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3233A -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와, 이를 이용한 외단열 마감공법 및 단열 거푸집 공법 - Google Patents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와, 이를 이용한 외단열 마감공법 및 단열 거푸집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3233A
KR20110043233A KR1020090100266A KR20090100266A KR20110043233A KR 20110043233 A KR20110043233 A KR 20110043233A KR 1020090100266 A KR1020090100266 A KR 1020090100266A KR 20090100266 A KR20090100266 A KR 20090100266A KR 20110043233 A KR20110043233 A KR 20110043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particles
building
exterior
fiber cloth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0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국
김기홍
이창섭
Original Assignee
(주)폴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폴머 filed Critical (주)폴머
Priority to KR1020090100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3233A/ko
Priority to PCT/KR2010/005929 priority patent/WO2011028020A2/ko
Publication of KR20110043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2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2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plastics
    • E04C2/20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plastics of foamed plastics, or of plastics and foamed plastics, optionally reinforc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에 대한 표면 마감과 단열시공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는 복합 기능성의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와 이를 이용한 외단열 마감공법 및 이를 건축물의 골조 형성시에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겸 외단열재로 사용하는 단열 거푸집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는, 발포 수지 입자들의 융착에 의해 이루어진 발포 성형물의 표면에, 발포 수지 입자가 침투할 수 있는 수많은 공극 또는 발포 수지 입자의 표면에 침투할 수 있는 수많은 보풀을 가진 형태의 섬유포가 융착되어 일체화된 것으로서, 상기 섬유포의 표면에는 타일형 외장재가 접착되어 있는 것을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발포, 단열, 섬유포, 타일, 외장, 거푸집, 마감, 콘크리트

Description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와, 이를 이용한 외단열 마감공법 및 단열 거푸집 공법{Heat insulating panel, method of finishing exterior heat insulation of a building, and heat insulaing mould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에 대한 표면 마감과 단열시공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는 복합 기능성의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와 이를 이용한 외단열 마감공법 및 이를 건축물의 골조 형성시의 콘크리트 거푸집 겸 외단열재로 사용하는 단열 거푸집 공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단열성능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단열공법은, 단열재의 사용 위치에 따라서 내단열, 외단열 및 중단열로 구분되는데, 이 중에서 외단열공법은 건축물의 외부에 단열재를 부착하고 단열재의 낮은 내구성과 내충격성을 보완해 줄 수 있는 외부 마감재료로 단열재의 외부를 마감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건축물의 외부를 단열재로 완전히 감싸주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단열 불연속부위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미 지어진 건축물의 외부에도 시공 가능하다는 큰 장점이 있다.
그러나, 단열재 외부 마감자재의 균열발생 또는 흡수로 인해 투습현상이 발 생하여 단열재가 젖게 되면 단열재의 단열성능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 고내구성과 투습저항이 큰 마감자재가 적용되어야 한다는 제한사항이 있다.
한편, 건물의 외벽을 장식 마감하는 외장 마감공법에는 대리석과 같은 석재 마감, 타일 마감, 드라이비트 마감 등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각각의 외장 공법에 대해 살펴 보면, 먼저 대리석과 같은 석재를 이용한 석재 마감 방법은 최근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건축물의 외벽을 마감하는 방법으로서, 내구성이 우수한 장점은 있지만, 깨지기 쉬우며, 중량이 높아서 작업성이 떨어지고, 단열 기능이 거의 없어 별도의 단열 공사 후에 시공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입체적인 볼륨이나 색상이 가미된 디자인의 연출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타일 마감은 도기재질 등의 타일을 몰탈을 이용하여 벽면에 붙이고 타일 사이에는 다시 몰탈을 채워넣어 마감하는 방법으로서, 가장 전통적인 건축물의 마감공법으로 석재와 비교하여 내구성이 조금 떨어지는 단점은 있지만, 경제적이며 서로 다른 색상의 타일을 이용하여 색상적인 요소가 가미된 디자인의 연출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렇지만, 석재와 마찬가지로 단열의 기능을 기대할 수 없고, 비교적 작은 크기의 타일을 몰탈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벽에 하나씩 부착하여야 하므로 인력의 소모가 많으며, 건축물과 일률적인 접착성을 기대할 수 없어, 흔히 일부 타일이 떨어지는 하자가 빈번히 발생하는 단점이 있으며, 건축물의 외부에 평면적인 마감만 가능할 뿐 입체적인 볼륨을 주는 미적인 연출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드라이비트 마감은 상술한 기존 외벽 마감 공법들의 공통적인 단점인 단열기능의 부재를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건축물의 외벽에 단열재를 접착시킨 후에, 상품명 '드라이비트'라고 불리우는 수지성분과 혼합된 몰탈을 이용하여 단열재의 외부를 마감하는 공법이다.
이 방법에 의하면 건축물의 외부를 모두 단열재로 둘러싸는 것이 가능하여 단열성이 우수한 장점은 있지만, 외부 마감부위 표면의 치밀성이 상술한 대리석 또는 타일의 경우보다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에, 오염문제가 발생하고, 몰탈층의 강도가 약하여 쉽게 균열이 발생하거나 건축물과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등 내구성의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것과 같은 단열성이 저하된 기존 건축물의 단열보강공사 또는 신축 건축물의 미려한 외벽 형성을 위해 실시되는 외단열공법 및 건축물 외벽의 외장 마감 공법에 있어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우수한 단열성능 가지면서도 색상과 재질의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외단열 및 표면의 외장 마감 공법을 간단한 공정에 의해 동시에 실시할 수 있는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와 이를 이용한 외단열 마감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를 건축물 신축시에 사용되는 거푸집 공법에 응용하여, 콘크리트의 골조형성과 외벽의 단열 및 외장 마감을 일시에 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거푸집 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의 구성은,
발포 수지 입자들의 융착에 의해 이루어진 발포 성형물의 표면에, 발포 수지 입자가 침투할 수 있는 수많은 공극 또는 발포 수지 입자의 표면에 침투할 수 있는 수많은 보풀을 가진 형태의 섬유포가 융착되어 일체화된 것으로서, 상기 섬유포의 표면에는 타일형 외장재가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는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포 수지 입자가 침투할 수 있는 수많은 공극 또는 발포 수지 입자의 표면에 침투할 수 있는 수많은 보풀을 가지는 형태의 섬유포의 일면에, 타일형 외장재를 부착하는 단계와,
발포 성형기의 일측으로 상기 타일형 외장재가 부착된 섬유포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발포 성형기에 상기 발포성 수지 입자, 또는 발포성 수지 입자를 1차 발포하여 얻어지는 예비 발포 수지 입자 또는 이들이 혼합된 형태의 수지 입자를 함께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발포 성형기 내로 스팀을 공급하여, 상기 수지 입자가 발포하면서 발포 수지 입자들이 상호 융착하고, 발포된 수지 입자의 용융된 표면이 상기 섬유포의 공극에 침투하거나 섬유 보풀이 상기 발포 수지 입자의 표면에 침투되면서 발포 수지 입자와 섬유포가 상호 융착되어 일체화되도록 하는 발포 성형단계.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는 기본적으로는 판재 형태의 발포 성형물을 이용한 것으로서, 후술하는 것과 같은 건축물의 외단열 마감공법에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응용된 형태에 따른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에 있어서는, 상기 발포 성형물은 외판과 내판 및 이들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거푸집 형태이고, 상기 외판의 표면에 상기 타일형 외장재가 접착된 섬유포가 융착되어 거푸집 형태의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를 구성하게 되고, 이를 후술하는 것과 같은 건물의 콘크리트 골조 형성시의 단열 거푸집 공법에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외단열 마감공법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를 시공할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한 후, 상기 타일형 외장재간의 틈새 및 상기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간의 연결부위에 유동성의 마감재를 부여하여, 상기 유동성 마감재가 섬유포에 침투된 후 고화되어 마감층을 형성하도록 하여 마감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열 거푸집 공법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형태의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에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여 양생하고, 상기 타일형 외장재간의 틈새 및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간의 연결부위에 유동성의 마감재를 부여하여, 상기 유동성 마감재가 섬유포에 침투, 고화되어 마감층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마감처리하여, 상기 거푸집 형태의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를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건축물의 벽면에 존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판재 형태이건 거푸집 형태이건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들은, 상기 타일형 외장재간의 틈새로 유동성의 마감재를 부여하여, 상기 섬유포에 상기 유동성 마감재가 침투된 상태에서 고화되어 이루어진 마감층을 더 형성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마감층이 형성된 형태의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들을 사용할 경우, 상술한 외단열 마감공법 또는 단열 거푸집 공법의 시공시에, 이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를 시공할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하거나 또는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후, 타일형 외장재들 사이에는 별도의 마감처리를 할 필요가 없 이, 단열재들의 연결부위에만 유동성 마감재를 부여하여 간단하게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는 발포 수지 및 섬유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우수한 단열성능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포 성형시의 성형틀의 형상이나 타일형 외장재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색상과 질감 및 입체 효과의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어 건축물의 외관에 이러한 디자인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에 있어서는, 넓은 표면적을 가지는 고강도의 섬유포에 타일형 외장재가 접착에 의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타일형 외장재의 접착성이 우수하여 이들의 탈리에 의한 건축물 외관 손상의 염려가 낮을 뿐만 아니라, 마감된 건축물 외벽 표면의 높은 내오염성과 내구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를 이용하여 외단열 마감공법을 실시할 경우, 발포 수지에 의한 우수한 단열성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를 건축물 외벽에 부착한 후, 섬유포 부분에 몰탈이나 침투성 액상 경화물질과 같은 유동성 마감재를 침투시켜 균일하고 치밀한 마감층을 형성할 수 있어 섬유포의 표면 보강과 타일형 외장재의 접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외단열 마감공법은, 타일형 외장재가 부착된 형태로 제조되기 때문에, 시공시에는 작업자가 건축물 외벽에 올라가서 일일이 타일형 외장재 등의 외장재를 부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간편하고 빠르게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공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 거푸집 공법은, 거푸집 형태의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를 제조하여 콘크리트 골조 형성시의 거푸집으로 사용하고, 콘크리트의 양생 이후에도 이 거푸집을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단열재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포 성형물의 표면에 부착된 타일형 외장재에 의해 외장 마감효과까지 얻을 수 있어, 건축시간과 인력을 대폭 절감하여 건축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의 제조시에 공장에서 타일형 외장재간의 틈새로 유동성의 마감재를 부여하여, 상기 섬유포에 상기 유동성 마감재가 침투된 상태에서 고화되어 이루어진 마감층을 더 형성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술한 외단열 공법과 단열 거푸집 공법의 시공시에 타일형 외장재 사이에 별도의 마감공정없이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 사이에만 마감처리함으로써 시공을 완료할 수 있어, 시공에 따른 시간과 인력, 경비를 더욱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와 이를 이용한 외단열 마감공법 및 단열 거푸집 공법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의 각 구성요소 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의 제조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에 몰탈을 부여하여 경화시킨 형태의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에서 도시된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1)는, 발포 수지 입자의 발포 성형에 의해 이루어진 판재형의 발포 성형물(10)의 일면에, 타일형 외장재(30)가 접착된 형태의 섬유포(20)가 융착된 형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예를 보여 준다.
상술하면, 상기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1)는, 발포성 수지 입자(11)를 1차 발포하여 얻어진 예비 발포 입자(12)를 재차 발포하면서 서로 융착시켜 판상으로 성형한 판재형의 발포 성형물(10)의 일면에,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고강력의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보풀이 많은 부직포 형태의 섬유포(20)를 융착시켜 일체화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섬유포(20)에는 타일형 외장재(30)가 접착되어 있어, 발포 성형물(10)의 표면에 대한 내구성과 내마모성 등을 보강하면서 건물의 외벽에 대한 마감과 장식 효과도 발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부직포는 구성 섬유들을 실로 만들지 않고 서로 얽히게 하여 포지형태로 만든 것으로서, 실을 만들어 포지를 형성한 일반적인 직물이나 편물에 비해 표면에 돌출된 섬유털, 즉 보풀(21)이 더 많이 그리고 불규칙적한 방향으로 표출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개개의 섬유 보풀(21)들이 발포 성형 물(10)의 표층에 존재하는 발포 수지 입자(13)와 접촉하여 그 내부로 침투함으로써, 서로간에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질 뿐만 아니라, 2차원적 면결합이 아니라 입체 적인 결합을 형성하기 때문에, 섬유포(20)가 발포수지입자(13)와 매우 견고하게 결합되어 발포 성형물(10)과 일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부직포를 인위적으로 발포 성형물로부터 박리하고자 당겨도 쉽게 분리되지 않고, 부직포 자체의 변형이 이루어질 정도의 강력한 힘으로 당길 경우에라야 겨우 분리되며, 일부분에 분리가 일어나더라도 그 분리상태가 전파되면서 전체적으로 분리가 지속되는 성질을 갖지 않아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부직포가 아닌 직물이나 편물 형태도 기모물이라든가 긴 잔털이 많이 표출된 형태의 실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이와 같은 원리에 의해 융착이 이루어지는 부분의 발포 수지 입자(13)와 강력하고 견고한 결합상태를 이룰 수 있다.
반대로 발포 수지 입자(13)가 침투할 수 있는 공극이 많이 형성된 형태의 섬유포도 발포 수지 입자와의 접촉 면적이 넓고 입체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다.
다만, 후술하는 유동성 마감재의 흡수 능력이나 타일형 외장재와의 접착강도, 충격완화 등의 측면에서, 섬유포(20)로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것과 같이 고강력 섬유소재로 이루어지고 긴 보풀(21)이 많이 형성된 두터운 부직포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타일형 외장재(30)는 주로 도기, 토기, 유리, 금속, 석재, 플라스틱, 목재 등과 같이 건축물의 외벽 장식 마감에 사용되는 각종 재질을 타일과 같은 형태로 가공하여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하여 부착한 것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하여 배열하거나, 색상이나 재질을 달리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등의 다양한 형태로 상기 섬유포(20) 상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한다. 상기 타일형 외장재(30)를 접착하는 접착제로는 후술하는 침투성 액상 경화물질과 같은 유동성 마감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예컨대 도기용 접착제 등과 같이 각 타일형 외장재의 특성에 맞는 다른 성분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발포 수지 입자로 이루어진 판재형의 발포 성형물(10)는 단순한 평판상으로 성형이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성형틀의 형태에 따라 원하는 시각적 효과를 갖도록 표면에 다양한 입체적 패턴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1)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2의 (가)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 발포성 폴리스티렌과 같은 발포성 수지 입자(11)를 1차 발포하여 (나)에서 보는 것과 같은 예비 발포 입자(12)를 만든다.
1차 발포는 통상 발포성 수지 입자(11)에 고온의 스팀을 가하여 용도에 맞게 원하는 배율로 팽창시킨다. 1차 발포 후에는 얻어진 예비 발포 입자(12)를 건조하고 숙성하여 사일로(120)에 저장해 두었다가 성형에 사용한다.
한편, (다)에서 보는 것과 같이 섬유포(20)를 준비하고, 그 위에 접착제를 도포한 타일형 외장재(30)를 원하는 형태로 배열하고 가압하여, 섬유포(20)상에 타일형 외장재(30)를 접착시켜 준비한다.
그리고는, (라)에서 보는 것과 같이, 발포 성형 장치(100)의 성형틀(110)내 에 상기 타일형 외장재(30)가 부착된 섬유포(20)를 공급하여 성형틀(110)내에 섬유포(20)를 장착한 후에, (마)에서와 같이 사일로(120)에 저장된 예비 발포 입자(12)를 성형틀내로 공급하여, 섬유포(20) 위에 예비 발포 입자(12)들이 쌓이도록 한다.
이때, 예비 발포 입자(12)를 공급한 상부에 다시 타일형 외장재는 부착하지 않은 섬유포(20)를 공급하여 예비발포입자(12)의 상하에 섬유포가 위치하도록 하여, 발포 성형 판재(10)의 이면측에도 섬유포가 융착되도록 하여 성형 발포 판재의 내구성을 보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섬유포(20)와 예비 발포 입자(12)의 투입이 완료되면, (바)에서와 같이 고온 고압의 스팀을 성형틀(110)내로 공급하여, 예비 발포 입자(12)의 연화와 발포제의 발포에 의해 발포 수지 입자(13) 서로간의 융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발포 수지 입자(13)의 팽창 압력에 의해 섬유포(20)와 발포 수지 입자(13)들은 서로 밀착한 채로 고온에 의해 표면이 연화된 발포 수지 입자(13)가 섬유포(20)와 융착하게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섬유포(20)의 표면에 표출된 섬유 보풀(21)들은 일부 발포수지 입자(13)의 내부에까지 침투하여 서로 견고하게 융착되어 일체화된다.
이와 같은 발포 성형에 의해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1)의 성형이 완료되면, (사)에서 보는 것과 같이 일정 온도까지 냉각한 후, 성형틀(110) 외부로 배출하고, 건조 숙성과정을 거치고, 경우에 따라 원하는 크기와 형태로 절단하는 등의 과정을 거쳐 최종 제품화된다.
한편,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발포성 수지 입자를 1차 발포하여 얻은 예비발포 입자를 이용하여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 판재를 제조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발포 비율이 낮은 경우 등에는 1차 발포과정을 생략하고 발포성 수지 입자를 직접 발포 성형기의 성형틀 내에 주입하여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 판재를 성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상술한 다른 구성들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중 섬유포(20)를 성형틀(110) 내에 공급하는 단계에서, 발포하지 않은 상태의 작은 알갱이 상태의 발포성 수지 입자(11)를 섬유포(20)의 섬유 보풀(21)들 사이에 소량 올려 놓은 상태로 공급하고, 발포 성형장치내에서 예비발포입자를 추가로 공급하여 발포 성형을 하면, 상기 발포성 수지 입자(11)가 섬유 보풀(21)들 사이에서 발포 하면서 섬유 보풀들과 융착하고, 또한 다른 발포 수지 입자(13)들과 융착하면서 더욱 견고하게 결합된 섬유보강 발포 수지 성형물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이렇게 제조되는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1)는, 시공할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한 후, 상기 타일형 외장재(30)간의 틈새로 유동성의 마감재를 부여하여, 상기 유동성 마감재가 섬유포에 침투된 후 고화되어 마감층을 형성시키도록 하는 외단열 마감공법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유동성 마감재로는 타일이나 벽돌의 줄눈 작업 등에 널리 사용되는 시멘트 몰탈을 포함하는 형태 또는 침투성 액상 경화물질과 같은 다양한 공지의 유동성 마감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시멘트 몰탈을 포함하는 형태는, 시멘트와 물을 반죽한 시멘트 몰탈 뿐 만 아니라, 여기에 아크릴이나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코폴리머와 같은 고분자 에멀젼 수지를 더 첨가한 형태의 것을 포함하며, 상기 침투성 액상 경화물질로는 아크릴 실란트나 실리콘 실란트와 같은 형태를 들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것과 같이 발포 성형이 완료된 이후에, 타일형 외장재(30)들간의 틈새로 상술한 유동성 마감재를 투입하여,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섬유포에 시멘트 몰탈이 침투되어 고화되도록 하여 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섬유포(20) 상에 마감층(40)을 형성하여, 타일형 외장재(30)와 섬유포(20)간의 접착성 향상과, 섬유포의 보강, 내수성 향상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마감층(40)이 형성된 형태의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를 이용하여, 상술한 것과 같은 외단열 마감공법을 시공할 경우에는, 시공과정에서는 상술한 유동성 마감재에 의한 마감처리를 대부분 생략하고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만 상술한 유동성 마감재를 부여하여 고화시킴으로써 마감처리를 할 수 있다.
도 4는 상술한 판재형의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에서 발포 성형물의 형태가 변형된 응용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형태의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거푸집 형태의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1')는 외판(10a)과 내판(10b) 및 이들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0c)를 포함하는 블록형 콘크리트 거푸집 형태의 발포 성형물(10')의 상기 외판(10a)의 표면에 상기 타일형 외장재(30)가 접착된 섬유포(20)가 융착된 형태이다. 그리고, 상기 타일형 외장재(30)간의 틈새에 침투성 액상 경화물질을 부여하여 섬유포(20)에 침투, 고화되도록 함으로써 마감층(40')을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거푸집 형태의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1')를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적층, 배열하여 원하는 건물의 외벽 형태를 만든 후, 외판(10a)과 내판(10b) 사이에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여 양생시킴으로써, 건축물의 콘크리트 골조를 형성할 수 있다.
투입된 콘크리트 몰탈의 양생 후에도 이 거푸집 형태의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1')는 제거하지 않으며, 연결부위에만 상기 침투성 액상 경화물질을 부여하여 마감처리함으로써, 콘크리트 골조의 내외측에 단열재가 처리되고, 외벽 표면에는 타일형 외장재(30)가 부착되고 마감처리가 된 벽면을 완성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타일형 외장재(30)간에 마감층(40')을 형성하지 않은 형태의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 타설 이후에, 타일형 외장재들의 틈새와 단열재들의 연결부위에 유동성의 마감재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유동성 마감재가 섬유포에 침투된 후 고화되어 마감층을 형성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의 각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의 제조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1의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에 몰탈을 부여하여 경화시킨 형태의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형태의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
1': 거푸집형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
10: 판재형 발포 성형물
10': 거푸집형 발포 성형물
20: 섬유포
30: 타일형 외장재
40, 40': 마감층
100: 발포 성형 장치

Claims (13)

  1. 발포 수지 입자들의 융착에 의해 이루어진 발포 성형물의 표면에, 발포 수지 입자가 침투할 수 있는 수많은 공극 또는 발포 수지 입자의 표면에 침투할 수 있는 수많은 보풀을 가진 형태의 섬유포가 융착되어 일체화된 것으로서, 상기 섬유포의 표면에는 타일형 외장재가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포는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포와 근접한 위치의 발포 수지 입자는 발포성 수지 입자가 발포되어 형성된 것이고, 상기 섬유포와 떨어진 위치의 발포 수지 입자는 발포성 수지 입자를 1차 발포한 예비 발포 수지 입자가 발포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
  4. 제 1항에 있어서, 발포성형기에 타일형 외장재가 접착된 형태의 섬유포와, 발포성 수지 입자 또는 예비발포 수지 입자, 또는 이들이 혼합된 형태의 수지 입자를 함께 공급하고, 상기 수지 입자를 발포 성형함으로써, 표면이 연화된 발포 수지 입자의 표면과 섬유포가 발포 성형 과정중에 서로 융착되도록 하여 제조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
  5.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
    발포 수지 입자가 침투할 수 있는 수많은 공극 또는 발포 수지 입자의 표면에 침투할 수 있는 수많은 보풀을 가지는 형태의 섬유포의 일면에, 타일형 외장재를 부착하는 단계와,
    발포 성형기의 일측으로 상기 타일형 외장재가 부착된 섬유포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발포 성형기에 상기 발포성 수지 입자, 또는 발포성 수지 입자를 1차 발포하여 얻어지는 예비 발포 수지 입자 또는 이들이 혼합된 형태의 수지 입자를 함께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발포 성형기 내로 스팀을 공급하여, 상기 수지 입자가 발포하면서 발포 수지 입자들이 상호 융착하고, 발포된 수지 입자의 용융된 표면이 상기 섬유포의 공극에 침투하거나 섬유 보풀이 상기 발포 수지 입자의 표면에 침투되면서 발포 수지 입자와 섬유포가 상호 융착되어 일체화되도록 하는 발포 성형단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포를 공급하는 단계에서 상기 섬유포 상에 발포성 수지 입자를 올려 놓은 상태로 섬유포를 공급한 후, 발포 성형기 내에 예비 발포 수지 입자를 더 공급하여 발포 성형함으로써, 상기 발포성 수지 입자가 섬유포 의 공극 또는 보풀 사이에서 발포하면서 섬유포 및 다른 발포 수지 입자와 서로 융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형 외장재간의 틈새로 유동성의 마감재를 부여하여, 상기 섬유포에 상기 유동성 마감재가 침투된 상태에서 고화되어 이루어진 마감층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성형물은 외판과 내판 및 이들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거푸집 형태이고, 상기 외판의 표면에는 상기 타일형 외장재가 접착된 섬유포가 융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형태의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
  9.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형 외장재간의 틈새로 유동성의 마감재를 부여하여, 상기 섬유포에 상기 유동성 마감재가 침투된 상태에서 고화되어 이루어진 마감층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형태의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
  10.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를 시공할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한 후, 상기 타일형 외장재간의 틈새 및 상기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간의 연결부위에 유동성의 마감재를 부여하여, 상기 유동성 마감재가 섬유포에 침투된 후 고화되어 마감층을 형성하도록 하여 마감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마감공법.
  11. 제 7항에 따른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를 시공할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하고,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간의 연결부위에 유동성 마감재를 부여하여, 상기 유동성 마감재가 섬유포에 침투된 후 고화되어 마감층을 형성하도록 하여 마감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 마감공법.
  12. 제 8항에 따른 거푸집 형태의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에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여 양생하고, 상기 타일형 외장재간의 틈새 및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간의 연결부위에 유동성의 마감재를 부여하여, 상기 유동성 마감재가 섬유포에 침투, 고화되어 마감층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마감처리하여, 상기 거푸집 형태의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를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건축물의 벽면에 존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거푸집 공법.
  13. 제 9항에 따른 거푸집 형태의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에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여 양생하고, 상기 거푸집 형태의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간의 연결부위에 유동성 마감재를 부여하여, 상기 유동성 마감재가 섬유포에 침투, 고화되어 마감층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마감처리하여, 상기 거푸집 형태의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를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건축물의 벽면에 존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거푸집 공법.
KR1020090100266A 2009-09-02 2009-10-21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와, 이를 이용한 외단열 마감공법 및 단열 거푸집 공법 KR2011004323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266A KR20110043233A (ko) 2009-10-21 2009-10-21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와, 이를 이용한 외단열 마감공법 및 단열 거푸집 공법
PCT/KR2010/005929 WO2011028020A2 (ko) 2009-09-02 2010-09-01 섬유보강 발포 수지 성형물과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단열 공법 및 단열 거푸집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266A KR20110043233A (ko) 2009-10-21 2009-10-21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와, 이를 이용한 외단열 마감공법 및 단열 거푸집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233A true KR20110043233A (ko) 2011-04-27

Family

ID=44048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0266A KR20110043233A (ko) 2009-09-02 2009-10-21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와, 이를 이용한 외단열 마감공법 및 단열 거푸집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323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227B1 (ko) * 2011-05-11 2013-09-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단열패널 결합부재 및 단열패널 결합방법
KR20160069632A (ko) 2014-12-09 2016-06-17 대안스틸 주식회사 단열재 이음부 매꿈수단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이음부 매꿈방법
KR102326131B1 (ko) 2021-05-28 2021-11-12 유도건 단열 일체형 외장 패널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227B1 (ko) * 2011-05-11 2013-09-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단열패널 결합부재 및 단열패널 결합방법
KR20160069632A (ko) 2014-12-09 2016-06-17 대안스틸 주식회사 단열재 이음부 매꿈수단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이음부 매꿈방법
KR102326131B1 (ko) 2021-05-28 2021-11-12 유도건 단열 일체형 외장 패널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99677A (zh) 复合陶板饰面一体化板及其加工工艺
KR20110043233A (ko)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와, 이를 이용한 외단열 마감공법 및 단열 거푸집 공법
RU2664080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ногослойного формованного изделия, а также многослойное формованное изделие для теплоизоляции зданий
JP2012500736A (ja) ブロック型および方法
WO2006088364A1 (en) Building element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0927483B1 (ko) 건축용 복합 판넬의 제조방법
CA1232743A (en) Method of producing composite boards
KR101115564B1 (ko) 개선된 건축용 복합단열재 및 이의 생산방법
WO2011028020A2 (ko) 섬유보강 발포 수지 성형물과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단열 공법 및 단열 거푸집 공법
JP2005068782A (ja) 下地パネル、外壁化粧方法及びpcカーテンウォール
CN206428841U (zh) 保模一体化保温板
KR101181751B1 (ko) 조립식 천연석재판
JP3189091B2 (ja) コンクリート用化粧型枠、及びそれを使用した コンクリート表面の化粧施工方法
US202303648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rchitectural blocks with stone-like appearance
CZ247395A3 (en) Insulating profiled part in the form of a panel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reof
RU202106U1 (ru) Стро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CN101122156A (zh) 一种纤维增强板复合发泡水泥保温砌材及其生产方法
KR20060109210A (ko) 건축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N206337767U (zh) 保温结构及保温装饰一体化板
JP2617141B2 (ja) 表面装飾のコンクリート製品又は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製造法並びに非硬化被覆材
JPH07195322A (ja) 砂岩調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プレキャストパネルの製造方法
KR101203447B1 (ko) 건축장식용 복합 천연석재 및 그 복합방법
JPH03146337A (ja) 複合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92045A (ja) 天然石模様成型板の製造・成型方法
JPH04118425A (ja) 石型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石型枠を使用した壁面施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