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272B1 - 건축용 조립식 복합 판넬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용 조립식 복합 판넬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272B1
KR100959272B1 KR1020090116136A KR20090116136A KR100959272B1 KR 100959272 B1 KR100959272 B1 KR 100959272B1 KR 1020090116136 A KR1020090116136 A KR 1020090116136A KR 20090116136 A KR20090116136 A KR 20090116136A KR 100959272 B1 KR100959272 B1 KR 100959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finish
composite panel
bracket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대형
Original Assignee
류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대형 filed Critical 류대형
Priority to KR1020090116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2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side grooves running along the whole length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조립식 복합 판넬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감재; 상기 마감재의 배면에 형성되고, 건축물의 구조물에 고정된 브라켓에 체결되는 프로파일; 및 상기 마감재의 배면에 형성된 발포 단열재를 포함하되, 상기 마감재, 프로파일 및 발포 단열재가 일체화된 건축용 조립식 복합 판넬 및 상기 복합 판넬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감재, 프로파일 및 단열재가 일체화되어 1단계의 공정으로 시공됨으로 인하여 시공 작업이 간단하고,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건축, 복합, 판넬, 마감재, 석재, 단열재, 프로파일

Description

건축용 조립식 복합 판넬 및 그 시공방법 {PREFABRICATED COMPOSITE PANEL FOR CONSTRUC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용 조립식 복합 판넬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건축물의 벽체나 바닥 등에 마감 시공되어 건축물을 미려하게 장식함과 아울러 벽체나 바닥 등을 보호하면서 단열성을 가지는 조립식 건축용 복합 판넬 및 상기 복합 판넬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에는 벽체(외벽 및 내벽)의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함과 아울러, 벽체를 보호하기 위한 내ㆍ외장재가 마감 시공된다. 이러한 내ㆍ외장재로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아연 강판 등과 같은 금속재, 천연 또는 인조 석재, 세라믹재, 합성수지재 및 목재 등의 판넬을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화강암이나 대리석과 같은 천연 석재의 경우, 건축물의 벽면에 시공 시 단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석재와는 별도로 단열재를 먼저 부착한 후 시공하고 있다. 이때, 석재는 건축물의 벽면에 앙카 볼트, L자형 클립 및 수평 조절판 등을 통해 조립, 시공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석재를 조립, 시공한 후에는 최종 마감 단계로서 석재와 석재의 사이에 위치한 틈새(줄눈 부위)에 실란트(실리콘 수지) 등의 재료를 패킹하여 마감하고 있다. 이러한 실란트의 마감은 석재와 석재 사이에 위치한 틈새(줄눈 부위)를 패킹함으로 인하여, 미려한 외관(줄눈 형성)을 갖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실란트의 접착력에 의해 석재 상호간의 결속력을 도모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종래 건축물의 벽면을 마감 시공함에 있어서는, 먼저 벽면에 단열재를 부착한 후, 석재를 조립, 시공하는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르면 작업 복잡하고 시공 기간이 많이 소요된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단열재의 부착 공정과 석재의 조립 시공이라는 적어도 2단계의 시공과정을 거침으로 인하여, 작업이 복잡하고 시공 기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석재와 석재의 사이에 위치한 틈새(줄눈 부위)를 실란트 등으로 마감하는 줄눈 형성공정이 더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줄눈 형성용 실란트 등의 사용으로 인하여, 고가의 석재가 오염되어 외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열재와 외부 마감재인 석재가 1단계의 시공과정으로 건축물에 조립, 시공되어 작업이 간단하고,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건축용 복합 판넬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란트 등을 사용하지 않고(필요 시 최소한으로 사용)도 마감재(석재) 간의 우수한 결속력을 가지면서, 줄눈 부위를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는 건축용 복합 판넬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마감재;
상기 마감재의 배면에 형성되고, 건축물의 구조물에 고정된 브라켓에 체결되는 프로파일; 및
상기 마감재의 배면에 형성된 발포 단열재를 포함하되,
상기 마감재, 프로파일 및 발포 단열재가 일체화된 건축용 복합 판넬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프로파일은 마감재의 배면 가장자리 2곳 이상에 형성되고, 상기 발포 단열재는 마감재의 배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프로파일 간의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발포 단열재의 전면은 마감재와 부착되고, 상기 발포 단열재의 측면은 프로파일에 부착된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에 따라서, 상기 프로파일은, 마감재의 배면 가장자리에 부착된 전방부; 상기 전방부로부터 직각으로 형성되고, 발포 단열재의 측면과 부착된 중앙 지지부; 및 상기 중앙 지지부로부터 직각으로 형성되고, 발포 단열재의 배면에 부착된 후방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상기 프로파일은 중앙 지지부에 마련된 절곡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절곡부에 의해 브라켓에 체결되는 체결 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복합 판넬의 제조방법으로서,
몰드에 마감재의 배면이 위로 향하도록 배치하는 단계;
상기 마감재의 배면에 프로파일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몰드에 발포성 재료를 투입한 다음, 발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포성 재료의 접착력으로 마감재, 프로파일 및 발포 단열재가 일체화되도록 하는 건축용 복합 판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의 구조물에 브라켓을 고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브라켓에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넬을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브라켓은 건축물의 구조물에 고정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직각으로 형성된 베이스 지지부; 상기 베이스 지지부로부터 직각으로 형성되고, 상 기 프로파일의 체결 홈에 끼움 조립되는 체결부; 및 상기 베이스 지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복합 판넬의 마감재와 마감재의 사이에 위치되는 줄눈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상기 브라켓은 베이스 지지부로부터 직각으로 형성된 서브 지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줄눈 형성부는 상기 서브 지지부로부터 직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감재, 프로파일 및 발포 단열재가 일체화되어 시공 작업 및 기간이 개선된다. 구체적으로, 단열재와 마감재가 1단계의 시공과정으로 건축물에 조립, 시공되어 시공 작업이 간단하고,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란트 등을 사용하지 않고(필요 시 최소한으로 사용)도 마감재 간의 우수한 결속력을 가지면서, 마감재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줄눈 부위를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판넬의 절단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 보인 복합 판넬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절단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복합 판넬(100, 이하 "판넬"이라 약칭한다)은 마감재(10), 상기 마감재(10)의 배면에 형성된 프로파일(20) 및 상기 마감재(10)의 배면에 형성된 발포 단열재(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판넬(100)은 전면, 배면 및 4개의 측면을 포함하여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마감재(10)는, 바람직하게는 직육면체의 사각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크기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두께의 경우에는 3mm ~ 100mm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마감재(10)는 외관성을 위한 다양한 무늬(인조 무늬 및 천연 무늬를 포함한다)나 색상 등이 표현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마감재(10)는 석재(천연 또는 인조 석재), 유리재, 세라믹재, 합성수지재 또는 목재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석재로부터 선택되면 좋다. 마감재(10)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석재로부터 선택되어지되, 천연 대리석이나 화강석 등을 일정 크기로 절단하여 가공한 천연 석재로부터 선택되면 좋다.
상기 프로파일(20)은 본 발명에 따른 판넬(100)을 건축물의 구조물에 체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구체적으로 건축물의 구조물에 고정된 브라켓(200, 도 6 참조)에 체결된다. 프로파일(20)은 마감재(10)의 배면에 접착, 형성되어 마감재(10)와 일체 구조를 갖는다. 프로파일(20)은 마감재(10)의 배면에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감재(10)의 배면은 4곳의 가장자리(상하좌우 4곳의 측방 가장자리)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때 프 로파일(20)은 마감재(10)의 배면 가장자리 4곳 중에서 2곳 이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프로파일(20)은 마감재(10)의 배면 가장자리 2곳 또는 4곳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프로파일(20)이 마감재(10)의 배면 가장자리 2곳(도 1에서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된 모습을 예시하였다. 이러한 프로파일(20)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발포 단열재(30)의 접착력에 의해 마감재(10) 및 발포 단열재(30)와 접착되어 일체 구조를 갖는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프로파일(20)은 전방부(22); 상기 전방부(22)로부터 직각으로 연장, 형성된 중앙 지지부(24); 및 상기 중앙 지지부(24)로부터 직각으로 연장, 형성된 후방부(26)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프로파일(20)은 거의 'ㄷ'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이때,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방부(22)는 마감재(10)의 배면 가장자리에 부착되고, 상기 중앙 지지부(24)는 발포 단열재(30)의 측면(34)에 부착되며, 상기 후방부(26)는 발포 단열재(30)의 배면(36)에 부착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부(26)의 폭(W26)은 전방부(22)의 폭보다 크게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파일(20)이 전방부(22), 중앙 지지부(24) 및 후방부(26)를 포함하여, 'ㄷ'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포 단열재(30)의 측면(34)이 'ㄷ'자형의 프로파일(20) 내부로 삽입되어, 프로파일(20)과 발포 단열재(30)의 일체적 결합력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프로파일(2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앙 지지부(24) 에 마련된 절곡부(28)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절곡부(28)는 발포 단열재(30) 쪽으로 내삽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절곡부(28)는 체결 홈(25)이 형성되도록 절곡되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체결 홈(25)은 건축물의 구조물에 고정된 브라켓(200, 도 3 참조)과의 체결 구조를 도모한다. 따라서 발포 단열재(30) 쪽으로 내삽되는 구조로 절곡부(28)가 마련되는 경우, 프로파일(20)과 발포 단열재(30)는 요철 구조로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며, 이와 함께 체결 홈(25)이 형성되어 브라켓(200)과의 용이한 체결 구조를 도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로파일(20)은 마감재(10)의 배면 자리자리 2곳에 접착,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마감재(10)의 배면 양측(도 1에서 좌우측)에 각각 1개씩 접착, 형성되어, 마감재(10)의 배면에는 2개의 프로파일(20)이 접착,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도 1에 우측)에 형성된 프로파일(20)은 엣지부(edge part, 21)를 갖도록 상기 중앙 지지부(24)가 전방부(22)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이때, 프로파일(20)은 엣지부(21)에 의해 단턱(21a)이 마련된다. 또한, 타측(도 1에서 좌측)에 형성된 프로파일(20)은 지지턱(21b)이 마련되도록 중앙 지지부(24)가 전방부(22)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 단턱(21a)은 브라켓(200)을 구성하는 서브 지지부(250, 도 7 참조)의 상부 면과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지지부(250)의 하부 면에는 인접하는 다른 판넬(100)의 프로파일(20)에 마련된 지지턱(21b, 도 7 참조)이 밀착된다.
상기 프로파일(20)은 그 재질에 있어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파일(20)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부 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프로파일(20)은 색상을 가질 수 있다. 프로파일(20)은, 구체적인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주석(Sn), 니켈(Ni), 철(Fe), 구리(Cu) 또는 이들의 합금 등으로부터 선택된 금속재;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된 합성수지재; 및 상기 금속재나 합성수지재에 내식성의 색상 도료가 코팅된 것;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넬(100)은 건축물의 구조물에 다수 개 배열 조립되어 시공(도 5 및 도 6 참조)되는데, 이때 상기와 같은 프로파일(20)이 브라켓(200)과 체결되어 서로 인접하는 판넬(100)과 조립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넬(100)은 인접하는 판넬(100)과의 조립을 위한 조립 구조로서, 상기 프로파일(20) 외에 별도의 다른 조립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파일(20) 이외에 요철 구조(40)를 더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파일(20)은 마감재(10)의 배면 2곳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나머지 2곳에는 상기 요철 구조(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판넬(100)의 총 4개의 측면 중, 2개의 측면(도 1에서 좌우측)은 상기 프로파일(20)에 의해 인접하는 판넬(100)과 조립(도 6 참조)되고, 나머지 2개의 측면(도 2에서 좌우측)은 계단식 요철 구조(40)에 의해 인접하는 판넬(100)과 조립(도 7 참조)되어 4방향이 조립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요철 구조(40)는 발포 단열재(30)의 측방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철 구조(40)는 요부(42)와, 상기 요부(42)에 끼움 조립되는 돌부(44)를 포함한다.
상기 발포 단열재(30)는 단열성과 함께 차음성을 가지는 것이면 좋으며, 이 는 합성수지가 발포되어 형성된다. 발포 단열재(30)는 단열성을 갖게 하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수지 및 멜라민 수지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합성수지가 발포되어 형성된 발포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포 단열재(30)는 본 발명에 따른 판넬(100)의 일체 구조를 도모한다. 이를 제조방법을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판넬(100)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조 공정도로서, 상기 도 1에 보인 판넬(100)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판넬(100)의 제조방법은 상기와 같은 일체 구조의 판넬(100)을 구현할 수 있는 제조방법으로서, 몰드(M)에 마감재(10)의 배면이 위로 향하도록 배치하는 단계; 상기 마감재(10)의 배면에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파일(20)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몰드(M)에 발포성 재료(30')를 투입한 다음, 발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프로파일(2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감재(10)의 배면 가장자리에 배치한다. 바람직하게는, 발포 과정에서 프로파일(20)이 움직이지 않도록 발포성 재료(30')을 투입하기 이전에 프로파일(20)을 마감재(10)에 임시 고정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접착제를 도포하여 마감재(10)에 임시 고정하거나, 양면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마감재(10)에 임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발포성 재료(30')는 발포 단열재(30)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이는 액상의 합성수지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발포성 재료(30')는 베이스 수지와 발포제를 적어도 포함하는 액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수지는 접착력 을 가지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수지 및 멜라민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발포성 재료(30')는 가온을 통한 열에 의해 발포될 수 있으며, 상기 발포 과정은 일정 온도와 압력이 유지되는 지그(Jig) 등의 발포용 몰드(M)에서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포는 발포성 재료(30')를 마감재(10)의 배면 중앙 영역에 적정량 투입하고, 몰드(M)를 밀폐시킨 다음, 열과 압력을 가하여 발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발포 과정에 의해 발포 단열재(30)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발포 단열재(30), 즉 발포성 재료(30')의 접착력에 의해 일체화가 도모된다. 구체적으로, 발포 단열재(30)의 접착력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판넬(100)을 구성하는 상기 마감재(10), 프로파일(20) 및 발포 단열재(30)는 접착되어 일체화된다. 이때,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마감재(10)는 발포 단열재(30)의 전면(32)과 접착되고, 상기 프로파일(20)은 발포 단열재(30)의 측면(32) 및 배면(36)과 접착되어, 상기 마감재(10), 프로파일(20) 및 발포 단열재(30)는 일체 구조를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넬(100)의 절단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넬(100)을 설명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판넬(100)은 전면, 배면 및 4개의 측면을 포함하여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4개의 측면 중 서로 대향되는 2개의 측면에는 프로파일(20)이 형성되고, 나머지 서로 대향되는 2개의 측면에는 조립 유닛(5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판넬(100)은 인접하는 판넬(100)과의 조립을 위한 조립 구조로서, 상기 프로파일(20) 외에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도 4에서 좌우측면)에는 조립 유닛(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립 유닛(50)은 판넬(100)의 측면에 부착된 부착부(52)와, 상기 부착부(52)로부터 직각으로 연장 형성된 줄눈 형성부(54)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조립 유닛(50)은 부착부(52)와, 이로부터 직각으로 연장 형성된 줄눈 형성부(54)로 구성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 자형(또는 "┐"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착부(52)는 발포 단열재(30)의 접착력에 의해 판넬(100)의 측면, 즉 발포 단열재(30)의 측면(34)에 접착, 형성되어 일체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조립 유닛(50)은 상기 발포 단열재(30)의 형성을 위한 발포성 재료(30')의 발포 과정에서 발포성 재료(30')의 접착력에 의해 판넬(100)과 일체화된다.
상기 조립 유닛(50)은 인접하는 판넬(100)에 형성된 조립 유닛(50)과 상호 끼움 조립된다.(도 9 참조) 이때, 조립 유닛(50)의 줄눈 형성부(54)는 판넬(100)의 마감재(10)와 마감재(10)의 사이에 위치되어 줄눈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종래와 같이 줄눈 부위를 실란트 등으로 패킹하여 마감하지 않고도, 상기 줄눈 형성부(54)에 의해 미려하게 마감된 구조의 줄눈이 형성되어 실란트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조립 유닛(50)은 그 재질에 있어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조립 유닛(50)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조립 유닛(50)은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조립 유닛(50)은, 구체적인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주석(Sn), 니켈(Ni), 철(Fe), 구리(Cu) 또는 이들의 합금 등으로부터 선택된 금속재;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 렌(PP), 폴리염화비닐(PVC)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된 합성수지재; 및 상기 금속재나 합성수지재에 내식성의 색상 도료가 코팅된 것;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판넬(100)은 건축물의 내ㆍ외장재로 사용되어, 건축물을 미려하게 마감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판넬(100)은 건축물의 실내/외 벽면(벽체의 내면 또는 외면), 천정 또는 바닥 등에 마감재로 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브라켓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 보인 판넬(100)이 적용된 건축물의 벽면 시공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6에 보인 건축물의 벽면 시공구조의 요부 종단면도이로서, 도 6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에 보인 건축물의 벽면 시공구조의 요부 횡단면도이로서,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9는 상기 도 4에 보인 판넬(100)을 이용한 건축물의 벽면 시공구조의 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은 건축물의 구조물에 브라켓(200)을 고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브라켓(200)에 전술한 바와 같은 판넬(100)을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판넬(100)은 건축물의 구조물에 다수 개 배열 조립되어 건축물의 표면(벽면, 천정, 바닥 등)을 마감한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판넬(100)은, 여기에 형성된 프로파일(20)이 브라켓(200)과 체결되어 서로 인접하는 판넬(100)과 조립된다.
본 발명에서, 브라켓(200)이 고정되는 상기 구조물은 건축물의 내/외부 벽 면, 천정, 바닥 등의 콘크리트체, 그리고 이러한 콘크리트체에 고정된 프레임(300, 도 6 및 도 7 참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라켓(200)은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면(W, 도 6 및 도 7 참조)에 고정되거나, 콘크리트 벽면(W)에 프레임(300)을 부착한 후, 상기 프레임(3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W)은 콘크리트 벽면(W)에 수직 및/또는 수평방향으로 몰딩(molding) 부착된 금속재 또는 목재(각목 등)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건축물의 구조물로서, 콘크리트 벽면(W)에 고정된 프레임(W)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건축물의 벽면(W)을 마감 시공함에 있어서, 먼저 벽면(W)에 프레임(300)을 부착한다. 프레임(W)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접착제, 앙카 볼트, 타카 못, 콘크리트 못 등을 통해 벽면(W)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300)에는 브라켓(200)에 고정된다. 상기 브라켓(200)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접착제나 결속구(예, 앙카 볼트, 타카 못, 콘크리트 못) 등을 통해 프레임(300)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브라켓(200)이 결속구(310)를 통해 프레임(300)에 고정된 모습을 예시하였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브라켓(20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건축물의 구조물, 즉 프레임(300)에 고정된 고정부(210); 상기 고정부로부터 직각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베이스 지지부(220); 상기 베이스 지지부(220)로부터 직각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체결부(230); 및 상기 베이스 지지부(220)로부터 연장, 형성된 줄눈 형성부(240)를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230)는 베이스 지지부(220)로부터 직각으로 연장, 형성되되, 베이스 지지부(220)의 양쪽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230)는 판넬(100)의 프로파일(20)과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프로파일(20)에 형성된 체결 홈(25)에 끼움 조립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200)을 통해 다수의 판넬(100)을 배열, 조립하면, 판넬(100)과 판넬(100)의 사이, 구체적으로 판넬(100)의 마감재(10)와 마감재(10)의 사이에는 줄눈 부위가 존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줄눈 형성부(240)는 판넬(100)의 마감재(10)와 마감재(10)의 사이에 위치되어 줄눈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면, 줄눈 부위를 종래와 같이 실란트 등으로 패킹하여 마감하지 않고, 상기 줄눈 형성부(240)에 의해 미려하게 마감된다. 이에 따라, 실란트 등으로 마감하는 줄눈 형성공정이 배제되어 시공 기간이 단축된다. 아울러, 실란트 등의 사용으로 인한 마감재(10)의 오염이 방지되어 외관성이 저해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브라켓(200)은 베이스 지지부(220)로부터 직각으로 연장, 형성된 서브 지지부(2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브라켓(200)이 서브 지지부(250)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줄눈 형성부(240)는 상기 서브 지지부(250)로부터 직각으로 연장하여 형성된다. 이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서브 지지부(250)의 상부 면은 상기 프로파일(20)에 마련된 엣지부(21), 즉 단턱(21a)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지지부(250)의 하부 면에는 인접하는 다른 판넬(100)의 프로파일(20)에 마련된 지지턱(21b)이 밀착되어 설치된다. 이와 같이, 브라켓(200)의 서브 지지부(250)에 프로파일(20)의 단턱(21a)과 지지턱(21b)이 밀착, 설치된 경우, 판넬(100)이 뒤틀림 없이 견고한 밀착 구조로 조립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판넬(100)은 총 4개의 측면을 가질 수 있는데, 상기 4개의 측면 중, 2개의 측면은 프로파일(20)과 브라켓(200)을 통해 인접하는 판넬(100)과 조립(도 7 참조)되고, 나머지 2개의 측면은 계단식 요철 구조(40)에 의해 인접하는 판넬(100)과 조립(도 8 참조)되어 4방향이 조립될 수 있다. 이때,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의 시공 시에는, 프로파일(20)과 브라켓(200)을 통한 조립은 상하 방향(수직 방향)에서 구현되고, 계단식 요철 구조(40)를 통한 조립은 좌우 방향(수평 방향)에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넬(100)을 배열함에 있어,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파일(20)이 형성된 면이 상하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판넬(100)을 배열하여, 상하 방향은 프로파일(20)과 브라켓(200)을 통해 조립하고, 좌우 방향은 판넬(100)에 형성된 요철 구조(40)를 통해 조립할 수 있다. 이때, 요철 구조(40)의 조립 부분은 줄눈 부위가 형성되어 발포 단열재(30)가 노출될 수 있는데, 이는 마감재료(320)로 패킹하여 마감할 수 있다. 상기 마감재료(320)는, 예를 들어 실란트(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에폭시 및 우레탄 등의 수지계나 백색 시멘트, 석고 모르타르 등의 무기물계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마감재료(320)에는 색상물질이 더 포함되어도 좋다.
또한, 도 9는 도 4에 보인 판넬(100)이 적용된 모습을 보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판넬(100)은 총 4개의 측면을 가지되, 상기 4개의 측면 중 2개의 측면은 프로파일(20)과 브라켓(200)을 통해 인접하는 판넬(100)과 조립(도 7 참 조)되고, 나머지 2개의 측면은 조립 유닛(50)에 인접하는 판넬(100)과 조립되어 4방향이 조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벽면의 시공 시에, 판넬(100)을 배열함에 있어서, 프로파일(20)이 형성된 면이 상하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판넬(100)을 배열하여, 상하 방향은 프로파일(20)과 브라켓(200)을 통해 조립하고, 좌우 방향은 판넬(100)에 형성된 조립 유닛(50)을 통해 조립할 수 있다. 이때, 마감재(10)와 마감재(10) 사이에 위치한 줄눈은 브라켓(200)의 줄눈 형성부(240)와 조립 유닛(50)의 줄눈 형성부(54)에 의해 형성되어 실란트 등의 마감재료(320)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넬(100) 간의 사이, 즉 인접하는 조립 유닛(50)의 사이에는 패킹부재(56)가 충진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56)는 합성수지 발포 폼(스폰지)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마감재(10), 프로파일(20) 및 발포 단열재(30)로 일체화되어 시공 작업이 간단하고,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축물의 표면(벽면, 천정, 바닥 등)을 판넬(100)을 통해 마감함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단열재의 부착공정과 마감재의 시공공정이라는 2단계의 공정을 거치지 않고, 일체화된 판넬(100)의 조립 시공에 의해 마감재(10), 프로파일(20) 및 발포 단열재(30)를 1단계의 공정으로 시공할 수 있다. 또한, 판넬(100)이 브라켓(200)과 프로파일(20)의 조립 체결에 의해 시공되어 작업이 간단하다.
아울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파일(20)과 브라켓(200)의 체결에 의해 견고하게 조립, 체결되어, 종래와 같이 마감재(10) 상호간을 결속시키기 위한 실란트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우수한 결속력을 갖는다. 또한, 실란트 등을 사용하 지 않고도 브라켓(200)에 형성된 줄눈 형성부(240)에 의해 줄눈이 형성되어 줄눈 부위를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으며, 실란트 등의 사용에 따른 고가의 석재 마감재(1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실란트 등의 사용이 완전히 배제되거나, 사용되더라도 최소한으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판넬(100)은 4개의 측면을 가지는데, 이때 상기 4개의 측면 모두(상하좌우 모두)에 프로파일(20)이 형성된 판넬(100)을 사용하여 인접한 판넬(100)과 브라켓(200)을 통해 체결하는 경우, 실란트 등의 마감재료(320)의 사용이 배제된다. 즉, 상기 판넬(100)의 마감재(10)와 마감재(10) 사이의 줄눈은 상기 브라켓(200)의 줄눈 형성부에 의해 형성되어, 줄눈 형성을 위한 실란트 등의 마감재료(320)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보인 판넬(100)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실란트 등의 마감재료(320)의 사용이 배제된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판넬(100)의 4개의 측면 중 서로 대향되는 2개의 측면에는 프로파일(20)이 형성되고, 나머지 서로 대향되는 2개의 측면에는 조립 유닛(50)이 형성된 판넬(100, 도 4)을 사용하는 경우, 판넬(100)의 마감재(10)와 마감재(10) 사이의 줄눈은 상기 브라켓(200)의 줄눈 형성부(240)와 상기 조립 유닛(50)의 줄눈 형성부(54)에 의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줄눈 형성을 위한 실란트 등의 마감재료(320)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다.
한편, 판넬(100)의 4개의 측면 중, 2개의 측면에만 프로파일(20)이 형성된 판넬(100)을 사용하는 경우, 실란트 등의 마감재(320)의 사용이 최소화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보인 바와 같은 판넬(100)로서, 판넬(100)의 4개의 측면 중, 2개의 측면에는 프로파일(20)이 형성되고, 나머지 2개의 측면에 요철 구조(40)가 형성된 판넬(100)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요철 구조(40)가 형성된 줄눈 부위에만 마감재료(320)가 사용된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수직 방향의 줄눈에만 마감재료(320)가 사용되어, 그 사용량이 최소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판넬의 절단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보인 복합 판넬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절단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보인 복합 판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조 공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판넬의 절단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브라켓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1에 보인 복합 판넬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벽면 시공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6에 보인 건축물의 벽면 시공구조의 요부 종단면도이로서, 상기 도 6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도 6에 보인 건축물의 벽면 시공구조의 요부 횡단면도이로서, 상기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도 4에 보인 복합 판넬을 이용한 건축물의 벽면 시공구조의 요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마감재 20 : 프로파일
22 : 전방부 24 : 중앙 지지부
25 : 체결 홈 26 : 후방부
28 : 절곡부 30 : 발포 단열재
40 : 요철 구조 50 : 조립 유닛
52 : 부착부 54 : 줄눈 형성부
56 : 패킹부재 100 : 복합 판넬
200 : 브라켓 210 : 고정부
220 : 베이스 지지부 230 : 체결부
240 : 줄눈 형성부 250 : 서브 지지부
300 : 프레임 310 : 결속구
W : 벽면 M : 몰드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마감재;
    상기 마감재의 배면에 형성되고, 건축물의 구조물에 고정된 브라켓에 체결되는 프로파일; 및
    상기 마감재의 배면에 형성된 발포 단열재를 포함하되,
    상기 마감재, 프로파일 및 발포 단열재가 일체화되고,
    상기 프로파일은 마감재의 배면 가장자리 2곳 이상에 형성되며,
    상기 발포 단열재는 마감재의 배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프로파일 간의 사이에 형성되되, 발포 단열재의 전면은 마감재와 부착되고, 발포 단열재의 측면은 프로파일에 부착되며,
    상기 프로파일은, 마감재의 배면 가장자리에 부착된 전방부;
    상기 전방부로부터 직각으로 형성되고, 발포 단열재의 측면과 부착된 중앙 지지부; 및
    상기 중앙 지지부로부터 직각으로 형성되고, 발포 단열재의 배면에 부착된 후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파일은 마감재의 배면 양측에 형성되어 있되, 일측에 형성된 프로파일은 단턱이 마련되도록 중앙 지지부가 전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타측에 형성된 프로파일은 지지턱이 마련되도록 중앙 지지부가 전방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판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은 중앙 지지부에 마련된 절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에 의해 브라켓에 체결되는 체결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판넬.
  5. 마감재;
    상기 마감재의 배면에 형성되고, 건축물의 구조물에 고정된 브라켓에 체결되는 프로파일; 및
    상기 마감재의 배면에 형성된 발포 단열재를 포함하는 복합판넬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 프로파일 및 발포 단열재가 일체화되고,
    상기 프로파일은 마감재의 배면 가장자리 2곳 이상에 형성되며,
    상기 발포 단열재는 마감재의 배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프로파일 간의 사이에 형성되되, 발포 단열재의 전면은 마감재와 부착되고, 발포 단열재의 측면은 프로파일에 부착되며,
    상기 프로파일은, 마감재의 배면 가장자리에 부착된 전방부;
    상기 전방부로부터 직각으로 형성되고, 발포 단열재의 측면과 부착된 중앙 지지부; 및
    상기 중앙 지지부로부터 직각으로 형성되고, 발포 단열재의 배면에 부착된 후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판넬은 4개의 측면을 가지되, 상기 4개의 측면 중 서로 대향되는 2개의 측면에는 프로파일이 형성되고, 나머지 서로 대향되는 2개의 측면에는 조립 유닛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조립 유닛은 복합 판넬의 측면에 부착된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로부터 직각으로 형성된 줄눈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판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은 중앙 지지부에 마련된 절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에 의해 브라켓에 체결되는 체결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판넬.
  7. 삭제
  8. 삭제
  9. 건축물의 구조물에 브라켓을 고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브라켓에 복합 판넬을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판넬은,
    마감재;
    상기 마감재의 배면에 형성되고, 건축물의 구조물에 고정된 브라켓에 체결되는 프로파일; 및
    상기 마감재의 배면에 형성된 발포 단열재를 포함하되,
    상기 마감재, 프로파일 및 발포 단열재가 일체화된 것이며,
    상기 복합 판넬의 프로파일은 브라켓에 체결되는 체결 홈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은 건축물의 구조물에 고정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직각으로 형성된 베이스 지지부;
    상기 베이스 지지부로부터 직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로파일의 체결 홈에 끼움 조립되는 체결부; 및
    상기 베이스 지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복합 판넬의 마감재와 마감재의 사이에 위치되는 줄눈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시공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베이스 지지부의 양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시공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베이스 지지부로부터 직각으로 형성된 서브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줄눈 형성부는 상기 서브 지지부로부터 직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시공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판넬의 프로파일은 마감재의 배면 양측에 형성되어 있되, 일측에 형성된 프로파일은 단턱이 마련되도록 중앙 지지부가 전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타측에 형성된 프로파일은 지지턱이 마련되도록 중앙 지지부가 전방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서브 지지부의 상부 면은 상기 프로파일에 마련된 단턱에 밀착되고, 상기 서브 지지부의 하부 면에는 인접하는 다른 판넬의 프로파일에 마련된 지지턱이 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시공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판넬은 4개의 측면을 가지되, 상기 4개의 측면 모두에 프로파일이 형성되어 인접하는 복합 판넬과 브라켓을 통해 체결되고, 상기 복합 판넬의 마감재와 마감재 사이의 줄눈은 상기 브라켓의 줄눈 형성부에 의해 형성되어, 줄눈 형성을 위한 마감재료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시공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판넬은 4개의 측면을 가지되, 상기 4개의 측면 중 서로 대향되는 2개의 측면에는 프로파일이 형성되어 인접하는 복합 판넬과 브라켓을 통해 체결되고, 나머지 서로 대향되는 2개의 측면에는 조립 유닛이 형성되어 인접하는 복합 판넬과 상기 조립 유닛을 통해 체결되되, 상기 조립 유닛은 복합 판넬의 측면에 부착된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로부터 직각으로 형성된 줄눈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시공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판넬의 마감재와 마감재 사이의 줄눈은 상기 브라켓의 줄눈 형성부와 상기 조립 유닛의 줄눈 형성부에 의해 형성되어, 줄눈 형성을 위한 마감재료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시공방법.
KR1020090116136A 2009-11-27 2009-11-27 건축용 조립식 복합 판넬 및 그 시공방법 KR100959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136A KR100959272B1 (ko) 2009-11-27 2009-11-27 건축용 조립식 복합 판넬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136A KR100959272B1 (ko) 2009-11-27 2009-11-27 건축용 조립식 복합 판넬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9272B1 true KR100959272B1 (ko) 2010-05-26

Family

ID=42281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136A KR100959272B1 (ko) 2009-11-27 2009-11-27 건축용 조립식 복합 판넬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9272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905B1 (ko) 2010-09-29 2011-05-30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오픈 조인트시스템의 오픈 조인트용 일체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353096B1 (ko) 2012-11-09 2014-01-20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건축용 폴리스톤 패널 구조체
KR101452134B1 (ko) 2013-09-23 2014-10-16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건축용 폴리스톤 패널 구조체
KR101481883B1 (ko) * 2012-02-27 2015-01-21 (주)비온디 건축물의 건식 외단열 시공방법
WO2015122558A1 (ko) * 2014-02-11 2015-08-20 주식회사 티푸스코리아 외단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외벽 설치방법
KR101902742B1 (ko) 2018-04-24 2018-11-14 류대형 T형 앵커 철물이 구비된 열교 차단형 단열 벽 조립식 패널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단열 벽 패널의 시공 방법
KR102020170B1 (ko) * 2019-01-17 2019-09-09 심완섭 복합패널 가공 및 시공방법
CN110424663A (zh) * 2019-07-30 2019-11-08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墙体装饰板组件及墙体装饰板安装方法
KR102169698B1 (ko) * 2020-01-23 2020-10-23 송과모터스 주식회사 단열 재료의 충전 공법을 이용한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17756A (ko) 2019-08-09 2021-02-17 이승진 건물 벽체 타일 시공방법
KR20210017736A (ko) 2019-08-09 2021-02-17 이승진 욕실 및 화장실 벽체 타일 시공방법
KR20220160421A (ko) 2021-05-27 2022-12-06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패널의 내풍압성 및 수밀성을 향상시키는 브래킷을 포함하는 패널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6641A (ja) * 1993-12-16 1995-06-27 Yamaha Living Tec Kk 壁パネルの製法
JP2594413B2 (ja) * 1994-03-23 1997-03-26 トヨタハウス株式会社 建築用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に用いる治具装置
JPH09209490A (ja) * 1995-11-29 1997-08-12 Oimatsu Sangyo:Kk 建物用天井パネル
KR100884774B1 (ko) * 2008-06-20 2009-02-23 (주)간삼파트너스 종합건축사사무소 세라믹 복합패널을 이용한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6641A (ja) * 1993-12-16 1995-06-27 Yamaha Living Tec Kk 壁パネルの製法
JP2594413B2 (ja) * 1994-03-23 1997-03-26 トヨタハウス株式会社 建築用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に用いる治具装置
JPH09209490A (ja) * 1995-11-29 1997-08-12 Oimatsu Sangyo:Kk 建物用天井パネル
KR100884774B1 (ko) * 2008-06-20 2009-02-23 (주)간삼파트너스 종합건축사사무소 세라믹 복합패널을 이용한 설치구조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905B1 (ko) 2010-09-29 2011-05-30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오픈 조인트시스템의 오픈 조인트용 일체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WO2012043967A1 (ko) * 2010-09-29 2012-04-05 엠에프엘 앤드 아이티(주) 오픈 조인트시스템에 있어 내ㆍ외장재와 정형 단열재의 일체형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오픈 조인트 시스템
KR101481883B1 (ko) * 2012-02-27 2015-01-21 (주)비온디 건축물의 건식 외단열 시공방법
KR101353096B1 (ko) 2012-11-09 2014-01-20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건축용 폴리스톤 패널 구조체
KR101452134B1 (ko) 2013-09-23 2014-10-16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건축용 폴리스톤 패널 구조체
WO2015122558A1 (ko) * 2014-02-11 2015-08-20 주식회사 티푸스코리아 외단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외벽 설치방법
KR101902742B1 (ko) 2018-04-24 2018-11-14 류대형 T형 앵커 철물이 구비된 열교 차단형 단열 벽 조립식 패널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단열 벽 패널의 시공 방법
KR102020170B1 (ko) * 2019-01-17 2019-09-09 심완섭 복합패널 가공 및 시공방법
CN110424663A (zh) * 2019-07-30 2019-11-08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墙体装饰板组件及墙体装饰板安装方法
KR20210017756A (ko) 2019-08-09 2021-02-17 이승진 건물 벽체 타일 시공방법
KR20210017736A (ko) 2019-08-09 2021-02-17 이승진 욕실 및 화장실 벽체 타일 시공방법
KR102169698B1 (ko) * 2020-01-23 2020-10-23 송과모터스 주식회사 단열 재료의 충전 공법을 이용한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160421A (ko) 2021-05-27 2022-12-06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패널의 내풍압성 및 수밀성을 향상시키는 브래킷을 포함하는 패널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9272B1 (ko) 건축용 조립식 복합 판넬 및 그 시공방법
US9957722B2 (en) Insulated wall panel
US20070209308A1 (en) Faux-stone architectural panel system
JP2010528203A (ja) 建築用軽量断熱ブロック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274218B1 (ko) 건축물 내, 외장용 칼라록 단열판재와 그의 제조 및 시공방법
AU2013362686B2 (en) Flow-guide-type foamed structure and prefab composite wall pane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6760026A (zh) 一种保温装饰一体化的建筑外墙及其施工方法
KR100832039B1 (ko) 강화유리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KR100828432B1 (ko) 초경량 단열블록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주택
KR100468460B1 (ko) 외장용 조립식 사이딩
KR100927483B1 (ko) 건축용 복합 판넬의 제조방법
KR101392358B1 (ko) 한옥용 벽체 및 한옥 벽체의 시공 방법
KR101265280B1 (ko) 외단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H1170604A (ja) 成形ボード材料及びボード成形方法
JP3224387U (ja) 建築用プラスチック板材の構造
JP4543185B2 (ja) 建築用煉瓦
KR20140024135A (ko) 건축용 보드 및 그의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JP2007138443A (ja) 壁用板状材、その製造方法および外壁構造
JP2835026B2 (ja) 壁パネル
ES2961552T3 (es) Método de fabricación del elemento de acabado de aislamiento térmico de fachada
KR101036236B1 (ko) 건축 외장재용 복합 판넬
CN216157273U (zh) 一种装配式整体卫浴
KR100354718B1 (ko) 폴리우레탄 일체형 벽을 사용한 조립식 욕실
US20100154349A1 (en) Method for Production of a Wall of Gypsum Panels
JP3238213U (ja) 内窓枠の周囲に四周板が付設された外断熱建築物の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