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166B1 - 건축물의 기능성 타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기능성 타일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166B1
KR102573166B1 KR1020230043876A KR20230043876A KR102573166B1 KR 102573166 B1 KR102573166 B1 KR 102573166B1 KR 1020230043876 A KR1020230043876 A KR 1020230043876A KR 20230043876 A KR20230043876 A KR 20230043876A KR 102573166 B1 KR102573166 B1 KR 102573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mesh
cement mortar
metal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3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영규
이강산
Original Assignee
황영규
이강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영규, 이강산 filed Critical 황영규
Priority to KR1020230043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1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1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18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setting wall or ceiling slabs or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타일을 건축물의 내벽에 타일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방이나 화장실(욕실), 목욕탕, 세면장 등에서와 같이 물기나 습기가 많은 공간을 보호하고 장식성을 위해 설치되고, 각종 생활용품의 부착이 용이하도록 금속볼이 내장된 기능성 타일을 건축물의 내벽에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의 기능성 타일 시공방법{FUNCTIONAL TILE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기능성 타일을 건축물의 내벽에 타일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방이나 화장실(욕실), 목욕탕, 세면장 등에서와 같이 물기나 습기가 많은 공간을 보호하고 장식성을 위해 설치되고, 각종 생활용품의 부착이 용이하도록 금속볼이 내장된 기능성 타일을 건축물의 내벽에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타일(tile)은 주택이나 상업시설 등과 같은 건물의 주방이나 화장실(욕실), 목욕탕, 세면장 등에서와 같이 물기나 습기가 많은 공간의 바닥이나 벽면을 보호하고 장식성을 위해 시공되는 내장재로서,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 후에도 균열이나 변색이 거의 일어나지 않으며, 장식성과 위생성이 우수한 장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타일은 용이한 시공과, 시공시간 단축 및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타일 또는 벽체의 시공면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균일하게 바르지 않고 떠붙임 방식으로 부분적으로 발라 부착한다. 이로 인해 타일과 건축물의 내벽 사이에는 공기가 채워지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이렇게 타일이 시공된 공간 내에서 뜨거운 온수를 사용하는 경우 빈 공간 내에 채워진 공기가 가열되어 타일과 건축물의 내벽 사이에서 열 팽창이 일어난다. 이러한 열 팽창으로 인해 타일이 건축물의 내벽에서부터 들뜨거나, 심지어 탈락 또는 파손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특히 추운 동절기에서는 화장실의 내부 온도와 외부(건축물의 벽체) 온도 차이가 커서 타일 하자가 가중되었다.
한편, 타일에는 편의성을 위해 생활에 필요한 각종 생활용품들을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생활용품을 부착하는 방법으로는 드릴을 사용하여 타일을 천공하여 구멍을 형성하고, 여기에 칼블럭을 삽입한 다음 피스(나사못) 등으로 고정하거나, 양면 테이프, 접착제 또는 진공 흡착기능을 갖는 진공 흡착부재를 사용하여 고정한다.
하지만 기존의 생활용품을 부착하기 위한 방법들은 별도로 공구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고도의 기술이 요구되고 시공 시간 또한 많이 소모되었다. 특히 천공 과정에서 타일이 파손될 수 있었다. 아울러 타일에 부착된 생활용품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타일에 파손 흔적이나 접착제 등의 자국이 남아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었다.
KR 20-0297213 Y1, 2002. 11. 26. KR 10-2018-0049759 B1, 2018. 05. 11. KR 10-2209006 B1, 2021. 01. 22.
이러한 기존 방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97213호, 국내 공개특허 제10-2018-0049759호 등의 선행문헌들에서는 철 성분이 내부에 혼합된 타일이 제안되었다. 철 성분이 혼합된 타일은 자석이 장착된 생활용품을 누구나 쉽게 적재적소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필요에 따라 생활용품의 부착할 위치를 옮겨도 타일에 흔적이 남지 않아 매우 위생적이고 실용적인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들에서 제안된 타일은 타일을 제조할 때 철 성분, 즉 미세 분말(가루) 형태의 철 성분을 혼합시켜 제조함에 따라 시공 현장의 상황에 따라 균일한 크기로 규격화되어 제작된 타일을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할 때 타일의 절단면을 통해 철 성분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어 부식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국내 등록특허 제10-2209006호에서는 각각의 내부에 다수의 금속볼이 내장되어 있고, 서로 결합되어 M×N(여기서, M과 N은 자연수임) 형태의 자성블록 어레이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자성블록과, 상기 자성블록 어레이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각 측면부에는 상기 자성블록 어레이 내에 구성된 상기 자성블록들 간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한 재단 표시부가 형성된 외장층을 포함하는 기능성 타일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국내 등록특허 제10-2209006호에서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첫째, 자성블록은 타일의 주재료인 소지(素地)에 다수의 금속볼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는데, 자성블록의 전체에 걸쳐 금속볼이 균일하게 분포되기 위해서는 금속볼의 혼합율이 높아야 하고, 이로 인해 금속볼이 불필요하게 낭비될 수 있다.
둘째, 타일의 주재료인 소지와 다수의 금속볼을 혼합하여 자성블록을 형성한다 하더라도, 자성블록 내에서 금속볼이 균일하게 분포되지 못하고 자성블록의 특정 부위 내에서 금속볼이 집중되는 쏠림 현상이 발생되어 균일성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셋째, 복수 개의 자성블록이 배치된 자성블록 어레이를 덮도록 형성된 외장층에 재단 표시부를 형성하여 자성블록 간의 경계를 표시하더라도, 소지와 금속볼을 혼합하여 자성블록을 제조함에 따라 금속볼이 자성블록의 측면에 분포하여 자성블록 분할을 위한 재단시 금속볼이 외측으로 노출되어 부식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목적)는 떠붙임 방식으로 부분적으로 시멘트 모르타르가 도포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타일과 벽체 간의 빈 공간을 최소화하여 열 팽창에 의한 타일의 들뜸, 탈락 또는 파손을 방지하고, 소모되는 금속볼의 양을 줄여 타일의 제조 원가를 낮추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면서, 재단시 내장된 금속볼이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물의 타일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벽에 망체를 설치하는 과정; 상기 망체를 덮도록 시멘트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방수 및 단열 패널을 부착하는 과정; 및 시멘트 모르타르를 이용한 떠붙임 방식을 이용하되, 금속볼이 내장된 기능성 타일의 내측면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부분적으로 도포하여 상기 기능성 타일을 상기 방수 및 단열 패널에 부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건축물의 기능성 타일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능성 타일은 타일부재; 및 상기 타일부재의 내측면에 부분적으로 설치된 복수 개의 솜부재를 포함하고, 시멘트 모르타르를 통해 상기 방수 및 단열 패널에 부착되는 상기 타일부재의 시공면 중 상기 솜부재가 부착되지 않고 상기 솜부재 사이로 노출되는 시공면에만 시멘트 모르타르를 부분적으로 도포하되, 상기 타일부재의 시공면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도포할 때 상기 솜부재에 형성된 구멍으로 시멘트 모르타르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일부재는 상부가 개방된 'U'자형 구조로 이루어진 소지블록; 상기 소지블록의 내부에 형성된 하부 소지층; 상기 하부 소지층의 상부에 설치된 하부 메시와, 상기 하부 메시의 상부에 균일하게 놓여진 금속볼과, 상기 금속볼을 덮도록 설치된 상부 메시를 포함하는 금속층; 및 상기 상부 메시를 덮고, 상기 소지블록의 개방된 상부를 마감하는 상부 소 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일부재는 'U'자형 구조로 이루어진 틀의 내면을 따라 반죽 상태의 젖은 소지(素地)를 도포한 후 상온에서 자연경화시켜 상부가 개방된 'U'자형 소지블록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소지블록에 반죽 상태의 젖은 소지를 투입하여 하부 소지층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하부 소지층의 상부에 하부 메시, 복수 개의 금속볼 및 상부 메시를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금속층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상부 메시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접착제를 투입하여 상기 복수 개의 금속볼을 서로 접착시키는 과정; 및 상기 상부 메시를 덮도록 젖은 소지를 투입하여 상부 소지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기능성 타일 시공방법에 따르면, 건축물의 벽체에 망체와, 방수 및 단열 패널을 설치한 상태에서 타일을 시공함으로써 건축물의 벽체에 대한 부착력과 방수 및 단열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기능성 타일 시공방법에 따르면, 타일부재의 시공면에 솜부재를 부분적으로 설치하고, 솜부재 사이로 노출되는 타일부재의 시공면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도포하여 부착함으로써 타일과 건축물의 벽체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빈 공간을 축소시켜 열 팽창에 의한 타일의 들뜸, 탈락 또는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기능성 타일 시공방법에 따르면, 타일부재의 둘레가 소지블록에 보호되어 금속층이 타일블록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기능성 타일 시공방법에 따르면, 타일부재의 내부에 내장된 금속층을 타일부재 내에서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기능성 타일 시공방법에 따르면, 타일부재의 내장된 금속볼을 상부 메시와 하부 메시의 구멍 사이에 상하로 걸치도록 배치함으로써 종래기술에 준하는 자력 특성을 제공하면서도 금속볼의 사용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또한 타일부재의 동일 평면(수평) 상에서 금속볼을 균일하게 분포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의 타일 시공방법의 공정 흐름도.
도 2 내지 도 6은 도 1에 나타낸 타일 시공방법의 시공 과정을 나타낸 도면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타일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타일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에 나타낸 타일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도 8에 나타낸 타일부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제조 과정도.
도 11은 도 10의 (d)에 나타낸 금속볼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동일한 참조부호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 요소들은 크기 및 형상이 과도하게 도시될 수도 있는데,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제한을 두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의 타일 시공방법을 나타낸 공정 흐름도이고, 도 2 내지 도 6은 도 1에 나타낸 타일 시공방법의 시공 과정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건축물의 내벽에 망체(와이어 메쉬)(1)를 설치한다(S1).
이어서, 도 3과 같이, 망체(1)에 시멘트 모르타르(접착제)(2)를 도포한다(S2). 시멘트 모르타르(2)는 방수 및 단열 패널(3)을 망체(1)에 부착하는 한편, 망체(1)를 건축물의 벽체 긴밀하게 밀착 고정하기 위해 망체(1)의 전면에 도포한다.
이어서, 도 4와 같이, 시멘트 모르타르(2)가 도포된 건축물의 내벽에 방수 및 단열 패널(3)을 부착한다(S3). 방수 및 단열 패널(3)은 시멘트 모르타르(2)가 경화되기 전에 부착 고정하며, 일부 또는 전부에 부착될 수 있다. 방수 및 단열 패널(3)로는 방수와 단열 특성을 갖는 패널, 예를 들면 우레탄폼, 발포폴리스티렌, 압축스티로폼, 유리섬유, 셀룰로오스 또는 페놀폼보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도 5와 같이, 방수 및 단열 패널(3)에 마감재인 타일(4)을 부착한다(S5). 이후, 도 6과 같이, 타일(4) 사이에 타일 줄눈을 채워 공정을 마무리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타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타일(15)은 타일부재(151)와, 타일부재(151)의 내측면에 부착된 솜부재(152)를 포함한다. 솜부재(152)는 다공성을 갖는 솜 블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타일부재(151)에 부착될 수 있다.
솜부재들(152) 사이의 타일부재(151)의 내측면(151a)에는 떠붙임 방식으로 시멘트 모르타르가 도포된다. 솜부재(152)가 부착되지 않는 부위에만 떠붙임 방식으로 시멘트 모르타르를 도포함에 따라 시멘트 모르타르의 사용을 줄여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 기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솜부재(152)는 탄성을 제공하는 한편, 타일부재(151)와 벽체 사이에 발생하는 빈 공간(시멘트 모르타르가 없는 부위)을 매립한다. 이에 따라 타일부재(151)와 벽체 간의 빈 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공기에 의한 열 팽창을 줄일 수 있다.
솜부재(152)에는 시멘트 모르타르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솜부재(152)에 형성된 구멍은 상하방향(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멘트 모르타르를 도포할 때 시멘트 모르타르가 솜부재(152)의 구멍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어 솜부재(152)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타일(15)의 들뜸이나 탈락, 또는 파손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타일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나타낸 타일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타일부재의 제조 공정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타일부재(251)는 도 7에 나타낸 타일(5)의 타일부재(51)의 일 예로서, 생활에 필요한 각종 생활용품들이 자력을 통해 부착되도록 금속볼(또는, 금속분말)이 내부에 내장된 기능성 타일이다.
이러한 타일부재(251)는 도 9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자 형태를 갖는 소지블록(251a)과, 소지블록(251a)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채워지고 상면이 평평한 구조로 형성된 하부 소지층(251b)과, 하부 소지층(251b)의 평평한 상면에 설치된 금속층(251c)과, 금속층(251c)의 상부를 덮는 상부 소지층(251d)을 포함한다.
이러한 타일부재(251)의 제조방법은 아래와 같다.
도 10의 (a)와 같이, 소지블록(251a)은 타일의 주재료인 소지(素地)를 이용하여 형성한다. 예를 들어 'U'자형 구조로 이루어진 성형틀의 내면을 따라 반죽 상태의 젖은 소지를 소정 두께로 도포한 후 상온에서 자연경화시키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0의 (b)와 같이, 소지블록(251a)을 상기 성형틀로부터 분리 또는 상기 성형틀에 소지블록(251a)을 잔류시킨 상태에서 소지블록(251a)의 내부에 소지를 투입시켜 하부 소지층(251b)을 형성한다. 이때, 반죽 상태의 젖은 소지를 투입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하부 소지층(251b)은 반죽 상태의 젖은 소지를 성형틀 내부로 적정량 투입하여 형성한 후 평탄화 작업을 통해 상면은 평탄화된다. 또한 소지블록(251a)과 하부 소지층(251b) 간의 결합력을 위해 하부 소지층(251b)용 소지를 소지블록(251a)에 투입하기 전에 접착 몰탈을 소지블록(251a)의 바닥면과 측면에 추가로 도포할 수도 있다.
도 10의 (c)에서 (e)와 같이, 하부 소지층(251b)에 금속층(251c)을 형성한다. 금속층(251c)은 타일부재(251) 내에서 일측면(외측면)(o)에 더 근접하도록 위치시킨다. 그 이유는 타일의 내측면(i)이 건축물의 벽체에 부착 시공된 상태에서 각종 생활용품들이 타일의 외측면(o)에 자력을 통해 부착될 때 강한 자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9와 같이, 타일부재(251)의 전체 두께가 'd1+d2'라 하면, 타일부재(251)의 외측면(o)에서 금속층(251c) 간의 거리 'd1'은 타일부재(251)의 내측면(i)(건축물의 벽체에 부착되는 면)에서 금속층(251c) 간의 거리보다 짧도록 금속층(251c)을 위치시킨다.
이러한 금속층(251c)은 메시(mesh) 구조로 이루어진 하부 메시(a)와, 하부 메시(a) 상에 균일하게 배치된 금속볼(또는, 금속분말)(b)과, 금속볼(b)을 덮도록 메시 구조로 이루어진 상부 메시(c)를 포함한다. 이때, 하부 메시(a)와 상부 메시(c)는 복수 개의 구멍이 촘촘하게 형성된 금속망 또는 합성수지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부 메시(a)와 상부 메시(c)에 각각 형성된 구멍의 크기(직경)는 금속볼(b)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금속볼(b)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11은 도 10의 (d)에 나타낸 금속볼 배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과 같이, 하부 메시(a)는 X 및 Y축으로 격자(매트릭스, matrix) 형태로 형성된 복수 개의 구멍(a1)을 포함한다. 물론, 상부 메시(c) 또한 하부 메시(a)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속볼(b)은 하부 일부가 하부 메시(a)의 구멍(a1)에 삽입되어 안치되고, 상부 일부는 상부 메시(c)의 구멍에 삽입되어 걸치게 된다. 이에 따라 금속볼(b)은 상부 메시(c)와 하부 메시(a)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금속볼(b)은 2mm~7mm 정도의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메시(c)와 하부 메시(a) 사이는 금속볼(b)의 직경 만큼 이격 설치된다. 금속볼(b)은 도 11과 같이, 하부 메시(a)에 형성된 구멍(a1)에 X축 및 Y축 방향으로 하나 걸러 하나의 구멍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이는 금속볼(b)이 하부 메시(a)의 구멍(a1)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즉, 금속볼(b)이 하부 메시(a)와 상부 메시(c) 사이에 배치될 때 인접하게 배치된 금속볼들 간의 간섭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간섭을 방지하는 한편, 상부 소지층(251d) 형성시 젖은 소지가 상부 메시(c)에 형성된 구멍들 중 금속볼(b)이 배치되지 않는 구멍을 통해 금속볼들 사이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0의 (c)와 같이, 하부 소지층(251b)의 상면에 하부 메시(a)를 설치하고, 도 10의 (d)와 같이, 하부 메시(a), 바람직하게는 하부 메시(a)의 구멍에 하나 걸러 하나씩 금속볼(b)을 배치한 후 도 10의 (e)와 같이, 금속볼(b)을 덮도록 상부 메시(c)를 설치한다. 이때, 상부 메시(c)는 하부 메시(a)와 동일한 메시, 즉 동일한 직경을 갖는 구멍이 형성된 메시로 이루어져 금속볼(b)의 하부 일부가 하부 메시(a)의 구멍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부 일부는 상부 메시(c)의 구멍에 끼워진다. 이에 따라 금속볼(b)은 상부 메시(c)와 하부 메시(a) 사이에서 유동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도 10의 (f)와 같이, 하부 메시(a), 금속볼(b) 및 상부 메시(c)로 이루어진 금속층(251c)이 형성된 소지블록(251a) 내부로 반죽 상태의 젖은 소지를 상부 메시(c)의 상부에 소정의 두께로 바른 후, 하측으로 눌러 젖은 소지를 상부 메시(c)의 구멍들 중 금속볼(b)이 삽입되지 않은 구멍을 통해 복수 개의 금속볼(b) 사이로 유입시킨다. 금속볼들(b) 사이로 유입된 젖은 소지에 의해 금속볼들(b)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젖은 소지를 투입하기 전 상부 메시(c)의 구멍을 통해 금속볼(b) 사이로 접착제를 투입시키고, 이를 통해 금속볼들(b)을 서로 접착시킨 상태에서 상부 소지층(251d)의 일부가 되는 젖은 소지를 투입할 수도 있다.
이어서, 젖은 소지를 추가로 투입시켜 소지블록(251a)의 개방된 개방부를 마감한다. 즉, 소지블록(251a)의 개방된 개방부가 매립되도록 상부 소지층(251d)을 형성한다. 금속층(251c)은 강한 자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부 소지층(251d)의 상면에 근접하게 형성되도록 상부 소지층(251d)이 하부 소지층(251b)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낸 제조과정으로 제조된 타일부재(251)는 복수 개가 서로 연결된 어레이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어레이 형태로 제작된 경우에는 경계를 따라 각각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0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타일부재(251)는 그 내측면에 도 7과 같이 솜부재를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부착 고정하여 일체로 사용한다.
1 : 망체
2 : 시멘트 모르타르(접착제)
3 : 방수 및 단열 패널
4, 15 : 타일
151, 251 : 타일부재
152 : 솜부재
251a : 소지블록
251b : 하부 소지층
251c : 금속층
251d : 상부 소지층
a : 하부 메시
b : 금속볼
c : 상부 메시
a1 : 구멍

Claims (4)

  1. 건축물의 내벽에 망체를 설치하는 과정;
    상기 망체를 덮도록 시멘트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방수 및 단열 패널을 부착하는 과정; 및
    시멘트 모르타르를 이용한 떠붙임 방식을 이용하되, 금속볼이 내장된 기능성 타일의 내측면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부분적으로 도포하여 상기 기능성 타일을 상기 방수 및 단열 패널에 부착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타일은,
    타일부재; 및
    상기 타일부재의 내측면에 부분적으로 설치된 복수 개의 솜부재; 를 포함하고,
    시멘트 모르타르를 통해 상기 방수 및 단열 패널에 부착되는 상기 타일부재의 시공면 중 상기 솜부재가 부착되지 않고 상기 솜부재 사이로 노출되는 시공면에만 시멘트 모르타르를 부분적으로 도포하되, 상기 타일부재의 시공면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도포할 때 상기 솜부재에 형성된 구멍으로 시멘트 모르타르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타일부재는,
    상부가 개방된 'U'자형 구조로 이루어진 소지블록;
    상기 소지블록의 내부에 형성된 하부 소지층;
    상기 하부 소지층의 상부에 설치된 하부 메시와, 상기 하부 메시의 상부에 균일하게 놓여진 금속볼과, 상기 금속볼을 덮도록 설치된 상부 메시를 포함하는 금속층; 및
    상기 상부 메시를 덮고, 상기 소지블록의 개방된 상부를 마감하는 상부 소 지층;
    을 포함하는 건축물의 기능성 타일 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30043876A 2023-04-04 2023-04-04 건축물의 기능성 타일 시공방법 KR102573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876A KR102573166B1 (ko) 2023-04-04 2023-04-04 건축물의 기능성 타일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876A KR102573166B1 (ko) 2023-04-04 2023-04-04 건축물의 기능성 타일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3166B1 true KR102573166B1 (ko) 2023-08-30

Family

ID=87846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3876A KR102573166B1 (ko) 2023-04-04 2023-04-04 건축물의 기능성 타일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316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213Y1 (ko) 2002-07-30 2002-12-12 장유덕 철화타일
KR20090113408A (ko) * 2008-04-28 2009-11-02 주식회사 월드와이즈월 마감패널의 용이한 고정구조를 갖는 방수와 단열 및 방음벽체
KR20180049759A (ko) 2016-11-03 2018-05-11 박시형 자석이 붙는 기능성 타일
KR102209006B1 (ko) 2018-07-24 2021-01-28 김원지 물품 부착이 용이한 기능성 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35808A (ko) * 2020-05-06 2021-11-16 이승진 시공이 용이한 건축물 벽체용 타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213Y1 (ko) 2002-07-30 2002-12-12 장유덕 철화타일
KR20090113408A (ko) * 2008-04-28 2009-11-02 주식회사 월드와이즈월 마감패널의 용이한 고정구조를 갖는 방수와 단열 및 방음벽체
KR20180049759A (ko) 2016-11-03 2018-05-11 박시형 자석이 붙는 기능성 타일
KR102209006B1 (ko) 2018-07-24 2021-01-28 김원지 물품 부착이 용이한 기능성 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35808A (ko) * 2020-05-06 2021-11-16 이승진 시공이 용이한 건축물 벽체용 타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644775U (zh) 一种预制夹芯保温隔热混凝土外墙板
KR100959272B1 (ko) 건축용 조립식 복합 판넬 및 그 시공방법
CN102182265A (zh) 一种多功能快速建房模墙板结构体系
JP2008019635A (ja) 鉄筋コンクリート外断熱建物の透湿性外壁構造、使用する複合パネル及び腰見切金具
CN101131002A (zh) 模卡式拼装防水保温板及施工方法
CN202090469U (zh) 一种多功能快速建房模墙板结构体系
CN100535355C (zh) 一种仿岩石保温装饰墙体及其制作方法
KR102573166B1 (ko) 건축물의 기능성 타일 시공방법
KR100545012B1 (ko) 건축구조물의 벽체 방수구조 및 그 방수공법
CN106499088B (zh) 一种废砖饰面预制保温外墙板及其制作方法
KR102575096B1 (ko) 건축물의 타일 시공방법
KR100851231B1 (ko) 건축용 내장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축용내장패널
KR200418758Y1 (ko) 건축물의 결로방지용 복합단열재의 결합구조
KR100927483B1 (ko) 건축용 복합 판넬의 제조방법
CN108884675A (zh) 便于干法装饰的外部隔热一体化隔热块系统及其施工方法
KR101392358B1 (ko) 한옥용 벽체 및 한옥 벽체의 시공 방법
KR20130015092A (ko)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029833B1 (ko) 차음 및 단열패널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와 바닥구조
KR101140809B1 (ko) 욕실용 타일부착 패널
KR101688570B1 (ko) 조립식 욕실용 하이브리드 벽판넬 시공구조
KR20130088346A (ko) 단열(방습)복합보드/판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부위별 설치방법
KR101181751B1 (ko) 조립식 천연석재판
CN1329605C (zh) 基底面板、外壁装饰方法和预制幕墙
CN206428841U (zh) 保模一体化保温板
KR20060107480A (ko) 건축물의 벽체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