사이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 측면에 결합돌부 및 결합홈부가 형성되어 있어 이들 간의 결합에 의해 조립식으로 외벽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코킹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미려한 외관 및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은 전체적으로 외장마감판과 이를 수용하는 마감판 수용체로 구성되는 데, 이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의 구성은, 긴 판상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장변을 따라 수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측면판;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서 일측 장변을 따라 수직으로 형성되며 외향 돌출된 결합돌부가 일체 구성된 연장판; 및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서 타측 장변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부와 대응하여 끼움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형상의 결합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마감판수용체;와 바탕재 및 마감재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측면판 사이에 삽입되는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베이스 및 한 쌍의 측면판 사이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외장마감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물의 외장공사에 사용되는 사이딩에 있어서, 결합돌부 및 결합홈부를 매개로 인접 사이딩과 결합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구조적으로 견고한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결합돌부 및 결합홈부간의 결합에 의해 결합 부위가 밀실하게 되어 코킹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며, 별도 제작된 마감판을 사용하여 벽면을 마무리함으로써 다양한 질감의외관이 가능하게 된다, 이밖에도 본 발명의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은 설치 방향에 제한을 받지 않으므로 유연한 벽면 구성 방법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assembly type siding for exterior work}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장 공사에 사용되는 사이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 측면에 결합돌부 및 결합홈부가 형성되어 있어 이들 간의 결합에 의해 조립식으로 외벽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코킹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미려한 외관 및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외부 골조가 완성되면 건물의 외부를 치장하는 외장공사가 행하여지는데, 이러한 건축물의 외벽 구조는 크게 판벽 구조, 바름벽 구조, 붙임벽 구조로 나누어 진다. 일반적으로는 시멘트 모르타르 등을 사용한 바름벽 구조나 석재,타일, 금속판넬 등을 붙임식으로 시공하는 붙임벽 구조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판벽 구조는 화재에 대하여 연소될 위험이 많을 뿐더러 내구성이 좋지 못해 거의 사용되어지지 않아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전원 생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전원 주택의 시공 사례가 늘어감에 따라 종래의 이러한 판벽 구조가 다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판벽 구조 중 가장 일반적인 형태인 비늘판벽(또는 가로판벽) 구조가 도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1에 나타난 것과 같이 비늘판벽 구조란 두께 7~20mm, 폭 150~200mm 정도의 널판을 상하 25mm 정도로 겹쳐 벽체나 기둥등에 못박아 대어 형성시키는 구조를 말하며, 구석과 모서리 끝에는 규준대 기둥을 대거나 널의 마구리가 번갈아 물리게 하고 또는 연귀로 한다.
이러한 비늘판벽 구조는 그 외관이 미려하고 목재 특유의 자연스러운 느낌을 주므로 근래에 전원 주택 등에서 사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비늘판벽 구조는 그 재질이 목재로 되어 있으므로 자재비가 비쌀뿐더러 화재에 대하여 연소할 위험이 많기 때문에, 반드시 내화 목재를 사용하거나 또는 불연재로 감싸든지 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우수에 노출 및 햇빛에 의한 건조가 되풀이 됨에 따라 목재가 뒤틀려 변형되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부패 방지 및 방수 등의 이유로 반드시 도색 작업을 필요로 하고, 널과널이 겹쳐지는 부분은 방수에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코킹 작업을 필요로 하는 데, 이러한 코킹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시공한 후 오래되면 변색되거나 터짐등의 하자가 발생할 수 있고 코킹 내부의 유분이 목재에 스며들어 목재가 변색되는 등의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코킹 처리로 인해 외부와 내부의 공기의 통기성이 없어 결로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외장재의 안쪽에 있는 목재가 부패하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전통적인 비늘판벽 구조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비늘판벽 구조와 유사한 외관을 가지면서 목재가 아닌 다른 재료를 사용한 사이딩이 근래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사이딩의 재질로는 비닐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도2에 비닐 사이딩의 형상 및 결합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비닐 재질의 사이딩은 PVC 수지, ABS 수지 등을 압출 성형한 것으로서 그 재질이 합성 수지이므로 목재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경량이어서 취급 및 시공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전통적인 목재에 비해 내구성 및 단열성이 뛰어나고 변색 및 변질의 염려가 거의 없으며 목조, 콘크리트, 조립식 건물 등 어느 건축물에서나 간편하게 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비닐 재질의 사이딩은 전술한 것과 같은 장점을 가지는 반면에 화재에 매우 취약할 뿐만 아니라 연소시 인체에 매우 해로운 유독 가스를 발생시킨다. 또한 경량 재질인 반면 바람등에 의한 외력에 의해 쉽게 결합이 이탈될 수 있고 외부 충격에도 취약하므로 쉽게 파손이 일어날 수 있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비닐 사이딩의 취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재질을 알루미늄, 스틸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등을 사용하여 사이딩을 제작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에도 그 결합 구조 상 외력에 약할 수 밖에 없고, 또한 결합 부위에는 방수의 필요 때문에 반드시 코킹을 하여야 하는 데, 전술한 바와 같이 이처럼 외부에 노출된 코킹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갈라짐, 변색 및 유분 누출에 의한 바탕면의 얼룩짐과 같은 하자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밖에도 이러한 종래의 사이딩은 재질이 합성 수지 또는 금속재로서 외관상 고급스럽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벽면 구성 방식에 있어서도 반드시 수평 방향으로만 한정될 수 밖에 없다는 단점도 아울러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결합돌부 및 결합홈부를 매개로 인접 사이딩과 결합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구조적으로 견고한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결합돌부 및 결합홈부간의 결합에 의해 결합 부위가 밀실하게 되어 코킹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 제작된 마감판을 사용하여 벽면을 마무리함으로써 다양한 질감의 외관을 가능하게 하고, 시공 방향에 제한이 없어 유연한 벽면 구성 방법이 가능한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전통적인 비늘판벽 구조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종래의 비닐 사이딩에 대한 형상 및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에서 외장마감판과 마감판수용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8은 단열재의 시공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이 길이 방향으로 서로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 발명의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
100: 마감판수용체
110: 베이스 111: 접착제주입공
120, 120': 측면판 121, 121': 내향걸림턱
122, 122': 줄눈결합홈
130: 연장판 140: 결합돌부
150: 결합홈부 160: 고정플랜지
165: 구멍 170: 보강리브
200: 외장마감판 210: 바탕재
220: 마감재 300: 띠장
400: 줄눈재 500: 단열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은 전체적으로 외장마감판과 이를 수용하는 마감판 수용체로 구성되는 데, 이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의 구성은, 긴 판상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장변을 따라 수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측면판;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서 일측 장변을 따라 수직으로 형성되며 외향 돌출된 결합돌부가 일체 구성된 연장판; 및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서 타측 장변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부와 대응하여 끼움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형상의 결합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마감판수용체;와 바탕재 및 마감재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측면판 사이에 삽입되는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베이스 및 한 쌍의 측면판 사이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외장마감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장판은 상기 결합돌부의 돌출 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플랜지를 더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고정플랜지에는 장공형의 구멍이 일정 간격으로 더 형성되어 있어 상기 장공형의 구멍을 통하여 바탕면과 피스 또는 볼트 결합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측면판의 외측 하부에는 줄눈재가 결합할 수 있도록 톱날 형상의 줄눈결합홈을 더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후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보강리브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판은 상부에 내측으로 돌출 성형된 내향걸림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구성에 따른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의 구성 및 사용 관계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에서 외장마감판과 마감판수용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10)은 전체적으로 외장마감판(200)과 상기 외장마감판(200)을 수용하는 마감판수용체(100)로 구성된다.
상기 마감판수용체(100)는 외장마감판(200)을 수용하기 위해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긴 판상의 베이스(110) 및 상기 베이스(110)의 장변을 따라 수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판(120,12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에는 외장마감판(200)이 접하여 설치되는데, 상기 베이스(110)의 길이는 시공성, 보관의 편의성, 제작의 용이성 등 제반 사항을 고려하여 적당한 길이로 제작할 수 있으며, 대략 0.9m ~ 4.2m 정도가 적당할 것이다.
상기 베이스(110)의 장변측 양 단부에는 상기 베이스(110)에 대하여 수직으로 한 쌍의 측면판(120,12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에 설치된 외장마감판(200)이 유동하는 것을 기계적으로 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베이스(110)의 양 장변 중 일측에는 저면에서 장변을 따라, 즉 상기 베이스(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판(130)이 설치된다. 상기 연장판(13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10)의 수직 방향으로 하향 형성되며, 상기 연장판(130)의 측면 상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결합돌부(140)가 돌출하여 형성되어 진다.
또한, 상기 결합돌부(140)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110)의 반대편 장변측의 저면에는 결합홈부(150)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부(150)의 형상은 상기한 결합돌부(140)와 대응하는 형상 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부(140)와 끼움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도5a에는 서로 인접하는 마감판수용체(100)간에 결합된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마감판수용체(100)는 상기 결합돌부(140) 및 결합홈부(150)가 인접 마감판수용체의 결합홈부(150) 및 결합돌부(140)와 끼워짐으로써 서로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인접 마감판수용체 간의 결합이 끼움식으로 이루어 짐으로써, 시공이 단순하고 간편하여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균일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작업 능률도 전통적인 비늘판벽 구조에 비하여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또한, 이러한 끼움식 결합 방법을 취함으로써 인접 마감판수용체(100)간의 결합에 있어 유동이 기계적으로 방지되므로 결합이 견고해짐은 자명하다.
한편, 이러한 끼움식 결합 방법을 취함으로써 본 발명의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은 다음과 같은 중요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즉, 결합돌부(140)와 결합홈부(150)의 결합된 구조를 통해 별도의 방수 조치를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다시 말하면, 결합홈부(150)에 끼워진 결합돌부(140)가 방수턱의 역할을 함으로써 벽체 외부로부터 안쪽으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에서는 종래의 사이딩에서와 같이 실런트를 사용한 코킹 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코킹 작업에서 나타나는 터짐, 색변질, 유분 누출에 의한 오염 등의 하자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것과 같이 상기 마감판수용체(100)는 베이스(110), 한 쌍의 측면판(120, 120'), 연장판(130), 결합돌부(140) 및 결합홈부(150)로 구성되며, 상기 구성에 부가하여 고정플랜지(160) 및 보강리브(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플랜지(160)는 상기 연장판(130)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도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연장판(130)의 직각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 고정플랜지(160)는 마감판수용체(100)를 바탕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그 고정 방법은 후술하는 것과 같이 고정플랜지(160) 상부에서 피스를 박아 하부에 접한 띠장에 고정하는 방법이 대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플랜지(160)는 상부에 장공형의 구멍을 더 형성함으로써 이를 매개로 피스, 못 또는 볼트 등에 의한 고정을 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플랜지는 도5에서 보는 것처럼 마감판수용체 간의 결합 시, 결합홈부에 접하여짐으로써 인접하는 마감판수용체와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하는 데 일조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의 수분 유입을 차단하는 역할도 아울러 수행한다.
상기 마감판수용체(100)의 베이스(110)의 후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보강리브(170)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이 보강리브(170)는 도5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마감판수용체(100)가 바탕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됨으로써 외부 충격 및 변형에 대해 취약할 수 있으므로 베이스(110)의 강성을 증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측면판(120,120')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돌출 성형된내향걸림턱(121,121')을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측면판(120,120')과 베이스(110) 사이에 수용된 외장마감판(20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도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측면판(120,120')의 외측 하부에는 톱날 형상의 줄눈결합홈(122,122')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줄눈결합홈(122,122')은 본 발명의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을 서로 결합 연결 시, 그 연결 부위의 라인을 따라 설치되는 줄눈재(400)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줄눈결합홈과 줄눈재의 결합 상태가 도7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줄눈재(400)는 긴 띠 형상의 자재로서 인접하는 사이딩 간의 연결 부위에 설치되어 미관상의 효과를 발휘하며, 또한 연결 부위의 방수 성능 향상에도 기여한다. 재질은 고무, 합성수지, 알루미늄, 스텐레스 스틸 등으로 할 수 있으며, 그 시공 방법은 인접하는 사이딩을 결합할 때 미리 끼워서 시공하거나 또는 고무, 합성수지 등의 탄성 재질로 한 경우에는 먼저 사이딩을 시공한 후, 그 상부에서 망치 등으로 타격하여 끼워 넣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마감판수용체(100)는 외장마감판(200)을 수용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것으로서, 소정의 강도와 내구성 및 내후성이 있어야 하고 또한 경량 자재이어야 할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는 자재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10% 발포 폴리염화비닐 수지(PVC)를 사용하여 압출성형에 의해 가공하고 있으며, 이밖에도 이와 유사한 소재, 즉, 상기 PVC와 유사한 내구성과 강도를 가질 수 있는 소재인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스티렌(PS) 수지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외장마감판(2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에서의 외장마감판(200)은 상기 마감판수용체(100)의 베이스(110) 및 한 쌍의 측면판(120,120') 사이에 수용되어 외부에 노출됨으로써 수장재로서의 미관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건물의 용도, 디자인 상의 요구, 주위 경관과의 조화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여러 가지의 재질 및 질감을 가지도록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외장마감판(200)은 상기 한 쌍의 측면판 사이에 삽입되는 길이를 가지는데 후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베이스(110)에 접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내향걸림턱(121,121')이 구비된 경우에는 끼움식으로만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110)를 관통하는 접착제주입구(111)가 구비된 경우에는 외장마감판을 일단 끼움식으로 고정한 후, 필요시에는 베이스(110)의 후면에서 접착제주입구를 통해 접착제를 주입하여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서 압축 시멘트 보드를 바탕재(210)로 하고 그 상부에 마감재(220)로서 화강암, 대리석 등과 같은 천연석의 미려한 질감 및 외관을 가지는 석재 몰탈 바름재를 도포한 구성의 외장마감판(200)을 제시하고 있다. 이 때 상기 압축 시멘트 보드는 두께 약 3~10mm 내외, 석재 몰탈 바름재는 두께 약 1~5mm 내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감재로는 전술한 석재 몰탈 바름재 이외에도 외관상 미려하고 고급 질감을 나타내는 외장재로서 적합한 다양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에멀젼 아크릴레이트 혼합물의 마감 몰탈, 압축 시멘트 보드에 적용 가능한 특수 인쇄, 인조석 석판, 석재 무늬 필름을 코팅한 강화 유리판 및 기타 페인트 마감과 같은 가시적인 효과를 주기 위한 어떠한 치장도 가능하다. 한편, 바탕재로서 사용된 압축 시멘트 보드 대신으로 압축 펄프 보드, 합성 수지 보드 등의 다양한 재질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에도 외장상의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해 마감판수용체(100)가 자체 색상을 가지도록 성형하거나 돌무늬 등의 질감을 나타내도록 가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을 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바탕면 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띠장을 설치한다. 이 때, 상기 띠장의 방향은 본 발명의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10)을 가로 방향으로 눕혀서 시공하는 경우에는 가로 방향으로 설치하고, 세로 방향으로 세워 시공하는 경우에는 띠장 역시 세로 방향으로 설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10)은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 때는 본 발명의 사이딩(10)이 설치될 방향에 적합하도록 띠장을 맞추어 설치한다.
도5에 상기 띠장(300)과 마감판수용체(100)간의 결합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띠장으로는 목재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각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각파이프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방청 페인트를 표면에 도장하거나 또는 아연도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탕면 위에 띠장(300)이 설치되면, 마감판수용체(100)를 설치된 띠장(300) 상부에 거치하고 피스 또는 못 등에 의해 고정시킨다. 이 때, 도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띠장(300)과 마감판수용체(100) 간의 결합은 고정플랜지(160) 상부에 피스를 박음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플랜지(160) 상부에는 띠장(300)과의 결합을 위해 장공형의 구멍(165)이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장공형 구멍(165)을 통해 피스 또는 볼트 결합이 가능하다. 이 때, 띠장(300)은 고정플랜지(160)의 중앙에 위치할 수도 있지만, 도7에서와 같이 한 쪽으로 치우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마감판수용체(100)를 바탕면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는 반드시 전술한 것과 같이 고정플랜지(160)와 띠장(300)간의 결합에 의할 필요는 없다. 즉, 본 발명의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이 고정플랜지를 포함하지 않고 구성되는 경우에는 띠장을 베이스(110) 하부에 위치시키고 베이스(110) 상부에 피스를 박음으로써 고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 마감 벽체에 단열 공사가 필요한 경우에는 도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마감판수용체를 띠장에 고정하기 전에 마감재를 미리 설치한다. 이 때, 설치된 띠장 사이에 유리섬유 판넬, 스티로폴 판재 등의 마감재를 설치하고 발포 우레탄 폼으로 마감 한다.
상기 마감판수용체(100) 간의 결합을 보면, 마감판수용체(100)의 장변끼리서로 연결함에 있어서는 결합돌부(140) 및 결합홈부(150)의 끼움식 결합에 의한다는 것은 이미 상술한 바와 같다. 한편, 마감판수용체(100) 간의 길이 방향으로의 연결, 즉, 단부끼리 서로 맞대어 연결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연결 방법에 대하여는 도9에 도시되어 있다.
도9에서 볼 수 있듯이, 서로 연결할 마감판수용체(100)의 한 편은 상부의 외장마감판(200)이 베이스(110)의 단부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설치하고, 다른 한 편은 이에 맞추어 상기 돌출된 길이만큼 베이스(110)의 단부로부터 후퇴하여 외장마감판(200)을 설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외장마감판(200)을 설치한 한 쌍의 마감판수용체(100)를 서로 결합하게 되면 마감판수용체 간의 연결 부위와 외장마감판 간의 연결 부위가 서로 소정 길이만큼 엇갈리게 되므로 결합에 있어 더욱 견고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방수 성능상 유리하므로 외부에 실런트로 코킹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또한 코킹을 하는 경우에도 그 코킹이 시공되는 위치가 외장마감판의 하부인 마감판수용부 간의 연결 부위가 될 것이므로 코킹이 외부로 노출되는 일이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을 사용하여 외벽의 평면을 구성하는 방법을 보면, 본 발명의 사이딩의 길이 방향이 가로가 되게 시공하여 전통적인 가로판벽과 유사한 패턴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본 발명의 사이딩의 길이 방향이 세로가 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대각선 방향으로 구성한다든지 또는 구간을 나누어 서로 반대의 대각선 방향으로 구성하여 전체적으로 보아파상의 텍스츄어를 가지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외벽 평면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본 발명의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이 종래의 비닐 사이딩과는 달리 재질 및 구조상 견고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은 외벽 평면 구성에 있어서도 유리한 효과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물의 외장공사에 사용되는 사이딩에 있어서, 결합돌부 및 결합홈부를 매개로 인접 사이딩과 결합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구조적으로 견고한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결합돌부 및 결합홈부간의 결합에 의해 결합 부위가 밀실하게 되어 코킹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며, 별도 제작된 마감판을 사용하여 벽면을 마무리함으로써 다양한 질감의 외관이 가능하게 된다, 이밖에도 본 발명의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은 설치 방향에 제한을 받지 않으므로 유연한 벽면 구성 방법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8)

  1. 긴 판상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장변을 따라 수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측면판;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서 일측 장변을 따라 수직으로 형성되며 외향 돌출된 결합돌부가 일체 구성된 연장판; 및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서 타측 장변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부와 대응하여 끼움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형상의 결합홈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마감판수용체; 그리고
    바탕재 및 마감재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측면판 사이에 삽입되는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베이스 및 한 쌍의 측면판 사이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외장마감판;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
  2. 제1항에서, 상기 연장판에는 고정플랜지가 상기 연장판의 직각 방향으로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베이스의 후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보강리브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마감재는 석재 몰탈 바름재, 에멀젼 아크릴레이트 혼합 마감몰탈, 인조석 석판, 석재 무늬 필름을 코팅한 강화 유리판 및 페인트 마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
  5. 제2항에서, 상기 고정플랜지에는 장공형의 구멍이 일정 간격으로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
  6.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측면판은 상부에 내측으로 돌출 성형된 내향걸림턱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
  7.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측면판은 외측 하부에 톱날모양의 줄눈결합홈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
  8.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베이스에는 접착제주입공이 더 형성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
KR10-2002-0037176A 2002-06-29 2002-06-29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 KR100468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176A KR100468460B1 (ko) 2002-06-29 2002-06-29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176A KR100468460B1 (ko) 2002-06-29 2002-06-29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675U Division KR200290801Y1 (ko) 2002-06-29 2002-06-29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886A KR20020062886A (ko) 2002-07-31
KR100468460B1 true KR100468460B1 (ko) 2005-01-27

Family

ID=27727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7176A KR100468460B1 (ko) 2002-06-29 2002-06-29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846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017B1 (ko) 2006-06-14 2007-03-23 최용호 대리석을 이용한 마감패널
KR100958051B1 (ko) * 2009-05-19 2010-05-14 송현기공 주식회사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유리패널
KR101248575B1 (ko) * 2012-08-14 2013-04-02 최인석 건축용 외장패널 조립체
KR102152707B1 (ko) * 2019-12-04 2020-09-07 주식회사 한보엔지니어링 건축용 외장재 및 그 시공방법
WO2021261717A1 (ko) * 2020-06-24 2021-12-30 주식회사 모콘에스티 조립식 마감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467B1 (ko) * 2005-04-01 2007-02-16 강동원 마감 판재
KR100932539B1 (ko) * 2009-06-01 2009-12-17 송상목 단열재를 마련한 합성목재 마감재
KR101137046B1 (ko) * 2011-03-28 2012-04-19 이은식 건축용 조립식 외장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017B1 (ko) 2006-06-14 2007-03-23 최용호 대리석을 이용한 마감패널
KR100958051B1 (ko) * 2009-05-19 2010-05-14 송현기공 주식회사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유리패널
KR101248575B1 (ko) * 2012-08-14 2013-04-02 최인석 건축용 외장패널 조립체
KR102152707B1 (ko) * 2019-12-04 2020-09-07 주식회사 한보엔지니어링 건축용 외장재 및 그 시공방법
WO2021261717A1 (ko) * 2020-06-24 2021-12-30 주식회사 모콘에스티 조립식 마감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886A (ko) 2002-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5403B2 (en) System,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attaching paneling to a building surface
US20170037639A1 (en) Wall panel
KR100959272B1 (ko) 건축용 조립식 복합 판넬 및 그 시공방법
KR101239383B1 (ko) 외단열 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단열 시공방법
US20080155938A1 (en) Fiber reinforced concrete stone panel system
US20050235598A1 (en) Wall construction method
KR100468460B1 (ko)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
KR101393616B1 (ko) 건축물 외장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마감방법
JP5080191B2 (ja) 外壁施工構造
KR101147011B1 (ko) 건물 장식용 알루미늄 몰딩
KR101995382B1 (ko) 단열패널유닛에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 결합구조
KR200290801Y1 (ko)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
KR200440801Y1 (ko) 건물 외벽 패널
US8413386B2 (en) Building protection structur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protection structures
KR20100023219A (ko) 습식 시공용 알루미늄 복합 패널
KR101963555B1 (ko) 건축물의 외벽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341889Y1 (ko) 마감재와 버팀 지지대가 부착된 샌드위치 패널
CN220790730U (zh) 一种装配式整体卫浴
JP2011174344A (ja) サイディングの防水構造
KR200296637Y1 (ko) 건축용 벽면 마감패널
CN201546400U (zh) 保温装饰板
US20050217175A1 (en) Modular water garden construction
JPS6311241Y2 (ko)
JP3018614U (ja) 車 庫
JPH08170419A (ja) プラスチックタイル乾式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