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7483B1 - 건축용 복합 판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용 복합 판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7483B1
KR100927483B1 KR1020090056527A KR20090056527A KR100927483B1 KR 100927483 B1 KR100927483 B1 KR 100927483B1 KR 1020090056527 A KR1020090056527 A KR 1020090056527A KR 20090056527 A KR20090056527 A KR 20090056527A KR 100927483 B1 KR100927483 B1 KR 100927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panel
sealing layer
manufacturing
foam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대형
Original Assignee
류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대형 filed Critical 류대형
Priority to KR1020090056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74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1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 B28B1/16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for producing 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38Treating surfaces of moulds, cores, or mandrels to prevent sti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non-metallic or unspecified sheet-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복합 판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삽입공이 형성된 배치 틀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배치 틀의 삽입공에 외부 마감재를 삽입하여 배치하는 단계; 상기 외부 마감재의 사이에 실링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외부 마감재 및 실링층 상에 발포성 재료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발포성 재료 상에 베이스플레이트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발포성 재료를 발포하여 발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용 복합 판넬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복합 판넬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마감재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할 수 있는 배치 틀을 사용하되, 발포성 재료(발포 액)의 누액을 차단하는 실링층이 형성되어, 미려한 외관을 가지며 인접하는 다른 판넬과의 체결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건축, 복합 판넬, 마감재, 누액, 실링

Description

건축용 복합 판넬의 제조방법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SITE PANEL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용 복합 판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건축물의 벽체나 바닥 등에 마감 시공되어 건축물을 미려하게 장식함과 아울러, 벽체나 바닥 등을 보호하는 건축용 복합 판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에는 벽체(외벽 및 내벽)의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함과 아울러, 벽체를 보호하기 위한 내ㆍ외장재가 시공된다. 이러한 내ㆍ외장재로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아연 강판 등과 같은 금속재, 천연 또는 인조 화강석 또는 대리석과 같은 석재 및 벽돌, 그리고 유리를 포함하는 세라믹재, 합성수지재, 목재 등 다양한 재질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다양한 형상과 색상을 가지는 복합 판넬을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다.
조립식 건축 내ㆍ외장재용 복합 판넬은 베이스플레이트(Base Plate)를 중심 으로 일 측면에는 외부 치장용 마감재를, 그리고 타 측면에는 방음/단열재를 구비한 형태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복합 판넬은, 판넬의 제조 시 외부 마감재를 베이스플레이트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의 사용이 불가피하여 접착공정의 도입으로 인한 제조공정이 복잡해지고 제조비용이 상승된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가 중심에 위치하여 벽체와 고정이 어렵다.
이에 따라, 벽체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Base Plate),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형성되고 방음/단열을 위한 발포층, 그리고 발포층 상에 형성된 외부 치장용 마감재를 구비한 형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복합 판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도 1에 보인 종래 기술에 따른 복합 판넬의 제조 공정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건축물의 내ㆍ외장재로 주로 사용되는 복합 판넬은 벽체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1), 상기 베이스플레이스(1) 상에 형성된 발포층(2), 및 상기 발포층(2) 상에 형성된 외부 마감재(3)를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갖는다. 상기 발포층(2)은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스티렌 등의 접착성을 가지는 액상의 원재료가 발포를 통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발포층(2)은 발포 구조를 가짐으로 인하여 방음성 및 단열성을 갖게 함은 물론, 원재료의 접착성으로 인하여 외부 마감재(3)와의 접착성을 도모한다. 이에 따라, 도 1 내지 도 3에 보인 복합 판넬은 발포층(2)의 형성 과정에서 외부 마감재(3)가 판넬에 접착 고정됨으로 인하여 접착 제의 사용이 배제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1)가 벽체와 접촉됨으로 인하여 벽체와의 고정이 용이하다.
그러나 상기 복합 판넬은 발포층(2)을 구성하는 액상의 발포성 재료(발포 액)의 낮은 점성으로 외부 마감재(3)와 외부 마감재(3) 간(間)의 스페이스 부분에서 액상의 발포성 재료(발포 액)가 쉽게 누액되어 외부 마감재(3)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러한 누액 발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외부 마감재(3) 사이의 스페이스 부분에 모래 등의 입자성 물질을 충진하여 제조하는 방법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이는 발포성 재료(발포 액)의 불균일한 분포 및 침투, 그리고 입자성 물질의 잔존으로 인하여 제품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할 뿐 아니라, 시공 시 다른 판넬과의 이음매 부분에서 체결이 용이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 도 1 내지 도 3에 보인 바와 같은 복합 판넬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먼저 외부 마감재(3)의 뒷면이 위로 향하게 배치한 다음, 발포성 재료(발포층 형성용 액상의 원재료)의 누액 방지 및 향후 미관의 목적으로 모래 등의 입자성 물질(5)을 외부 마감재(3)의 사이의 스페이스(S)에 충진한다. 그리고 외부 마감재(3)와 입자성 물질(5) 상에 발포층(2) 형성을 위한 발포성 재료(6)를 주입, 도포한 다음, 발포(foaming)를 통하여 제조한다. 그러나 발포성 재료(6)의 주입 및 발포 과정에서, 발포성 재료(6)가 입자성 물질(5) 사이에 침투하여 z-축 방향(도 3 및 도 4 참조)으로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외부 마감재(3)와 외부 마감재(3) 사이에 위치한 틈새 발포층(2a)이 평활하지 않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복합 판넬은 외부 마감재(3)와 외부 마감재(3) 사이의 발포층(2a)이 z-축 방향으로 불균일하고, 입자성 물질(5)의 잔존으로 인하여 판넬의 시공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입자성 물질(5)의 탈락으로 인해 외관이 미려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시공 시 인접하는 다른 판넬과의 이음매 부분에서 체결이 용이하지 않게 되고, 이음매에 단턱(높이 차이)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입자성 물질(5)의 사용으로 인한 분진 발생으로 인하여 작업 환경이 좋지 않다. 아울러, 외부 마감재(3)는 인접하는 외부 마감재(3)와 일정 간격(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야 하는데, 종래 기술에 따른 제조방법은 이를 위한 기술적 수단을 강구하지 못하여, 외부 마감재(3)의 균일한 배치가 어려워 외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복합 판넬을 제조함에 있어서, 외부 마감재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할 수 있는 배치 틀을 사용하되, 발포성 재료의 누액을 차단하는 실링층을 형성함으로써, 미려한 외관을 가지며 인접하는 다른 판넬과의 체결이 용이한 건축용 복합 판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삽입공이 형성된 배치 틀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배치 틀의 삽입공에 외부 마감재를 삽입하여 배치하는 단계;
상기 외부 마감재의 사이에 실링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외부 마감재 및 실링층 상에 발포성 재료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발포성 재료 상에 베이스플레이트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발포성 재료를 발포하여 발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용 복합 판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삽입공이 형성된 배치 틀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배치 틀의 삽입공에 외부 마감재를 삽입하여 배치하는 단계;
상기 외부 마감재의 사이에 실링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외부 마감재 및 실링층 상에 발포성 재료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발포성 재료를 발포하여 발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발포층 상에 베이스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용 복합 판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형성된 발포층;
상기 발포층 상에 형성된 외부 마감재; 및
상기 외부 마감재의 사이에 형성된 실링층을 포함하는 건축용 복합 판넬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실링층은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폭시 및 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마감재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할 수 있는 배치 틀을 사용하되, 발포성 재료(발포 액)의 누액을 차단하는 실링층이 형성되어, 미려한 외관을 가지며 인접하는 다른 판넬과의 체결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배치 틀(100)의 예시적인 형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조 공정도를 보인 것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판넬의 단면도로서, 상기 제조 공정도를 통해 제조된 복합 판넬의 단면도이며,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판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넬의 제조방법은, 배치 틀(100)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배치 틀(100)을 통해 외부 마감재(30)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외부 마감재(30)의 사이에 실링층(40)을 형성하는 단계; 발포성 재료(25)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발포성 재료(25)를 발포하여 발포층(2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배치 틀(100)은 외부 마감재(30)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기 위한 것으로, 여기에는 삽입공(1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공(130)에는 외부 마감재(30)가 삽입된다. 삽입공(130)은 배치 틀(100)에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외무 마감재(30)의 개수와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넬에 외부 마감재(30) 36개를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 배치 틀(100)에 형성된 삽입공(13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36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1개의 삽입공(130)에는 1개 또는 2개 이상 의 외부 마감재(30)가 밀착,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삽입공(130)은 외부 마감재(3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외부 마감재(30)가 타일 등으로서, 그의 평면 형상(위에서 바라본 형상)이 직사각형인 경우, 상기 삽입공(130)도 직사각형인 것이 좋다. 아울러, 삽입공(130)은 외부 마감재(30)와 가능한 한 동일한 크기를 가지면 좋다.
따라서 외부 마감재(30)는 배치 틀(100)을 통해 일정 간격(T30,도 6 참조)으로 배치된다. 이때, 외부 마감재(30) 간의 간격(T30)은 삽입공(130)과 삽입공(130) 사이의 거리(T130)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마감재(30)의 돌출 높이(H30,도 11 참조)는 배치 틀(100)의 두께(H10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배치 틀(100)은 외부 마감재(30)의 형상 및 크기, 그리고 외부 마감재(30)의 돌출 높이(H30)및 외부 마감재(30) 간의 간격(T30)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배치 틀(100)은 그 재질에 있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금속재, 세라믹재, 목재 및 합성수지재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때, 배치 틀(100)을 합성수지재로 구성하는 경우, 실링층(40)과는 물론 발포층(20)을 구성하는 발포성 재료(25)와도 반응성 및 접착성이 없는 것을 사용하면 좋다. 배치 틀(100)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실링층(40)과 접촉되는 면은 이형성을 가지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배치 틀(100)은 이형성을 갖도록 실리콘 수지 및 불소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재료로 성형된 것을 사용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리콘 수지는 분자 내에 Si를 함유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분자 내에 Si-H 결합을 가지는 실란 수지, 및 분자 내에 Si-O 결합을 가지는 실리케이트 수지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소 수지는 분자 내에 불소를 함유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통상 "테프론(Teflon)"이라 불리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polytetrafluoroethylene ; PTF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배치 틀(100)은 이형제가 코팅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치 틀(100)은 금속재, 세라믹재,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 등으로부터 선택된 본체에 이형제가 코팅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형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실리콘 수지 및 불소 수지(테프론 등)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 틀(100)이 이형성을 가지는 경우, 실링층(40)과의 탈리가 용이하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넬의 제조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치 틀(100)을 통해 외부 마감재(30)를 일적 간격으로 다수 개 배치한다. 즉, 배치 틀(100)에 형성된 삽입공(130)에 외부 마감재(30)를 삽입하여,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배치한다. 이때, 외부 마감재(30)는, 그의 뒷면이 위로 향하도록 배치한다. 또한, 배치 틀(100)은 성형 몰드(M)에 내장될 수 있으며, 배치 틀(100)과 성형 몰드(M)는 일체 구조이어도 좋다.
상기 외부 마감재(30)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타일 형상이나 벽돌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마감재(30)는 천연 또는 인조 대리석이나 화 강석 등과 같은 석재, 유리를 포함하는 세라믹재, 합성수지재 또는 목재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마감재(30)는 외관성을 위한 다양한 무늬(인조 무늬 및 천연 무늬를 포함한다)나 색상 등의 표현되어 있으면 좋다.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외부 마감재(30)는 판넬의 용도가 건물 외장용일 경우에는 석재나 세라믹재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건물 내장용일 경우에는 목재나 합성수지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아울러, 외부 마감재(30)는 타일 형상으로서, 5미리미터(mm) ~ 15미리미터(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면 좋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위와 같이, 외부 마감재(30)를 배치 틀(100)을 통해 일정 간격으로 배치한 다음에는 외부 마감재(30)의 사이에 실링층(40)을 형성한다. 상기 실링층(40)은 발포층(20)을 구성하는 발포성 재료(25)의 누액을 차단하고, 발포층(20)의 균일한 표면성을 위한 것으로서, 이는 적어도 틈새(S)를 마감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외부 마감재(30)와 배치 틀(100)의 사이에는 누액이 발생될 수 있는 틈새(S)가 형성되는데, 상기 실링층(40)은 적어도 상기 틈새(S)를 마감하도록 형성된다. 실링층(4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틈새(S)를 마감함은 물론, 외부 마감재(30)와 외부 마감재(30)의 사이에 위치하여 배치 틀(100) 상에 적정 두께로 형성되어도 좋다.
상기 실링층(40)은 발포성 재료(25)가 틈새(S)로 누액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면 사용 가능하다. 실링층(40)은, 예를 들어 천연수지(및 고무) 또는 합성수지(및 고무)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실링층(40)은 외부 마감 재(30)와 접착성을 가져도 좋다. 상기 실링층(40)은,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 Ethylene Vinyl Acetate), 에폭시 및 우레탄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실리콘 수지는 분자 내에 Si를 함유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분자 내에 Si-H 결합을 가지는 실란 수지, 및 분자 내에 Si-O 결합을 가지는 실리케이트 수지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소 수지는 전술한 바와 같은 테프론(Teflon)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실링층(40)은 색상 물질을 포함하여 다양한 색상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마감재(30)는 적색의 타일이나 벽돌을 사용하고, 실링층(40)에 백색의 색상안료가 포함시킨 경우, 외부 마감재(30)의 외관성이 부각되어 미려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실링층(40)과 배치 틀(100)은 이형성을 가지면 좋다. 구체적으로, 실링층(40)과 배치 틀(10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이형성을 가지면 좋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배치 틀(100)을 이형성의 재료로 성형하거나, 이형제를 코팅하여 양자 간에 이형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실링층(40)을 이형성 재료(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 등)로 사용하여 양자 간에 이형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실링층(40)을 형성한 다음에는 발포층(20)을 구성하는 발포성 재료(25)를 도포한다. 이때, 상기 발포성 재료(25)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액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발포성 재료(25)는 몰드(M) 내에 주입되어 외부 마감재(30) 및 실링층(40) 상에 도포된다. 상기 발포성 재료(25)는 베이스 수지와 발포제를 적어 도 포함하는 액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발포성 재료(25)는 가온을 통한 열에 의해 발포될 수 있으며, 상기 발포 과정은 일정 온도와 압력이 유지되는 발포용 지그에서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발포 과정에서 발포층(20)이 형성됨과 동시에, 발포성 재료(25)의 접착성에 의해 외부 마감재(30)가 발포층(20)에 고정, 부착된다. 이때, 발포 과정은 1회 이상 수행되어, 상기 발포층(20)은 1층 또는 2층 이상의 다층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마감재(30) 및 실링층(40) 상에 발포성 재료를 주입하여 1차 발포한 다음(제1발포층 형성), 이후 상기 제1발포층 위에 발포성 재료를 재차 주입, 발포(제2발포층 형성)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2층 이상의 발포층(20)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넬의 제조방법은, 상기 발포층(20) 상에 베이스플레이트(10)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데, 이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는 발포 전에, 또는 발포 후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포성 재료(25)를 도포한 다음, 상기 발포성 재료(25) 상에 베이스플레이트(10)를 배치(안치)한 후, 발포를 통하여 형성되게 할 수 있다.(발포 전) 이때, 발포층(20)과 베이스플레이트(10)는 발포성 재료(25)의 접착성에 의해 결합력이 도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는 발포층(20)을 형성한 후에, 상기 발포층(20) 상에 접착제나 열융착 등을 통하여 결합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발포 후) 도 10은 전자의 방법으로 베이스플레이트(10)를 형성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라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포 전에, 즉 발포성 재료(25) 상에 베이스플레이트(10)를 배치(안치)한 후, 발포 과정에서 결합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는 지지력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 재질은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는 예를 들어 금속재 플레이트, 세라믹(시멘트 등) 플레이트, 천연 또는 합성 목재 플레이트, 합성수지재 플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건물의 외장용으로는 장식적 측면이나 내구성 측면에서 금속재 또는 세라믹 플레이트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내장용으로는 목재나 합성수지재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는 피착물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피착물은 건물의 벽체(내벽 또는 외벽), 바닥, 천정, 또는 이들에 고정된 브라켓 등을 포함한다.
상기 발포 과정을 진행한 다음에는 몰드(M)와 배치 틀(100)을 탈리 제거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배치 틀(10) 및 실링층(40)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은 이형성을 가짐으로 인하여, 배치 틀(10)은 용이하게 탈리 제거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넬의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상기의 과정(도 6 내지 도 10)을 통해 제조된 복합 판넬은 도 11에 보인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도 11에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넬은 베이스플레이트(1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형성된 발포층(20); 및 상기 발포층(20) 상에 형성된 외 부 마감재(30)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 마감재(30)의 사이에 형성된 실링층(40)을 더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넬은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넬은 상기 실링층(40)에 의해 미려한 외관을 갖는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실링층(40)에 의해 외부 마감재(30)와 배치 틀(100)의 틈새(S)로 발포성 재료(25)의 누액이 방지되면서, 외부 마감재(30)와 외부 마감재(30)의 사이는 실링층(40)에 의해 균일한 표면성을 확보하여 미려한 외관을 갖는다.
또한,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넬은 조립 구조(50)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조립 구조(50)는 인접하는 다른 판넬과 체결을 위한 것으로서, 이는 판넬의 측면에 형성된다. 조립 구조(50)는 예를 들어 발포층(20) 및/또는 베이스플레이트(1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립 구조(50)는 인접하는 다른 판넬과 체결이 가능한 구조이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계단 구조 또는 요철(凹凸) 구조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도 12는 조립 구조(50)로서 계단 구조를 예시한 것이며, 도 13은 조립 구조(50)로서 요철(凹凸)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넬은 각종 건축물의 내ㆍ외장재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건축물의 벽체(외벽 및 내벽)의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함과 아울러, 벽체를 보호하기 위한 내ㆍ외장재로 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넬은 건축물 의 벽체에는 물론 바닥이나 천정 등에 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마감재(30)가 배치 틀(100)에 의해 일정 간격(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외부 마감재(30)와 외부 마감재(30)의 사이가 실링층(40)을 통해 균일한 표면성이 유지되어 미려한 외관성을 갖는다. 또한, 종래와 같은 입자성 물질이 사용되지 않아 분진 발생이 없어 작업성이 개선되고 환경적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복합 판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1에 보인 종래 기술에 따른 복합 판넬의 제조 공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배치 틀의 예시적인 형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조 공정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판넬의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판넬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베이스플레이트 20 : 발포층
25 : 발포성 재료 30 : 외부 마감재
40 : 실링층 50 : 조립 구조
100 : 배치 틀 130 : 삽입공

Claims (9)

  1. 삽입공이 형성된 배치 틀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배치 틀의 삽입공에 외부 마감재를 삽입하여 배치하는 단계;
    상기 외부 마감재의 사이에 실링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외부 마감재 및 실링층 상에 발포성 재료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발포성 재료 상에 베이스플레이트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발포성 재료를 발포하여 발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용 복합 판넬의 제조방법.
  2. 삽입공이 형성된 배치 틀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배치 틀의 삽입공에 외부 마감재를 삽입하여 배치하는 단계;
    상기 외부 마감재의 사이에 실링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외부 마감재 및 실링층 상에 발포성 재료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발포성 재료를 발포하여 발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발포층 상에 베이스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용 복합 판넬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층은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폭시 및 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판넬의 제조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틀은 실리콘 수지 및 테프론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재료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판넬의 제조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틀은, 이형제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판넬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제는 실리콘 수지 및 테프론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복합 판넬의 제조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90056527A 2009-06-24 2009-06-24 건축용 복합 판넬의 제조방법 KR100927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527A KR100927483B1 (ko) 2009-06-24 2009-06-24 건축용 복합 판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527A KR100927483B1 (ko) 2009-06-24 2009-06-24 건축용 복합 판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7483B1 true KR100927483B1 (ko) 2009-11-19

Family

ID=41605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527A KR100927483B1 (ko) 2009-06-24 2009-06-24 건축용 복합 판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74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344B1 (ko) * 2018-11-19 2019-01-31 휘성개발(주) 장식패널 일체형 옹벽 단위블록
KR20190106204A (ko) * 2018-03-08 2019-09-18 (주) 보성스톤 건축물용 장식체 고정패널
KR102228865B1 (ko) * 2020-09-04 2021-03-17 주식회사 스마트지텍 단열재와 점토벽돌을 일체화한 내외장재 패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내외장재 패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6641A (ja) * 1993-12-16 1995-06-27 Yamaha Living Tec Kk 壁パネルの製法
JPH07224487A (ja) * 1994-02-10 1995-08-22 Ishikawajima Constr Materials Co Ltd Pc版タイルの製造方法
KR960007950Y1 (ko) * 1993-08-31 1996-09-19 한화종합 주식회사 조립용 판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950Y1 (ko) * 1993-08-31 1996-09-19 한화종합 주식회사 조립용 판넬
JPH07166641A (ja) * 1993-12-16 1995-06-27 Yamaha Living Tec Kk 壁パネルの製法
JPH07224487A (ja) * 1994-02-10 1995-08-22 Ishikawajima Constr Materials Co Ltd Pc版タイルの製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6204A (ko) * 2018-03-08 2019-09-18 (주) 보성스톤 건축물용 장식체 고정패널
KR102054578B1 (ko) * 2018-03-08 2019-12-10 (주) 보성스톤 건축물용 장식체 고정패널
KR101944344B1 (ko) * 2018-11-19 2019-01-31 휘성개발(주) 장식패널 일체형 옹벽 단위블록
KR102228865B1 (ko) * 2020-09-04 2021-03-17 주식회사 스마트지텍 단열재와 점토벽돌을 일체화한 내외장재 패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내외장재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11301A1 (en) Insulated wall panel
US11313134B2 (en) Wall panel
KR100959272B1 (ko) 건축용 조립식 복합 판넬 및 그 시공방법
RU2451141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екоративного узора на здании на месте нахождения
EP2789765A1 (en) Stone panel formed unitary with insulation material for covering a wa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t
KR100927483B1 (ko) 건축용 복합 판넬의 제조방법
KR100671799B1 (ko) 흡차음 스톤패널
CA3010868C (en) Wall panel
US20140047790A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decorative and facing panels and panel manufactured thereby
KR102575096B1 (ko) 건축물의 타일 시공방법
JPH1170604A (ja) 成形ボード材料及びボード成形方法
KR20110043233A (ko)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와, 이를 이용한 외단열 마감공법 및 단열 거푸집 공법
JP2007138443A (ja) 壁用板状材、その製造方法および外壁構造
KR101036236B1 (ko) 건축 외장재용 복합 판넬
KR100781970B1 (ko) 압출성형 시멘트패널
KR102573166B1 (ko) 건축물의 기능성 타일 시공방법
ES2961552T3 (es) Método de fabricación del elemento de acabado de aislamiento térmico de fachada
RU2224855C2 (ru) Элемент кровли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JP3635046B2 (ja) 建築用装飾材とその建造物への取り付け方法
JP3333027B2 (ja) タイル調化粧板付きプレキャストパネルの製造方法
TWM632569U (zh) 用於建築之多彩飾面壁板結構
JPH09125596A (ja) 建築用積層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199763A (ja) 仕上げ構造と表装材の仕上げ方法
KR20090021303A (ko) 기둥벽체
KR20140040475A (ko) 조립패널을 일체로 접합구성한 조립식 시공타일과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