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4255A - 건축물의 단열재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단열재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4255A
KR20100114255A KR1020090032691A KR20090032691A KR20100114255A KR 20100114255 A KR20100114255 A KR 20100114255A KR 1020090032691 A KR1020090032691 A KR 1020090032691A KR 20090032691 A KR20090032691 A KR 20090032691A KR 20100114255 A KR20100114255 A KR 20100114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on
building
ceiling
sof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훈
Original Assignee
(주) 코인스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인스이앤씨 filed Critical (주) 코인스이앤씨
Priority to KR1020090032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4255A/ko
Publication of KR20100114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2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2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plastics
    • E04C2/20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plastics of foamed plastics, or of plastics and foamed plastics, optionally reinforc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 및 천정의 축열효과를 높여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건축물의 단열재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본 발명의 건축물의 단열재 시공방법은,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정에 판상의 단열패널들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여 연접하는 단열패널들의 사이에 복원력이 우수한 연질의 소프트폼을 발라 밀착 결합하고 그 밀착 결합된 단열패널들의 단부를 연질의 소프트폼으로 벽체 또는 천정에 연이어 붙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판상의 단열패널들의 사이에 복원력이 우수한 연질의 소프트폼을 발라 이음 부위를 결합해 줌으로써, 뛰어난 단열효과는 물론 벽체 및 천정에 대하여 단열패널의 연속성이 확보되고, 또 단열패널들을 연질의 소프트폼을 이용하여 벽체 또는 천정에 연이어 붙여 줌으로써 단열패널의 시공 공정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Figure P1020090032691
단열패널, 소프트폼, 스치로폼, 유리섬유, 암면

Description

건축물의 단열재 시공방법{METHOD EXECUTION THERMAL INSULATION MATERIAL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의 단열재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벽체 및 천정에 판상의 단열재를 시공할 때 그 단열재의 이음 부위를 복원력이 우수한 폴리우레탄폼 또는 우레아폼 등과 같은 복원력이 우수한 연질의 소프트폼으로 결합시켜 단열재들의 연속성 확보와 이음 부위의 틈새 방지 및 건물의 흔들림에 따른 단열재들의 갈라짐(crack)을 방지하도록 하는 건축물의 단열재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 벽체 및 천정의 단열시공은 벽체 및 천정의 축열효과를 높여 열손실을 방지하고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건축물 벽체에 대한 단열시공은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수지 등의 합성수지에 발포제를 첨가하여 형성된 발포합성수지를 건물의 벽체 및 천정에 설치하여 단열 및 흡음 효과를 얻도록 하는 것이었으며, 특히 습식 공법에 의한 벽체 및 천정 단열 시공 시에는 발포합성수지의 단열재들을 벽체 및 천정에 접착시킨 다음 그 표면에 시멘트 몰탈로 마감 처리하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종래의 단열 시공방법에 따라 발포합성수지의 표면에 시멘트 몰탈로 마감처리할 경우 적층되는 시멘트 몰탈층의 두께가 얇으면 발포합성수지와 시멘트 몰탈이 탈리되고, 반대로 몰탈층이 두꺼우면 시멘트 몰탈의 사용량이 증가하여 비경제적이며, 외부의 약한 충격에도 시멘트 몰탈이 탈리되고 발포합성수지가 파손되어 단열 및 방음효과가 저하되고 유지보수 및 관리가 어려우며 파손된 발포합성수지 사이로 누수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멘트 몰탈의 경우 시멘트의 양생 시간이 길어서 작업성과 시공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습식 공법에 대응하여, 건물의 벽체 및 천정에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지 않고 금속, 석재, 유리 등과 같은 단열재를 건물의 벽체 및 천정에 설치하는 건식 공법이 있다. 이는 석재나 유리 등을 설치하기 위하여 고정구를 일일이 맞추어야 하는 등 고도로 숙련된 숙련공에 의해서만 시공이 가능하여 인건비 상승 및 작업성 저하의 단점이 있었으며, 이 경우 상기 단열재는 건물 벽체 사이에 끼워 넣어졌고 단열 시공은 마감 공사와는 별도로 수행되었다.
또한, 건축시장에서 흔히 사용되어 오고 있는 단열재로서는 스티로폼 패널, 유리섬유 패널, 우레탄폼 패널, 암면 및 석고보드가 대표적이다. 여기서 스티로폼 패널과 유리섬유 패널, 우레탄폼 패널 및 암면은 단열 및 방음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에 건축물의 벽체 및 천정에 직접 시공되어 단열재로 사용되고, 석고보드는 표면 안정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단열재의 시공부위에 대한 마감재로 사용된다.
한편, 상기한 단열재를 벽체 및 천정의 전반에 걸쳐 견고하게 시공한다는 것은 대단히 번거롭고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공사이기 때문에 최근에는 건축물의 벽체 및 천정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가 널리 보급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 매의 단열패널을 벽체 또는 천정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고정구들을 일일이 맞춰가면서 작업을 해야함으로써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작업공수에 비해 공사기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특히 작업자의 시공력에 따라 단열패널과 단열패널 사이의 틈새가 많이 벌어져 단열효과가 저하되고, 또 건물의 흔들림에 의해 상기 고정구로 고정된 단열패널이 흔들림을 이기지 못하여 갈라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 됨은 물론 벽체 및 천정에 대해 단열패널의 연속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배경 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벽체 및 천정에 대해 단열패널의 연속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건물의 흔들림에 따른 단열패널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건축물의 단열재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 단열재 시공방법은 경질 판상의 단열패널 단부에 복원력이 우수한 폴리우레탄폼 또는 우레아폼 등과 같은 연질의 소프트폼을 결합시켜 천정 및 벽체에 연이어 붙여줌으로써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단열재 시공방법은,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정에 판상의 단열패널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여 연접되는 상기 단열패널들의 사이에 복원력이 우수한 연질의 소프트폼을 발라 밀착 결합하고 상기 밀착 결합된 단열패널들의 단부를 상기 복원력이 우수한 연질의 소프트폼으로 상기 벽체 또는 천정에 연이어 붙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건축물의 단열재 시공방법에 의하면, 판상의 단열패널들 사이에 연질의 소프트폼을 발라 이음 부위를 밀착 결합해 줌으로써, 단열패널의 틈새 방지는 물론 벽체 및 천정에 대해 단열패널의 연속성이 확보되고, 또 단열패널들을 연질의 소프트폼을 이용하여 벽체 또는 천정에 연이어 붙여 줌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여지가 없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단열재 시공방법에 의하면, 벽체 및 천정에 판상의 단열패널들을 시공할 때 그 단열패널들의 이음 부위를 복원력이 우수한 연질의 소프트폼으로 밀착 결합시켜 줌으로써 단열패널들의 연속성이 확보될 뿐 아니라 이음 부위의 틈새가 발생되지 않아 뛰어난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 단열패널들을 연질의 소프트폼 만을 가지고 벽체 또는 천정에 부착해 줌으로써, 시공의 편리성과 건물의 흔들림에 따른 단열패널들의 소손이 방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예시할 목적으로 도시한 첨부 도면과 관련해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를 가지고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단열재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하를 통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단열재 시공방법에 의해 단열패널이 연속적으로 밀착 결합되어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단열 시공방법에 따라 벽체 또는 천정에 부착된 단열패널들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단열패널과 단열패널이 소프트폼에 의해 밀착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보인 일부 단면으로 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의 단열재 시공방법은,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정에 스치로폼, 유리섬유, 암면 등과 같은 경질 판상의 단열패널(100)들을 연속적으로 시공하고자 할 때, 도 1과 같이, 먼저 판상의 단열패널(100)의 이음 부위 즉, 한 매의 단열패널(100)의 상, 하단부 및 좌우단부에 복원력이 우수한 연질의 소프트폼(110)을 발라 벽체 또는 천장에 이어붙이고, 이후, 다른 한 매의 단열패널의 상, 하단부 및 좌우단부에 상기한 연질의 소프트폼(110)을 발라 상기 벽체 또는 천정에 부착된 단열패널(100)과 동일선상으로 하여 밀착 결합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다수 매의 단열패널(100)을 복원력이 우수한 연질의 소프트폼(110)을 이용하여 벽체 또는 천정에 연속적으로 이어붙여 시공한다. 이때, 단열패널(100)들 사이에 발라진 전술한 연질의 소프트폼(110)은 소정의 부피로 발포되어 이음 부위의 틈새(120)를 밀착시켜 연속적으로 이어줌으로써, 우수한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단열패널(100)들이 소프트폼(110)에 의해 벽체 또는 천정에 부착되어 짐으로써, 건물의 흔들림에 따른 단열패널의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서 이음 부위의 틈새 발생에 따른 단열효과의 저하 및 건물의 흔들림에 의해 단열패널이 파손되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은 경질 판상형의 단열패널들 사이에 복원력이 우수한 연질의 소프트폼을 발라 이음 부위의 틈새를 메워주고, 또 단열패널들을 연질의 소프트폼을 이용하여 벽체 또는 천정에 연속적으로 이어붙여 주게 됨을 알 수 있다.
이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하면, 판상형의 단열패널들 사이에 연질의 소프트폼을 발라 이음 부위를 밀착 결합해 줌으로써, 뛰어난 단열효과는 물론 벽체 및 천정에 대해 단열패널의 연속성이 확보되고, 또 단열패널들을 연질의 소프트폼을 이용하여 벽체 또는 천정에 연이어 붙여 줌으로써 시공이 편리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단열재 시공방법에 의해 단열패널이 연속적으로 밀착 결합되어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단열 시공방법에 따라 벽체 또는 천정에 부착된 단열패널들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열패널과 단열패널이 소프트폼에 의해 밀착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보인 일부 단면으로 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단열패널 110 : 소프트폼
120 : 틈새

Claims (1)

  1. 건축물의 벽체 또는 천정에 판상의 단열패널들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여 연접하는 상기 단열패널들의 사이에 복원력이 우수한 연질의 소프트폼을 발라 밀착 결합하며 상기 밀착 결합된 단열패널들의 단부를 상기 연질의 소프트폼으로 상기 벽체 또는 천정에 연이어 붙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단열재 시공방법.
KR1020090032691A 2009-04-15 2009-04-15 건축물의 단열재 시공방법 KR201001142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691A KR20100114255A (ko) 2009-04-15 2009-04-15 건축물의 단열재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691A KR20100114255A (ko) 2009-04-15 2009-04-15 건축물의 단열재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255A true KR20100114255A (ko) 2010-10-25

Family

ID=43133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691A KR20100114255A (ko) 2009-04-15 2009-04-15 건축물의 단열재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42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358B1 (ko) 2018-12-20 2019-08-28 한성건업 주식회사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 방법
KR102130994B1 (ko) * 2020-01-22 2020-07-08 두성단열(주) 시공이 용이한 단열부 틈새 밀폐용 단열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358B1 (ko) 2018-12-20 2019-08-28 한성건업 주식회사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 방법
KR102130994B1 (ko) * 2020-01-22 2020-07-08 두성단열(주) 시공이 용이한 단열부 틈새 밀폐용 단열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3847B2 (en) Continuous wall assemblies and methods
US9957722B2 (en) Insulated wall panel
KR101501810B1 (ko) 화스너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방법
KR101534320B1 (ko) 건축물용 외단열 패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하는 외단열 시공방법
KR101398336B1 (ko) 드라이비트 리모델링 방법
KR20130098239A (ko) 건축물의 건식 외단열 시공방법
KR101995382B1 (ko) 단열패널유닛에 초슬림석재판과 결합된 외장용 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 결합구조
KR20100114258A (ko) 건축물용 단열재의 결합구조
KR20100114255A (ko) 건축물의 단열재 시공방법
KR102064454B1 (ko) 건물 벽면의 드라이비트 시공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00114250A (ko) 건축물의 벽체단열 시공방법
KR101602608B1 (ko) 컨테이너 단열 시스템
KR20170065040A (ko) 하지겸용 단열패널 연결부재를 이용한 복합패널의 건식 외단열 시공방법
JP5659034B2 (ja) 屋根構造
KR101029833B1 (ko) 차음 및 단열패널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와 바닥구조
KR101400059B1 (ko) 외단열 외방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100597579B1 (ko) 구조물용 단열방수패널 및 그 패널의 시공방법
KR101512959B1 (ko) 건물 외벽 단열재 및 그 시공방법
CN103452209A (zh) 双层复合条板现浇内隔墙结构
KR20080005414U (ko) 조립식 단열 패널
KR200476254Y1 (ko) 단열재
KR20140141911A (ko) 건축물의 건식 외단열 시공방법
JP2004019179A (ja) けい酸カルシウム板を用いた外断熱工法
KR101242144B1 (ko) 벽체용 복합 단열재의 시공 방법
KR20210094342A (ko) 화스너 조립부품체 및 이를 이용한 단열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6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3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