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9210A - 건축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9210A
KR20060109210A KR1020050031556A KR20050031556A KR20060109210A KR 20060109210 A KR20060109210 A KR 20060109210A KR 1020050031556 A KR1020050031556 A KR 1020050031556A KR 20050031556 A KR20050031556 A KR 20050031556A KR 20060109210 A KR20060109210 A KR 20060109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on
mortar
building panel
coating
insul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1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순호
남천우
Original Assignee
현순호
남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순호, 남천우 filed Critical 현순호
Priority to KR1020050031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9210A/ko
Publication of KR20060109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92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한 길이와 폭 그리고 두께를 갖고 설치되는 단열재인 스티로폼 또는 우레탄 수지의 표면에 도막 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건축용 패널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어느 일 측면에 스크래치가 형성되며 스티로폼, 폴리우레탄 폼, 범용 고무 및 플라스틱 고분자 재료, 고무발포 보온 단열재, 무기질 섬유, 식물성 섬유, 재생 섬유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합재인 것을 포함하고, 스크래치가 형성된 상기 단열재의 어느 일 측면에는 시멘트, 규사, 황토 중 어느 하나의 재질 또는 그 혼합물이 아크릴 수지와 혼합되어 경화된 도막 층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단열재의 표면에 모르타르를 직접 도포 함으로써 마감재인 타일이나 대리석의 부착을 용이하게 한다.

Description

건축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Insulator panel for using architecture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건축용 패널 제조방법을 보인 공정도.
도 2의 a 내지 e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패널의 제조공정을 보인 예시도.
도 3의 a 내지 b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건축용 패널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단열재 20;반죽물
30;건조로 40;내장용 퍼터
본 발명은 건축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열재의 표면에 모르타르를 직접 도포 함으로써 마감재인 타일이나 대리석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건축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건축용 단열재로 쓰이는 대표적인 제품은 스티로폼(또는 우레탄 폼)을 들 수 있다.
스티로폼은 발포 수지로서 건축물의 내, 외벽 또는 천장이나 바닥 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모르타르에 의해 덧씌워지며 방음 및 단열의 기능을 한다.
상기와 같은 스티로폼은 사용 후 버려지면 환경을 오염하는 산업 폐기물로 가능하면 사용을 권유하고 있지 않지만, 뚜렷한 대체용품이 개발되지 않아 건축 현장에서는 필요악이 될 정도이다.
한편, 스티로폼은 단열 및 방음을 위해 건물의 내, 외 벽면 또는 바닥 면에 설치되는데, 예를 들어 건물의 내, 외 벽면에 설치될 경우 그 외면에 모르타르를 씌운 후 다시 그 위에 타일이나 대리석 등 마감재를 부착하여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건물의 내, 외 벽면(또는 슬라브)에 단열재를 설치할 경우에는 스티로폼의 한 면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내, 외 벽면에 부착하고, 다른 쪽 면에는 모르타르를 도포한 후 그 위에 타일이나 대리석을 부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단열재의 표면에 모르타르를 도포한 후 모르타르가 경화되면 다시 그 위에 타일이나 대리석을 부착할 때에는 단열재의 재질 특성상 그 위에 모르타르의 부착이 용이하지 않았다.
따라서, 마감재로서 타일이나 대리석의 부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단열재의 표면에 별도의 그물 형상을 갖는 부직포를 배치한 후 다시 그 위에 모르타르를 도포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 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에 있어서는 단열재의 위에 부직포를 배치한 후 그 상측에 접착제가 혼합된 모르타르를 부직포의 위에 덧씌우는 동안에 부직포가 움직이며 유동이 발생되어 원활하게 모르타르의 덧씌움 작업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그물 형상의 부직포를 단열재 위에 배치한 후 그 위에 모르타르를 덧씌웠을 때 모르타르의 부착력이 오히려 부직포에 의해 저하되었고 그 결과 모르타르가 경화된 후 부직포가 모르타르와 함께 단열재의 전 면에서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공정들에 의해 완성되는 단열재를 실내의 벽면에 부착하고 그 위에 마감재로써 타일이나 대리석을 접착할 경우 단열재가 방음 및 단열의 효과는 있지만, 수분 흡수 등의 기능은 충분히 수행할 수 없어 습기에 의한 곰팡이 등의 문제점은 해결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건축용 패널(또는 단열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열재의 표면에 모르타르를 직접 도포 함으로써 마감재인 타일이나 대리석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건축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그물 형상의 부직포를 요하지 않은 상태에서 단열재 위에 모르타르를 직접 부착하며 그 작업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제품의 생산 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열재의 표면에 거칠기가 다른 모르타르를 선택적으로 균일하게 도포함은 물론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건축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음 및 단열의 기능뿐만 아니라 수분 흡수의 기능도 부여함으로써 습기 및 그에 따른 곰팡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기술적 해결수단은, 일정한 길이와 폭 그리고 두께를 갖고 설치되는 단열재인 스티로폼 또는 우레탄 수지의 표면에 도막 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건축용 패널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어느 일 측면에 스크래치가 형성되며 스티로폼, 폴리우레탄 폼, 범용 고무 및 플라스틱 고분자 재료, 고무발포 보온 단열재, 무기질 섬유, 식물성 섬유, 재생 섬유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합재인 것을 포함하고, 스크래치가 형성된 상기 단열재의 어느 일 측면에는 시멘트, 규사, 황토 중 어느 하나의 재질 또는 그 혼합물이 아크릴 수지와 혼합되어 경화된 도막 층으로 구비된 건축용 패널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구성 예는, 상기 도막 층은 스프레이에 의해 분사 코팅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구성 예는, 상기 도막 층은 상 기 단열재의 양쪽 면에 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구성 예는, 상기 도막 층의 표면에는 내장용 퍼터가 더 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상기 아크릴 수지는 15%~30%의 고형분이 함유된 것을 더 포함하는 건축용 패널.
본 발명의 제2 기술적 해결수단은, 스티로폼, 폴리우레탄 폼, 범용 고무 및 플라스틱 고분자 재료, 고무발포 보온 단열재, 무기질 섬유, 식물성 섬유, 재생 섬유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합재로 이루어진 모재인 단열재를 배치하는 배치단계; 시멘트, 규사, 황토 중 어느 하나의 원료또는 그 혼합물에 대해 선택된 비율로 아크릴 수지를 혼합하여 반죽하는 반죽단계; 상기 단열재를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에 의해 이동시키며 그 표면에 상기 반죽단계의 반죽물을 분사 코팅하는 코팅단계; 및 상기 코팅단계에 의해 코팅된 반죽물을 상온에서 방치하거나 60??~90??의 온도를 유지하는 건조로를 통과시키며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건축용 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1 구성 방법은, 상기 코팅단계는 상기 단열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대해 반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2 구성 방법은, 상기 건조단계의 완료 후 코팅 층의 표면에 내장용 퍼터를 도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 공정을 보인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제조 공정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한다.
배치단계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단열재는 스티로폼, 폴리우레탄 폼, 범용 고무 및 플라스틱 고분자 재료, 고무발포 보온 단열재, 무기질 섬유, 식물성 섬유, 재생 섬유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합재로 이루어진 모재인 단열재(10)가 사용된다.
반죽단계
상기 반죽물(20)은 아크릴 수지에 대해 시멘트, 규사, 황토 중 어느 하나의 원료가 혼합될 수 있지만, 시멘트와 규사, 또는 규사와 황토 등의 혼합물이 혼합될 수 있다.
또 아크릴 수지는 내부에 15%~30%의 고형분이 혼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시멘트와 규사 또는 황토 등의 혼합물이 서로 혼합 반응되도록 별도의 계면 활성제와 응고 방지제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죽물은 필요한 점도에 따라 아크릴 수지와 혼합물을 1:1의 비율로 섞거나 또는 아크릴 수지를 적게 혼합물을 많게 섞을 수도 있고 반대로 아크릴 수지를 많게 혼합물을 적게 섞을 수도 있다.
코팅단계
상기와 같이 모재인 단열재(10)와 반죽물이 준비되면 상기한 단열재(10)는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또는 롤러가 배열된 각종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며 그 표면에는 분사(또는 스프레이)코팅에 의해 상기와 같은 반죽물, 즉 시멘트, 규사, 황토 중 어느 하나의 원료 또는 그 혼합물이 아크릴 수지와 혼합되어 반죽된 반죽물(20)이 분사 코팅에 의해 덧씌워진다.
상기 반죽물(20)이 상기 단열재(10)의 표면에 효과적으로 코팅되기 위해서는 단열재(10)의 표면에 별도의 스크래치를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이와 같은 반죽물(20)은 원료가 담겨진 통 내부에서 원료들이 경화되거나 침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아지테이터 등을 설치하여 계속적으로 혼합된 상태에서 덧 씌워진다.
건조단계
상기와 같이 단열재(10)의 표면에 반죽물(20)이 덧씌워진 상태에서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면 별도로 보관되어 상온에서 건조되거나 또는 대량생산을 요할 경우에는 60℃~90℃의 온도를 유지하는 건조로(30)를 통과시키며 건조된다.
상기한 온도가 60℃ 이하일 경우에는 대량생산을 위하여 반죽물을 빨리 건조시키기 곤란하고, 90℃ 이상일 경우에는 반죽물의 건조속도는 빠르지만 특히 단열재를 스티로폼으로 구비할 경우 녹거나 형상이 변형될 우려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건조로(30)의 내부에는 전력을 공급받아 발열되는 별도의 히터 또는 원적외선 히터 등의 발열수단과, 발열수단에 의해 발열된 열을 골고루 분사시 키기 위한 송풍팬 등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공정에 의해 완성된 건축용 패널은 도 3의 a와 같이 단열재의 일 측면에 반죽물(또는 도막층)이 도포 경화된다.
즉, 경화된 반죽물(또는 도막층)의 표면에는 타일 또는 대리석 등의 내, 외장재가 부착 사용된다.
물론, 즉,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공정에 의해 건축용 패널을 제조 후 단열재(10)의 다른 쪽 면에도 상기와 같은 공정을 반복하여 도 3의 b와 같이 단열재의 양쪽 면에 반죽물(또는 도막층)을 도포 경화하여 사용할 수 있고, 도 4와 같이 경화된 반죽물(또는 도막층)의 어느 일 측면 또는 양쪽 면에 미장재의 기능을 하는 내장용 퍼터(40)((주)다진 인테리어용 퍼티 : 물품명 비이오 코트)를 마감 처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 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열재의 표면에 모르타르를 직접 도포 함으로써 마감재인 타일이나 대리석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별도의 그물 형상의 부직포를 요하지 않은 상태에서 단열재 위에 모르타르를 직접 부착하며 그 작업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본 발명은, 단열재의 표면에 거칠기가 다른 모르타르를 선택적으로 균일하게 도포함은 물론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음 및 단열의 기능뿐만 아니라 수분 흡수의 기능도 부여함으로써 습기 및 그에 따른 곰팡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8)

  1. 일정한 길이와 폭 그리고 두께를 갖고 설치되는 단열재인 스티로폼 또는 우레탄 수지의 표면에 도막 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건축용 패널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어느 일 측면에 스크래치가 형성되며 스티로폼, 폴리우레탄 폼, 범용 고무 및 플라스틱 고분자 재료, 고무발포 보온 단열재, 무기질 섬유, 식물성 섬유, 재생 섬유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합재인 것을 포함하고,
    스크래치가 형성된 상기 단열재의 어느 일 측면에는 시멘트, 규사, 황토 중 어느 하나의 재질 또는 그 혼합물이 아크릴 수지와 혼합되어 경화된 도막 층으로 구비된 건축용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막 층은 스프레이에 의해 분사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막 층은 상기 단열재의 양쪽 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막 층의 표면에는 내장용 퍼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는 15%~30%의 고형분이 함유된 것을 더 포함하는 건축용 패널.
  6. 스티로폼, 폴리우레탄 폼, 범용 고무 및 플라스틱 고분자 재료, 고무발포 보온 단열재, 무기질 섬유, 식물성 섬유, 재생 섬유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합재로 이루어진 모재인 단열재를 배치하는 배치단계;
    시멘트, 규사, 황토 중 어느 하나의 재질 또는 그 혼합물에 대해 선택된 비율로 아크릴 수지를 혼합하여 반죽하는 반죽단계;
    상기 단열재를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에 의해 이동시키며 그 표면에 상기 반죽단계의 반죽물을 분사 코팅하는 코팅단계; 및
    상기 코팅단계에 의해 코팅된 반죽물을 상온에서 방치하거나 60℃~90℃의 온 도를 유지하는 건조로를 통과시키며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건축용 패널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단계는 상기 단열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대해 반복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건축용 패널의 제조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의 완료 후 코팅 층의 표면에 내장용 퍼터를 도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건축용 패널의 제조방법.
KR1020050031556A 2005-04-15 2005-04-15 건축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092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556A KR20060109210A (ko) 2005-04-15 2005-04-15 건축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556A KR20060109210A (ko) 2005-04-15 2005-04-15 건축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210A true KR20060109210A (ko) 2006-10-19

Family

ID=37615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1556A KR20060109210A (ko) 2005-04-15 2005-04-15 건축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92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881B1 (ko) 2015-10-15 2017-02-08 주식회사정양에스지 구조강도 및 내수성이 향상된 단열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구조강도 및 내수성이 향상된 단열패널
CN109469217A (zh) * 2018-10-09 2019-03-15 绍兴臣工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强度复合保温板及其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624A (ko) * 1998-07-06 2000-02-07 김숭근 건축용 단열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000012584A (ko) * 1999-12-13 2000-03-06 김기태 조립식 단열 패널의 내외장 마감 공법
KR200254653Y1 (ko) * 2001-08-09 2001-12-01 남상수 건축용 단열판재
JP2002161590A (ja) * 2000-11-24 2002-06-04 Dainippon Ink & Chem Inc 断熱材および断熱パネル、並びに断熱パネルの製造方法
KR20030087450A (ko) * 2002-05-10 2003-11-14 주식회사 금강고려화학 수성 단열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KR200380401Y1 (ko) * 2005-01-10 2005-03-30 김기태 난연성의 건축용 내화 단열 패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624A (ko) * 1998-07-06 2000-02-07 김숭근 건축용 단열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000012584A (ko) * 1999-12-13 2000-03-06 김기태 조립식 단열 패널의 내외장 마감 공법
JP2002161590A (ja) * 2000-11-24 2002-06-04 Dainippon Ink & Chem Inc 断熱材および断熱パネル、並びに断熱パネルの製造方法
KR200254653Y1 (ko) * 2001-08-09 2001-12-01 남상수 건축용 단열판재
KR20030087450A (ko) * 2002-05-10 2003-11-14 주식회사 금강고려화학 수성 단열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KR200380401Y1 (ko) * 2005-01-10 2005-03-30 김기태 난연성의 건축용 내화 단열 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881B1 (ko) 2015-10-15 2017-02-08 주식회사정양에스지 구조강도 및 내수성이 향상된 단열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구조강도 및 내수성이 향상된 단열패널
CN109469217A (zh) * 2018-10-09 2019-03-15 绍兴臣工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强度复合保温板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5094A (en) Method for producing an ornamental concrete surface
CN105711208B (zh) 一种聚氨酯改性无机材料保温装饰一体化板及其生产方法
EP3347544B1 (en) Exterior polymer-based brick building material
CN104631738A (zh) 一种无机饰面保温装饰板及其连续化生产方法
KR20060109210A (ko) 건축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20100005733A1 (en) Fractionable Cement Veneer
KR20060124360A (ko) 황토판넬 제작방법 및 그 장치
WO2012147111A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decorative and facing panels and panel manufactured thereby
KR200404410Y1 (ko) 연속압출성형식 건물 장식용 중공 몰딩
KR100927483B1 (ko) 건축용 복합 판넬의 제조방법
KR101137450B1 (ko) 황토볼을 이용한 친환경 미장 시공방법
KR20110043233A (ko) 건축물 외장 겸용 단열재와, 이를 이용한 외단열 마감공법 및 단열 거푸집 공법
JP2004042557A (ja) 石膏成形体、これを用いた石膏ボード、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2006206369A (ja) 内装ボ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70605A (ja) 板状建材の施工方法
CN101525936A (zh) 一种瓷砖复合片材及其生产方法
WO2015002133A1 (ja) 型抜発泡材を用いた景観工法及びその型抜発泡材
KR100280078B1 (ko) 건축용 단열판의 제조 방법
JPH01314156A (ja) リン酸硬化体からなる建材
US202303648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rchitectural blocks with stone-like appearance
CN201406806Y (zh) 硬质聚氨酯复合板
NL1011791C2 (nl) Werkwijze ter vervaardiging van een warmteisolerend bouwpaneel, bouwpaneel, vormvrije massa, tuinbouwgranulaat, lijm, isolatielaag.
KR20000077504A (ko) 건축용 단열판
KR20050099168A (ko) 건축용 단열판재 제조장치
JP2556806B2 (ja) 建築用板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