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7756A - 건물 벽체 타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물 벽체 타일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7756A
KR20210017756A KR1020190097529A KR20190097529A KR20210017756A KR 20210017756 A KR20210017756 A KR 20210017756A KR 1020190097529 A KR1020190097529 A KR 1020190097529A KR 20190097529 A KR20190097529 A KR 20190097529A KR 20210017756 A KR20210017756 A KR 20210017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adhesive
insulating material
adhesive portion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7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4869B1 (ko
Inventor
이승진
Original Assignee
이승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진 filed Critical 이승진
Priority to KR1020190097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869B1/ko
Publication of KR20210017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side grooves running along the whole length of the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이 간편하면서,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열재와 타일이 일정 크기로 규격화된 조립체로 일체화된 건물 벽체 시공용 복합 타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체 타일 시공방법은 타일과 단열재 사이에 습기를 흡수하고, 신축성과 탄성 복원력을 갖는 솜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벽체 내외부의 온도차에 기인하여 타일과 단열재가 수축 및 팽창시 이를 완충하는 한편, 타일과 단열재 사이의 틈새를 효과적으로 메워 타일과 단열재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 인해 습기나 곰팡이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위생과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물 벽체 타일 시공방법{METHOD FOR CONSTRUCTING COMPOSITE TILES ON WALL OF CONSTRUCTION}
본 발명은 시공이 간편하면서,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열재와 타일이 일정 크기로 규격화된 조립체로 일체화된 건물 벽체 타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 및 화장실의 벽체는 조적 벽체나 콘크리트 벽체로 이루어지고 방수처리 후 타일로 마감 처리된다. 하지만 욕실 및 화장실은 외벽과 맞붙은 벽체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냉기로 인해 단열 성능이 저하되어 상대적으로 춥고, 에너지 손실이 높다. 특히 다량의 습기 발생과 온도 차이로 인해 타일의 수축 및 팽창으로 인해 벽체에 부착된 타일이 박리되어 탈락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 공개특허 제10-2016-0115107호에서는 욕실 및 화장실의 벽체를 타일과 단열재가 일체로 결합된 단열타일로 마감함으로써 벽체와 타일 사이의 온도차와 실내 습도 상승으로 인한 타일의 박리 현상을 방지하고, 벽체와 타일의 단열성능을 증대하며, 건물의 에너지 손실을 절감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국내 공개특허 제10-2016-0115107호에서 제안된 단열타일은 단열재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형성된 절개부에 요부형 몰딩을 매개로 타일을 부착시키는 구조, 즉 단열재와 타일이 상단부와 하단부만이 상호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타일과 단열재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비해 중앙부에서 타일과 단열재 간의 결합력이 상대적으로 취약하여 타일과 단열재의 중앙부가 쉽게 들뜨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KR 10-2016-0115107 A, 2016. 10. 06. KR 10-0959272 B1, 2010. 05. 14.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목적들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요부형 몰딩에 의해 부착되는 타일과 단열재 간의 모서리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결합력이 취약한 타일과 단열재의 중앙부위에서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물 벽체 타일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벽체 내외부의 온도차에 기인하여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타일과 단열재가 수축 및 팽창으로 인해 타일과 단열재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메우고, 이를 통해 타일과 단열재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 인해 습기나 곰팡이 등이 생성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위생과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건물 벽체 타일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욕실 또는 화장실의 벽체에 시공되는 욕실 및 화장실 벽체 시공용 복합 타일에 있어서, 타일층과, 상기 타일층의 후면부에 형성되고 내부에 자석분말이 혼합된 결합층을 포함하는 타일; 상기 결합층의 후면부에 대향하는 전면부 내부에 금속분말이 혼합되어 상기 결합층과 자력에 의해 부착되고, 상하단부에는 각각 'L'자형 요홈이 형성된 단열재; 상기 타일과 상기 단열재 사이에 설치되고, 압축된 엠보싱 솜으로 이루어진 솜 부재; 및 상기 'L'자형 요홈에 각각 접착되되, 상기 결합층의 후면부에 대면하도록 접착되는 제1 접착부와, 상기 제1 접착부와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L'자형 요홈의 수직면에 대면하도록 접착되는 제2 접착부와, 상기 제1 및 제2 접착부를 일체로 연결하고 상기 'L'자형 요홈의 수평면 접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요부형 몰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및 화장실 벽체 시공용 복합 타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솜 부재는 상기 제1 접착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층이 상기 제1 접착부에 접착되기 전에는 상기 제1 접착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결합층이 상기 제1 접착부에 접착되면, 압축되고, 욕실 또는 화장실의 벽체의 내·외부 온도차에 의해 상기 타일과 상기 단열재의 수축 및 팽창으로 인해 상기 타일과 상기 단열재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면, 상기 솜 부재가 탄성 복원되면서 상기 틈새를 메우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착부의 길이와 폭은 상기 제2 접착부 및 상기 연결부의 길이 및 폭의 합과 동일하게 형성하고, 이를 통해 상기 제1 접착부와 상기 타일 간의 접착면적과 상기 제2 접착부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단열재 간의 접착면적을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체 타일 시공방법은 서로 대면하는 타일과 단열재 사이에 각각 자석분말과 금속분말을 혼합시켜 자력으로 타일과 단열재를 상호 부착시킴으로써 요부형 몰딩에 의해 부착되는 타일과 단열재 간의 모서리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결합력이 취약한 타일과 단열재의 중앙부위에서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벽체 타일 시공방법은 타일과 단열재 사이에 습기를 흡수하고, 신축성과 탄성 복원력을 갖는 솜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벽체 내외부의 온도차에 기인하여 타일과 단열재가 수축 및 팽창시 이를 완충하는 한편, 타일과 단열재 사이의 틈새를 효과적으로 메워 타일과 단열재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 인해 습기나 곰팡이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위생과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타일을 설명하기 위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합 타일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을 설명하기 위해 단면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타일의 제조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를 설명하기 위해 단면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타일이 조립된 상태에서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타일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타일을 설명하기 위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합 타일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벽체 시공용 복합 타일(10)은 건물의 벽체에 시공되는 마감재이다. 예를 들어, 욕실 또는 화장실의 벽체에 시공되는 마감재로, 기존의 떠붙임 공법이나 압착식 공법에 비해 시공이 간편하도록 일정 크기로 규격화되어 조립체로 일체화된 단일패널로 제작되어 조립식으로 시공된다.
복합 타일(10)은 단일패널 구조로 제작되고, 전면부가 건물의 벽체에 부착된 후 철부형 브라켓(14, 도 8참조)을 통해 상하로 이웃하게 배치된 것끼리 조립하여 시공한다.
복합 타일(10)은 타일(11), 단열재(12), 솜 부재(13) 및 요부형 몰딩(14)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을 설명하기 위해 단면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타일(11)은 다양한 색상과 무늬 또는 형상을 갖는 타일층(111)과, 타일층(111)의 후면부에 형성되고 자력을 갖는 결합층(112)을 포함한다.
타일층(111)은 복합 타일(10)이 내장재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욕실이나 화장실의 벽체에 시공된 상태에서 욕실이나 화장실의 내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복합 타일(10)이 외장재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건물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타일층(111)은 점토를 구워서 제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타일의 제조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타일층(111) 상면에 자석분말(112a)을 균일하게 뿌린 후 자석분말(112a)이 뿌려진 타일층(111)의 상부에 자석분말(112a)을 덮도록 접착제를 얇게 도포한 다음, 타일층(111) 상부에 자석분말(112a)이 포함된 결합층(112)을 형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를 설명하기 위해 단면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열재(12)는 타일(11)의 배면부에 밀착되는 전면부 일부에만 금속분말(12b)이 포함되거나, 단열재(12) 전체에 금속분말(12b)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단열재(12)는 기본적으로 발포폴리프로필렌(EPP), 발포폴리스티렌(EPS)(비드법보호판 포함), 압출발포폴리스티렌(압출법보호판 포함), 발포비닐아세테이트(EVA), 발포폴리에틸렌(PE), 발포폴리우레탄(PU), 부직포(PET) 또는 폴리염화비닐(PVC)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공이 쉽고 가격이 저렴하면서, 재료 특성상 건물의 외벽체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내부에 열을 머금고 있는 비드법 발포폴리스티렌 또는 압출발포폴리스티렌을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타일이 조립된 상태에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열재(12)는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L'자형 요홈(12a)이 형성되어 있고, 이 'L'자형 요홈(12a)에는 요부형 몰딩(14)이 접착제에 의해 일체로 접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5와 같이, 요부형 몰딩(14)은 타일(11)의 배면부에 대면하도록 접착되는 제1 접착부(141)와, 제1 접착부(141)와 나란하게 형성되어 'L'자형 요홈(12a)의 수직면(V)에 대면하도록 접착되는 제2 접착부(142)와, 제1 및 제2 접착부(141, 142)를 일체로 연결하고 'L'자형 요홈(12a)의 수평면(H)에 접착되는 연결부(143)를 포함한다.
요부형 몰딩(14)은 타일(11)과 단열재(12) 간의 결합력이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접착면적이 거의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1 접착부(141)의 길이와 폭은 제2 접착부(142)와 연결부(143)의 길이 및 폭의 합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제1 접착부(141)와 타일(11) 간의 접착면적과 제2 접착부(142) 및 연결부(143)와 단열재(12) 간의 접착면적이 동일하도록 하여 결합력을 균일하게 유지시킨다.
도 6과 같이, 솜 부재(13)는 압축된 엠보싱 솜으로서, 합성 또는 천연 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솜 부재(13)는 타일(11)과 단열재(12) 사이에 설치되어 벽체의 내·외부 간의 온도차로 인해 발생하는 타일(11) 또는 단열재(12)의 변형으로 인해 타일(11)과 단열재(12) 사이가 들떠 이들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솜 부재(13)는 타일(11)과 단열재(12) 사이의 단열을 향상시키는 한편, 타일(11)과 단열재(12) 사이에 습기를 흡수하여 위생적이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솜 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조립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솜 부재(13)는 요부형 몰딩(14)의 제1 접착부(141)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바림직하게, 2mm~5mm, 더욱 바람직하게는 3mm 정도 두껍게 형성된다.
솜 부재(13)는 도 7과 같이, 타일(11)이 요부형 몰딩(14)에 부착되기 전에는 요부형 몰딩(14)의 제1 접착부(141)로부터 전방으로 대략 2mm~5mm 정도 돌출되고, 이런 상태에서 타일(11)을 요부형 몰딩(14)의 제1 접착부(141)에 접착하면, 도 6과 같이, 솜 부재(13)가 가압되어 제1 접착부(141)의 전면과 정렬된 상태로 압축(수축)된다.
이러한 솜 부재(13)의 동작특성을 설명하면, 복합 타일(10)이 벽체에 부착된 상태에서 벽체의 내·외부 온도차에 기인한 타일(11) 또는 단열재(12)의 수축 및 팽창시 이를 완충하는 한편, 타일(11)과 단열재(12)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는 경우, 솜 부재(13)가 원래 상태로 탄성 복원되면서 타일(11)과 단열재(12) 사이의 틈새를 메운다.
결국, 복합 타일(10)은 타일(11)과 단열재(12) 사이의 틈새에 습기나 곰팡이 등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여 위생과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한편, 수축 및 팽창시 이를 완충함으로써 타일(11)과 단열재(12) 간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솜 부재(13)는 비교적 얇은 두께로 설치되고, 미세 기공이 형성되어 있어 타일(11)과 단열재(12)가 자력에 의해 상호 긴밀하게 밀착되어 부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타일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열재(12)의 후면부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브라켓 고정대(1)에 부착한다. 이때, 브라켓 고정대(1)는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벽체에 고정될 수 있다.
이후, 대략 전체 'H' 형상을 갖는 철부형 브라켓(15)의 일측 고정부(151) 중 하측으로 돌출된 하측부를 제1 복합 타일의 상부에 결합된의 요부형 몰딩(14)에 암수 결합한다. 즉, 요부형 몰드(14)의 제1 및 제2 접착부(141, 142) 사이로 삽입시켜 결합한다.
이후, 브라켓 고정대(1)에 접면하는 철부형 브라켓(15)의 타측 고정부(152)를 스크류 볼트를 이용하여 브라켓 고정대(1)에 고정한 다음, 브라켓 고정대(1)를 통해 상기 제1 복합 타일과 조립할 제2 복합 타일(미도시)의 단열재 후면부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철부형 브라켓(15)의 일측 고정부(151) 중 상측으로 돌출된 상측부를 상기 복합 타일의 상부에 결합된 요부형 몰딩(미도시)에 암수 결합하여 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타일 시공방법은 철부형 브라켓(15)을 이용하여 복합 타일(10)을 조립식으로 결합하여 고정 설치함으로써 벽체에 복합 타일을 습식재료인 모르타르를 사용하지 않고 건식으로 시공할 수 있음으로 타일공사의 품질과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단열 성능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내단열로 이루어진 벽체에 최적의 타일공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복합 타일
11 : 타일
12 : 단열재
13 : 솜 부재
14 : 요부형 몰딩
15 : 철부형 브라켓

Claims (3)

  1. 단열재와 타일이 소정 크기의 조립체로 일체화된 제1 복합 타일의 후면부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욕실 및 화장실 벽체에 고정되는 브라켓 고정대에 부착하는 단계;
    'H'형 철부형 브라켓의 일측 고정부 중 하측으로 돌출된 하측부를 상기 브라켓 고정대에 부착된 상기 제1 복합 타일의 상부에 결합된 요부형 몰딩에 암수 결합하여 고정하는 단계;
    상기 브라켓 고정대에 접면하는 상기 철부형 브라켓의 타측 고정부를 스크류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브라켓 고정대에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복합 타일과 동일하게 제조된 제2 복합 타일의 단열재 후면부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철부형 브라켓의 일측 고정부 중 상측으로 돌출된 상측부를 상기 제2 복합 타일의 하부에 결합된 요부형 몰딩에 암수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복합 타일은 각각,
    타일층과, 상기 타일층의 후면부에 형성되고 내부에 자석분말이 혼합된 결합층을 포함하는 타일;
    상기 결합층의 후면부에 대향하는 전면부 내부에 금속분말이 혼합되어 상기 결합층과 자력에 의해 부착되고, 상하단부에는 각각 'L'자형 요홈이 형성된 단열재;
    상기 타일과 상기 단열재 사이에 설치되고, 압축된 엠보싱 솜으로 이루어진 솜 부재; 및
    상기 'L'자형 요홈에 각각 접착되되, 상기 결합층의 후면부에 대면하도록 접착되는 제1 접착부와, 상기 제1 접착부와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L'자형 요홈의 수직면에 대면하도록 접착되는 제2 접착부와, 상기 제1 및 제2 접착부를 일체로 연결하고 상기 'L'자형 요홈의 수평면 접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요부형 몰딩;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벽체 타일 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솜 부재는 상기 제1 접착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층이 상기 제1 접착부에 접착되기 전에는 상기 제1 접착부보다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층이 상기 제1 접착부에 접착되면 압축되어 상기 제1 접착부와 수직으로 정렬되며, 욕실 또는 화장실의 벽체의 내·외부 온도차에 의해 상기 타일과 상기 단열재의 수축 및 팽창으로 인해 상기 타일과 상기 단열재 사이가 벌어져 틈새가 발생하면, 상기 솜 부재가 복원되면서 상기 타일과 상기 단열재 사이의 틈새를 메우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벽체 타일 시공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부의 길이와 폭은 상기 제2 접착부 및 상기 연결부의 길이 및 폭의 합과 동일하게 형성하고, 이를 통해 상기 제1 접착부와 상기 타일 간의 접착면적과 상기 제2 접착부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단열재 간의 접착면적을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벽체 타일 시공방법.
KR1020190097529A 2019-08-09 2019-08-09 건물 벽체 타일 시공방법 KR102254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529A KR102254869B1 (ko) 2019-08-09 2019-08-09 건물 벽체 타일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529A KR102254869B1 (ko) 2019-08-09 2019-08-09 건물 벽체 타일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756A true KR20210017756A (ko) 2021-02-17
KR102254869B1 KR102254869B1 (ko) 2021-05-24

Family

ID=74731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7529A KR102254869B1 (ko) 2019-08-09 2019-08-09 건물 벽체 타일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48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893B1 (ko) 2021-12-02 2022-09-05 주식회사 미트하임 타일 부착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준불연 단열재가 시공된 건축물의 벽체에 타일을 부착하는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272B1 (ko) 2009-11-27 2010-05-26 류대형 건축용 조립식 복합 판넬 및 그 시공방법
KR101521474B1 (ko) * 2015-01-16 2015-05-20 주식회사 일신산업 단열성이 개선된 단열재
KR20160115107A (ko) 2015-03-26 2016-10-06 이승진 패시브형 단열타일과 이를 이용한 벽체 타일 시공방법
KR20190030866A (ko) * 2017-09-15 2019-03-25 이재헌 타일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272B1 (ko) 2009-11-27 2010-05-26 류대형 건축용 조립식 복합 판넬 및 그 시공방법
KR101521474B1 (ko) * 2015-01-16 2015-05-20 주식회사 일신산업 단열성이 개선된 단열재
KR20160115107A (ko) 2015-03-26 2016-10-06 이승진 패시브형 단열타일과 이를 이용한 벽체 타일 시공방법
KR20190030866A (ko) * 2017-09-15 2019-03-25 이재헌 타일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4869B1 (ko) 202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4869B1 (ko) 건물 벽체 타일 시공방법
CN109989494A (zh) 一种新型房屋建筑材料保温板
KR102254870B1 (ko) 욕실 및 화장실 벽체 타일 시공방법
CZ382392A3 (en) Heat-insulating shaped element for a building walls lining
KR200418758Y1 (ko) 건축물의 결로방지용 복합단열재의 결합구조
KR102290378B1 (ko) 몰딩용 인코너 마감기구
JP2015169035A (ja) 分割床パンの製造方法及びこの分割床パンの防水構造
CN208650297U (zh) 一种建筑用隔热结构
PL170894B1 (pl) Okladzina sciany budynku PL PL
JP2007138443A (ja) 壁用板状材、その製造方法および外壁構造
JPH1170604A (ja) 成形ボード材料及びボード成形方法
KR102234306B1 (ko) 건물 벽체 타일 시공방법
JPH0194152A (ja) 建築用パネル
KR100677703B1 (ko) 건축물의 결로방지용 복합단열재의 결합구조
KR100354718B1 (ko) 폴리우레탄 일체형 벽을 사용한 조립식 욕실
KR200387933Y1 (ko) 조립식 단열재 패널
CN216130483U (zh) 一种结构牢固的外墙装饰保温一体板
KR20100114255A (ko) 건축물의 단열재 시공방법
KR100809369B1 (ko) 건축용 방음 및 단열시공재
CN216076090U (zh) 一种装配式卫浴底盒的安装结构
CN216974031U (zh) 一种免腻子新型复合装饰材料构件
CN219638302U (zh) 保温外立面
CN216157028U (zh) 一种免腻子新型复合装饰材料构件
JP3238213U (ja) 内窓枠の周囲に四周板が付設された外断熱建築物の壁構造
KR100397833B1 (ko) 진공압출발포 폴리스티렌의 단열벽체 연결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